이란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 속하는 현이다. 명나라 시대에는 싼싱으로 알려졌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부도통의 소재지로서 지린성의 북동부 지역을 통치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6년 의란부로 설치되었고, 중화민국 수립 이후 의란현으로 개편되었다. 쑹화강과 아무르강이 흐르며, 냉대 기후를 보인다. 현재 6개 진, 2개 향, 1개 민족향을 관할하며, 하자선 철도와 국도, 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주요 관광지로는 단칭허 국가삼림공원과 단칭허 성급 관광 풍경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얼빈시의 행정 구역 - 빈현 빈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의 현으로, 쑹화강이 북부 경계를 흐르고 냉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12개의 진과 5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자선 철도와 고속도로 등이 지난다.
하얼빈시의 행정 구역 - 아청구 아청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 위치한 시할구로, 금나라의 첫 번째 수도였던 회령부의 옛터가 있으며, 쑹눈 평원과 장광차이링 산지 사이에 위치하고 광물 자원, 농업, 제조업, 관광 등의 산업이 발달했다.
헤이룽장성의 현 - 탕위안현 중국 헤이룽장성 자무쓰시에 있는 탕위안현은 1905년 청나라에 설치되어 1988년 현급시로 승격되었으며, 대륙성 기후를 띠고 허다 고속공로와 G201 국도로 연결된다.
헤이룽장성의 현 - 이안현 이안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쑤이화시에 위치하며, 1923년 설치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52년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되었고, 몬순의 영향을 받는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철도와 고속도로가 지나고 병원과 중의원이 위치한다.
이란현은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고대 숙신의 거주지를 시작으로 당나라 발해, 요나라 여진, 금나라, 원나라, 명나라를 거치며 다양한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명나라 시기에는 '''삼성'''(三姓)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건주 여진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고, 청나라 때도 그 중요성이 이어져 부도통이 주둔하는 등 지린성 북동부 지역의 행정 및 교역 중심지로 기능했다.[5][7] '이란(依蘭)'이라는 지명은 만주어로 '세 개의 성씨'를 뜻하는 ilan hala|일란 할라mnc에서 유래했다.[6] 청나라 말기인 1906년 '''이란부(依蘭府)'''가 설치되었고, 중화민국 시기인 1913년 '''이란현(依蘭縣)'''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만주국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고대 ~ 청나라 이전
이란(依蘭)은 "이란하라(依蘭哈喇)"의 약칭으로, 만주어로 "삼성(三姓)"을 의미하는 ilan hala|일란 할라mnc의 음역이다. 의역한 삼성(三姓)이라는 옛 이름도 사용되었다. 『삼성지(三姓志)』에 따르면 청 초기에 쑹화강(sunggari ula) 중류의 풀하강(hūlha bira, 呼爾哈河, 현재의 무단강) 어귀 등지에 호저족(赫哲人)이 여러 취락을 형성하고 있었다고 한다. 한편, 만주국이 편찬한 『의란기략(依蘭紀略)』에는 노(盧), 갈(葛), 서(舒) 세 성씨가 거주했기 때문에 삼성이라는 지명이 유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대에는 숙신의 거주지였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발해 흑수도독부의 관할 지역으로 여겨졌다. 요나라 때는 여진 오국부(포아리(剖阿里), 분노리(盆奴里), 오리미(奧里米), 월리독(越里篤), 월리길(越里吉))의 땅이었다. 금나라 시대에는 호리(胡里)로 불렸으며, 초기에는 만호부가 설치되었고 이후 절도사가 설치되었다. 원나라 때는 군민만호부가 설치되었고, 명나라 때는 노아간도사 홀아해위(奴児干都司忽児海衛)가 설치되었다.[5]
명나라 통치 기간 동안, 이란은 공식적으로 '''싼싱'''(三姓)으로 알려졌으며, 후르카강(무단강) 계곡의 건주 여진족의 두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 다른 중심지는 후르카강 상류의 닝구타(현재의 닝안)였다.[5] 당시 여진어 이름은 '''일란투멘'''이었다.[6]
2. 2. 청나라 시기
1891년 독일 지도. 쑹화강으로 흘러드는 무단강(후르카강) 하구의 '산싱'(三星)이 표시되어 있다.
청나라 시기에도 이곳은 여전히 '''삼성'''(三姓)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그 중요성을 유지했다. '이란(依蘭)'이라는 지명은 "이란하라(依蘭哈喇)"의 줄임말로, 만주어로 '세 개의 성씨'를 뜻하는 ilan hala|일란 할라mnc를 음역한 것이다.[6] 의역하여 '삼성'이라는 옛 이름도 함께 사용되었다. 『삼성지(三姓志)』에 따르면 청나라 초기 쑹화강 중류의 무단강(당시 후르카강) 어귀 등지에 나나이족(허저족)이 여러 취락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또한 만주국 시절 편찬된 『의란기략(依蘭紀略)』에는 노(盧), 갈(葛), 서(舒) 세 성씨가 거주했기 때문에 삼성이라는 지명이 유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692년, 삼성은 부도통의 주둔지가 되었으며, 지린 총독(장군) 예하에 속하게 되었다.[7] 1714년(강희 53년)에는 삼성협령아문(三姓協領衙門)이 설치되었고, 1731년(옹정 9년) 12월에는 삼성 지방에 부도통을 설치할 것을 조정에 건의하여 이듬해인 1732년에 부도통이 정식으로 설치되었다. 삼성 부도통은 아무르강(흑룡강) 하류, 쑹화강 중하류 및 연해주 등 당시 지린성의 광활한 북동부 지역(현재의 지린성보다 훨씬 넓어 태평양 연안까지 포함)을 관할했다.[7] 이곳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민족이 청나라 조정에 바치는 모피와 비단 등 공물을 관리하고 중국 물산과의 교역이 이루어지는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쑹화강 수운의 중요한 거점으로 발전했다.
1887년, 영국의 여행가 H. E. M. 제임스, 프랜시스 영허즈번드, 해리 잉글리시 풀퍼드가 만주를 여행하며 삼성을 방문했다. 풀퍼드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삼성의 인구는 약 10,000명이었으며, 모피와 어류(연어, 철갑상어) 거래가 주요 산업이었다.[4]
청나라 말기인 1905년(광서 31년), 길림 장군은 삼성을 길림성과 흑룡강성 지구의 중심지로 삼기 위해 부(府)를 설치할 것을 건의했고, 이듬해인 1906년(광서 32년) 2월 15일에 '''의란부(依蘭府)'''가 설치되었다.
2. 3. 근현대
1887년, 세 명의 영국 여행가 H. E. M. 제임스, 프랜시스 영허즈번드, 해리 잉글리시 풀퍼드가 만주를 여행하며 당시 산싱(三姓)으로 불리던 이란을 방문했다. 풀퍼드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이 도시는 약 10,000명의 인구를 가졌으며, 모피와 어류(연어와 철갑상어) 거래가 주요 산업이었다.[4]
1905년 (광서 31년), 길림 장군은 삼성을 길림과 흑룡강 지역의 중심지로 삼기 위해 부(府) 설치를 건의하였다. 이듬해인 1906년 (광서 32년) 2월 15일, '''이란부(依蘭府)'''가 공식적으로 설치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된 후, 1913년 3월에 이란부는 '''이란현(依蘭縣)'''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강덕 원년) 만주국이 성립되면서 이란현은 삼강성에 속하게 되었다.
1950년부터 1964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 특히 마오쩌둥의 공식 사진작가였던 루허우민이 이란현에서 태어났다.[8]
이란현은 냉대 동계 건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wa'')에 속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은 매우 춥고 길며 건조하고, 여름은 덥고 습하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년값 기준으로, 월평균 기온은 1월에 -17.2°C로 가장 낮고, 7월에 22.6°C로 가장 높다. 연평균 기온은 4.2°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76.5mm이며, 강수의 대부분은 여름철(6월~8월)에 집중된다. 연평균 일조시간은 약 2,318시간이며, 겨울철에는 눈이 자주 내린다.
'''이란현의 월별 기후 평균 및 극값 (1991년~2020년 평년값, 극값 1971년~2010년)'''[9][10][11]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C)
2°C
9°C
20.2°C
29.4°C
34.3°C
37.4°C
37.8°C
37.2°C
30.6°C
27°C
16.3°C
6.1°C
37.8°C
평균 최고 기온(°C)
-12.3°C
-6.5°C
2.4°C
13.1°C
20.7°C
25.4°C
27.6°C
25.9°C
21°C
11.9°C
-0.8°C
-10.8°C
9°C
일평균 기온(°C)
-17.2°C
-12.4°C
-3.5°C
6.6°C
14.3°C
19.6°C
22.6°C
20.7°C
14.5°C
5.8°C
-5.5°C
-15.2°C
4.2°C
평균 최저 기온(°C)
-21.5°C
-18°C
-9.3°C
0.4°C
8°C
14.3°C
18°C
16.3°C
8.9°C
0.5°C
-9.7°C
-19.1°C
-0.9°C
역대 최저 기온(°C)
-35°C
-31.8°C
-26.9°C
-12.6°C
-4.1°C
4.8°C
10.6°C
7°C
-3°C
-13.2°C
-25.7°C
-32.9°C
-35°C
강수량(mm)
4.8mm
4.8mm
14.5mm
24.6mm
56.9mm
83.1mm
138.3mm
131.4mm
61.7mm
31.1mm
15.3mm
10mm
576.5mm
평균 강수일수 (≥ 0.1 mm)
5.1
4.3
7.4
8.4
12.3
13.5
13.8
13.5
9.9
7.7
6.6
7.4
109.9
평균 강설일수
7.2
5.9
8.1
3.2
0.1
0
0
0
0
1.8
7.9
9.6
43.8
평균 상대 습도(%)
71
66
61
57
61
72
80
83
77
66
68
72
69
월평균 일조시간
147.8
177.5
212.4
204.4
225.6
224.5
222.0
216.6
219.3
186.6
147.2
134.9
2,318.8
일조율(%)
53
60
57
50
49
48
47
50
59
56
53
51
53
5. 행정 구역
이란현(依兰县)은 6개 진, 2개 향, 1개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12]
5. 1. 진 (鎭)
이란 현(依兰县)은 6개 진, 2개 향, 1개 민족 향으로 나뉜다.[12]
이란 진( 依兰镇|이란진중국어 ): 현 정부 소재지이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다롄허 진( 达连河镇|다롄허진중국어 )
장완 진( 江湾镇|장완진중국어 )
싼다오강 진( 三道岗镇|싼다오강진중국어 )
다오타이차오 진( 道台桥镇|다오타이차오진중국어 )
훙커리 진( 宏克利镇|훙커리진중국어 )
5. 2. 향 (鄕)
투안산쯔 향(团山子乡)
위궁 향(愚公乡)[12]
5. 3. 민족향
이란현의 유일한 민족향은 잉란 조선족 향( 迎兰朝鲜族乡|잉란차오셴쭈샹중국어 )이다.[12]
6. 교통
이란현의 주요 교통망으로는 하자선 철도와 중국 221 국도 등이 있다.
6. 1. 철도
이란(依蘭, I-LAN (SAN-HSING) 三姓)이 포함된 지도(육군 지도국, 1955)
중국철로총공사 산하 중국철로 하얼빈국 집단공사가 관할하는 철도 노선이 이란현을 통과한다.
하자선: 하얼빈과 자무스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이란현 내에는 다음 역들이 위치한다.
* 다롄허역
* 이란역: 하얼빈-자무스 간 도시 간 철도의 역으로, 시젠팡 구에 위치하며 시내 중심에서 5km 떨어져 있다.
* 훙커리역
6. 2. 도로
'''고속도로'''
* -- 하퉁 고속도로
* -- 이싱 고속도로
'''국도'''
* 중국 221 국도
'''성도'''
* 101 성도
* 308 성도
* 307 성도
7. 보건
이란 현 인민 병원
이란 현 중의원
8. 관광
(내용 없음)
8. 1. 명소
단칭허 국가삼림공원
단칭허 성급 관광 풍경구
참조
[1]
간행물
Harbin Statistical Yearbook 2011
《哈尔滨统计年鉴2011》
2011
[2]
간행물
2010 Census Harbin primary statistics report
《哈尔滨市2010年第六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公报》
2010
[3]
웹사이트
Yilan
https://www.google.c[...]
2014-07-02
[4]
논문
Mr. Fulford's Journeys in Manchuria
https://books.google[...]
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5]
서적
Manchuria – Cradle of Conflict
https://books.google[...]
Modern reprint by READ BOOKS
[6]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7]
웹사이트
http://iea.cass.cn/j[...]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8]
웹사이트
Chairman Mao's personal cameraman dies
http://shanghaiist.c[...]
shanghaiist
2015-03-10
[9]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10]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5
[11]
웹사이트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08-23
[12]
웹사이트
国家统计局 2019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1-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