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요만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요만테는 아이누족의 의례로, '그것을 보낸다'는 의미를 지닌다. 주로 불곰을 대상으로 하며, 사육된 곰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과 사냥으로 잡은 곰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으로 구분된다. 의식에서는 곰을 신성하게 대접한 후, 곰의 영혼을 신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과정을 거친다. 홋카이도에서는 한때 이 의식이 금지되었으나, 2007년에 해제되었다. 현재는 박물관 전시, 영상 자료 등으로 이요만테를 접할 수 있으며, 대중문화에서도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와 곰 - 베르세르크
    베르세르크는 북유럽 신화와 역사 속 광전사를 지칭하며, 곰 가죽 윗옷을 입은 전사, 갑옷을 입지 않은 전사, 또는 형태가 변하는 존재 등으로 해석되고, 오딘의 신통력을 받아 격렬한 전투 상태에서 엄청난 힘을 발휘했지만 전투 후 탈진에 시달렸으며, 용감한 전사이자 잔혹한 약탈자로 묘사되다 기독교화 이후 불법화되었고, 현대 대중문화에서 폭력적인 전사 이미지로 나타난다.
  • 종교와 곰 - 페이야이세트
  • 아이누 문화 - 유카르
    유카르는 아이누족의 구전 서사시로, 인간의 이야기인 "인간의 유카르"와 신의 이야기인 "카무이 유카르"로 나뉘며 무역, 죽음, 자연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고, 아이누 문화 부흥 운동과 함께 새로운 화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 아이누 문화 - 우포포이
    우포포이는 아이누 문화 부흥과 발전을 위한 거점으로, 아이누 민족 박물관, 민족 공생 공원, 위령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아이누 문화와 역사를 전시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시라오이정의 공간이다.
  • 동물공희 - 코르반
    코르반은 셈족 어근에서 유래한 용어로, 유대교에서 하느님께 바치는 선물로서, 하느님과의 교류, 감사와 사랑의 표현, 죄의 속죄 과정에서 역할을 담당했지만, 진정한 회개와 보상이 없을 시 효력이 제한되었으며, 제2성전 파괴 이후 희생 제사는 중단되었으나 랍비 유대교는 텍스트 연구와 기도로 이를 대체하고 메시아 시대에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 동물공희 - 아슈바메다
    아슈바메다는 고대 인도 왕이 권력, 영광, 영토 확장 등을 위해 수행했던 말 희생 의식이며, 굽타 제국 시대 금화에도 나타나고 복잡한 절차를 거쳤으며 비판도 받았으나 현대에는 상징적인 의미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이요만테
의례 정보
아이누 곰 희생 - 일본 두루마리 그림, 1870년경
아이누 곰 희생 - 일본 두루마리 그림, 1870년경
홋카이도에서 열린 아이누 이요만테, 곰 영혼 보내기 의식 그림 (1875년)
홋카이도에서 열린 아이누 이요만테, 곰 영혼 보내기 의식 그림 (1875년)
명칭이오만테 (Iomante), 이요만테 (Iyomante)
의미"곰 보내기" (熊送り, kumaokuri), "곰 축제" (熊祭, kumamatsuri)
언어아이누어 (llang|ain|イヨマンテ)

2. 용어 및 해설

이요만테는 '그것을 보낸다'는 뜻으로, 카무이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을 피하기 위한 완곡한 표현이며, '카무이를 가게 한다'는 의식의 의미이다.

근대에는 주로 불곰을 대상으로 하는 이요만테가 행해졌지만, 사육한 불곰은 이요만테, 사냥으로 포획한 야생 불곰은 카무이 호프니레(kamuy hopunire)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원래는 어떤 카무이든 상관없었으며, 시마부엉이나 범고래를 대상으로 하는 이요만테도 있었다.

2. 1. 명칭의 변화

이요만테라는 말은 '이'(i, '그것을') + '오만테'(돌려보내다)로 이루어져, '그것을 보낸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그것'은 두려운 카무이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을 피한 완곡한 표현이며, 따라서 이요만테는 '카무이를 가게 한다'는 의식의 의미이다. 어두의 i와 o 사이에 소리 'y'가 삽입되어 iyomante = 이요만테라는 발음이 되는 경우도 많다.

근대에는 단순히 이요만테라고 할 경우, 불곰의 이요만테가 주가 된다. 홋카이도(에조치)에는 자연 상태에서 불곰이 서식하며, 반달가슴곰은 서식하지 않는다(블래키스톤 라인).

사육한 불곰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은 이요만테, 사냥으로 포획한 야생 불곰(키문 카무이, '산의 신')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은 카무이 호프니레(kamuy hopunire)라고 불러 구분하는 지역도 있다. 카무이 호프니레를 도토 지방 부락에서는 '산의 사냥터에서의 곰 보내기'라고 좁은 의미로 다루지만, 일반적으로는 시마부엉이 등 다른 사냥으로 얻은 동물에도 사용된다. '호프니레'는 ho '엉덩이' + puni '무엇을 들어 올리다' + re '사역 동사 어미'로 '(카무이를) 떠나게 한다'는 의미이다. 사냥으로 죽인 직후의 짐승의 카무이는 영혼(ramat)의 형태로 양쪽 귀 사이에 머물러 있다고 한다. 그래서 카무이 호프니레 의식에서는 제단을 설치하고 불곰의 머리를 모시고 술과 음식, 이나우를 바쳐 그 카무이에게 신들의 세계로 돌아가게 한다.

원래는 카무이라면 어떤(사냥 동물) 카무이든 상관없다고 추정된다. 과거 아이누혼슈에 거주했을 때 곰 보내기가 행해졌다면, 대상은 반달가슴곰이었을 것이다. 곰 이외의 구체적인 예로는, 시마부엉이(코탄코로 카무이, '집락의 수호신')의 이요만테가 일부 지역에서 중시되고 있지만, 부엉이 보내기는 카무이 호프니레라고도 칭한다. 또한 범고래(레푼 카무이, '바다의 신')를 대상으로 하는 이요만테도 있다.

3. 의식

이오만테는 아이누족의 전통 의식으로, 곰을 신(카무이)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의례이다. 아이누족은 곰을 단순한 동물이 아니라 인간 세상에 온 신으로 여겼다.

겨울이 끝날 무렵, 아이누 사냥꾼들은 동면 중인 불곰을 사냥한다. 이때 새끼 곰을 발견하면 어미 곰을 죽이고 새끼 곰을 마을로 데려와 키운다. 새끼 곰은 사람처럼 집 안에서 자라며, 젖을 먹이기도 한다. 곰이 자라면 통나무 우리로 옮기지만, 좋은 음식을 주며 정성껏 돌본다.

이러한 의식은 곰의 모습을 빌려 인간 세상에 온 카무이를 극진히 대접한 후, 신들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것을 의미한다.[6] 곰을 죽여 얻은 고기와 모피는 카무이가 인간에게 남긴 선물로 여겨진다.

곰 보내기와 유사한 의례는 사할린 주변의 니브흐족 등 유라시아 북극권 수렵 민족들에게도 널리 퍼져 있으며, 이오만테 역시 이러한 의례의 일종이다. 홋카이도에서는 1955년 홋카이도 지사의 통달로 인해 "야만적인 의식"이라며 사실상 금지되었으나, 2007년 이 통달이 철회되었다.[7]

3. 1. 의식 절차

늦겨울, 사냥꾼들은 곰 동굴로 가서 곰을 사냥한다. 갓 태어난 새끼를 발견하면 어미 곰을 죽이고 새끼를 마을로 데려와 마치 사람처럼 키운다. 심지어 젖을 먹이기도 한다.[4] 새끼 곰이 자라면 통나무로 만든 우리에 가두지만, 평생 좋은 음식을 제공하는데, 이는 새끼 곰을 신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새끼 곰이 1~2세가 되면 우리에서 꺼내 마을 중앙의 기둥에 밧줄로 묶는다. 마을 남자들은 활과 화살로 새끼 곰을 쏘는데, 여러 번 쏴야 곰이 쓰러진다. 곰이 약해지면, 한 사람이 백병전으로 목을 쏘아 확실하게 죽인다. 이후 곰의 목을 베어 피를 마시고, 가죽을 벗기고 고기는 마을 사람들에게 분배한다. 뼈만 남은 두개골은 창에 꽂아 곰 털로 감싼 "인형"으로 만들어 숭배한다.

식장에는 제사장을 사용한다. 제단은 엠시(보검), 활과 화살, 갑옷, 신토코 등으로 장식하고, 호두나 경단, 근대에는 귤을 공물로 바치며, 곰에게 술을 따라 준다. 화살로 곰을 쏘아 "놀게" 한 후, 통나무로 곰의 목을 끼워 육체와 영혼을 분리한다. 이때 한 아이누가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고, 전원이 일제히 외친다.[5]

이는 불곰의 모습을 빌려 인간 세상에 온 카무이를 일정 기간 대접한 후, 신들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의식으로 해석된다.[6] 곰을 도살하여 얻은 고기와 모피는 카무이가 두고 간 선물이며, 모두 감사하게 받는다. 지상에서 소중히 여겨진 곰의 카무이는 천계로 돌아간 후에도 다시 고기와 모피를 가지고 인간계를 방문하며, 인간계의 훌륭함을 전해 들은 다른 신들도 고기와 모피와 함께 인간계를 방문하여 마을에 풍요로운 수확을 가져다 준다고 믿는다. 곰의 재방문을 바라며 이나우와 토노토(탁주), 시토(경단)를 대량으로 바친다.

제단에 영혼과 분리된 곰의 육체를 안치하고, 술과 이나우를 바치며 정중하게 기도한다. 이 후, 신령이 깃든 곰의 두개골을 누사산(幣場)에 걸고 성대하게 이나우를 바친다.


이요만테 후의 축연. 마을 사람들은 연회와 춤을 즐긴다. 제단 앞 상석에는 장소의 지배인으로 보이는 일본인이 앉아 있다. 히라사와 병산이 1875년에 그린 아이누 그림에서

3. 2. 종교적 의미

아이누 사냥꾼들은 곰이 동면하는 늦겨울에 곰 동굴로 간다. 갓 태어난 새끼를 발견하면 어미를 죽이고 새끼를 마을로 데려와 사람 아이처럼 키운다. 심지어 젖을 먹이기도 한다. 새끼가 자라면 밖으로 데리고 나가 통나무 우리에 넣는다. 새끼 곰은 신으로 여겨지며, 곰은 평생 좋은 음식을 제공받는다.

새끼 곰이 1~2세가 되면 우리에서 꺼내 마을 중앙에 놓고 밧줄로 기둥에 묶는다. 마을 남자들은 활과 화살로 새끼 곰을 쏜다. 곰이 약해져 스스로 방어할 수 없게 되면, 한 사람이 곰에게 다가가 백병전으로 목을 쏘아 죽인다. 그 후 곰의 목을 베어 피를 마시고, 가죽을 벗기고 고기는 사람들에게 나눈다. 곰의 뼈만 남은 두개골은 창에 꽂아 곰의 털로 다시 감싼다. 이 "인형"은 숭배 대상이 된다.

의례에는 제사장을 사용한다. 제단은 엠시(보검), 활과 화살, 갑옷, 신토코 등으로 장식하고, 호두나 경단, 근대에는 귤을 공물로 바치며, 곰에게 술을 따라 준다. 화살로 곰을 쏘아 "놀게" 하고, 통나무로 곰의 목을 끼워 육체와 영혼을 분리한다. 그 때 한 명의 아이누가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고, 전원이 일제히 외친다.[5]

종교적으로는 불곰의 모습을 빌려 인간 세상에 온 카무이를 일정 기간 소중히 대접한 후, 전송의 연회를 열어 신들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것으로 해석한다.[6] 불곰을 도살하여 얻은 고기나 모피는 카무이가 두고 간 선물이며, 모두 감사하게 받는다. 지상에서 소중히 여겨진 곰의 카무이는 천계로 돌아간 후에도 다시 고기와 모피를 선물로 가지고 인간계를 방문한다. 또한 인간계의 훌륭함을 전해 들은 다른 신들도 고기와 모피와 함께 인간계를 방문한다. 이렇게 마을은 풍요로운 수확을 누린다. 곰의 재방문을 바라기 위해 이나우와 토노토(탁주), 시토(경단)를 바친다. 이오만테의 연회에서 말하는 유카라는 절정에 이르렀을 때 일부러 중단한다. 신이 뒷이야기를 듣고 싶어하고, 재방문을 노린다고 믿기 때문이다.

곰 보내기 의례는 사할린 주변의 니브흐 등 유라시아·타이가의 북극권에 가까운 내륙 수렵 민족에게 널리 존재하며, 이오만테도 그 일종이다.

4. 이요만테의 기원

이요만테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아이누 문화기에 선행하는 삿몬 문화기의 유구에서는 곰과 관련된 제사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이요만테는 오호츠크 문화(주체는 니브흐족으로 알려짐)에서 토비나이 문화를 거쳐 아이누 문화가 받아들였다는 견해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토비나이 문화를 참조하면 된다.

그 외에, 조몬 시대의 멧돼지 제사의 대상 동물이 곰으로 대체되었다는 설도 있다. 일본에서의 멧돼지 이용사도 참조하면 된다.

5. 법적 문제

홋카이도는 1955년에 지방 정부에 이요만테 폐지를 권고했지만, 2006년 10월 일본 환경성이 동물 의식이 일본 동물권법의 예외로 일반적으로 간주된다고 발표함에 따라 2007년 4월에 이 순회 통보가 폐지되었다.[2]

6. 현대의 이요만테

현대에 들어 이요만테는 동물 학대라는 비판을 받으며 점차 사라져 가는 추세이다. 현재는 홋카이도의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니부타니 아이누 문화 박물관이나 아이누 박물관 등에서 이요만테 관련 영상 및 유물들을 관람할 수 있다.

6. 1. 박물관 전시

홋카이도 니부타니에 있는 니부타니 아이누 문화 박물관, 그리고 홋카이도 시라오이정에 있는 아이누 박물관에서 이요만테 관련 영상 및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6. 2. 영상 자료


  • 홋카이도 대학 식물원 내 "북방 민족 자료실"에는 홋카이도 제국대학 시대에 기록된 곰 보내기 의례 영상이 보존되어 있다.
  • 1977년 비라토리정 니후타니에서 가야노 시게루의 지도 아래 거행된 제사 영상은 영상 민속학자 히메다 타다요시에 의해 "이요만테 곰 보내기"로 기록되어 있다.
  • 1985년 1월, 가와카미 지방에서 28년 만에 이오만테가 실시되었고, 이는 "세계 민족 음악 대계 1 북·동아시아 편"(LD 일본 빅터 발행)에 수록되었다.

7.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쇼와 24년(1949년) 고세키 유우지 작곡, 키쿠타 카즈오 작사, 이토 히사오/콜롬비아 합창단이 부른 가요곡 『이요만테의 밤』이 히트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가사와 선율은 모두 아이누의 이오만테와 거리가 멀다. "이요만테의 밤"의 선율은 아이누의 전통 음악과 관계없는 가요곡풍이다. 가사는 야간에 횃불을 피워 의례를 거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의례는 낮에 행하는 부분이 많고, 야간에 횃불을 피우지 않는다. 또한 전주에 구리 징 소리와 같은 효과음이 들어가고, 가사에는 아프리카의 북인 탐탐과 같은 의성어가 등장하지만, 아이누 음악에는 구리 징이나 손바닥으로 치는 북은 존재하지 않으며, 노래 반주는 손뼉 치기뿐이다.[1]

매년 10월 중순부터 11월 말에 걸쳐, "이오만테의 불 축제"라는 행사를 아칸호 온천에서 개최하고 있지만, 내용은 아이누 음악과 무용을 중심으로 한 연출이며, 본래의 이오만테와는 별개이다.[1]

만화 "개구쟁이 데카"에서도 주인공 코마와리 군이 개그로 선보이는 장면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Project uepeker: What does iomante mean for modern-day ainu? http://projectuepeke[...] 2010-01-11
[2] 웹사이트 イヨマンテ禁止通達を撤廃 アイヌ儀式、52年ぶり http://www.47news.jp[...] Press Net Japan Co., Ltd. 2007-04-28
[3] 웹사이트 アイヌのまつり「イオマンテ」 http://www.city.asah[...] 旭川市博物館
[4] 서적 アイヌの足跡 田邊真正堂
[5] 민화 アイヌ民話
[6] 간행물 年中行事事典 東京堂出版 1958-05-23
[7] 웹사이트 イヨマンテ禁止通達を撤廃 アイヌ儀式、52年ぶり http://www.47news.jp[...] 2012-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