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계 미국인은 한국인의 혈통을 가진 미국 시민 또는 거주자를 의미한다. 미국으로의 한국 이민은 1880년대부터 시작되어 네 단계로 구분되며, 1965년 이민법 개정 이후 이민이 본격화되었다. 현재 약 200만 명의 한국계 미국인이 있으며, 캘리포니아, 뉴욕, 텍사스, 뉴저지 등지에 많이 거주한다. 한국계 미국인들은 기독교 신앙, 한국어 사용, 한국 음식 등을 통해 문화를 유지하며, 정치, 사회, 문화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동해 표기 운동 등 주요 사건들을 겪으며 정체성을 확립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미국인 - 안수산
안수산은 안창호와 이혜련의 장녀이자 미국 해군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장교 및 여성 포술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에서 복무하고 종전 후 해군 정보국, 미국 의회도서관, 국가안보국 등에서 근무하며 인종 및 성차별을 극복하고 활약한 인물이다. - 한국계 미국인 - 존 유
존 유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 미국 법학자이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 교수로,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법무부에서 테러 용의자 고문 허용 등의 법률 해석을 주도하여 논란을 일으켰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 교육과학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한국계 미국인 | |
---|---|
개요 | |
![]() | |
![]() | |
![]() | |
![]() | |
명칭 | |
한국어 명칭 | 한국계 미국인, 미주 한인, 재미교포, 재미한인 |
한자 표기 | 韓國系美國人, 美洲韓人 |
로마자 표기 | Hangukgye Migugin, Miju Hanin |
영어 명칭 | Korean American |
인구 | |
총 인구 (2023년) | 2,023,517명 |
설명 | 미국 전체 인구의 약 0.6%를 차지함 |
주요 거주 지역 | |
언어 | |
사용 언어 | 영어, 한국어 |
종교 | |
종교 분포 | 개신교: 61% 무종교: 23% 로마 가톨릭교회: 10% 불교: 6% |
2. 이민 역사
미국으로의 한국 이민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46]
# 1884년경 소규모 이민
# 1903년부터 1950년까지의 초기 이민
# 한국 전쟁 이후의 이민 (1950–1964)
# 1965년 이민법 이후의 이민
== 제1기 (1882년 ~ 1905년) ==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조선과 미국 간의 외교 관계가 시작되었다.[195]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노동자 그룹이 하와이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이민이 시작되었다.[48] 초기 이민자들은 주로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했으며, 개신교 신자가 많았다.[195] 이는 당시 선교사들이 미국 농장주의 요청으로 교인에게 하와이 이민을 권했기 때문이다.
1904년부터 1907년 사이에는 약 1,000명의 한국인이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미국 본토로 이주했다.[49] 190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최초의 한국인 정치 조직인 '한인 협회'가 설립되어,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의 거점이 되었다.[51] 당시 하와이 조선인 이민은 한인협회 활동 외에도 농장에서 번 돈을 독립자금으로 기부하여 독립운동에 협조했으며, 박용만이 헤이스팅스 소년병 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 유한양행 설립자인 유일한도 미국 유학 당시 소년병 학교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
1905년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장악하면서 집단 이민은 중단되었으나,[195] 사진 결혼 등을 통해 개별적인 이민은 계속되었다. 1910년 일본에 의한 한국의 병합 이후,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일본 식민 정부는 처음에 1902년부터 한인들의 미국 이민을 허용했지만, 이후 한국 반도의 인력을 확보하고 미국 내 한인들의 경쟁으로부터 일본계 미국인을 보호하기 위해 한인의 이민을 금지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한인 사회의 민족주의적 감정을 무마하기 위해 한인 여성의 미국 이민을 허용했다(사진 신부로 도착한 여성들이 많았다).[51] 1924년 이민법 (''동양인 배제법''이라고도 함)은 한인 이민자들의 미국 입국을 체계적으로 배제하는 데 기여했다.
== 제2기 (1945년 ~ 1965년) ==
한국 전쟁의 종결로 제2기 미국이민이 시작되었다.[52][53] 1953년부터 1965년에 걸친 제2기 이민은 대부분이 미군과 결혼한 한국인 여성이나 양자로 기른 전쟁 고아가 차지했다. 이 시기에는 양자를 포함해서 바다를 건넌 사람만 약 15만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단지, 군인이 아내로 삼아도 양자로 삼아도 처음부터 미국인 부모의 피부양자로서 입국하므로, 이민으로서 다루어지지 않고, 정확한 통계는 잡을 수 없다. 국제결혼 여성들이나 입양인들은 미국 전역에 흩어져 미국인 주류공동체에서 동화되어 생활하기 때문에 따로 한인 공동체를 이루지 않았다. 또한 소수의 사람들은 미국유학을 왔다가 정착하는 경우도 있었다.[52] 1952년 이민 및 국적법으로 인해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더 많은 기회가 열리면서 한국계 미국인들은 앤클레이브에서 중산층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 전쟁이 1953년에 끝나자 소수의 학생과 전문가들이 미국에 입국했다. 더 많은 이민자 그룹은 "전쟁 신부"라고 흔히 불리는 미군과 결혼한 여성들이었다. 이 여성들은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창녀나 반역자로 낙인찍힌 대한민국에서도 차별에 직면했다. 1953년에 대한민국은 국제 입양을 허용했다. 이는 한국 전쟁의 결과로 많은 아이들이 고아가 된 데서 비롯되었다. 1965년 이민 및 국적법의 통과로 한국인들은 필리핀인에 이어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계 집단 중 하나가 되었다. 1952년의 이민 및 국적법에서는 한국에 연간 100명의 이민 쿼터가 할당되었다. 1953년부터 1963년까지의 제2기 이민은 미군과 결혼한 한국 여성이나 입양된 전쟁 고아였다. 이 시기에 입양으로 바다를 건너간 사람은 약 5,000명, 미국 군인의 배우자인 경우는 약 6,000명으로 추정된다.
== 제3기 (1965년 이후) ==
1965년 미국의 이민법 개정으로 아시아계 이민 제한이 폐지되면서 한국인의 미국 이민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196] 1960년대 말부터 한국인의 미국 이민이 본격화되었으며,[196] 1970년 5만여 명, 1980년 35만 7천 명, 1990년 70만 명으로 한국계 미국인 수가 급속도로 늘어났다.[197] 특히 1980년대에는 연간 3만 5천 명 이상의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197]
1980년 제5공화국의 해외 유학 자유화 조치로 유학생이 급증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학위 취득 후 미국에 정착했다. 20세기 말에는 매년 약 2만 명의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주로 가족 초청 이민이 주를 이루었다.
21세기 들어 한국인의 미국 이민 추세는 다소 주춤했으나, 여전히 매년 약 2만 명의 한국인이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고 있다.[202] 최근 이민 추세는 취업 이민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40대 이하의 청장년층과 그 가족들이 주를 이룬다.[203] 이민자들중 미국 시민권을 취득 하는 숫자도 매년 약 1만 5천에서 2만여명에 달하고 있다.[204]
1965년 이민법은 아시아인의 미국 입국을 제한했던 쿼터 시스템을 폐지했다.[54] 1970년부터 1990년까지 56만 명 이상의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54] 대한민국을 거쳐 온 북한 출신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한국인들이 이민을 왔고, 이로 인해 한국은 1975년 이후 미국의 이민자 출신 국가 중 상위 6위 안에 들었다.[55] 이민의 이유는 자유에 대한 열망과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추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한국인들은 세탁소나 편의점과 같은 소규모 사업을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교회를 부지런히 세우는 것으로도 유명해졌다. 그들은 버려진 도시로 진출하여 인구 통계상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사업을 시작했다. 이것은 때때로 스파이크 리(Spike Lee)의 영화 ''똑바로 살아라''(Do the Right Thing)에서 묘사된 것처럼 고객과의 공개적인 긴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로스앤젤레스는 한국계 미국인 커뮤니티의 주요 중심지로, 1990년대에 한국인의 유입과 한국 은행 및 기업의 투자를 특징으로 하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64][65] 많은 기업가들이 소규모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66]
박(1998)에 따르면, 1992년 한국계 미국인에 대한 폭력 사태는 한국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새로운 정치적 활동 물결을 자극했지만, 그들을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 두 개의 주요 진영으로 나누기도 했다.[70] 아벨만과 리(1997)는 가장 심오한 결과는 미국 전역의 한국계 미국인들의 정치화였다고 보고한다.[71]
뉴저지주 버겐 카운티는 2000년대 초반부터 상당수의 부유한 한국계 미국인 전문가들이 정착한 곳이다.[76] 뉴저지주 티넥의 홀리 네임 메디컬 센터는 광범위한 지역의 건강 보험 미가입자 및 미가입 한국인 환자에게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 의료 프로그램''을 시작했다.[78][79][80][81] 버겐 카운티의 팰리세이즈 파크의 코리아타운[82]은 한국계 미국 문화의 지배적인 중심지로 부상했으며,[83] 추석 한국 추수 추수감사절은 버겐 카운티에서 매년 수만 명이 참석하는 연례 전통이 되었다.[85]
21세기의 한국계 미국인 세대는 이질감보다는 공감과 협력을 추구하며, 양자의 장점을 배우고 인정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한국계 영미권 작가들이 한국의 고전과 역사를 바탕으로 쓴 소설이 현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 내 출판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재일 한국인 가족의 서사를 다룬 소설 "파친코"(2017)의 작가 이민진을 시작으로, 미국의 한국인 식품점 체인을 배경으로 "H마트에서 울다"를 쓴 미셸 자우너 등 한국계 작가들이 영미권에서 주목받았다.[170]
2. 1. 제1기 (1882년 ~ 1905년)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조선과 미국 간의 외교 관계가 시작되었다.[195]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노동자 그룹이 하와이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이민이 시작되었다.[48] 초기 이민자들은 주로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했으며, 개신교 신자가 많았다.[195] 이는 당시 선교사들이 미국 농장주의 요청으로 교인에게 하와이 이민을 권했기 때문이다.1904년부터 1907년 사이에는 약 1,000명의 한국인이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미국 본토로 이주했다.[49] 190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최초의 한국인 정치 조직인 '한인 협회'가 설립되어,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의 거점이 되었다.[51] 당시 하와이 조선인 이민은 한인협회 활동 외에도 농장에서 번 돈을 독립자금으로 기부하여 독립운동에 협조했으며, 박용만이 헤이스팅스 소년병 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 유한양행 설립자인 유일한도 미국 유학 당시 소년병 학교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
1905년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장악하면서 집단 이민은 중단되었으나,[195] 사진 결혼 등을 통해 개별적인 이민은 계속되었다. 1910년 일본에 의한 한국의 병합 이후,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일본 식민 정부는 처음에 1902년부터 한인들의 미국 이민을 허용했지만, 이후 한국 반도의 인력을 확보하고 미국 내 한인들의 경쟁으로부터 일본계 미국인을 보호하기 위해 한인의 이민을 금지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한인 사회의 민족주의적 감정을 무마하기 위해 한인 여성의 미국 이민을 허용했다(사진 신부로 도착한 여성들이 많았다).[51] 1924년 이민법 (''동양인 배제법''이라고도 함)은 한인 이민자들의 미국 입국을 체계적으로 배제하는 데 기여했다.
2. 2. 제2기 (1945년 ~ 1965년)
한국 전쟁의 종결로 제2기 미국이민이 시작되었다.[52][53] 1953년부터 1965년에 걸친 제2기 이민은 대부분이 미군과 결혼한 한국인 여성이나 양자로 기른 전쟁 고아가 차지했다. 이 시기에는 양자를 포함해서 바다를 건넌 사람만 약 15만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단지, 군인이 아내로 삼아도 양자로 삼아도 처음부터 미국인 부모의 피부양자로서 입국하므로, 이민으로서 다루어지지 않고, 정확한 통계는 잡을 수 없다. 국제결혼 여성들이나 입양인들은 미국 전역에 흩어져 미국인 주류공동체에서 동화되어 생활하기 때문에 따로 한인 공동체를 이루지 않았다. 또한 소수의 사람들은 미국유학을 왔다가 정착하는 경우도 있었다.[52] 1952년 이민 및 국적법으로 인해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더 많은 기회가 열리면서 한국계 미국인들은 앤클레이브에서 중산층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 전쟁이 1953년에 끝나자 소수의 학생과 전문가들이 미국에 입국했다. 더 많은 이민자 그룹은 "전쟁 신부"라고 흔히 불리는 미군과 결혼한 여성들이었다. 이 여성들은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창녀나 반역자로 낙인찍힌 대한민국에서도 차별에 직면했다. 1953년에 대한민국은 국제 입양을 허용했다. 이는 한국 전쟁의 결과로 많은 아이들이 고아가 된 데서 비롯되었다. 1965년 이민 및 국적법의 통과로 한국인들은 필리핀인에 이어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계 집단 중 하나가 되었다. 1952년의 이민 및 국적법에서는 한국에 연간 100명의 이민 쿼터가 할당되었다. 1953년부터 1963년까지의 제2기 이민은 미군과 결혼한 한국 여성이나 입양된 전쟁 고아였다. 이 시기에 입양으로 바다를 건너간 사람은 약 5,000명, 미국 군인의 배우자인 경우는 약 6,000명으로 추정된다.2. 3. 제3기 (1965년 이후)
1965년 미국의 이민법 개정으로 아시아계 이민 제한이 폐지되면서 한국인의 미국 이민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196] 1960년대 말부터 한국인의 미국 이민이 본격화되었으며,[196] 1970년 5만여 명, 1980년 35만 7천 명, 1990년 70만 명으로 한국계 미국인 수가 급속도로 늘어났다.[197] 특히 1980년대에는 연간 3만 5천 명 이상의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197]1980년 제5공화국의 해외 유학 자유화 조치로 유학생이 급증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학위 취득 후 미국에 정착했다. 20세기 말에는 매년 약 2만 명의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주로 가족 초청 이민이 주를 이루었다.
21세기 들어 한국인의 미국 이민 추세는 다소 주춤했으나, 여전히 매년 약 2만 명의 한국인이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고 있다.[202] 최근 이민 추세는 취업 이민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40대 이하의 청장년층과 그 가족들이 주를 이룬다.[203] 이민자들중 미국 시민권을 취득 하는 숫자도 매년 약 1만 5천에서 2만여명에 달하고 있다.[204]
1965년 이민법은 아시아인의 미국 입국을 제한했던 쿼터 시스템을 폐지했다.[54] 1970년부터 1990년까지 56만 명 이상의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54] 대한민국을 거쳐 온 북한 출신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한국인들이 이민을 왔고, 이로 인해 한국은 1975년 이후 미국의 이민자 출신 국가 중 상위 6위 안에 들었다.[55] 이민의 이유는 자유에 대한 열망과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추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한국인들은 세탁소나 편의점과 같은 소규모 사업을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교회를 부지런히 세우는 것으로도 유명해졌다. 그들은 버려진 도시로 진출하여 인구 통계상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사업을 시작했다. 이것은 때때로 스파이크 리(Spike Lee)의 영화 ''똑바로 살아라''(Do the Right Thing)에서 묘사된 것처럼 고객과의 공개적인 긴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thumb|right|upright|주주 창은 ABC 뉴스의 미국 텔레비전 기자이며, 현재 ''나이트라인''의 앵커로 활동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는 한국계 미국인 커뮤니티의 주요 중심지로, 1990년대에 한국인의 유입과 한국 은행 및 기업의 투자를 특징으로 하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64][65] 많은 기업가들이 소규모 사업을 시작했으며,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66]
박(1998)에 따르면, 1992년 한국계 미국인에 대한 폭력 사태는 한국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새로운 정치적 활동 물결을 자극했지만, 그들을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 두 개의 주요 진영으로 나누기도 했다.[70] 아벨만과 리(1997)는 가장 심오한 결과는 미국 전역의 한국계 미국인들의 정치화였다고 보고한다.[71]
|thumb|upright|left|배우 랜들 박, 2015년부터 에디 황의 아버지이자 대만계 미국인 레스토랑 운영자인 루이스 황 역을 ABC의 텔레비전 쇼 ''프레시 오프 더 보트''에서 연기했다.
뉴저지주 버겐 카운티는 2000년대 초반부터 상당수의 부유한 한국계 미국인 전문가들이 정착한 곳이다.[76] 뉴저지주 티넥의 홀리 네임 메디컬 센터는 광범위한 지역의 건강 보험 미가입자 및 미가입 한국인 환자에게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 의료 프로그램''을 시작했다.[78][79][80][81] 버겐 카운티의 팰리세이즈 파크의 코리아타운[82]은 한국계 미국 문화의 지배적인 중심지로 부상했으며,[83] 추석 한국 추수 추수감사절은 버겐 카운티에서 매년 수만 명이 참석하는 연례 전통이 되었다.[85]
21세기의 한국계 미국인 세대는 이질감보다는 공감과 협력을 추구하며, 양자의 장점을 배우고 인정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한국계 영미권 작가들이 한국의 고전과 역사를 바탕으로 쓴 소설이 현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 내 출판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재일 한국인 가족의 서사를 다룬 소설 "파친코"(2017)의 작가 이민진을 시작으로, 미국의 한국인 식품점 체인을 배경으로 "H마트에서 울다"를 쓴 미셸 자우너 등 한국계 작가들이 영미권에서 주목받았다.[170]
3. 정착
한국계 미국인들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미국 각지의 도시에는 한국계 미국인 밀집지역 혹은 코리아 타운이 형성되었다.[205] 미국에서 제일 큰 코리아 타운이자 세계에서 제일 큰 코리아 타운은 서부 캘리포니아 주의 로스앤젤레스 시에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로스앤젤레스 시 이외에도 샌프란시스코 시, 오렌지 카운티 등의 여러 중소도시에 다수의 한국계 미국인들이 정착하여 살고 있다.
동부의 뉴욕 주에도 뉴욕 시 맨해튼과 퀸즈 등에 대규모 한국인 공동체가 있고, 그 외에도 매사추세츠 주의 보스턴 시,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시, 뉴저지주 버겐 카운티, 버지니아주 애난데일과 센터빌, 조지아주 애틀랜타시 근교, 일리노이주 시카고 시 근교, 텍사스주 댈러스 시, 콜로라도주 덴버 시 등에도 상당한 규모의 코리아타운이 있다.
미국 이민 1세대는 대체로 여러 가지 생활방식에 있어서 한국에서 살아오던 삶의 형태를 미국에서도 유사하게 유지하며 살아간다. 음식 습관은 물론이고, 우선 언어상으로도 한인 이민자들은 대체로 영어보다는 한국어가 편하기 때문에 직장 이외에 가정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하길 원한다. 직업의 경우도 거의 대부분의 한국계 이민자들은 소규모 자영업을 운영하면서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다만 혈통만이 한국계인 그 후손들은 1세대와는 달리 매우 빠른 속도로 미국 사회에 동화되고 있다.[205] 2012년 퓨 리서치(Pew Research) 통계에 의하면 2, 3세대 한국계 미국인 중 약 3분의 1은 한국계 미국인이 아닌 다른 인종들과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05]
퓨 리서치 센터의 2017-2019년 미국 인구 조사 분석에 따르면, 미국 내 모든 한국인의 연간 가구 소득 중간값은 72,200달러로, 미국 내 모든 아시아인의 85,800달러보다 낮았다. 그러나 미국 태생 한국인의 가구 소득 중간값은 88,100달러로, 미국 내 모든 아시아인의 가구 소득 중간값을 넘어섰다.[141] 취업(16세 이상 민간인) 측면에서, 미국 내 모든 한국인의 62%가 고용되었으며, 이는 미국 내 모든 아시아인의 62%와 동일했다. 미국 태생 한국인은 68%의 고용률을 보여, 59%의 고용률을 보이는 외국 태생 한국인보다 약간 더 높은 고용률을 보였다.[141]
4. 인구 분포
2023년 기준, 재미 한인 인구는 약 200만 명으로 추산된다.[199] 주별로는 캘리포니아주(558,338명), 뉴욕시(141,745명), 텍사스주(115,107명), 뉴저지주(113,736명) 순으로 많다.[20] 버지니아주, 워싱턴주, 일리노이주, 조지아주, 메릴랜드주에도 상당수의 한국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20] 하와이주는 전체 인구 대비 한인 비율이 3.87%로 가장 높으며, 캘리포니아주(1.43%), 워싱턴주(1.28%), 뉴저지주(1.19%), 버지니아주(1.09%)가 그 뒤를 잇는다.[21]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한국계 미국인 인구가 가장 많은 두 개의 대도시권은 로스앤젤레스 대도시권 결합 통계 지구(334,329명)과 뉴욕 대도시권 결합 통계 지구(218,764명)였다.[22][23] 볼티모어-워싱턴 대도시권은 3위였다.[24] 남부 캘리포니아와 뉴욕시 대도시권[25]은 한반도 외 지역에서 가장 많은 한국인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26]
뉴저지주 버겐 카운티는 카운티 인구 대비 한인 비율이 2022년 6.5%로 미국 내 어떤 카운티보다도 높았다.[28] 팰리세이즈 파크는 서반구에서 한국계 민족의 밀도가 가장 높은 자치 단체이며,[36] 2022년 버러 인구의 53.7%를 차지하는 한국인 다수를 독특하게 보유하고 있다.[38] 2010년 기준으로 로스앤젤레스시는 약 108,282명의 한국계 미국인으로, 어떤 도시보다도 가장 많은 한국계 미국인 인구를 보유했다.[39]
199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조지아주는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인 커뮤니티가 있는 곳으로, 그 기간 동안 88.2%의 성장률을 보였다.[40] 애틀랜타 대도시권에는 상당한 수의 한국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22]
1953년에서 2007년 사이에 107,145명의 한국 아동이 미국으로 입양되었다.[41] 2005년 미국 인구조사국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한국계 민족은 약 432,907명이 미국 출생이며, 973,780명이 외국 출생인 것으로 추산되었다.[4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은 자국을 떠날 수 없지만, 미국에는 북한 출신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한국 전쟁 동안 남쪽으로 피난하여 나중에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2004년 북한 인권법에 따라 탈북자들이 난민으로 입국할 수 있게 되면서, 2004년 이후 약 130명이 이 지위로 미국에 정착했다.[43][44]
한국계 미국인의 인구와 관련된 통계는 대한민국 영사관과 한인 단체 등을 통해 수집되는데, 주한미군과 결혼한 여성, 입양아 등은 통계에서 누락되어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116][200]
5. 문화
종교는 기독교의 세력이 특히 강하여 약 70%에 달하며, 특히 60%가 복음주의 교회를 비롯한 개신교 교단에 소속된 것으로 조사된다.[176] 기타는 종교가 없거나 소수 불교 신자를 포함한다. 기독교의 비율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미국 한인 사회에서 기독교 교회가 핵심적인 교민 커뮤니티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207]
언어는 가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인 1, 2세는 비교적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경우가 많으나 영어의 영향을 받아 특유의 재미 한국어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언어생활에 있어서 한국어와 영어를 상황에 따라 병용하는 코드 스위칭 현상이 자주 드러난다.
한국계 미국인 사회는 양국의 문화를 서로의 국가에 소개한 중개자가 되기도 하였다. 한국 요리는 한국계 미국인에 의해 미국에 처음 소개되어 로스앤젤레스 등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관련 점포가 분포하고 있다.[208]
5. 1. 종교
재미 한인 사회에서 기독교, 특히 개신교의 세력이 강하며, 약 70%가 기독교 신자로 조사된다.[176] 2012년 조사에 따르면 개신교 61%, 가톨릭 10%로 나타났다.[131] 2016년 설문 조사에서는 장로교가 42%를 차지했고, 침례교(17%)와 감리교(12%)가 그 뒤를 이었다.[133] 2020년 UC 리버사이드 연구에서는 한국계 미국인 기독교인의 64%가 장로교, 감리교(11%)와 침례교(7%) 순으로 나타났다.[134] 2022~2023년 조사에서는 한국계 미국인의 59%가 기독교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다른 아시아계 미국인 집단보다 높은 수치이다.[135]기독교 교회는 재미 한인 사회에서 중요한 커뮤니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207] 초기 이민자들은 한국에서 기독교인이었으며, 미국 선교사들의 지원을 받아 미국으로 왔다. 따라서 초기 한국 이민자들이 세운 교회는 민족 단체와 연관되었다. 1965년 미국 이민법 이후 미국에 도착한 한국 이민자들 역시 도시 중산층 출신이었으며, 주로 기독교인이었다.[136] 미국에는 약 4,000개의 한국 기독교 교회가 있다.[132]
불교 신자는 소수이며, 약 2~10%로 추정된다.[138] 2004년에는 미국에 89개의 한국 불교 사찰이 있었으며, 가장 큰 사찰인 로스앤젤레스의 사찰은 1974년에 세워졌다.[137] 한국 이민 가족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이유로는 기독교 교회가 이민자의 필요에 부응하고 공동체적 성격을 띠는 반면, 불교 사찰은 개인의 영성과 수행을 장려하고 사회적 네트워킹과 사업 기회를 덜 제공하며, 다른 한국인들의 개종 압력 등이 제시된다.[139] 대부분의 한국계 미국인 기독교인은 한국에서 행해지는 전통적인 유교 조상 숭배 의식을 행하지 않는다.[138][140]
5. 2. 언어
한인 1, 2세는 비교적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경우가 많으나 영어의 영향을 받아 특유의 재미 한국어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176] 특히 언어생활에 있어서 한국어와 영어를 상황에 따라 병용하는 코드 스위칭(코드 전환) 현상이 자주 드러난다.[176][117] 새로운 이민자들은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콩글리시로 알려져 있다.[117]
5. 3. 음식
한국 요리는 재미 한인 사회를 통해 미국에 소개되었으며, 로스앤젤레스 등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관련 점포가 분포하고 있다.[208] "한국계 미국 요리"는 전통 한국 요리와 미국 문화 및 취향의 융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142]
코기 코리안 BBQ로 유명한 셰프 로이 최에 따르면, 순두부찌개는 로스앤젤레스의 한국 이민자들이 개발한 요리라고 한다. 2021년, ''Thrillist''는 뉴저지주 버겐 카운티를 미국 최고의 한국식 바비큐 명소로 선정했다.[144] 셰프들은 한국의 맛과 조리법을 차용하여 텍스멕스, 중국식 또는 순수 미국식 등 가장 익숙한 스타일에 통합하기도 한다. 심지어 미국 식단의 고전적인 주식인 햄버거도 한국식으로 변형되어 불고기 버거로 제공된다.
한국 요리는 독특하고 대담한 맛, 색상 및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소금에 절여 발효된 채소로 만든 종종 매운 요리인 김치 (배추김치, 깍두기), 오래 발효된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 떡이나 면 요리 및 찌개 (떡볶이, 냉면), 양념하여 구운 고기 (불고기, 갈비), 그리고 어묵, 문어, 오징어, 조개류 및 생선을 사용하는 많은 해산물 요리가 포함된다.
2018년에는 뉴저지에서 한국 식당가가 급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148] 카페 베네는 미숫가루도 제공하는 한국 커피 전문점 체인점으로,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서 한국계 미국인 기업가들을 유치하여 뉴저지주 버겐 카운티와 뉴욕시 수도권을 시작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152]
6. 주요 사건
6. 1.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당시 무장 강도에 권총으로 자기 방어에 나선 한국계 주민의 영상이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면서 한국계 미국인의 존재가 크게 부각되었다.[171] 그러나 폭동의 피해자는 한국계 주민뿐만 아니라, 같은 빈곤 지역에서 장사하던 히스패닉과 인도계 주민도 포함되었으며, 가해자 측도 흑인·히스패닉뿐만 아니라 아시아계 이민자도 참여했다.[171] 체포자 비율은 흑인 30%(주로 방화, 가전제품 강탈), 라틴계 51%(주로 식료품 및 생필품 강탈)로 나타났다.[171] 이는 미국 사회의 인종 간 갈등이 "백인 vs 유색 인종"이라는 전형적인 구도를 넘어, 유색 인종 간에도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171]LA 폭동은 한국인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171] 약 2,300개의 한국인 상점이 약탈당하거나 전소되어 재산 피해액이 4억 달러에 달했지만, 피해를 입은 한국인의 대부분은 지방 정부나 연방 정부로부터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171] 이 사건은 재미 한인 사회, 특히 1.5세와 2세가 소수 민족으로서 겪는 고통을 목격하고, 언어 문제와 정치력 부재로 인해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부모 세대를 돕기 위해 각성하는 계기가 되었다.[171]
폭동 직후 5월 1일, 코리아타운 중심부에 주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1,000명이 자발적으로 모여 평화 집회를 열었고,[171] 5월 2일에는 1.5세와 2세가 평화 대행진을 주도하고 1세대가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하루 만에 10만 명의 대규모 인원이 코리아타운 아드모어(Ardmore) 공원에 집결하였다.[171]
LA 폭동은 재미 한국인의 권익은 한국인 스스로가 보호해야 한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켜 주었다.[171] 이러한 자각을 바탕으로 미주 동포 사회에서도 소수 민족 운동의 성격을 띤 권익 운동과 정치력 신장 운동이 본격화되었다.[171] 특히, 부모 세대가 흑인에게 피해를 입어도 주류 사회에 강력하게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는 모습을 지켜본 1.5세와 2세가 재미 한국인 권익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계기가 되었다.[171] 90년대 이후 재미 한국인 1.5세와 2세가 중심이 된 권익 운동, 시민권 운동, 소수 민족 연대 운동이 재미 한국인 사회 곳곳에서 일어났다.[171]
6. 2. 위안부 문제 및 동해 표기 운동
재미 한인 사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과 동해 표기의 정당성을 알리기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172] 2012년 5월, 뉴저지 팰리세이즈 파크에서는 위안부를 기리는 기념물을 철거해 달라는 일본 측의 요청을 거부했다.[2][103] 해켄색에는 홀로코스트, 아일랜드 대기근,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 미국 노예제도 기념물과 나란히 위안부 기념물이 설치되었다.[100][107][108] 2015년 12월,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국에 사과하고 금전적 보상을 했지만, 이는 미국 최초의 위안부 기념비가 세워진 버겐 카운티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109]뉴저지 한인회는 2013년 버겐 카운티 교육 당국에 일본해를 ''동해''로 표기하는 교과서를 사용할 것을 청원했으며,[110] 2014년 4월, 버지니아 교과서에서 일본해를 동해로 함께 표기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효되었다.[113] 이처럼 미국 각지에는 위안부 기림비와 동해 표기 관련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재미 한인 사회와 연대하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과 동해 표기의 정당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7. 정치
1992년, 김창준은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미국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125] 그는 캘리포니아주 오렌지 카운티 일부를 대표했지만, 1998년 공화당 예비 선거에서 재선에 실패했다.
2020년 선거에서는 영 김, 미셸 박 스틸, 매릴린 스트릭랜드 등 3명의 한국계 미국인 여성이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되었다.[130]
2018년, 앤디 김은 뉴저지 중부에서 연방 의회에 당선되어, 의회에서 활동한 최초의 민주당원이자 두 번째 한국계 미국인이 되었다.[126]
한국계 미국인들은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W. 부시를,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버락 오바마를,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하는 등 민주당 지지 성향을 보였다.[120][121][123][124]
8. 저명한 인물
세계은행 총재를 역임한 김용, 다이빙 선수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였던 새미 리, 분석철학자 김재권, 물리학자 이휘소, 연방 항소 법원 판사를 역임한 허버트 최가 있다.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미국 의회에 당선된 김창준, 헤밍웨이상을 수상한 작가 제이 리, 뉴베리상을 수상한 아동문학가 린다 수 박도 저명한 한국계 미국인이다.
린킨 파크의 멤버 조지프 한, 배우 켄 정, 골프 선수 미셸 위, NFL 슈퍼볼 최우수선수상을 받은 미식축구선수 하인스 워드,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 드림시어터의 베이시스트 존 명도 잘 알려져 있다. 앤디 김, 영 김, 미셸 스틸, 마틸린 스트릭랜드는 현 연방 상, 하원 의원이다.
이외에도 전 주 대한민국 미국 대사였던 성김, 물리학자 이휘소, 육군 군인 영옥 김, 서재필, 배우 릭 윤, 스티븐 연, 성 강, 존 조, 가수 박정현, 제시, 정니콜, 티파니, 제시카, 크리스탈, 박재범, 낸시 , 애니메이터 피터 정, 예술가 백남준, 만화가 토미 윤, 스노보드 선수 클로이 김, 프로스케이트보더 송대원 등이 있다.
9.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US Census Data
https://data.census.[...]
U.S. Census Bureau
2024-09-21
[2]
웹사이트
Top 10 U.S. metropolitan areas by Korean population, 2015
http://www.pewsocial[...]
PEW RESEARCH CENTER
2017-09-08
[3]
웹사이트
Asian Americans: A Mosaic of Faiths
http://www.pewforum.[...]
2012-07-19
[4]
웹사이트
Pew Forum – Korean Americans' Religions
http://projects.pewf[...]
2012-07-18
[5]
웹사이트
http://www.mofat.go.[...]
2019-06
[6]
웹사이트
Polish firms employing North Korean 'slave labourers' benefit from EU aid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9-06-06
[7]
논문
The Pre- and Post-Migratio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Americans in New York, New Jersey, and Boston Areas
https://www.dbpia.co[...]
2012-05
[8]
웹사이트
선천적 복수국적제 피해, 여성의 경우
http://www.koreatime[...]
2023-11-28
[9]
논문
'Korean American' 용어에 대한 재미한인들의 개념 정의 및 내포에 대한 연구
https://www.dbpia.co[...]
2019-06
[10]
웹사이트
ACS Demographic and Housing Estimate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4-08-18
[11]
웹사이트
재미 교포 在美僑胞
https://ko.dict.nave[...]
2023-11-06
[12]
웹사이트
ASIAN ALONE OR IN ANY COMBINATION BY SELECTED GROUPS
https://factfinder.c[...]
U.S. Census Bureau
2015
[13]
웹사이트
The Asian Population: 2000
https://www.census.g[...]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2-02
[14]
웹사이트
Why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United States Is So Low
http://www.nkhiddeng[...]
2023-11-06
[15]
웹사이트
다수거주국가 | 재외동포 정의 및 현황 외교부
https://www.mofa.go.[...]
[16]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Delivers Illinois' 2010 Census Population Totals, Including First Look at Race and Hispanic Origin Data for Legislative Redistricting
http://2010.census.g[...]
U.S. Census Bureau
[17]
웹사이트
Historical Census Statistics on Population Totals By Race, 1790 to 1990, and By Hispanic Origin, 1970 to 1990, For The United States, Regions, Divisions, and States
https://www.census.g[...]
Census.gov
[18]
웹사이트
America's Asian Population Patterns 2000–2010
http://proximityone.[...]
Proximityone.com
[19]
웹사이트
Detailed Races and Ethnic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Puerto Rico: 2020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3-09-23
[20]
웹사이트
Korean population in United States 2023 Korean Americans
https://uscanadainfo[...]
2023-11-21
[21]
웹사이트
Top 10 States Percentage of Korean Population 2023 Zip Atlas
https://zipatlas.com[...]
2023-11-21
[22]
웹사이트
Profile of General Population and Housing Characteristic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Los Angeles-Long Beach-Riverside, CA CSA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3]
웹사이트
Profile of General Population and Housing Characteristic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New York-Newark-Bridgeport, NY-NJ-CT-PA CSA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4]
웹사이트
KTV Plus Key Points
http://koreantvplus.[...]
[25]
서적
Savoring Gotham: A Food Lover's Companion to New York City: A Food Lov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6]
논문
Profiling Culture: An Examination of Korean American Gangbangers in Southern California
http://www.boalt.or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chool of Law
[26]
서적
The Kore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8-22
[26]
서적
The Rough Guide to California
https://books.google[...]
Penguin
2011-05-02
[27]
웹사이트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 Table 1. Top Concentrations by Metropolitan Area for the Foreign Born from Korea, 2008–12
http://www.migration[...]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4-12-03
[28]
웹사이트
ACS Demographic and Housing Estimates Bergen County, New Jersey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4-08-18
[29]
웹사이트
The 50 smartest public high schools in America
http://www.businessi[...]
2016-03-29
[30]
잡지
America's Top High Schools 2015
http://www.newsweek.[...]
[3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Bergen County Academies
https://web.archive.[...]
Bergen County Technical Schools
[32]
웹사이트
Samsung Electronics America, Inc. Company Profile
http://www.hoovers.c[...]
Hoover's Inc
[33]
웹사이트
LG breaks ground on Englewood Cliffs HQ
http://www.northjers[...]
NorthJersey.com – part of the USA TODAY network
2017-02-07
[34]
웹사이트
Stranded container ship gets go-ahead to dock in Elizabeth
http://www.northjers[...]
NorthJersey.com via Gannett
2016-09-20
[35]
웹사이트
Mahwah library hosts Korean tea ceremony to celebrate new year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5-02-22
[36]
서적
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cond Edition, Edited by Pyong Gap Min
https://books.google[...]
Pine Forge Press – An Imprint of Sage Publications, Inc
2014-07-11
[37]
웹사이트
Palisades Park Municipal Court
http://www.town-cour[...]
SpinJ Corporation
2014-08-26
[38]
웹사이트
ACS Demographic and Housing Estimates Palisades Park borough, New Jersey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4-08-18
[39]
웹사이트
Los Angeles city, California QuickLink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4-10-27
[40]
웹사이트
Korean American Population Data
http://www.naka.org/[...]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
2018-09-04
[41]
간행물
Statistics on Overseas Koreans
Overseas Korean Foundation
2009-05-31
[42]
웹사이트
S0201. Selected Population Profile in the United States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09-22
[43]
뉴스
In North Korea, a brutal choice
http://edition.cnn.c[...]
2012-03-26
[44]
뉴스
Wary of notice and trying to fit in
https://www.latimes.[...]
2012-01-10
[45]
웹사이트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migratio[...]
[46]
웹사이트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o America, from 1903 to Present
https://sites.bu.edu[...]
2023-11-28
[47]
서적
Dr. Philip Jaisohn's Reform Movement, 1896–1898
[48]
뉴스
North Jersey Korean Americans celebrate another year of community's emergence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1-13
[49]
서적
The Ils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ʻi, 1903–1972
University of Hawaii Press
[50]
뉴스
"[지평선]\"사진 신부\""
https://www.hankooki[...]
2003-05-16
[51]
서적
The making of Asian America: a history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16
[52]
학술지
The Pattern of American Society: Treatment of Korean War Brides in the United States Following the Korean War
[53]
웹사이트
Korean Americans
http://lpclibrary.id[...]
2014
[54]
학술지
A Divergent Path: Korean American Politics in an Age of Globalization
2020-06-30
[55]
웹사이트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13 Lawful Permanent Residents Supplemental Table 1
https://www.dhs.gov/[...]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4-06-25
[56]
웹사이트
The Model Minority Myth
https://thepractice.[...]
2020-11-12
[57]
웹사이트
Koreans
https://www.pewsocia[...]
2020-11-12
[58]
웹사이트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http://www.koreaname[...]
2020-11-12
[59]
웹사이트
Health Problems of Korean Americans: Access to Health Care
https://geriatrics.s[...]
2014-03-24
[60]
뉴스
NAKASEC: Highlighting discrepancies in language access in the Asian American community
http://www.fairfaxti[...]
2020-04-17
[61]
뉴스
Undocumented, uninsured Korean Americans find safe havens in nonprofit clinics
https://www.ocregist[...]
2019-11-14
[62]
웹사이트
Fewer older Korean Americans utilize mental health services
https://www.hawaii.e[...]
2020-10-20
[63]
학술지
Health and health care of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https://geriatrics.s[...]
2010
[64]
서적
From urban enclave to ethnic suburb: New Asian communities in Pacific Rim countries
https://archive.org/[...]
U of Hawaii Press
[65]
학술지
Negotiating hybridity: transnational reconstruction of migrant subjectivity in Koreatown, Los Angeles
[66]
서적
Blue dreams: Korean Americans and the Los Angeles riots
Harvard University Press
2023-11
[67]
뉴스
Koreatown residents sue L.A. over redistricting
http://www.latimes.c[...]
2012-08-01
[68]
뉴스
Koreatown Crime
http://maps.latimes.[...]
[69]
뉴스
Oakland's got Seoul / Koreatown emerges as hub of Asian culture and downtown's rebirth
http://www.sfgate.co[...]
2002-06-13
[70]
학술지
Competing visions: Political formation of Korean Americans in Los Angeles, 1992–1997
http://aascpress.met[...]
[71]
서적
Blue dreams: Korean Americans and the Los Angeles riots
Harvard University Press
[72]
뉴스
https://www.yna.co.k[...]
2023-11-21
[73]
웹사이트
Korean Festival 2009
https://www.youtube.[...]
2009-10-15
[74]
웹사이트
A guide to Koreatown in Garden Grove: Orange County's Korean cultural center
https://www.latimes.[...]
2019-11-27
[75]
웹사이트
A Vibrant Korean Community is Thriving in North O.C.
https://voiceofoc.or[...]
2022-08-26
[76]
웹사이트
Bergen County Academies Parent Partnership Organization – Korean PPO
http://academyppo.co[...]
2010-10-28
[77]
웹사이트
The Korean-American Association of New Jersey
http://www.kaanj.org[...]
2010-10-28
[78]
웹사이트
Korean Medical Program draws 1,500 to Holy Name Medical Center in Teaneck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9-27
[79]
웹사이트
North Jersey Korean health fair data help track risks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3-09-29
[80]
웹사이트
Annual Korean health fair draws crowds at Holy Name Medical Center in Teaneck
http://www.northjers[...]
2012-10-20
[81]
웹사이트
Holy Name will screen 2,000 for Hepatitis B
http://www.northjers[...]
2012-11-24
[82]
서적
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cond Edition, Edited by Pyong Gap Min
https://books.google[...]
Pine Forge Press – An Imprint of Sage Publications, Inc.
[83]
웹사이트
Jersey Dispatch: Bergen County Koreatown
http://newyork.serio[...]
Newyork.seriouseats.com
2008-06-13
[84]
웹사이트
'Gangnam Style' dance craze catches fire in North Jersey
http://www.northjers[...]
2012-09-22
[85]
웹사이트
Koreans in North Jersey give thanks at harvest festival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3-09-14
[86]
웹사이트
Sexual slavery issue, discussed internationally, pivots around one little monument in N.J.
http://www.nj.com/be[...]
2013-06-08
[87]
웹사이트
North Jersey Korean-Americans relieved but worried about transition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1-12-20
[88]
웹사이트
Korean War vets honored at Cresskill church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1-06-26
[89]
웹사이트
Hackensack attorney appointed to court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1-01-15
[90]
웹사이트
North Jersey Koreans welcome state Supreme Court nomination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2-01-24
[91]
뉴스
Christie Names a Gay Man and an Asian for the Top Court
https://www.nytimes.[...]
2012-01-23
[92]
웹사이트
Christie nominates gay black man, Asian to N.J. Supreme Court – video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2-01-23
[93]
뉴스
In rejecting Supreme Court nominee Phillip Kwon, Dems send Gov. Christie a message
http://www.nj.com/ne[...]
2012-03-25
[94]
웹사이트
Update: Philip Kwon, rejected N.J. Supreme Court nominee, scores a top Port Authority job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2-07-26
[95]
웹사이트
Bergen County swears in first female Korean-American assistant prosecutor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2-09-04
[96]
웹사이트
ACS DEMOGRAPHIC AND HOUSING ESTIMATES 2011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 Geographies – Bergen County, New Jersey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97]
웹사이트
Korean language ballots coming to Bergen County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1-10-12
[98]
웹사이트
After decades of work, Bergen County Koreans have earned political respect
http://www.northjers[...]
2012-08-20
[99]
웹사이트
New Jersey's Korean community awakens politically
http://www.northjers[...]
2012-10-14
[100]
웹사이트
Korean-Americans to sponsor three debates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2-10-09
[101]
웹사이트
South Korean officials, Menendez lead Englewood discussion on improving joint economy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5-12
[102]
뉴스
In New Jersey, Memorial for 'Comfort Women' Deepens Old Animosity
https://www.nytimes.[...]
2012-05-18
[103]
웹사이트
Palisades Park monument to 'comfort women' stirs support, anger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2-07-12
[104]
웹사이트
Critics cause Fort Lee to reconsider monument honoring Korean WWII prostitutes
http://www.nj.com/be[...]
2013-04-06
[106]
웹사이트
Controversy puts planned 'comfort women' memorial in Fort Lee on hold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3-04-04
[107]
웹사이트
Bergen County marks International Women's Day with Korean 'comfort women' memorial
http://www.nj.com/be[...]
2013-03-08
[108]
웹사이트
Memorial dedicated to women forced into sexual slavery during WWII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Inc.
2013-03-08
[109]
웹사이트
Mixed reaction to Japan apology on 'comfort women'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5-12-28
[110]
웹사이트
Korean group petitions schools over textbook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3-05-16
[111]
웹사이트
New Jersey lawmakers cause international stir with bill to rename 'Sea of Japan'
http://www.nj.com/po[...]
2014-02-14
[112]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Bergen state lawmakers push Korean claim that Sea of Japan is East Sea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2-14
[113]
뉴스
Virginia's 'East Sea' textbook bill a nod to Korean Americans
http://www.washingto[...]
2014-04-03
[114]
웹사이트
Palisades Park library creates memorial for South Korean ferry victims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5-02
[115]
뉴스
The Price of Nice Nails
https://www.nytimes.[...]
2015-05-07
[116]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http://www.mofa.go.k[...]
2013-03-31
[117]
웹사이트
Konglish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2-07
[118]
웹사이트
Korean American day
https://www.gateway-[...]
2022-01-13
[119]
뉴스
Asian-Americans lean toward Kerry
http://www.atimes.co[...]
2004-09-16
[120]
웹사이트
The Asian American Vote in the 2008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aaldef.or[...]
[121]
웹사이트
National Asian American Survey
http://www.naasurvey[...]
2015-10-21
[122]
웹사이트
Korean Americans hate gay marriage the most
http://blogs.sfweekl[...]
2010-07-20
[123]
웹사이트
2012 AALDEF exit poll
http://aaldef.org/AA[...]
Aaldef.org
[124]
웹사이트
2016 Post-Election National Asian American Survey
https://naasurvey.co[...]
2017-05-16
[125]
뉴스
Political Briefing; To His Own Party, Persona Non Grata
https://www.nytimes.[...]
1998-04-28
[126]
뉴스
Andy Kim Is A South Jersey Boy. The GOP Calls Him 'Not One Of Us.'
https://www.huffingt[...]
2018-10-30
[127]
뉴스
Andy Kim wins in New Jersey to become the first Korean American senator.
https://www.nytimes.[...]
2024-11-06
[128]
웹사이트
Andy Kim ushers in a 'new era' as he becomes 1st Asian American N.J. senator
https://www.nbcnews.[...]
2024-11-06
[129]
웹사이트
Governor Phil Murphy Appoints Andy Kim
https://www.nj.gov/g[...]
2024-12-08
[130]
웹사이트
Meet the Four Korean American Members of the 117th Congress
https://keia.org/the[...]
2021-01-12
[131]
웹사이트
Asian Americans: A Mosaic of Faiths
https://www.pewforum[...]
2012-07-19
[132]
웹사이트
미국 내 한인교회 3천5백 개… 남가주 1천개로 '압도적'
https://www.christia[...]
2019-08-19
[133]
웹사이트
≪크리스찬투데이≫ 해외한인교회, 114년만에 6000을 넘다
http://www.christian[...]
[134]
웹사이트
크리스찬투데이
http://www.christian[...]
[135]
웹사이트
Religion Among Asian Americans
https://www.pewresea[...]
2023-10-11
[136]
서적
The Korean Americans
Greenwood Press
1998
[137]
논문
Being Buddhist in a Christian World: Gender and Community in a Korean American Temp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8]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American folklore and folklife
https://archive.org/[...]
ABC-CLIO
[139]
서적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Korean Americ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40]
서적
Cultural Blending in Korean Death Rite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0-06-10
[141]
웹사이트
Koreans in the U.S. Fact Sheet
https://www.pewresea[...]
2021-04-29
[142]
논문
Authenticity and representation: cuisines and identities in Korean-American diaspora
[143]
뉴스
The Tortilla Takes a Road Trip to Korea
https://www.nytimes.[...]
2010-07-28
[144]
웹사이트
New Jersey's 10 best Korean barbecue restaurants, ranked
https://www.nj.com/e[...]
2022-09-26
[145]
웹사이트
Palisades Park, NJ: K-Town West of Hudson
http://snoh.wordpres[...]
WordPress.com
2007-06-11
[146]
웹사이트
Thriving Korean communities make Fort Lee and Palisades Park a boon to epicures.
http://njmonthly.com[...]
Copyright 2012 New Jersey Monthly Magazine
2007-12-19
[147]
웹사이트
Bergen County's Fort Lee: Town With a View
https://www.wsj.com/[...]
2011-04-30
[148]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9-01-03
[149]
웹사이트
Ung: Destination spot for desserts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2-09
[150]
웹사이트
Five Korean dishes to try this summer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6-12
[151]
웹사이트
In Queens, Kimchi Is Just the Start – Pete Wells Explores Korean Restaurants in Queens
https://www.nytimes.[...]
2014-12-16
[152]
웹사이트
Korean coffee chain expanding in North Jersey
http://www.northjers[...]
North Jersey Media Group
2014-06-05
[153]
웹사이트
Estimates of the Unauthorized Immigrant Population Residing in the United States: January 2012
https://www.dhs.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12-01
[154]
웹사이트
https://archive.ph/2[...]
[155]
웹사이트
https://www.mofa.go.[...]
[156]
웹사이트
https://www.migratio[...]
[157]
웹사이트
https://www.nkhidden[...]
[158]
웹사이트
글로벌코리아본부
https://www.koreance[...]
[159]
논문
An Examination of the Term “Korean America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mericans
https://www.kci.go.k[...]
2019
[160]
웹사이트
제29차 미주총연 총회 덴버서 개최
https://news.koreada[...]
2022-02-23
[161]
웹사이트
재미한인
https://encykorea.ak[...]
[162]
웹사이트
Korean American Day
https://nationaltoda[...]
2021-01-13
[163]
웹사이트
美 동전에 한국계 여성 얼굴 새겨진다..장애인 인권운동가 스테이시 박 밀번
http://www.ikbc.co.k[...]
[164]
웹사이트
Korean population in United States 2023 Korean Americans
https://uscanadainfo[...]
2023-05-24
[165]
웹사이트
Top 10 States Percentage of Korean Population 2023 Zip Atlas
https://zipatlas.com[...]
[166]
웹사이트
첫 이민자 86명…118년 만에 200만 명
https://news.koreada[...]
2023-01-02
[167]
웹사이트
[올어바웃 중간선거] 10. 미 연방 정계에 진출한 한인들
https://www.voakorea[...]
2022-11-05
[168]
웹사이트
Korean picture brides of 20th century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0-04-05
[169]
웹사이트
Visa Statistics
https://travel.state[...]
[170]
웹사이트
K고전·역사로 무장… 한국계 美 소설가 속속 등장
https://www.chosun.c[...]
2023-07-19
[171]
웹사이트
LA
https://encykorea.ak[...]
[172]
웹사이트
アメリカの高速道路に『独島は韓国の土地』と記された広告看板
https://rocketnews24[...]
로켓뉴스24
2010-01-31
[173]
웹인용
ASIAN ALONE OR IN ANY COMBINATION BY SELECTED GROUPS: 2017
https://factfinder.c[...]
U.S. Census Bureau
[174]
서적
재외동포현황(2019)/Total number of overseas Koreans (2019)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75]
웹인용
Race Reporting for the Asian Population by Selected Categories: 2010
http://factfinder2.c[...]
U.S. Census Bureau
[176]
웹사이트
http://www.mofa.go.k[...]
[177]
웹인용
Asian Americans: A Mosaic of Faiths
http://www.pewforum.[...]
Pew Forum
2013-02-16
[178]
웹인용
Pew Forum - Korean Americans' Religions
https://web.archive.[...]
Projects.pewforum.org
2013-02-16
[179]
저널
A study on Ethnic Ident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of Korean Americans
https://www.kci.go.k[...]
[180]
문서
극소수 북한 혹은 중국 출신의 한민족 계통 사람을 포함하기도 한다.
[181]
웹인용
미주한인의
https://encykorea.ak[...]
2023-11-21
[182]
웹사이트
https://www.nkhidden[...]
[183]
웹인용
2021 재외동포 현황
https://web.archive.[...]
2022-04-26
[184]
웹인용
한인 인구 199만명…10년간 17% 늘었다 - 미주 한국일보
http://www.koreatime[...]
2023-11-21
[185]
웹사이트
글로벌코리아본부
https://www.koreance[...]
2023-11-21
[186]
저널
An Examination of the Term “Korean America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mericans
https://www.kci.go.k[...]
2019
[187]
웹인용
제29차 미주총연 총회 덴버서 개최
https://news.koreada[...]
2023-11-21
[188]
웹인용
U.S. Census Bureau Delivers Illinois' 2010 Census Population Totals, Including First Look at Race and Hispanic Origin Data for Legislative Redistricting
https://web.archive.[...]
U.S. Census Bureau
2011-02-20
[189]
웹인용
Historical Census Statistics on Population Totals By Race, 1790 to 1990, and By Hispanic Origin, 1970 to 1990, For The United States, Regions, Divisions, and States
https://web.archive.[...]
Census.gov
2013-02-16
[190]
웹인용
America's Asian Population Patterns 2000-2010
http://proximityone.[...]
Proximityone.com
2013-02-16
[191]
웹인용
Top 10 States Percentage of Korean Population 2023 Zip Atlas
https://zipatlas.com[...]
2023-11-21
[192]
웹인용
Korean population in United States 2023 Korean Americans
https://uscanadainfo[...]
2023-11-21
[193]
웹인용
재외동포청
http://oka.go.kr/
2023-11-21
[194]
웹인용
Meet the Four Korean American Members of the 117th Congress
https://keia.org/the[...]
2023-11-21
[195]
웹사이트
이 날을 기념하여 미 합중국 의회는 1월 13일을 한국계 미국인의 날(Korean-American Day)로 선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http://keia.org/page[...]
[196]
문서
개정된 이민법의 가장 큰 변화는 그동안 일부 제한했던 아시아인들의 이민을 허용하고 이민에 있어서 인종, 성, 국적에 의한 차별을 금한 것이다. Immigration Act of 1965.
[197]
문서
이러한 통계숫자는 1965년 이민법 개정 이전에 국제결혼이나 입양에 의해서 미국으로 건너간 이민자의 숫자를 반영한 것이 아니다. 결혼이나 입양을 통한 이민은 쿼터제 (quota system) 숫자에 적용되지 않고, 또한 곧바로 미국 시민권자가 되는 절차를 밟게 된다.
[198]
웹사이트
http://www.pewglobal[...]
[199]
웹인용
http://www.korea.kr/[...]
[200]
문서
위의 Note 2.
[20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5-03-16
[20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08-19
[203]
블로그
http://blog.naver.co[...]
[204]
웹인용
'영주권만으로는 불안' 시민권 취득 한인 증가
https://web.archive.[...]
2019-09-23
[205]
웹사이트
http://www.pewsocial[...]
[206]
간행물
미국 하와이지역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3
[207]
서적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Korean Americ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8]
저널
Authenticity and representation: cuisines and identities in Korean-American diaspo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