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의 (156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은(156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사재감첨정 이우인의 아들이다. 1585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86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다. 임진왜란 때 어가를 호위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홍문관, 사헌부, 성균관 등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다. 광해군 때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인재 등용에 힘썼으나, 인조반정으로 좌천되었다. 사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 《소릉집》이 있다.

2. 생애

2. 1. 생애 초기

사재감첨정 이우인(李友仁)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상의의 증손 성호 이익과 유형원은 6촌 형제간으로 59세의 나이 차이가 났다. 이는 그가 15세에 장남 이지완(李志完)을 얻고, 40세가 넘은 나이에 일곱째 아들 이지안(李志安)을 얻었는데, 이지안의 장남 이하진 또한 63세에 아들을 얻었기 때문이다.[2] 그는 윤현(尹晛)의 딸과 결혼하여 이지선(李志宣), 이지굉(李志宏), 이지정(李志定), 이지인(李志寅), 이지유(李志裕) 등 7형제를 두었다.[2] 1585년(선조 18) 생원시에 합격하고, 158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가 승정원 주서, 성균관전적 등을 지내고 1591년 사헌부 지평이 되었다.[2]

2. 2. 임진왜란 전후

1592년 초 병조정랑이 되었다. 그해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4월말 어가의 파천이 결정되어 선조가 그해 5월 평양을 거쳐서 6월 의주로 피난갈 때 검찰사(檢察使)에 임명되어 피난가는 어가를 호위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파천한 뒤 홍문관부응교, 세자시강원 필선, 사헌부 장령, 성균관사예, 홍문관교리, 홍문관전한 등을 지냈고, 1594년 사간원사간이 되었다. 다시 세자시강원필선이 되었다가 시강원 보덕, 사헌부집의·홍문관응교 등을 거쳐 1597년 말에는 명나라에 파견되는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연경에 다녀왔다.

1597년 귀국 후 성균관사예·사간·홍문관직제학을 거쳐 1598년 정유재란의 종결을 보고, 그해 9월 통정대부(정3품 당상관)에 오르고 승정원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2. 3. 관료 생활과 교육 장려

이상의는 좌부승지, 병조참의, 사간원대사간, 형조참의, 승정원도승지, 병조참판, 홍문관부제학 등을 거쳐 1602년 이조참판이 되었다. 1603년 성천부사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고, 향교를 크게 일으켜 평안도 지역의 학구열을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하였다. 1604년 4월 임진왜란 때의 공로로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녹훈되었다. 1606년 성균관대사성·도승지 등을 지냈다. 1608년(광해군 즉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2. 4. 광해군 시절 정치 활동

1609년(광해군 1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당색에 구애받지 않고 재질에 따라 인재를 등용하여 그 공도(公道)를 칭찬받기도 하였다. 그 뒤 지중추부사, 사헌부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1611년 가을 세사 질의 책봉 주청을 위해 동궁고명면복주청사 (東宮告命冕服奏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12년임진왜란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져 공조판서가 되었고, 1613년 익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616년 보국숭록대부에 오르고 여흥부원군에 봉해졌다. 1618년 의정부좌찬성이 되고, 세자시강원이사를 겸하였다.

2. 5. 좌천과 죽음

1623년 인조반정으로 위성공신이 혁파되어 훈봉이 삭탈되고 1품계가 강등되는 동시에 지중추부사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의 자손들은 연좌되지 않았다. 글씨를 잘 썼으며 저서로는 《소릉집(少陵集)》이 있다.

2. 6. 사후

생전에 맏손녀 이씨의 결혼과 외증손 유형원을 봤다. 뒤에 선조조의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으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익헌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3. 저서

《소릉집(少陵集)》

4. 가족 관계


  • 부인 : 윤씨
  • 장인 : 윤현
  • 아들 : 이지완(李志完, 1575 ~ 1617)
  • * 손자 : 이원진(李元鎭, 1594 ~ 1665)
  • * 손녀 : 여주 이씨
  • * 손녀사위 : 유흠
  • ** 외증손 : 유형원(호는 반계)
  • 아들 : 이지안(李志安, 1601 ~ 1657)
  • * 손자 : 이하진(李夏鎭, 1628 ~ 1682)
  • ** 증손 : 이익(호는 성호)

참조

[1] 문서 이상의-이지안-이하진-이익, 이상의-이지완-이씨-유형원으로 그들은 내외종 6촌간이 된다.
[2] 실록 선조실록 1616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