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준구 (무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준구는 1932년 일제강점기 아산에서 태어난 무술가로, 1956년 미국으로 건너가 태권도를 보급했다. 1960년대 이소룡과 교류하며 무술 기술을 공유했고, 무하마드 알리에게 압큐펀치를 시연하며 그의 수석 코치를 맡기도 했다. 1962년 워싱턴 D.C.에 도장을 열고 11개로 확장했으며, 영화 제작 및 출연, 태권도 명예의 전당 헌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00년 미국 내 가장 인정받는 이민자로 선정되었으며, 201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술 유파 창시자 - 오가와 나오야
    오가와 나오야는 유도, 프로레슬링,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하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최연소 우승, 올림픽 은메달 획득, 전일본 유도 선수권 7회 우승 등의 뛰어난 경력을 가진 일본의 스포츠 선수이다.
  • 무술 유파 창시자 - 안토니오 이노키
    안토니오 이노키는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프로레슬러이자 정치인, 격투기 프로모터로, 역도산의 제자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고 무하마드 알리와의 격투기 이벤트, 스포츠 평화당 창당 및 참의원 당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프로레슬링계에 큰 공헌을 남겼다.
  • 대한민국의 남자 태권도 선수 - 문대성
    문대성은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국회의원, IOC 선수위원을 역임했으나 논문 표절 논란으로 국회의원직과 IOC 위원직에서 직무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태권도 선수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 아산시 출신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아산시 출신 - 방열 (농구인)
    방열은 대한민국 농구인으로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활동했으며, 1962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과 1964년 도쿄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출전하고, 조흥은행 여자농구단, 쿠웨이트 농구 국가대표팀, 현대 남자 농구단 등을 지도했으며, 남자실업농구연맹 부회장, 대한농구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준구 (무도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이준구
로마자 표기Yi Jun-gu
한글이준구
한자李俊九
출생일1932년 1월 7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아산군 (현재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
사망일2018년 4월 30일
사망지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군
국적대한민국 → 미국
신장165cm
체중64kg
웹사이트Jhoon Rhee 공식 웹사이트
무술 정보
무술태권도
가라데
쿵푸
스타일태권도, Jhoon-Rhee-style (창시자)
태권도 (ITF-Style), 당수도 (Chung Do Kwan), Jun Fan Gung Fu
사범남태희, 브루스 리
태권도 10단 (사후 추서)
제자앨런 R. 스틴, 로드니 바티스테, 마리나 김, 존 정, 브루스 리

2. 생애

이준구는 1932년 1월 7일 일제강점기 아산에서 태어났다.[9] 13세에 아버지 몰래 무술 훈련을 시작했고,[10] 남태희에게 무술을 배워 청도관을 졸업했다.[11]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1956년 사우스웨스트 텍사스 주립 칼리지에 입학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으며,[12] 이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공학 학위를 받았다.[12]

1956년 텍사스에서 공부하면서 팻 벌레슨에게 미국 최초의 흑띠를 수여했고, 미국에서 훈련받은 첫 제자는 앨런 스틴이었다. 이 둘은 사우스웨스트 블랙 벨트 협회(나중에 아메리칸 블랙 벨트 협회)를 설립하여 많은 챔피언을 배출했다. 대학 졸업 후 동부 해안으로 이주하여 1962년 미국 워싱턴 D.C.에 첫 도장을 열었고, 워싱턴 수도권 지역에 11개 도장으로 확장했다.

1973년 유일한 무술 영화인 ''당수 권법''을 제작했으며, ''정무문''에도 출연했다. 1975년 조 프레이저와의 마닐라의 일전을 앞두고 무하마드 알리를 만나 알리에게 압큐펀치를 시연했고, 리차드 던 (복서)과 안토니오 이노키와 싸울 때 알리의 수석 코치를 맡았다.[3]

1980년대 중반 워싱턴 D.C. 지역에 11개 무술 도장 네트워크를 운영했다.[14] 닐스 로프그렌이 만든 노래와 이준구의 딸과 아들이 "아무도 나를 괴롭히지 않아"라는 문구를 외치는 TV 광고로 워싱턴 D.C. 지역에서 유명했다.[15] 2000년 미국 내 가장 인정받는 이민자 203명 중 유일한 한국계 미국인으로 선정되었다.[7]

2007년 태권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16] 미국 태권도와 러시아 태권도의 개척자로 등재되었다.[17] 최창근의 태권도 개척자 목록에서 미국 개척자로 등재되어 있다.[18]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2~1956)

이준구는 1932년 1월 7일 일제강점기 아산에서 태어났다.[9] 1945년, 13세의 나이에 아버지 몰래 무술 훈련을 시작했다.[10] 남태희로부터 무술을 사사받았으며, 청도관을 졸업했다.[11]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1956년 사우스웨스트 텍사스 주립 칼리지에 입학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12] 이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공학 학위를 받기 위해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다.[12]

2. 2. 미국 정착과 태권도 보급 (1956~2018)

1956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공학 학위를 취득했다.[13] 텍사스에서 공부하는 동안, 팻 벌레슨에게 미국 최초의 흑띠를 수여했고, 미국에서 훈련받은 첫 제자는 앨런 스틴이었다. 이 둘은 힘을 합쳐 영향력 있는 사우스웨스트 블랙 벨트 협회(나중에 아메리칸 블랙 벨트 협회)를 설립하여 많은 챔피언을 배출했다. 대학 졸업 후, 동부 해안으로 이주하여 1962년 미국 워싱턴 D.C.에 첫 번째 도장을 열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워싱턴 수도권 지역에 11개의 도장으로 확장했다.

1973년에는 유일한 무술 영화인 ''당수 권법''을 제작했으며, ''정무문''에도 작은 배역으로 출연했다. 1975년에는 조 프레이저와의 마닐라의 일전을 앞두고 무하마드 알리를 만났다. 이준구는 알리에게 압큐펀치를 시연했고, 알리는 이를 막지 못하고 가르쳐달라고 요청했다. 이준구는 알리가 리차드 던 (복서)과 안토니오 이노키와 싸울 때 알리의 수석 코치였다.[3]

1980년대 중반, 워싱턴 D.C. 지역에 11개의 무술 도장 네트워크를 운영했다.[14] 닐스 로프그렌이 만든 노래와 이준구의 딸이 "아무도 나를 괴롭히지 않아"라는 문구를 외치고, 그의 아들이 "아무도 나를 괴롭히지 않아"라고 말하는 TV 광고로 워싱턴 D.C. 지역에서 유명했다.[15] 2000년, 전국 이민자 포럼 및 이민 귀화 서비스에서 선정한 미국 내 가장 인정받는 이민자 203명 중 유일한 한국계 미국인으로 선정되었다.[7]

2007년 태권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16] 미국 태권도와 러시아 태권도의 개척자로 등재되었다.[17] 최창근의 태권도 개척자 목록에서 미국 개척자(1950년대, 60년대 및 70년대)로 등재되어 있다.[18]

3. 이소룡과의 관계

1960년대, 이준구는 이소룡과 친분을 맺었다.[13] 이소룡은 이준구에게 거의 막을 수 없는 매우 빠른 펀치 기술을 가르쳤고, 이준구는 이를 "압큐펀치"라고 명명했다.[3] 1975년, 무하마드 알리조 프레이저와의 마닐라의 일전을 앞두고 있을때 이준구는 알리를 만났다. 이준구는 알리에게 압큐펀치를 시연했고, 알리는 이를 막지 못하고 가르쳐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이준구는 알리가 리차드 던과 안토니오 이노키와 싸울 때 알리의 수석 코치를 맡았다.[3]

4. 무하마드 알리와의 관계

1975년, 이준구조 프레이저와의 마닐라의 일전을 앞두고 있던 무하마드 알리를 만났다. 이준구는 알리에게 압큐펀치를 시연했고, 알리는 이를 막지 못하고 가르쳐 달라고 요청했다. 이준구는 알리가 리차드 던 (복서)과 안토니오 이노키와 싸울 때 알리의 수석 코치였다.[3]

5. 영화 활동

이준구는 1973년 영화 《당수 권법》을 제작하고 주연을 맡았으며, 《정무문》에 단역으로 출연했다.[3] 그 외에도 《돌아온 용쟁호투》(1981년), 《태권진구주》(1973년) 등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6. 기타 활동 및 업적

1980년대 중반, 이준구는 워싱턴 D.C. 지역에서 11개의 무술 도장 네트워크를 운영했다.[14] 그는 닐스 로프그렌이 만든 노래와 그의 딸이 "아무도 나를 괴롭히지 않아"라는 문구를 외치고, 그의 아들이 "아무도 나를 괴롭히지 않아"라고 말하는 TV 광고로 워싱턴 D.C. 지역에서 유명해졌다.[15] 2000년, 이준구는 전국 이민자 포럼 및 이민 귀화 서비스에서 선정한 미국 내 가장 인정받는 이민자 203명 중 유일한 한국계 미국인으로 선정되었다.[7]

2007년 태권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16] 미국 태권도와 러시아 태권도의 개척자로 등재되었다.[17] 최창근의 태권도 개척자 목록에서 미국 개척자(1950년대, 60년대 및 70년대)로 등재되어 있다.[18]

7. 사망

2018년 4월 30일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20]

8. 출연 작품

이준구는 여러 영화에 출연하였다. 하위 섹션에 자세한 내용이 나와있다.

8. 1. 영화

참조

[1] 간행물 The Modern History of TaeKwonDo http://www.martialar[...] 2007-10-14
[2] 논문 With Bruce Lee: Taekwondo Pioneer Jhoon Rhee Recounts His 10-Year Friendship With the "Dragon" https://books.google[...] 2009-11-19
[3] 웹사이트 Jhoon Rhee, Father of American Tae Kwon Do https://web.archive.[...] 2019-05-01
[4] 논문 With Bruce Lee: Taekwondo Pioneer Jhoon Rhee Recounts His 10-Year Friendship With the "Dragon" https://books.google[...] 2009-11-19
[5] 웹사이트 Jhoon Rhee, Father of American Tae Kwon Do https://web.archive.[...] 2019-05-01
[6] 간행물 5세에 송판 깨는 美 태권도 황제 이준구: "내 주먹은 바람, 내가 인정한 유일한 고수는 '싸움꾼' 이소룡" http://shindonga.don[...] 2011-10-08
[7] 뉴스 Grand Master Jhoon Rhee returns home to serve as Youngsan Univ.'s Chair Professor http://theseoultimes[...] The Seoul Times 2007-07-28
[8] 뉴스 Taekwondo grandmaster lectures at Yonsei University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0-01-26
[9] 서적 Notable Asian Americans https://archive.org/[...] Gale Group
[10] 웹사이트 JhoonRhee.com: Philosophy http://www.jhoonrhee[...] 2010-01-29
[11] 간행물 The Modern History of TaeKwonDo http://www.martialar[...] 2007-10-14
[12] 웹사이트 In 1956 Jhoon Rhee came to the U https://www.abbahous[...] 2023-10-13
[13] 논문 With Bruce Lee: Taekwondo Pioneer Jhoon Rhee Recounts His 10-Year Friendship With the "Dragon" https://books.google[...] 2009-11-19
[14] 뉴스 Jhoon Rhee, who helped popularize taekwondo in the United States, dies at 86 https://www.washingt[...] 2018-05-01
[15] 뉴스 The surprising, rock source behind D.C.'s 'Nobody bothers me' TV jingle https://www.washingt[...] 2018-04-30
[16] 웹사이트 Taekwondo Hall of Fame 2007 Banquet http://www.lacancha.[...] 2008-01-12
[17] 웹사이트 Taekwondo Hall of Fame http://www.lacancha.[...] 2008-01-12
[18] 웹사이트 Tae Kwon Do Pioneers http://www.taekwondo[...] 2008-03-15
[19] 뉴스 Grandmaster Jhoon Rhee, 'father of American taekwondo,' dies at 86 http://www.nydailyne[...] 2018-05-01
[20] 뉴스 Man credited with popularizing Taekwondo in US dies https://web.archive.[...] 2018-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