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동은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한 안동 임청각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이다. 1895년 을미의병에 참여하고,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국권 회복 운동을 했다.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안동에서 단독 시위를 벌여 체포되었으며, 징역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출옥 후 전도와 교육에 힘썼으나 신사참배와 창씨개명을 거부하여 다시 구속되었고, 1968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상룡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이상룡 -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는 1910년대 일제강점기 서간도에 설립되어 독립군을 양성하고 항일 무장 투쟁을 지원했으며, 서로군정서의 모태가 되었고 졸업생들은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다.
  • 고성 이씨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고성 이씨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3·1 운동 관련자 - 유관순
    유관순은 3·1 운동 당시 서울과 천안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하고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을 이끌었으며, 옥중에서도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지만, 삶과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3·1 운동 관련자 - 이상재
    이상재는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교육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독립협회, YMCA, 조선일보, 신간회 등에서 활동하며 민족운동을 이끌고 청년 교육과 계몽에 헌신한 월남 이색의 후손이다.
이상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상동
한자 표기李相東
이명이용희(李龍羲)
건초(健初)
만진(晩眞)
국적대한민국
본관고성
종교기독교
출생과 사망
출생일1865년 11월 4일
출생지조선 경상도 안동부
사망일1951년 11월 29일
사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사망 원인병사
가족 관계
이승목
형제이상룡(형), 이봉희(동생)
자녀이형국(아들), 이운형(아들)
조카이광민, 이광국
외숙부권세연
친척이병화(종손), 이승화(당숙)
직업 및 활동
직업독립운동가

2. 생애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한[1] 안동 임청각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의병이 일어나자 신돌석 휘하에서 참여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대한협회(大韓協會) 안동지회에서 국권 회복 운동을 했다.[2] 1911년 기독교로 개종하고 이듬해 평양의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 들어갔다. 이후 안동으로 돌아와 교회를 세우고 장로로 재직했다.

1919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궐기를 촉구하는 격문을 작성하고 3월 13일 안동 공신상회(共信商會) 앞에서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대형 태극연을 들고 독립만세를 외쳤다.[3][4] 함께 거사를 준비하던 이들이 잡혀갔기 때문에 1인 단독 시위를 벌였고 장꾼들이 호응해 독립만세를 외쳤다. 출동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 복심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 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5]

1921년 출옥 후, 전도와 교육에 힘쓰다가 일제의 신사참배와 창씨개명을 거부해 다시 구속됐다.[2] 1968년 대통령 표창,[5]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됐다.[3][4]

2. 1. 3.1 운동 참여와 투옥

1895년 을미의병이 일어나자 신돌석 휘하에서 참여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대한협회(大韓協會) 안동지회에서 국권 회복 운동을 했다.[2] 1911년 기독교로 개종하고 이듬해 평양의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 들어갔다. 이후 안동으로 돌아와 교회를 세우고 장로로 재직했다.

1919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궐기를 촉구하는 격문을 작성하고 3월 13일 안동 공신상회(共信商會) 앞에서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대형 태극연을 들고 독립만세를 외쳤다.[3][4] 함께 거사를 준비하던 이들이 잡혀갔기 때문에 1인 단독 시위를 벌였고 장꾼들이 호응해 독립만세를 외쳤다. 출동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대구 복심법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 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5]

1921년 출옥 후, 전도와 교육에 힘쓰다가 일제의 신사참배와 창씨개명을 거부해 다시 구속됐다.[2] 1968년 대통령 표창,[5]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됐다.[3][4]

2. 2. 출옥 후 활동과 신사참배 거부

1921년 출옥 후, 이상동은 전도와 교육에 힘썼다.[2] 그는 일제의 신사참배와 창씨개명을 거부하여 다시 구속됐다.[2] 1968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5]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됐다.[3][4]

3. 가계

이상동의 조부는 이종태(李鍾泰)이며, 조모는 의성 김씨 김진화(金鎭華)의 딸이다. 부친은 이승목(李承穆)이고, 모친은 안동 권씨 권진하(權鎭夏)의 딸이다. 형님은 이상룡(李相龍)이며, 아우는 이봉희(李鳳羲)이다. 당숙은 이승화(李承和)이다.

첫 부인은 영해 신씨 신희석(申曦錫)의 딸이며, 슬하에 이형국(李衡國)과 이운형(李運衡) 두 아들을 두었다. 이형국(李衡國)의 아들은 이중화(李重華)이다. 이운형(李運衡)은 이성화(李聖華), 이경화(李景華), 이인화(李仁華), 이인숙(李仁淑), 이영화(李永華), 이덕화(李德華)를 두었다. 이인숙은 미 프린스턴신학대학원 교수이다.

두번째 부인은 전주 류씨 류주호(柳周鎬)의 딸이며, 슬하에 아들 이제형(李齊衡)과 세 딸을 두었다. 이제형(李齊衡)은 아들 이동화(李東華)를 두었다. 딸들은 각각 영해 신씨 신세창(申世昌), 안동 권씨 권용준(權龍俊), 안동 김씨 김태동(金泰東)에게 시집갔다.

3. 1. 독립운동가 가문

이상동의 조부는 이종태(李鍾泰)이며, 조모는 의성 김씨 김진화(金鎭華)의 딸이다. 부친은 이승목(李承穆)이고, 모친은 안동 권씨 권진하(權鎭夏)의 딸이다. 형님은 이상룡(李相龍)이며, 아우는 이봉희(李鳳羲)이다. 당숙은 이승화(李承和)이다.

첫 부인은 영해 신씨 신희석(申曦錫)의 딸이며, 슬하에 이형국(李衡國)과 이운형(李運衡) 두 아들을 두었다. 이형국(李衡國)의 아들은 이중화(李重華)이다. 이운형(李運衡)은 이성화(李聖華), 이경화(李景華), 이인화(李仁華), 이인숙(李仁淑), 이영화(李永華), 이덕화(李德華)를 두었다. 이인숙은 미 프린스턴신학대학원 교수이다.

두번째 부인은 전주 류씨 류주호(柳周鎬)의 딸이며, 슬하에 아들 이제형(李齊衡)과 세 딸을 두었다. 이제형(李齊衡)은 아들 이동화(李東華)를 두었다. 딸들은 각각 영해 신씨 신세창(申世昌), 안동 권씨 권용준(權龍俊), 안동 김씨 김태동(金泰東)에게 시집갔다.

3. 2. 가족 관계

조부는 이종태(李鍾泰)이고, 조모는 의성 김씨 김진화(金鎭華)의 딸이다. 부친은 이승목(李承穆)이며, 모친은 안동 권씨 권진하(權鎭夏)의 딸이다. 형님은 이상희(李象羲)이고, 아우는 이봉희(李鳳羲)이다. 당숙은 이승화(李承和)이다.

첫 부인은 영해 신씨 신희석(申曦錫)의 딸이다. 장남은 이형국(李衡國)이고, 차남은 이운형(李運衡)이다. 둘째 부인은 전주 류씨 류주호(柳周鎬)의 딸이다. 3남은 이제형(李齊衡)이다. 딸 셋은 각각 영해 신씨 신세창(申世昌), 안동 권씨 권용준(權龍俊), 안동 김씨 김태동(金泰東)에게 시집갔다.

4. 상훈

참조

[1] 뉴스 경북일보 고성 이씨 석주 이상룡 생가 임청각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
[3] 서적 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 2016
[4] 간행물 독립유공자(공훈록) 국가보훈처
[5] 웹사이트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