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연 (186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채연은 1861년 경상북도 칠곡에서 태어난 인물로, 1887년 번역관으로 미국에 건너가 초대 주미공사관에서 서기관으로 활동했다. 미국에서 대리공사로 재직하며 미국에서 태어난 첫 한국인 아들을 얻었으나, 아들을 잃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1893년 시카고 만국 박람회 한국관 총책임을 맡은 후 귀국하여 농상공부 협판, 한성판윤 등을 역임하며 근대화 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한성판윤 재직 시 한성 개조 사업을 주도하여 도시 구조를 정비하고, 한성전기회사 사장으로 취임하여 전력 사업에도 참여했다. 40세에 독살로 추정되는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화파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개화파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1900년 사망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00년 사망 - 스티븐 크레인
스티븐 크레인은 1871년에 태어나 1900년에 사망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전쟁, 인간 심리, 사회 부조리 등을 다룬 자연주의, 리얼리즘, 인상주의 혼합의 독창적인 문학 스타일을 선보였다. - 1861년 출생 - 손병희
손병희는 조선 말 동학의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종교인, 독립운동가로서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3·1 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인내천 사상을 강조했다. - 1861년 출생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채연 (186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채연 |
본명 | 이채연 |
출생 | 1861년 |
출생지 | 경상북도 칠곡 |
본관 | 광주 이씨 |
사망 | 1900년 8월 15일 |
사인 | 독살 |
국적 | 조선 |
부모 | 이이봉(부), 김녕 김씨(모) |
배우자 | 안동 장씨, 성주 배씨 |
학력 | 갑오(甲午) 전시(殿試) 갑과(甲科) 3위 |
직업 | 한성부 판윤, 한성전기 회사 사장, 농상공무 협판 |
2. 생애
이채연은 1861년 경상북도 칠곡에서 통사랑(通仕郞) 선공감가감역관(繕工監假監役官) 이이봉(李以鳳)의 아들로 태어났다. 1887년 번역관으로 미국에 파견되어 초대 주미 공사관에서 근무했다.[2] 워싱턴 D.C.에서 아들을 얻었으나,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잃었다.[3][4]
1893년 시카고 만국 박람회에서 한국관 개설을 총괄했다.[5] 같은 해 조선으로 귀국하여 고종에게 보고하였다.[6]
1894년 문과에 급제한 후,[7] 제2차 김홍집 내각의 농상공부 협판으로 갑오개혁에 참여하였다.[8] 아관파천 직후 한성판윤으로서 한성부 도시 개조 사업을 주도하였고,[10] 1898년 1월 26일 한성전기회사 설립 후 2월에는 이 회사의 사장을 맡았다.[14]
2. 1. 생애 초기 및 미국에서의 생활
이채연은 1861년 경상북도 칠곡에서 통사랑(通仕郞) 선공감가감역관(繕工監假監役官) 이이봉(李以鳳)의 아들로 태어났다. 1887년 번역관으로 미국에 파견되어 초대 주미 공사관에서 근무했다.[2] 워싱턴 D.C.에서 미국에서 태어난 첫 한국인 아들 Ye Washon을 얻었으나,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잃었다.[3][4]2. 1. 1. 미국에서의 활동
이채연은 1887년 번역관 직책으로 미국에 처음 발을 내디뎠고 이듬해 서기관이 되었다. 초대 주미 공사관원은 전권공사 박정양, 참찬관 이완용, 번역관 이채연, 서기관 이하영, 이상재, 수행원 2명, 무관 1명, 하인 2명 등 모두 10명이었으며, 미국의 의사 알렌이 외국인 참찬관 자격으로 동행했다. 박정양 일행보다 두 달 먼저 출발한 알렌을 제외하면, 이들 가운데 영어를 조금 할 수 있는 사람은 이완용, 이하영, 이채연 세 명뿐이었다.[2] 이완용에 이어 대리공사로 재직하던 중, 미국 워싱턴 D.C.에서 미국에서 태어난 첫 번째 한국인 아들을 낳았으나,[3] 아들의 이름을 Ye Washon으로 지었지만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잃었다.[4]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Chicago Worl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한국관을 개설하고 총책임을 맡았다.[5] 이후 미국에서의 공식적인 모든 일정을 마치고 1893년 조선으로 귀국하여 고종에게 보고하는 것으로 미국에서의 모든 임무를 끝마쳤다.[6]2. 2. 귀국 후 활동
이채연은 1894년(고종 31) 문과에 급제한 후,[7] 제2차 김홍집 내각의 농상공부 협판으로 임명되어 갑오개혁에 참여하였다.[8] 아관파천 직후 한성판윤에 임명되어 한성부 도시 개조 사업을 주도하였고,[10] 1898년 1월 26일 한성전기회사 설립 후 2월에는 이 회사의 사장을 맡았다.[14]2. 2. 1. 농상공부 협판
이채연은 1894년(고종 31) 갑오 식년시 진사 3등 928위로 생원진사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갑오 전시 갑과 3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7] 이후 제2차 김홍집 내각에서 농상공부 협판을 맡아 갑오개혁 추진에 참여하였다.[8] 농상공부는 조선 후기 농업, 상업, 공업 및 우체, 전신, 광산, 선박 관련 사무를 담당하던 관청이었다. 협판은 칙임관 3등급으로 봉급은 2500KRW이었으며, 이채연은 최초로 농상공부 협판에 임명된 인물이다.[9]2. 2. 2. 한성판윤
아관파천 직후 한성판윤에 임명된 이채연은 한성부의 도시 개조 사업을 주도했다.[10] 이 사업은 조선의 근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1896년에 시행되었다. 1896년 9월 28일 발령된 내부령 제9호 「한성부 도로의 폭을 규정하는 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중요 사업을 포함했다.# 종로, 남대문로 등 한성부 주요 간선도로를 침범한 무허가 가옥 철거 및 본래 도로 공간 회복.
# 아관파천 이후 법궁(法宮)으로 새로 건설된 경운궁 대안문(大安門) 앞을 중심으로 방사상 도로를 신설하여 기존 도로들과 연결, 도시 구조를 방사상 도로 중심으로 재정립.
# 경운궁을 비롯한 주요 시설을 연결할 간선도로망 정비.
이 외에도 경운궁, 독립문, 원구단, 황제즉위 40주년 기념 비전 축조 및 독립공원, 경운궁 퍼브릭 파크, 탑골공원 조성 등이 있다. 또한, 한성 시내에 전기, 수도, 전차, 철도를 도입했다. 이채연은 도로 정비 사업을 위해 도로를 침범하는 것들을 철거했다.[10] 길거리에서 물건을 팔거나 자판에서 상행위를 하는 사람들을 엄히 다스려 처벌했다.[11]
새 법궁이 된 경운궁의 대안문을 기점으로 방사성도로를 만들었는데, 이는 이채연이 워싱턴 D.C.에서 대리공사로 재임하던 시절에 본 것을 한양 도로 정비 사업에 적용한 것이다.[10] 시청 앞 서울광장의 현재 모습도 한성 개조 사업 때의 모습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서울광장의 6거리 체계도 정연한 형태는 아니지만 외형상 방사상 도로에 속한다. 이채연 외에도 총리대신 겸 내부대신 박정양, 내부 토목국장 이상재가 이 일을 추진했다. 독립신문은 이러한 이채연의 한성 개조 사업에 대해 높이 칭찬하였다.[13]
2. 2. 3. 한성전기회사 사장
1898년 1월 26일 한성전기회사 설립이 허가되었다. 이해 2월 이채연이 한성전기회사 사장에 취임하였다.[14]3. 죽음
1900년, 만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독살로 추정되며, 윌리엄 샌즈는 회고록에서 이용익 등 친러파 세력이 배후에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8][19][20]
3. 1. 독살 의혹
이채연은 만 40세에 사망했는데,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의 친구인 윌리엄 F. 샌즈는 회고록에서 독살로 추정했다. 이채연은 죽기 직전 샌즈에게 자신의 아들을 보살펴 줄 것과, 자신과 같이 저녁을 먹었던 사람들의 반응을 알아봐 줄 것을 부탁했다. 샌즈의 소식통에 따르면, 이채연과 저녁을 먹은 사람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죽었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들은 직후 이채연은 샌즈의 품에서 죽었다.[18] 이채연과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던 콜브란은 그의 죽음이 독살이며, 그 배후에 이용익이 있다고 확신했다.[19]이채연의 죽음은 콜브란의 사업 확대와 관련이 있다. 콜브란의 대대적인 사업 확장은 한국의 정치·경제적 침탈을 노리던 일본의 반발을 초래했다. 황실도로 건설과 수도설비 부설 등을 둘러싸고 일본과 심각한 갈등을 벌인 것이 그 예이다. 또한, 친미개화파(특히 이채연)와 황실 측근 세력(특히 이용익) 간의 권력 쟁탈전도 이채연의 죽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4. 성격
이채연은 미국에서도 매우 신사적으로 행동했다고 알려져 있다.[21] 이사벨라 버드 비숍에 의하면 한성판윤으로 재직하던 중에는 권위적이고 똑똑한 우두머리였다고 한다.[22] 외국인들을 대할 때도 예를 갖추어서 대했으며, 1896년 말 철도 회사와 광산 회사의 사람들을 대접할 때 서양의 접대 절차에 따라서 격식있게 예를 갖추었다.[23]
5. 인맥
워싱턴 D.C.에서 조선 황태자의 생일 축하 피로연을 열었을 때, 미국의 상원 의원 프라이(Frye), 데이비스(Davis)와 차관보 퀴니(Mr. Quiney), 워커(Walker) 제독 및 멕시코, 영국, 일본, 독일, 니카라과 공사들이 참여하는 등 이채연은 미국에서 대리공사로 재직하면서 국외에서도 많은 인맥을 소유하였다.[24]
참조
[1]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이채연
http://100.naver.com[...]
[2]
논문
韓國近代의 西洋語通譯史(2)1883년부터 1886년까지
2003
[3]
뉴스
The New York Times, October 13 1890
The New York Times
1890-10-13
[4]
뉴스
The Baltimore Sun, December 25 1890
The Baltimore Sun
1890-12-25
[5]
뉴스
Chicago Daily Tribune, May 2 1893
Chicago Daily Tribune
1893-05-02
[6]
뉴스
The Washington Post, September 16 1893
The Washington Post
1893-09-16
[7]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
2016-04-01
[8]
뉴스
The New York Times, Jan 30 1895
The New York Times
1895-01-30
[9]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농상공무
http://100.naver.com[...]
[10]
논문
1896-1904년 서울 도시개조사업의 주체와 지향성
1997
[11]
뉴스
독립신문, 1897. 4. 17.
독립신문
1897-04-17
[12]
뉴스
'[인문학 산책] 120여년전 서울광장에 숨겨진 고종의 개혁의지'
http://www.hankyung.[...]
한경신문
2009-05-02
[13]
뉴스
독립신문, 1897. 11. 7.
독립신문
1897-11-07
[14]
간행물
Proposed electric trolley street railway in Seoul
1898-02-15
[15]
논문
1898~1904년 한성전기회사의 설립과 경영변동
2007
[16]
논문
대한제국기 미국관료지식인의 한국 인식-궁내부 고문관 샌즈(W. F.Sands)를 중심으로
2005
[17]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한성전기회사
http://100.naver.com[...]
[18]
서적
Undiplomatic Memories
New York
1930
[19]
간행물
1902-02-13
[20]
논문
한국근대 電力産業의 발전과 京城電氣(株)
2006
[21]
뉴스
Chicago Daily Tribune, April 25 1888
Chicago Daily Tribune
1888-04-25
[22]
서적
KOREA and Her Neighbors
1897
[23]
뉴스
독립신문, 1896. 12. 26.
독립신문
1896-12-26
[24]
뉴스
The New York Times, March 26, 1893
The New York Times
1893-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