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직 (문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명직은 1865년에 태어나 1915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한산 이씨이며, 탁지부 주사, 규장각 직학사 등을 역임했다. 갑오개혁 이후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민원식을 등용하여 위생 개혁을 추진하는 등 개화적인 면모를 보였다. 고종 퇴위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가 실패한 후, 수원 동탄에서 계몽 운동을 펼치며 해외 유학을 독려했다. 일제의 감시를 받다 1915년 일본인에게 독살되었으며, 그의 아들 이철규 역시 고종의 죽음에 항거하다 일제에 의해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산 이씨 - 이태복
이태복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언론인, 정치인, 사회운동가로서, 민주화 이후 국민의 정부에서 청와대 복지노동수석비서관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주5일제 도입과 건강보험 재정 건전화에 기여했고, 퇴임 후에는 사회운동과 독립운동가 및 민주화 운동가를 기리는 활동을 펼쳤다. - 한산 이씨 - 이일규
이일규는 1920년 출생하여 대법원 판사, 대법원장을 역임했으며, 인혁당 사건과 김영준 사건에서 사형 반대 소수의견을 내며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 보호에 기여했다. - 1915년 사망 - 오쿠보 하루노
오쿠보 하루노는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고 한국주둔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한국 병합 이후 조선주둔군 사령관을 지냈다. - 1915년 사망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 1865년 출생 - 러디어드 키플링
러디어드 키플링은 영국령 인도에서 태어나 인도와 영국을 배경으로 활동한 소설가, 시인, 단편 소설가로, 인도 주둔 영국군의 삶과 인도 사회를 묘사한 작품과 아동 문학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지만 제국주의적 편향과 인종차별적 표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1865년 출생 - 워런 G. 하딩
워런 G. 하딩은 오하이오주 출신으로 신문 편집인, 정치인을 거쳐 제29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재임 기간 중 측근들의 부패와 건강 악화로 사망하고, 역사적으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명직 (문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명직(李命稙) |
출생일 | 1865년(고종 2)1월 11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80번지 |
사망일 | 1915년9월 7일 |
거주지 | 수원 동탄 돌머루(석우리) 은거 |
학력 | 한학 |
직업 | 조선 말기의 문신, 독립지사, 사회계몽가, 사상가 |
종교 | 유교 |
배우자 | 전주 최씨(全州 崔氏) |
자녀 | 아들 이철규(李喆珪) |
부모 | 아버지 이승태(李承台) 어머니 청주 한씨(淸州 韓氏) |
2. 약력
2. 1. 간략 정보
이명직(李命稙)은 1865년(고종 2)에 태어나 1915년에 사망한 조선 근대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공문서상에 '이명식'으로도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공무원들이 한자 직(稙)자를 식(植)자로 잘못 인식하여 한글 토지대장에 '식'으로 기재했기 때문이다. 탁지부주사, 규장각직학사 등을 역임했다.2. 2. 생애
2. 2. 1. 출생과 가계



이명직은 고종 2년인 1865년 1월 11일 조선 한성부 종로 계동 80번지에서 이승태(李承台)와 청주 한씨(淸州 韓氏)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집안은 고려말의 학자 이색의 후손으로, 이색의 차남 인재공의 17대손이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벼슬살이를 하였는데 이명직(李命稙)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과거제가 폐지된 후 조선의 마지막 진사시인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으로 입격한 후 탁지아문 주사로 관직에 들었다[10]. 1906년 9월 18일 종2품 규장각직학사(奎章閣直學士)에 임명되었다[11].
1887년 부인 전주 최씨(全州 崔氏)와의 사이에서 구한말 금광국 기수를 지냈고 일제병탄 이후 평안북도 희천군 동면 면장을 지내다 1916년 충청북도 충주군 노은면 문성리의 금방산일대에 금광면허를 받고 문성금광을 운영했던 아들 이철규(李喆珪)를 생산하였다[12][13].
2. 2. 2. 관직 생활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의금부도사와 혜민원주사(惠民院主事)를 지낸 승태(承台)의 아들이다[2].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과거제가 폐지된 후 조선의 마지막 진사시인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에 진사 3등(三等)으로 입격한 뒤 관직에 올라 1895년 2월 19일 탁지아문(度支衙門) 본위 주사(主事)와 사복장이 되었다[3][4]. 고종실록과 일성록에 의하면 1896년 보은군수를 시작으로 밀양군수, 백천군수서리 겸 연안군수 등 외직을 거친 이후 1904년 10월 종2품 내장원경(內藏院卿) 겸 전선사 부제조와 액정서(掖庭署)의 욕석집사로 발탁되었다.1906년(고종 9년) 6월 협잡으로 경무청에 체포된 민원식이 조선 거리의 비위생적인 점을 지적하고 방역과 소독 활동, 도로 포장 등의 활동을 건의하자 내부 서기(內部 書記)로 천거하여 2달만에 위생과장이 되도록 하여 8월에 일본인, 독일인, 영국인 의사들을 초청하여 경성부의 동대문과 종로 일대에서 무료 진료를 실시하고, 참석자에게 구충제를 나눠주는 보건, 위생을 홍보하는 위생환등회의 개최를 성사시켰다[5]. 이어 1906년 9월 18일 종2품 규장각직학사(奎章閣直學士)에 임명되었다[6].
1907년(광무 10년)에 종1품 숭정대부 궁내부특진관(崇政大夫 宮內府特進官) 칙임관1등에 임명되었다. 1907년 고종 퇴위를 막으려다 고종퇴위와 함께 축출되어 수원군 동탄면 석우리에 칩거하며 젊은 지식인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해외유학을 독려하다 1915년 호랑이 사냥꾼으로 위장하여 사랑채에 장기간 유숙하던 일본인에게 독살되었다.
2. 2. 3. 민원식 천거와 위생 개혁
1906년(고종 9년) 6월 협잡으로 경무청에 체포된 민원식이 조선 거리의 비위생적인 점을 지적하고 방역과 소독 활동, 도로 포장 등의 활동을 건의하자 내부 서기(內部 書記)로 천거하여 2달만에 위생과장이 되도록 하였다.[5] 8월에 일본인, 독일인, 영국인 의사들을 초청하여 경성부의 동대문과 종로 일대에서 무료 진료를 실시하고, 참석자에게 구충제를 나눠주는 보건, 위생을 홍보하는 위생환등회의 개최를 성사시켰다.[5] 이어 1906년 9월 18일 종2품 규장각직학사(奎章閣直學士)에 임명되었다.[6]2. 2. 4. 계몽 운동과 죽음
1907년 고종 퇴위를 막으려다 실패하고 고종과 함께 축출된 후, 수원 동탄 돌머루(석우리)에 은거하며 노작 홍사용, 월탄 박종화, 빙허 현진건 등 백조파 문인들과 토월회 회원들에게 한학과 고전 학문을 가르치며 세상의 문물 전파와 세상 격변을 갈파하였다. 사발통문을 띄워 전국 방방곡곡의 식견 있는 인사들의 집안에 똑똑한 자식 있으면 해외로 공부하러 보내는 길이 나라를 찾는 길이라고 독려 전파하였다.[14]한산이씨 세보에는 1865년 1월 11일에 출생하여 1915년 9월 7일에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제에 항거하는 계몽운동을 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일제와 친일파는 1915년 일본인 암살자를 호랑이 사냥꾼으로 위장하여 사랑채에 장기간 유숙하게 하여 이명직을 독살하였다. 이어 4년 뒤 고종의 죽음에 의혹을 제기하며 극열히 저항하던, 금광국 기수를 지낸 아들 이철규(李喆珪)도 일제에 의해 참살당했다.[15]
외국의 신식 문물을 배워와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다. 경기 기흥 신갈에 있던 이명직의 묘를 이장할 때 후손과 묘역 꾼 중의 모개비(우두머리)에 의하면 이명직의 신체는 구척장신이라 하였다. 성우 이명직 선생의 쌍학이 선명하게 보이는 당상관 흉배를 한 관복을 입은 전신사진이 그분의 아드님 이철규 금광국 기수의 사진과 함께 전해지고 있어 진사에 입격하고 주사로 관직에 들었으나 과거제가 폐지된 상황으로 인하여 더는 과거에 임할 수 없어 본인의 능력만으로 당상관의 반열에 올랐다는 사실을 사진으로 후손에 전하고 있다.[16]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박맹수가 집필한 이명직(李明稙)에 대한 기록은 동명이인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승대(承大)의 아들이다. 1893년(고종 30) 4월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관직에 올라 같은 해 6월 홍문관부교리가 되었다. 1904년 10월 내장원경(內藏院卿)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다시 효혜전향관(孝惠殿享官)을 겸하였다. 1907년에는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되었고, 다시 장례원부경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4월에는 재차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되었다."의 내용 중에서 "1904년 10월 내장원경(內藏院卿)이 되었고"와 "같은 해 4월에는 재차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되었다."는 성우 이명직 선생의 관직을 두 이명직을 한사람으로 잘못 본 집필오기로 추측된다.[17]
3. 사회 활동
1907년 고종 퇴위를 막으려다 실패하고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돌머루(석우리)에 은거하며 조카 홍사용과 그의 친구 정백, 박종화, 현진건 등 백조파 문인들과 토월회 회원들에게 한학과 고전 학문을 가르쳤다.[7][8] 나라가 망할 것을 예측하고, 똑똑한 자식이 있으면 해외로 유학을 보내라고 전국 각지의 식견 있는 인사들에게 독려하였다.[9] 외국 신문물을 배워와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4. 가족 관계
wikitext
- 조부 : 이원효/필재 (李源孝/弼在, 첨정)
- 조모 : 경주 정씨 (慶州 鄭氏)
- 부 : 이승태 (李承台, 혜민원 주사)
- 모 : 여주 이씨 (驪州 李氏), 청주 한씨 (淸州 韓氏)
- 부인 : 전주 최씨 (全州 崔氏)
- 자 : 이철규 (李喆珪, 농상공부금광국기수)
- 자부 : 영일 정씨 (迎日 鄭氏), 밀양 박씨 (密陽 朴氏)
- 손자 : 이성구 (李成求, 만주국 농림국 미곡검사관)
- 손자 : 이용구 (李容求, 유한양행 근무)
5. 평가
참조
[1]
웹인용
나의 뿌리: 한산이(韓山李)씨29世 후손
https://web.archive.[...]
2016-02-16
[2]
웹인용
(24世) 한산이(韓山李)씨 23代孫 (목은18세, 牧隱17代孫)
https://web.archive.[...]
2017-02-01
[3]
웹사이트
度支衙門 主事 李命稙 임명
http://e-kyujanggak.[...]
[4]
웹사이트
경기관할 사판원에게 업무 지시
http://db.history.go[...]
[5]
서적
한국영화의 쟁점과 사유
문예마당
[6]
웹사이트
從二品 李命稙을 奎章閣直學士, 梁起澤을 韓美電氣會社檢察官에 임명하다, 일성록
http://db.history.go[...]
[7]
웹인용
성우 이명직 선생감과 노작 홍사용 – '눈물의 왕' 홍사용과 화성
https://web.archive.[...]
2015-07-29
[8]
웹인용
'눈물의 왕' 노작(露雀) 홍사용(洪思容)과 노작의 외숙부 성우(性祐) 이명직(李命稙) 선생
https://web.archive.[...]
2018-11-08
[9]
웹인용
지운 김철수선생 – 좌익 소아병을 극복한 정치인
https://web.archive.[...]
2013-01-31
[10]
웹인용
나의 고조부 이명직(李命稙) - [[한산군]] 목은 [[이색]]의 둘째아들 인재공파로 목은 이색선생의 18대손
https://web.archive.[...]
2012-11-30
[11]
웹사이트
從二品 李命稙을 奎章閣直學士, 梁起澤을 韓美電氣會社檢察官에 임명하다, 일성록
http://db.history.go[...]
[12]
웹인용
나의 증조부 이철규(李喆珪) - 한산군 목은 이색의 둘째아들 인재공파로 목은 이색선생의 19대손
https://web.archive.[...]
2012-11-30
[13]
웹인용
구한말 자료와 조선총독부 관보로 살펴본 이철규 선생의 삶
https://web.archive.[...]
2018-12-17
[14]
웹사이트
우장춘 박사가 한국에 영구 귀국한 이유
http://www.ohmynews.[...]
[15]
웹인용
일제의 신하들 -정미칠적과 고종의 마지막 신하 - 이명직.이철규 부자
https://web.archive.[...]
2016-06-30
[16]
웹인용
성우 이명직 선생의 사진 관복의 흉배를 통한 품계 고찰
https://web.archive.[...]
2018-11-04
[17]
웹인용
이명직(李命稙) 선생과 이명직(李明稙) 영감
https://web.archive.[...]
2018-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