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대동종약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은 전주 이씨 종친들의 권익 보호와 종족 간의 유대 강화를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순종의 칙령에 따라 결성되었으며, 1955년 창립 기념식을 거행하고 1957년 법인으로 등록되었다. 서울 종로구 이화회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일본 등지에 국제 지부를 운영하고 있다. 종약원 조직은 회장, 부회장, 감사, 평의원 등으로 구성되며, 장학 사업, 학술 활동, 조상 숭배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단체 - 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협회는 196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자 단체로, 언론 자유 수호, 기자 자질 향상, 기자 권익 옹호, 국제 교류 강화, 민족 동질성 회복을 5대 강령으로 하며, 언론 자유 신장 캠페인, 기자 권익 향상, '기자협회보' 발행, 이달의 기자상 및 한국기자상 시상, 기자수첩 배포 등의 활동을 펼치고 국제기자연맹(IFJ) 정회원으로서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 - 대한민국의 단체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시·도 간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지역 사회의 균형 발전을 목표로 1999년 설립 의결, 2005년 사무처 개소, 201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기관이다. - 전주 이씨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전주 이씨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
---|---|
기본 정보 | |
유형 | 가족 협회 |
설립일 | 1957년 4월 3일 |
위치 | 서울, 대한민국 |
설립자 | 알 수 없음 |
해산일 | 알 수 없음 |
소유주 | 알 수 없음 |
주요 인물 | 이원 (총재) |
직원 수 | 알 수 없음 |
자회사 | 알 수 없음 |
비영리 슬로건 | 알 수 없음 |
홈페이지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회원 수 | 알 수 없음 |
자원 봉사자 수 | 알 수 없음 |
![]() |
2. 역사
전주 이씨 관련 조직의 역사는 조선 건국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 태조 때 왕실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가 설치되었고,[2] 조선 태종 때에는 종부시가 설치되어 왕족 관련 사무를 관장했다.[3][4] 종부시는 수 세기 동안 존속하다 대한제국 시기인 1907년에 폐지되었다.[5]
일제 강점기 이후 대한민국 시대에 이르러, 순종 황제의 뜻에 따라 종친 간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1955년 전주 이씨 종친회 회원들이 모여 창립 기념식을 가졌고,[6] 1957년 현재의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정식 법인으로 등록되었다. 종약원의 본부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며,[7][8] 북아메리카와 일본 등 해외에도 지부를 두고 활동하고 있다.[9]
2. 1. 조선 왕조
1392년 조선 태조가 즉위하면서 왕실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를 설치했다.[2] 이 정책은 그의 아들 조선 태종에 의해 이어져 1401년 "종부시"가 설치되었다.[3][4] 이 기구는 수 세기 동안 존재했으며, 고종 재위 기간인 1864년에 개혁이 이루어졌다.[5] 1907년 결국 폐지되었다.2. 2. 대한제국 시기
조선 왕실의 종친 관련 사무를 관장하던 종부시는 고종 재위 중인 1864년 한 차례 개혁을 거쳤다.[5] 하지만 국권이 피탈되어 가던 대한제국 시기인 1907년에 이르러 결국 폐지되고 말았다.2. 3. 대한민국 시기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전 황제 순종은 왕족 후손들이 종친 간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사적 단체를 결성하는 것을 허가하는 칙령을 내렸다. 이 단체는 순종으로부터 숭조돈종(崇祖惇宗, "조상을 숭배하고 종족과 화합하라")이라는 순종의 한문 서예 글씨가 새겨진 현판을 포함한 유물을 수집했지만, 이 현판은 한국 전쟁 중에 분실되었다.1955년 11월 27일, 전주 이씨 종친회 회원들은 서울 휘문중학교 강당에서 창립 기념식을 거행했으며,[6] 이 단체는 1957년 4월 3일에 법인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이 협회의 본부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이화회관에 있으며,[7] 이곳은 창덕궁 정문으로 이어지는 거리에 있다.[8]
국내 사무소 외에도, 이 협회는 북아메리카에 7개, 일본에 1개 등 여러 국제 지부를 두고 있다.[9]
3. 조직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은 전주 이씨 가문을 대표하는 중앙 종친회 조직이다.[10] 종약원은 회장을 중심으로 임원진을 구성하고 있으며, 장학금 지급, 학술 및 예술 활동 지원, 조상 숭배 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하위 기구를 두고 있다.[10] 또한, 국내외에 지부를 설치하여 광범위한 조직망을 갖추고 종친들을 관리하고 지원한다.[10]
3. 1. 구성
1995년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약 280만 명의 전주 이씨가 거주하며, 이는 77만 이상의 가구를 구성한다. 이 중 서울에는 약 23만 가구가 살고 있다. 전국적으로 전주 이씨 가구의 44%(약 33만 가구)가 종친회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 등록되어 있으며, 서울에서는 39%(약 9만 가구)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0]종약원의 조직은 회장을 중심으로 부회장, 감사, 평의원으로 구성된다. 이들 임원은 정치나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저명한 가문 구성원인 경우가 많다. 종약원 산하에는 가문 구성원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가 있는데, 장학금을 지급하는 기구, 학술 및 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위원회, 그리고 조상 숭배 활동을 전담하는 기구 등이 포함된다. 가문 구성원은 다양한 계보에 따라 83개의 회원 그룹으로 나뉘며,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15개의 하위 협회와 225개의 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지부는 더 세분화된 지역 단위인 면, 읍, 동에도 설치되어 있다. 해외에는 일본(관동 및 관서 지부)과 미국(시카고 및 로스앤젤레스 지부 포함)에 지부를 두고 있다.[10]
지역 | 지부 수 |
---|---|
서울 | 22 |
부산 | 12 |
대구 | 7 |
인천 | 6 |
대전 | 5 |
경기도 | 29 |
강원도 | 18 |
충청북도 | 12 |
충청남도 | 16 |
전라북도 | 18 |
전라남도 | 25 |
경상북도 | 23 |
경상남도 | 25 |
제주특별자치도 | 3 |
일본 | 2 |
미국 | 2 |
총계 | 225 |
3. 2. 회원
1995년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약 280만 명의 전주 이씨가 거주하며, 이는 77만 가구 이상에 해당한다. 이 중 23만 가구가 서울에 거주했다. 전국적으로 전주 이씨 가문의 44%(약 33만 가구)가 종친회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 등록했으며, 서울에서는 39%(약 9만 가구)가 등록 회원으로 파악되었다.[10]종약원에는 회장을 중심으로 부회장, 감사, 평의원 등의 임원 조직이 있으며, 이들은 정치나 경제계의 저명인사인 경우가 많다. 또한 종약원 내에는 장학 사업 기구, 학술 및 예술 위원회, 제향(제사) 관련 기구 등 다양한 하위 조직을 두어 종친들을 지원하고 있다. 종친들은 계보에 따라 83개의 파로 나뉘며, 거주지를 기준으로 15개의 지원(支院)과 225개의 분원(分院)이 설치되어 있다. 분원은 더 세분화된 행정 단위인 면, 읍, 동 단위까지 조직되어 있다. 해외에는 일본(관동 및 관서 분원)과 미국(시카고 및 로스앤젤레스 분원 포함)에 분원을 두고 있다.[10]
지역 | 분원 수 |
---|---|
서울 | 22 |
부산 | 12 |
대구 | 7 |
인천 | 6 |
대전 | 5 |
경기도 | 29 |
강원도 | 18 |
충청북도 | 12 |
충청남도 | 16 |
전라북도 | 18 |
전라남도 | 25 |
경상북도 | 23 |
경상남도 | 25 |
제주특별자치도 | 3 |
일본 | 2 |
미국 | 2 |
총계 | 225 |
3. 3. 지부 현황 (1995년)
1995년 통계에 따르면,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은 거주지를 기준으로 15개의 하위 협회와 225개의 지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지부는 더 세분화된 지역 구분을 위해 면, 읍, 동과 같은 작은 행정 단위에도 설치되어 있었다.[10]해외에도 지부가 설치되었는데, 일본에는 관동 및 관서 지부가 있었고, 미국에는 시카고 및 로스앤젤레스 지부 등을 포함한 지부가 있었다.[10]
아래는 1995년 기준 지역별 지부 수 통계이다.[10]
4. 주요 활동
1995년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280만 명의 전주 이씨가 있었으며, 이는 77만 가구 이상의 이씨 가문을 구성했다. 이 중 23만 가구가 서울에 거주했다. 전국적으로 이씨 종친회인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등록 회원인 가문은 44%(33만 가구)였으며, 서울에서는 39%(9만 가구)가 등록되어 있었다.[10]
종약원은 회장을 중심으로 부회장, 감사, 평의원을 두고 운영된다. 이들 임원은 종종 정치 및 경제계의 저명한 가문 구성원 중에서 선출된다. 종약원 산하에는 다양한 활동을 위한 하위 조직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가문 구성원을 지원하기 위한 장학금 기구, 학술 및 예술 활동을 장려하는 위원회, 그리고 조상 숭배 활동을 전담하는 기구 등이 있다.[10]
조직 운영은 가문 구성원 간의 다양한 계보를 바탕으로 83개의 회원 그룹으로 나뉘며, 거주지를 기준으로 15개의 하위 협회와 225개의 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지부는 더 세분화된 지역 단위인 면, 읍, 동까지 설치되어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해외에도 지부를 두어 일본(관동 및 관서 지부)과 미국(시카고 및 로스앤젤레스 지부 포함)에서 활동하고 있다.[10]
아래는 1995년 기준 종약원의 국내외 지부 현황이다.[10]
지역 | 지부 수 |
---|---|
서울 | 22 |
부산 | 12 |
대구 | 7 |
인천 | 6 |
대전 | 5 |
경기도 | 29 |
강원도 | 18 |
충청북도 | 12 |
충청남도 | 16 |
전라북도 | 18 |
전라남도 | 25 |
경상북도 | 23 |
경상남도 | 25 |
제주특별자치도 | 3 |
일본 | 2 |
미국 | 2 |
총계 | 225 |
5. 역대 총재 및 회장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역대 수장은 상징적인 명예직인 총재와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회장으로 나뉜다. 초대 총재는 1910년 추대된 의친왕 이강이다.[11] 이후 역대 총재 및 회장의 상세한 명단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역대 총재 (대한제국 황실 상징적 명예 수장)
순번 | 사진 | 직함 | 이름 | 재임 기간 | 출생 및 사망 | 비고 | ||||||||||||||||||||||||||||||||||||||||||||||||||||||||||||||||||||||||||||||||||||||||||||||||||||||||
---|---|---|---|---|---|---|---|---|---|---|---|---|---|---|---|---|---|---|---|---|---|---|---|---|---|---|---|---|---|---|---|---|---|---|---|---|---|---|---|---|---|---|---|---|---|---|---|---|---|---|---|---|---|---|---|---|---|---|---|---|---|---|---|---|---|---|---|---|---|---|---|---|---|---|---|---|---|---|---|---|---|---|---|---|---|---|---|---|---|---|---|---|---|---|---|---|---|---|---|---|---|---|---|---|---|---|---|---|---|---|
1 | ![]() | 의친왕 {{lang|zh|義親王|} | }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회장[16] | ||||||
---|---|---|---|---|---|---|
rowspan="2" width="5%" | | 이름 | 재임 기간 | 분파 | 출생 및 사망 | 참고 | |
한국어 | 영어 | |||||
1 | 이범승 李範昇 | Lee Beom-seung | 1955년 11월 7일 – 1958년 2월 9일 | 광평대군파 17대손 | 1887–1976 | [17][18] |
2 | 리기붕 李起鵬 | 이기붕 | 1958년 2월 10일 – 1959년 4월 3일 | 효령대군파 17대손 | 1896–1960 | |
3 | 이세정 李世楨 | Yi Se-jeong | 1962년 12월 25일 – 1970년 3월 4일 | 익양군파 15대손 | 1895–1972 | [19][20] |
4 | ||||||
5 | ||||||
6 | 이건웅 李建雄 | Yi Geon-ung | 1970년 3월 20일 – 1970년 9월 20일 (직무대행) | 덕천군파 15대손 | 1941년 출생 | [21] |
7 | 이수길 李壽吉 | Yi Su-gil | 1971년 2월 12일 – 1974년 5월 12일 | 인평대군파 10대손 | 1917–1982 | |
8 | 이봉우 李鳳宇 | Yi Bong-u | 1975년 4월 15일 - 1977년 5월 12일 | 효령대군파 15대손 | ||
9 | 이재형 李載灐 | Lee Choi-hyung | 1977년 5월 13일 – 1992년 1월 30일 | 인성군파 10대손 | 1914–1992 | [22][23] |
10 | ||||||
11 | ||||||
12 | ||||||
13 | 이범준 李範俊 | Rhee Bomb-june | 1992년 2월 1일 – 1996년 9월 20일 | 광평대군파 17대손 | 1928–2007 | [24][25] |
14 | ||||||
15 | 이환의 李桓儀 | Lee Hwan-ey | 1996년 9월 31일 – 2012년 1월 3일 | 효령대군파 16대손 | 1931년 출생 | [26][27]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이태섭 李台燮 | Lee Tae-sup | 2012년 1월 4일 – 2019년 12월 17일 | 덕양군파 14대손 | 1939년 출생 | [28][29] |
22 | ||||||
23 | ||||||
24 | ||||||
25 | 이귀남 李貴男 | Lee Gwi-nam | 2019년 12월 18일 – 현재 | 회산군파 17대손 | 1951년 출생 | [30][31] |
26 |
참조
[1]
웹사이트
Jeonju Lee Royal Family Association
https://jeonjulee.im[...]
[2]
웹사이트
문무 백관의 관제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The King orders that some items of Gyeseong Hall be buried after its royal portrait in the hall is transferred
http://esillok.histo[...]
2020-06-19
[4]
웹사이트
관제 개편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대신들이 종친부의 격상에 따른 관직 제도의 변경 등을 아뢰다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창립 및 연혁
http://www.rfo.co.kr[...]
2020-06-18
[7]
웹사이트
JeonjuLee Royal Family Association
https://jeonjulee.im[...]
[8]
웹사이트
전주이씨대동종약원삼십년사
https://www.familyse[...]
전주이씨대동종약원
2020-06-18
[9]
웹사이트
Organizations of Jeonju Lee Royal Family Association
http://kms246.bizwon[...]
2020-06-19
[10]
논문
한국의 도시における同姓組織の全体構造 - ソウル市の「全州李氏大同宗約院」を事例にして
https://www.jstage.j[...]
2020-07-23
[11]
웹사이트
역대 총재
http://www.rfo.co.kr[...]
2020-06-18
[12]
웹사이트
왕자인 강에게 의화군의 작위를 봉하다
http://sillok.histor[...]
[13]
웹사이트
대일본 천황이 조서를 내리다
http://sillok.histor[...]
[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elaw.klri.re[...]
Korean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18-08-27
[15]
문서
Article 11, Section 2: "No privileged caste shall be recognized or ever established in any form."
[16]
웹사이트
역대 이사장
http://www.rfo.co.kr[...]
2020-06-18
[17]
서적
도서관인물 평전
2013-02-28
[18]
웹사이트
아방가르드미술연구소
https://www.gokams.o[...]
2020-06-20
[19]
웹사이트
이세정(李世楨, 1895~1972)
https://web.archive.[...]
2020-06-18
[20]
웹사이트
전주이씨(全州李氏)
http://www.jokbo.re.[...]
[21]
뉴스
사직대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
https://news.joins.c[...]
2020-06-18
[22]
웹사이트
운경 이재형
https://web.archive.[...]
2020-06-18
[23]
웹사이트
이재형 (李載灐 / LEE,CHOI-HYUNG)
https://people.joins[...]
2020-06-20
[24]
웹사이트
공훈록보기
http://dnc.go.kr/_pr[...]
2020-06-18
[25]
웹사이트
이범준 (李範俊 / RHEE,BOMB-JUNE)
https://people.joins[...]
2020-06-20
[26]
웹사이트
이환의
http://cdb.chosun.co[...]
2020-06-18
[27]
웹사이트
이환의 (李桓儀 / LEE,HWAN-EY)
https://people.joins[...]
[28]
웹사이트
이태섭
https://people.joins[...]
2020-06-18
[29]
웹사이트
이태섭 (李台燮 / LEE,TAE-SUP)
https://people.joins[...]
2020-06-20
[30]
웹사이트
이귀남
https://people.joins[...]
2020-06-18
[31]
뉴스
이귀남 향우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이사장 추대
http://www.jhtoday.n[...]
2020-06-18
[32]
간행물
전주이씨족보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