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무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무이는 일본 아이누족의 신화에서 영적인 존재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일본 신화의 '가미'와 유사하지만 그 의미는 더 광범위하다. 카무이는 동물, 식물, 자연 현상, 심지어 인간의 도구까지 포함하며, 수호천사, 특정 지형, 역병을 가져오는 존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아이누 신화에서 카무이는 인간 세계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과의 소통은 '카무이 유카르'라는 구전 서사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아이누족은 카무이에게 선물과 함께 의례를 통해 그들을 하늘로 돌려보내는 '돌려보내기' 의례를 행하며, 그중 곰의 영혼을 보내는 이요만테 의례가 대표적이다. 주요 카무이로는 문화 영웅, 사냥의 여신, 부뚜막의 여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무이 - 파요카카무이
- 아이누 문화 - 유카르
유카르는 아이누족의 구전 서사시로, 인간의 이야기인 "인간의 유카르"와 신의 이야기인 "카무이 유카르"로 나뉘며 무역, 죽음, 자연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고, 아이누 문화 부흥 운동과 함께 새로운 화자들이 등장하고 있다. - 아이누 문화 - 우포포이
우포포이는 아이누 문화 부흥과 발전을 위한 거점으로, 아이누 민족 박물관, 민족 공생 공원, 위령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아이누 문화와 역사를 전시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시라오이정의 공간이다. - 정령 - 사티로스
사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반인반수의 숲의 신으로 디오니소스의 동반자이며 술과 향락을 즐기는 호색적인 존재로, 사튀로스 극에서는 합창대 역할을, 로마 신화에서는 파우누스와 동일시되며, 중세 시대에는 악마적인 존재,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 작품 소재, 현대에는 대중 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되었다. - 정령 - 간다르바
간다르바는 힌두교 신화의 신성한 음악가인 하위 신들의 계급이자 불교의 천룡팔부 중 하나인 건달바이며, 힌두교에서 압사라의 남편인 남자 자연정령으로서 음악에 능하고 신과 인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 자이나교에서는 비얀타라 데바 중 하나로 분류된다.
카무이 | |
---|---|
카무이 | |
언어 | 아이누어 |
로마자 표기 | kamuy |
일본어 표기 | カムイ |
신화적 정보 | |
종류 | 정령 또는 신 |
성별 | 다양함 |
관장 영역 | 자연 현상 동물 식물 도구 장소 |
숭배 | 아이누 민족 |
특징 | |
역할 | 인간 세계와 신성 세계 연결, 자연 질서 유지 |
속성 | 선하거나 악할 수 있으며, 인간과 상호작용함 |
상징 | 각 카무이마다 고유한 상징과 이야기가 있음 |
2. 개념
개념적으로, '''카무이'''는 일본의 ''가미''와 유사하지만, 이 번역은 용어의 미묘한 차이를 놓치고 있다.[1] 선교사 존 배첼러는 일본어 용어가 아이누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했다.[2] 이 용어의 사용은 아이누족 사이에서 매우 광범위하고 맥락적이며, 특히 긍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과 특히 강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카무이''는 동물, 식물, 날씨, 심지어 인간의 도구를 포함한 영적인 존재를 지칭할 수 있다.[3] 수호 천사는 이투렌-카무이라고 불린다.[4] ''카무이''는 수없이 많으며, 난로의 여신인 ''카무이 후치''와 같이 묘사되고 이름이 붙여진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카무이''는 종종 매우 구체적인 연관성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역조의 ''카무이''가 있다.[1] 배첼러는 이 단어를 그리스어 다이몬과 비교한다.
카무이는 많은 경우 단순히 "신"으로 번역되지만[13], "황신"으로 번역해야 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카무이코탄은 "카무이의 마을"이라는 뜻이지만, 대부분 지형상의 난소 등이며, "신의 마을"보다는 "무서운 황신이 있는 곳"으로 번역하는 것이 실제 이미지에 가깝다[14]。
아이누 신화의 의인화된 신들은 종종 그들의 이름의 일부로 ''카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카무이라는 말은 많은 경우 단순히 "신"으로 번역되지만,[13] 이러한 경우에는 "황신"으로 번역해야 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카무이코탄은 "카무이의 마을"이라는 뜻이지만, 대부분 지형상의 난소 등이며, "신의 마을"보다는 "무서운 황신이 있는 곳"으로 하는 것이 실제 이미지에 가깝다.[14]
카무이는 본래 신들의 세계인 카무이모시리[15]에 소속되어 있으며, 그 본래의 모습은 인간과 같다고 한다. 예를 들어 불의 카무이인 아페후치카무이[16]는 붉은 소매를 입은 할머니 등, 그 자체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어떤 일정한 사명을 띠고 인간의 세계인 아이누모시리에 올 때, 그 사명에 맞는 의복을 입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키문카무이[17]가 인간 세계에 올 때는 불곰의 의복(육체)을 입고 온다. 바꿔 말하면 우리가 보는 불곰은 모두 인간 세계에서의 카무이의 가짜 모습이 되는 것이다. 명칭으로는 키문카무이, 코탄코로카무이[18], 레푼카무이[19]처럼 "OO카무이" 등으로 사용된다.
또한 카무이가 가진 "고유의 능력"은 인간에게 좋은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병을 가져오는 역병신 파요카카무이 등도, 인간의 지혜로는 미치지 못하는 힘을 휘두르는 존재로서 카무이라고 불린다. 이처럼 인간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카무이는 웬카무이[20]라고 불리며, 인간에게 은혜를 가져다주는 피리카카무이[21]와 마찬가지로 두려움을 받는다.
어원에 대한 설이 있다. 에도 시대 중기의 국학자 타니가와 시세이가 저술한 국어 사전인 와쿤시(和訓栞)[22]에는, 옛날에 일본어의 "카미(신)"를 빌려온 것 같다고 쓰여 있다.[23]
3. 민속
카무이는 본래 신들의 세계인 카무이모시리에[15] 소속되어 있으며, 그 본래의 모습은 인간과 같다고 한다. 불의 카무이인 아페후치카무이[16]는 붉은 소매를 입은 할머니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카무이는 일정한 사명을 띠고 인간의 세계인 아이누모시리에 올 때, 그 사명에 맞는 의복을 입는다. 예를 들어 키문카무이[17]는 불곰의 의복(육체)을 입고 온다. 즉, 우리가 보는 불곰은 카무이가 인간 세계에 나타난 가짜 모습이다. 카무이는 키문카무이, 코탄코로카무이[18], 레푼카무이[19]처럼 "OO카무이"와 같은 명칭으로 불린다.
카무이의 "고유의 능력"은 항상 인간에게 유익한 것은 아니다. 열병을 가져오는 역병신 파요카카무이처럼 인간의 지혜로는 이해할 수 없는 힘을 휘두르는 존재도 카무이라고 불린다. 인간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카무이는 웬카무이[20]라고 불리며, 인간에게 은혜를 주는 피리카무이[21]와 마찬가지로 두려움의 대상이다.
카무이의 어원에 대한 설이 있다. 에도 시대 중기의 국학자 타니가와 시세이가 저술한 국어 사전인 와쿤시(和訓栞)[22]에는, 옛날에 일본어의 "카미(신)"를 빌려온 것 같다고 쓰여 있다[23]。
3. 1. 창세 신화
아이누 전설에 따르면 세상이 시작될 때, 흙과 물이 섞여 진흙 상태로 존재했을 뿐이었다. 구름 속의 천둥 귀신과 최초로 스스로 창조된 카무이 외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았다.[5] 최초의 카무이는 세계를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새의 영혼인 ''모시리-코르-카무이''를 보냈다.[6] 할미새는 땅이 늪지대인 것을 보고 물 위를 날아다니며 발과 꼬리로 땅을 찧었다.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마른 땅이 나타났고, 그들을 둘러싼 물 위로 떠 있는 듯 보였다. 그리하여 아이누족은 세상을 "떠다니는 땅"을 의미하는 ''모시리''라고 부른다. 할미새는 이 전설 때문에 숭배받는 새이기도 하다.[5]
3. 2. 아페-카무이
지구가 형성된 후, 최초의 카무이, 즉 천상의 영인 '칸토-코르-카무이'가 다른 '카무이'들을 지구로 보냈다. 이 '카무이' 중에는 불의 영인 '아페-카무이'('카무이 후치', '아페 후치'라고도 함)가 있었다. '아페-카무이'는 가장 중요한 영으로, '누사-코르-카무이'(의례 제단 영), '람-누사-코르-카무이'(낮은 의례 제단 영), '하시나우-코르-카무이'(사냥 영), '왓카-우스-카무이'(물의 영)를 다스렸다. 가장 중요한 '카무이'이므로, 아페-카무이의 허가나 도움이 기도와 의식에 필요하다.[6] 그녀는 인간과 다른 영 및 신 사이의 연결고리이며, 사람들의 기도를 적절한 영에게 전달한다.[7] 불의 카무이인 아페후치카무이[16]는 붉은 소매를 입은 할머니와 같이 그 자체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라고 여겨진다.
4. 구전 역사
아이누족은 고유의 문자가 없었으며, 아이누 신화의 많은 부분이 집회에서 가수가 전하는 긴 구절인 ''카무이 유카르(신성 서사시)''의 형태로 구술 역사로 전해졌다. ''카무이 유카르''는 기도와 의례와 함께 ''카무이''와 인간 사이의 중요한 소통 수단으로 여겨졌다.[7] 각 ''카무이 유카르''는 신이나 영웅의 모험을 주로 1인칭 시점으로 묘사하며, 어떤 것은 7,000구절에 달할 정도로 매우 길다.[8]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이누 문화의 다른 구술 장르에 비해 길이가 짧은 것으로 여겨진다.[9] 일부 ''유카르''는 서로 모순되어 동일한 사건을 다른 신이나 영웅에게 귀속시키는데, 이는 주로 아이누 문화가 작고 비교적 고립된 집단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10] 이 시에 대한 기록은 19세기 후반에 서양 선교사와 일본 민족지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유카르''를 암송하는 아이누 전통이 많은 부분을 보존했다.
''카무이 유카르''는 아이누 구술 공연의 가장 오래된 장르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인류학자 오누키 티어니 에미코는 20개 이상의 장르가 있다고 추정했다.[3] 원래 ''카무이 유카르''는 샤머니즘 역할을 맡은 여성들이 종교적인 목적으로만 공연한 것으로 보인다. 무당은 빙의되어 노래를 암송했는데, 이것이 ''카무이 유카르''가 1인칭 서술로 공연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카무이 유카르''는 신성한 의례의 성격이 줄어들고, 오락의 수단이자 전통과 문화 이야기를 전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카무이 유카르''는 호로베츠 전통에서는 더 이상 공연되지 않는다. 전통적인 노래에 대한 유일한 단서는 지리 유키에 (1903-1922)를 포함한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녀는 할머니가 공연했던 전통적인 노래의 단편을 기록한 호로베츠 아이누 여성이다. 그녀는 이모 이메카누로부터 역사적인 노래를 모아 ''아이누 신요슈''라는 제목의 책으로 엮었다.[3]
5. "돌려보내기" 의례
아이누는 선물과 함께 카무이를 하늘로 "돌려보내는" 의례를 가지고 있다.[6] 이러한 의례에는 곰 의식인 이요만테가 포함된다. 이 의례는 인간에게 선물을 받기 위해 인간 세계를 방문할 때 입는 변장인 ''하요프케''에서 ''카무이''를 해방시킨다는 생각에 기반한다. ''하요프케'' 속의 ''카무이''는 자신을 사냥할 사냥꾼을 선택하고, 그 대가로 동물의 살점을 준다. ''하요프케''가 깨지면 ''카무이''는 인간에게 받은 선물을 가지고 그들의 세계로 자유롭게 돌아갈 수 있다.[7]
5. 1. 이요만테
이요만테(イオマンテ|이오만테ain)는 사람들이 손님인 곰의 영혼을 하늘에 있는 집으로 "보내는" 의식이다.[7] 곰은 의식 주인의 아내가 새끼 때부터 키운다. 의식을 치를 때가 되면, 남자들은 제단(누사-산)을 위한 기도 막대(이나우), 의례용 화살, 술, 그리고 영혼을 위한 선물을 만들어 의식을 준비한다. 기도가 아페-카무이에 바쳐지고, 춤, 노래, 그리고 유카르가 공연된다.[11]의식의 주요 부분은 다음 날에 수행되며, 외부 제단 옆의 의식 공간에서 진행된다. 다양한 카무이에 기도가 바쳐지고, 곰은 목에 밧줄을 매어 우리에서 끌어낸다. 곰 주위에서 춤과 노래가 이어지고, 곰에게 음식과 기도가 주어진다. 남자들은 의례용 장식된 화살을 곰에게 쏘고, 여자들이 곰을 위해 울부짖는 가운데 의식 주인이 치명적인 화살을 쏜다. 곰은 막대기로 목 졸려 죽고, 제단으로 옮겨져 사람들은 죽은 곰에게 선물을 바치고 다시 카무이에게 기도한다. 곰은 해체되고, 머리는 안으로 가져온다. 곰의 삶은 살로 만든 요리를 먹는 잔치가 열리고, 유카르, 춤, 노래가 공연된다.[11]
의식의 셋째 날이자 마지막 날에는, 곰의 머리 가죽을 벗기고 이나우와 선물로 장식한다. 그런 다음 Y자형 막대기에 올려 동쪽 산을 향하게 한다. 의식의 이 부분은 곰을 산으로 보내는 것이다. 또 다른 잔치 후에 해골은 마을을 향하도록 돌려 카무이가 그들의 세계로 돌아감을 상징한다.[11]
아이누 신화에서, 카무이는 의식 후에 집으로 돌아가면 인간들이 준 선물로 가득 찬 집을 발견한다고 믿어진다. 더 많은 선물은 카무이 사회에서 더 많은 명성과 부를 의미하며, 카무이는 친구들을 모아 인간들의 관대함에 대해 이야기하여 다른 카무이들이 인간 세계로 가고 싶어하게 만든다. 이런 방식으로, 인간들은 카무이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고, 카무이는 그들에게 번영을 계속 가져다줄 것이다.[11]
6. 주요 카무이
카무이 | 설명 |
---|---|
아에오이네카무이 | 인간들에게 가정적 기술을 가르친 문화영웅. |
아파삼카무이 | 문턱의 카무이. |
치카프카무이 (코톤코르카무이) | 올빼미와 땅의 신. |
츄프카무이 | 태양의 여신. |
하시이나우우크카무이 (하시우크카무이) | 사냥의 여신. |
카무이후치 | 난로의 여신. |
칸다코로카무이 | 하늘의 신. |
케나시우나라베 | 사냥꾼을 잡아먹는, 피를 마시는 괴물 |
키문카무이 | 곰의 신. |
키나슈트카무이 | 뱀의 신. |
모시리카라카무이 | 지구의 창조자. |
누사코로카무이 | 신의 전령이자 저승사자 |
파우치카무이 | 광기를 일으키는 악령. |
레푼카무이 | 범고래. 바다의 신. |
시람바카무이 | 목재와 곡식과 초목의 신. |
와카우시카무이 | 민물의 여신. |
유시케프카무이 | 거미 여신. |
아에오이나 카무이 | 인간에게 가축화와 신성한 기술을 가르친 문화 영웅 |
치론눕 카무이 | 여우의 신 |
호야우 카무이 | 용의 신 |
칸나 카무이 | 천둥과 번개의 카무이 |
케나스-우나르페 | 사냥꾼을 잡아먹는 피를 마시는 괴물 |
킴-운-카무이 | 산과 곰의 신 |
코탄-카르-카무이 | 창조의 신 |
쿤네컵-카무이 | 달의 신 |
사로룬 카무이 | 늪의 신. 두루미 (Grus japonensis)의 의인화. |
7. 명칭
''카무이''는 개념적으로 일본의 ''가미''와 유사하지만, 이 번역은 용어의 미묘한 차이를 놓치고 있다.[1] 선교사 존 배첼러는 일본어 용어가 아이누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했다.[2] 이 용어는 아이누족 사이에서 매우 광범위하고 맥락적이며, 특히 긍정적이거나 강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카무이''는 동물, 식물, 날씨, 심지어 인간의 도구를 포함한 영적인 존재를 지칭할 수 있으며,[3] 수호 천사는 이투렌-카무이라고 불린다.[4] ''카무이''는 수없이 많으며, 난로의 여신인 ''카무이 후치''처럼 묘사되고 이름이 붙여진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역조의 ''카무이''처럼 매우 구체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1] 배첼러는 이 단어를 그리스어 다이몬과 비교한다.
아이누 신화의 의인화된 신들은 종종 이름에 ''카무이''를 사용한다. ''카무이''는 고유 명사, 특히 홋카이도의 지명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神居古潭|카무이코탄|'카무이의 마을'이라는 뜻일본어 또는 神威岬|카무이 미사키일본어 등이 있다. 神威|카무이일본어는 남성 이름으로도 쓰이며, "신성한 힘"을 의미하는 ''신이''와 철자가 같다.[12] 카무이는 보통 "신"으로 번역되지만,[13] "황신"으로 번역해야 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카무이코탄은 "카무이의 마을"이지만, 대부분 지형상의 난소 등이며, "신의 마을"보다는 "무서운 황신이 있는 곳"으로 번역하는 것이 실제 이미지에 가깝다.[14]
카무이는 본래 신들의 세계인 카무이모시리에[15] 소속이며, 본래 모습은 인간과 같다고 한다. 예를 들어 불의 카무이인 아페후치카무이[16]는 붉은 소매를 입은 할머니 등, 그 자체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인간 세계인 아이누모시리에 올 때는 일정한 사명에 맞는 의복을 입는데, 키문카무이[17]가 인간 세계에 올 때는 불곰의 의복(육체)을 입는 식이다. 즉, 우리가 보는 불곰은 모두 인간 세계에서의 카무이의 가짜 모습이다. 명칭은 키문카무이, 코탄코로카무이[18], 레푼카무이[19]처럼 "OO카무이" 등으로 사용된다.
카무이의 "고유한 능력"은 인간에게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열병을 가져오는 역병신 파요카카무이처럼 인간의 지혜로는 미치지 못하는 힘을 휘두르는 존재도 카무이라고 불린다. 인간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카무이는 웬카무이[20], 은혜를 가져다주는 카무이는 피리카무이[21]라고 불리며, 모두 두려움의 대상이다.
어원에 대한 설이 있다. 에도 시대 중기 국학자 타니가와 시세이가 저술한 국어 사전 와쿤시(和訓栞)[22]에는, 옛날에 일본어 "카미(신)"를 빌려온 것 같다고 쓰여 있다.[23]
8. 별 이름
참조
[1]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ABC-Clio
2003
[2]
서적
The Ainu and Their Folk-Lore
London
1901
[3]
서적
Ainu spirits singing : the living world of Chiri Yukie's Ainu shinʼyōshū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
[4]
서적
The Ainu and Their Folk-Lore
[5]
간행물
Items of Ainu Folk-Lore
1894
[6]
간행물
The 'Sending-Back' Rite in Ainu Culture
1992
[7]
서적
Songs of gods, songs of hum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8]
서적
Ainu Folklore: Traditions and Culture of the Vanishing Aborigines of Japan
Wilcox and Follett
1949
[9]
간행물
The Most Revered of Foxes: Knowledge of Animals and Animal Power in an Ainu Kamui Yukar
2009
[10]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ABC-Clio
2003
[11]
간행물
Bearing the 'Bare Facts' of Ritual. A Critique Of Jonathan Z. Smith's Study of the Bear Ceremony Based On a Study of the Ainu Iyomante
1999-01-01
[12]
서적
研究社新和英大辞典
Kenkyūsha
[13]
웹사이트
日本の竜の神 カムイサウルス・ジャポニクス(通称 むかわ竜(むかわ町穂別産))/むかわ町
http://www.town.muka[...]
北海道 むかわ町公式ウェブサイト
2021-04-27
[14]
웹사이트
「アイヌ語学」
https://www.aozora.g[...]
青空文庫
[15]
문서
kamuy mosir
[16]
문서
ape huci kamuy
[17]
문서
kim un kamuy
[18]
문서
kotan kor kamuy
[19]
문서
rep un kamuy
[20]
문서
wen kamuy
[21]
문서
pirka kamuy
[22]
웹사이트
和訓栞. 前編 1-28 / 谷川士清 纂
https://www.wul.wase[...]
2019-11-02
[23]
웹사이트
カムイ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2019-11-02
[24]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ABC-Clio
2003
[25]
서적
Ainu Folklore: Traditions and Culture of the Vanishing Aborigines of Japan
Wilcox and Follett
1949
[26]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ABC-Clio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