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봉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봉희는 안동 임청각 출신으로 을미의병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경학사 설립, 신흥학교 교장, 광복단 활동, 서로군정서 창설, 서간도 및 흑룡강성에서의 외교 및 군자금 모집, 중국공산당 가입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1937년 하얼빈에서 사망했으며, 1990년 유해가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고,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흥무관학교 - 이동녕
    이동녕은 대한제국 시기 개화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으로, 독립협회, 신민회, 서전의숙, 신흥무관학교, 《대동신문》, 한국독립당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권 회복과 독립 운동에 헌신하며 임시정부를 이끌었다.
  • 신흥무관학교 - 이시영 (1868년)
    이시영은 조선 후기 관료 출신 독립운동가로, 을사늑약 후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임시정부 요직을 역임하고 광복 후 초대 부통령을 지냈으나 이승만 정권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며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 이상룡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이상룡 -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는 1910년대 일제강점기 서간도에 설립되어 독립군을 양성하고 항일 무장 투쟁을 지원했으며, 서로군정서의 모태가 되었고 졸업생들은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다.
  • 한국의 사회주의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한국의 사회주의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이봉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족 관계
이승목
이상룡
이상동
조카이준형
이형국
이운형
외숙부권세연
종손이병화
당숙이승화
자녀이광민(아들)
이광국(아들)
소속
직업

2. 생애

3대에 걸쳐 독립유공자 9명을 배출한[1] 안동 임청각에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의병에 참여하며 항일 운동에 투신했고, 이후 국내에서 대한협회 활동 등을 통해 구국운동에 참여했다.[2][3]

1911년 만주로 망명한 뒤에는 경학사 설립 참여,[4] 신흥학교 교장 역임,[5] 광복단 및 서로군정서 활동[5] 등을 통해 서간도 지역을 중심으로 독립운동 기지 건설, 인재 양성, 군자금 모집에 헌신했다. 국내 대한광복회의 박상진을 후원하기도 했다.[2]

1925년에는 활동 무대를 흑룡강성으로 옮겨[6] 농토 개척 사업에 힘쓰는 한편,[2] 중국공산당과 연계하여 한인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을 지원하기도 했다.[4] 만주 망명 동지였던 이상룡의 임종을 지켰으며,[7] 그의 사후 유족들의 귀국을 도왔다.[8]

1937년 1월 28일 하얼빈에서 70세의 일기로 사망했다.[2] 1990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유해가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2]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5]

2. 1. 초기 활동 (1895년 ~ 1910년)

안동 임청각 출신으로, 1895년 을미의병에 참여하여 항일 투쟁에 나섰다. 1905년에는 이상룡, 박경종 등 동지들과 함께 가야산에 의병 기지를 세우려 했으나, 일본군의 기습 공격으로 인해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2][3] 1908년에는 대한협회 안동지회 설립에 참여하며 구국 운동에 힘을 보탰다.

2. 2. 만주 망명과 독립운동 (1911년 ~ 1925년)

1911년 만주로 망명하여 경학사 설립에 참여하며[4]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헌신했다. 1914년에는 신흥학교 교장을 맡아 수많은 독립운동 지도자들을 길러냈다.[5]

1915년 광복단의 단원이 되어 간도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생활 기반 안정에 힘썼으며,[5] 같은 해 국내에서 조직된 대한광복회 총사령 박상진을 후원하기도 했다.[2] 1919년에는 서로군정서 창설요원으로 활동했고,[5] 1920년에는 광복단의 서간도 지역 외교원이 되어 중국 정부와 교섭하여 농토개척권을 얻어내는 한편, 화룡현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였다.[5] 1925년에는 활동 무대를 서간도에서 흑룡강성으로 옮겼다.[6]

2. 3. 흑룡강성 활동과 사망 (1925년 ~ 1937년)

1925년 서간도에서 흑룡강성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6] 중국공산당 파견원으로 활동하며 한인 사회주의자들의 중국공산당 가입을 지원했다.[4]

1927년 2월부터 흑룡강성 탕원현`(湯源縣)` 오동하서`(梧桐河西)`에서 농토 개척 사업에 힘썼다.[2] 1932년 이상룡의 병이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하얼빈에서 찾아가 환국할 것을 설득했으나, 이상룡은 이를 거부했다.[7] 이상룡 사후에는 이준형 일가가 환국할 때 중국 내 구간을 동행하는 등 직접적인 도움을 주었다.[8]

1937년 1월 28일 하얼빈`(哈爾濱)` 취원창`(聚源昶)`에서 70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1990년 국가보훈처에 의해 이상룡, 이승화`(李承和)`, 이광민 등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다른 독립운동가들의 유해와 함께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었다.[2] 같은 해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5]

2. 4. 사후

1990년 국가보훈처에 의해 이상룡, 이승화(李承和), 이광민 등 다른 만주 지역 독립운동가들의 유해와 함께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2] 같은 해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5]

3. 가계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3. 1. 직계 가족


  • 조부 : 이종태(李鍾泰)
  • 조모 : 의성 김씨 (김진화(金鎭華)의 딸)
  • 부친 : 이승목(李承穆)
  • 모친 : 안동 권씨 (권진하(權鎭夏)의 딸)
  • 부인 : 인동 장씨 (장복길(張復吉)의 딸)
  • * 아들 : 이문형(李文衡), 일명 이광민(李光民)
  • ** 손자 : 이석화(李錫華)
  • * 아들 : 이인형(李仁衡), 일명 이광국(李光國)

3. 2. 형제 및 친척

참조

[1] 뉴스 경북일보 고성 이씨 석주 이상룡 생가 임청각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서적 서간도 독립군의 개척자 이상룡의 독립정신 2007
[4] 간행물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학술정보
[5] 간행물 국가보훈처 독립운동가(공훈록) 국가보훈처
[6]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7]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8]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9] 문서 부친의 외할아버지이자 할머니의 부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