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선애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1989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31회 사법시험에 수석 합격했다. 1992년부터 2004년까지 판사로 재직했으며, 2004년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2006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역임했으며, 2017년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어 2023년 퇴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헌법연구관 - 정종섭
정종섭은 법학자, 정치인, 행정가로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고 안전행정부 장관,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원장으로 활동한다. - 숭의여자고등학교 동문 - 김수미
김수미는 1970년 데뷔하여 드라마 《전원일기》의 '일용엄니' 역으로 인기를 얻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요리 실력으로도 인정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였으나, 2024년 고혈당성 쇼크로 사망했다. - 숭의여자고등학교 동문 - 배혜윤
배혜윤은 2007년 WKBL 신인선수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조한창
조한창은 현재 정보 부족으로 인해 상세한 이력, 활동, 업적 등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이선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I Seonae |
직책 | |
직책 | 헌법재판소 재판관 |
임기 시작 | 2017년 3월 |
임기 종료 | 2023년 3월 28일 |
전임 | 이정미 |
지명자 | 양승태 |
임명권자 | 황교안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67년 1월 3일 |
학력 | 서울대학교 (법학사) |
배우자 | 김현룡 |
자녀 | 2녀 |
2. 생애
이선애는 1985년 숭의여자고등학교, 1989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제31회 사법시험에 수석 합격하였다. 1992년 판사로 임용되어 12년간 근무 후, 2004년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으로 2년간 근무하였다.[5] 2006년부터 법무법인 화우에서 변호사로 근무하였고,[4] 2014년부터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였다.[5] 2017년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어 2023년 3월 28일 퇴임하였다.[6]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1985년 숭의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사법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해에 제31회 사법시험에 수석 합격하였고, 1992년 판사로 임용되어 2004년까지 12년간 근무하였다.[5]1992년부터 2004년까지 판사로 재직한 경력은 다음과 같다.
2. 2. 헌법재판소 및 변호사 경력
2004년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으로 임용되어 2년간 근무하였다.[5] 2006년부터 법무법인 화우에서 변호사로 근무하였으며,[4] 2014년부터는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5]2. 3.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 및 퇴임
2017년 양승태 대법원장에 의해 이정미 재판관의 후임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에 지명되었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임명되었다.[5] 2023년 3월 28일 재판관직에서 퇴임하였다.[6]3. 평가
이선애는 양승태 대법원장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로부터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3][5] 중도 보수 성향이라는 평가도 있다.[7]
3. 1. 긍정적 평가
양승태 대법원장은 이선애가 "재판실무와 이론에 두루 능통하고 사회 전반에 대해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으로 활동하며 우리 사회의 인권의식 향상과 사회적 약자의 인권증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하였다.[3]3. 2. 비판적 평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011년 3월 24일 채택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에서 이선애가 인권위원으로서 인권침해에 대한 전향적인 태도를 가지지 못하고 차별금지 등의 활동에 소극적이었다고 지적했다.[5]3. 3. 정치적 성향
양승태 대법원장은 이선애 후보자에 대해 "재판실무와 이론에 두루 능통하고 사회 전반에 대해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으로 활동하며 우리 사회의 인권의식 향상과 사회적 약자의 인권증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하였다.[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011년 3월 24일 채택한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에서 이선애 후보자가 "인권위원으로서 인권침해에 대한 전향적 태도를 가지지 못하고 차별금지 등의 활동에 소극적이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5] 이선애는 중도 보수 성향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7]참조
[1]
뉴스
New Constitutional Court justice takes office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3-01-08
[2]
뉴스
Liberal Constitutional Court triggers hopes, concerns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23-01-08
[3]
뉴스
이정미 헌법재판관 후임에 이선애 변호사
https://www.lawtimes[...]
법률신문
2017-05-19
[4]
뉴스
양승태 대법원장, 이정미 헌재재판관 후임에 이선애 변호사 지명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1-06
[5]
뉴스
이선애 헌법재판관 취임…헌재 '8인 체제' 복귀
https://www.hani.co.[...]
2017-05-19
[6]
뉴스
이선애 헌법재판관 퇴임…"비판·질책 달게 받겠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6-14
[7]
뉴스
이정미 재판관 후임에 중도보수 이선애 변호사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3-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