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 (196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1962년)은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손자이자 의친왕의 손자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황실 종친이다. 1962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뉴욕공과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다. 현대홈쇼핑에서 근무했으며, 2005년 이구의 사망 이후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결정에 따라 제30대 당주가 되었다. 현재 사단법인 대한황실문화원 총재를 맡고 있으며, 대한제국 황실 유물 반환 운동을 펼치고 있다. 2017년에는 대한제국 선포식 재현 행사에서 고종 황제 역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왕위 요구자 - 이구 (1931년)
이구는 1931년 이왕 이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결혼했으나 사업 실패 후 일본에서 생활했으며, 1996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를 지내다 2005년 사망했다. - 한국의 왕위 요구자 - 이해원 (1919년)
이해원은 대한제국 의친왕 이강의 딸로, 2006년 대한제국황족회에 의해 ‘문화대한제국 여제’로 추대되었으나 정부와 다른 황실 관련 단체의 반발을 겪었고, 복잡한 가족사와 함께 2020년 사망 후 대한제국황족회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 뉴욕 공과대학교 동문 - 김윤호 (군인)
김윤호는 대한민국 육군 장성으로 육군사관학교 10기 출신이며, 제18대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하고 예편 후에는 한국석탄공사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을 역임했다. - 뉴욕 공과대학교 동문 - 조지 (음악가)
조지는 일본 오사카 출신의 일본계 호주인 싱어송라이터로, 2017년부터 조지라는 예명으로 트립합, 로파이 음악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여러 앨범을 발매했다. - 상문고등학교 동문 - 조한창
조한창은 현재 정보 부족으로 인해 상세한 이력, 활동, 업적 등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 상문고등학교 동문 - 슈카월드
슈카월드는 333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출신이자 연세대학교 금융공학 석사인 슈카가 경제 및 시사 분야 콘텐츠를 제작하며,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다.
이원 (1962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원 |
로마자 표기 | I Won |
한글 표기 | 이원 |
한자 표기 | 李源 |
출생일 | 1962년 9월 23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
아버지 | 이갑 |
어머니 | 이경숙 |
배우자 | 조등학 |
자녀 | 이권 이영 |
왕위 계승 | |
직위 | 이씨 가문 수장 |
즉위 기간 | 2005년 7월 16일 – 현재 |
이전 수장 | 이구 |
추가 정보 | |
군 복무 | 대한민국 육군 일등병 소집 해제 (1982년) |
직함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황사손, 대한황실문화원 총재 황태손 |
웹사이트 |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사)대한황실문화원 |
2. 생애
이원(1962년)은 대한제국 고종의 둘째 아들 의친왕의 9남 이갑의 장남으로 1962년 9월 23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서 태어났다. 1981년 상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공과대학교(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다. 미국 케이블사 홈박스오피스(HBO)에서 프로듀서로 근무하다 1995년 귀국, 금강기획과 현대방송에서 프로듀서로 재직하였다. 2001년 현대홈쇼핑에 입사하여 2005년 디지털 방송본부장으로 퇴직하였다.
2005년 황세손 이구가 사망하자 그의 사후 양자로 입적되어 영친왕계의 종손이 되었다. 전주 이씨대동종약원 황사손으로 환구단대제, 종묘대제, 사직단대제, 조경단대제, 건원릉대제 등 5대 제향(祭享)과 왕릉 제향의 제주(祭主)를 맡고 있다. 2008년 1월부터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황사손을 맡고 있으며, 2009년 9월 세계델픽위원회(IDC) 고문을 역임하였고, 현재 사단법인 대한황실문화원 총재이다.
이원은 일본에 있는 대한제국 황실 유물의 반환을 주장하였다.[1]
2. 1. 가계와 출생
1962년 9월 23일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둘째 아들인 의친왕의 9남 이갑의 장남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서 태어났다. 출생 당시 이름은 "상협"이었다. 1981년 상문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이듬해 아버지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공과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다. 그는 아내와 사이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 이권은 1998년생, 차남 이영은 1999년생이다.2. 2. 학력 및 경력
학력 | |
---|---|
경력 |
2. 3. 황사손 추대
2005년 7월 16일 이구의 사후,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은 이원을 차기 한국황실의 수장으로 임명했으며, 황사손(皇嗣孫)의 지위를 계승했다.[3] 같은 해 7월 22일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은 이원의 이구 후계자 지위를 확정하였다.[4]이러한 추대에 대해 이복 숙모인 이해원이 일부 친족들에 의해 "대한제국 황후"로 추대되면서 반박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원은 매년 종묘제례 의식에서 왕실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자리에 서도록 요청받고 있다.
입양의 정당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이원의 입양에 대한 동의가 이구의 이복 동생인 이석과 2020년 사망할 때까지 황실의 장녀였던 이해원을 포함한 황실 구성원들로부터 얻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구는 입양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사망했으며, 2004년부터 현행 한국법에 따르면 전통적인 사후 입양은 더 이상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5]
2. 4. 황사손으로서의 활동
1981년 상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아버지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공과대학교(New York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미국 케이블사 홈박스오피스(HBO) 프로듀서를 거쳐 1995년 귀국해 금강기획 제작 업무 및 현대방송 프로듀서로 근무하였으며, 2001년 현대홈쇼핑에 입사하여 2005년 디지털 방송본부장으로 퇴직하였다. 2005년 황세손 이구가 사망하여 그의 사후양자로 입적, 영친왕계의 종손이 되어 전주 이씨대동종약원 황사손으로 5대 제향의 제주(祭主)로서 환구단대제, 종묘대제, 사직단대제, 조경단대제, 건원릉대제 등과 왕릉제향을 주재(主宰)한다. 2008년 1월부터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황사손을 맡고 있고, 2009년 9월 세계델픽위원회(IDC : International Delphic Council) 고문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사단법인 대한황실문화원 총재를 맡고 있다.이원은 일본에 있는 대한제국 황실 유물의 반환을 주장했다. 2013년 2월 5일 일본 도쿄 우에노의 도쿄 국립박물관에 소장 중인 고종 황제의 투구와 갑옷, 익선관을 특별 열람하고, "황실의 유물들이 어떤 과정으로 유출돼 일본에까지 오게 됐는지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며, "국가의 상징 유물은 해당 국가로 돌아가도록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1]
2. 5. 일본 소재 황실 유물 반환 노력
이원은 일본에 있는 대한제국 황실 유물의 반환을 주장했다. 2013년 2월 5일 일본 도쿄 우에노의 도쿄 국립박물관에 소장 중인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투구와 갑옷, 익선관을 특별 열람하고, "황실의 유물들이 어떤 과정으로 유출돼 일본에까지 오게 됐는지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며, "국가의 상징 유물은 해당 국가로 돌아가도록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1]3. 황사손 추대 논란
이구 사후,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은 이원을 차기 한국황실의 수장으로 임명했으며, 이에 따라 그는 이구로부터 황손(皇孫)의 지위를 계승했다. 2005년 7월 22일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 의해 이원의 이구 후계자 지위는 확정되었다.[4]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환의 회장에 따르면, 7월 10일 이구와의 마지막 만남에서 이원이 그의 상속자가 되는 것을 허락받았고, 이구는 이를 승인하는 서명을 했다고 한다.[3]
이러한 주장은 이복숙모인 이해원이 일부 친족들에 의해 "대한제국 황후"로 추대되면서 반박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매년 종묘제례 의식에서 그의 왕실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군주 자리에 서도록 요청받고 있다.
입양의 정당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이원의 입양에 대한 동의가 갑(甲) 왕자의 이복 동생인 이석과 2020년 사망할 때까지 황실의 장녀였던 이해원을 포함한 황실 구성원들로부터 얻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구는 입양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사망했으며, 따라서 2004년부터 현행 한국법에 따르면 전통적인 사후 입양은 더 이상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5]
4. 가계
이원은 전 의왕 이강의 아홉 번째 아들인 이갑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2005년 7월, 종가 당주였던 이구가 사망하자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결정에 따라 제30대 당주가 되었다.[7]
이원의 이씨 종가 제30대 당주 계승에 대한 지지 및 반대 파는 다음과 같다.
이원의 친척, 가족, 조상에 대한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4. 1. 부계 혈통
# 이한(李翰), 754년 사망?# 이재연(李載淵)
# 이천상(李天祥)
# 이광휘(李光輝)
# 이입전(李立全)
# 이긍휴(李肯休)
# 이염순(李廉純)
# 이승삭(李承乭)
# 이중경(李重慶)
# 이경영(李景榮)
# 이중민(李重敏)
# 이화(李華)
# 이진유(李震裕)
# 이궁진(李宮振)
# 이용부(李容溥)
# 이린(李麟)
# 이양무(李陽茂), 1231년 사망
# 이안사(李安佐), 1274년 사망
# 이행니(李行尼)
# 이춘(李椿), 1342년 사망
# 이자춘(李子春), 1315년–1361년
# 조선 태조(朝鮮太祖), 1335년–1408년
# 조선 태종(朝鮮太宗), 1367년–1422년
# 세종대왕, 1397년–1450년
# 조선 세조(朝鮮世祖), 1417년–1468년
# 의경세자(懿敬世子), 1438년–1457년
# 조선 성종(朝鮮成宗), 1457년–1495년
# 조선 중종(朝鮮中宗), 1488년–1544년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1559년
# 조선 선조(朝鮮宣祖), 1552년–1608년
# 정원군(定遠君), 1580년–1619년
# 조선 인조(朝鮮仁祖), 1595년–1649년
# 인평대군(麟坪大君), 1622년–1658년
# 복녕군(福寧君), 1639년–1670년
# 이혁(李爀), 의원군(義原君), 1661년–1722년
# 이숙(李淑), 안흥군(安興君), 1693년–1768년
# 이진익(李震翼), 1728년–1796년
# 이병원(李秉源), 1752년–1822년
# 이구(李球), 남연군(南延君), 1788년–1836년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1898년
# 대한제국 고종(大韓帝國 高宗), 1852년–1919년
# 이강(李堈), 1877년–1955년
# 이갑(李鉀), 1938년–2014년
# 이원, 1962년 출생
4. 2. 가계도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investkor[...]
[2]
웹사이트
역대 총재
http://www.rfo.co.kr[...]
2020-06-18
[3]
뉴스
끊어진 조선황실 후계 40대 회사원이 잇는다
https://m.chosun.com[...]
2005-07-21
[4]
뉴스
황실 후손 생활 담은 다큐 만들고파
https://m.chosun.com[...]
The Chosun Ilbo
2005-08-18
[5]
웹사이트
Coronation of Korea's new empress leads to royal family controversy
http://koreajoongang[...]
2006-10-22
[6]
서적
朝鮮王公族 ―帝国日本の準皇族
中公新書
2015-03-00
[7]
일반
[8]
뉴스
大韓帝国宣布式の全過程を初めて再現
https://japanese.joi[...]
2017-10-15
[9]
뉴스
'대한제국 선포' 재현행사
https://news.joins.c[...]
2017-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