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돌포 그라치아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돌포 그라치아니는 이탈리아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군에서 복무했으며 리비아와 에티오피아에서 식민지 통치를 수행했다. 그는 리비아에서 세누시 반란 진압 과정에서 잔혹 행위로 "페잔의 학살자"라는 별명을 얻었고, 에티오피아에서는 보복 명령으로 "예카티트 12일" 사건을 일으켜 "에티오피아의 학살자"로 불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영국군에 패배하고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전후에는 전범 재판에서 19년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었으며, 네오 파시즘 정당인 이탈리아 사회 운동(MSI)에서 활동했다. 1955년 사망 후 그의 기념비 건립이 논란이 되었으며, 여러 저서를 남겼다.
로돌포 그라치아니는 프로시노네도 필레티노에서 태어났다.[38] 그는 1903년 이탈리아 왕립 육군에 입대하여 1906년 소위로 임관했다.[5]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에 배치되어 아랍어와 티그리냐어를 배웠다.[6]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육군 역사상 최연소 대령이 되었다.[6]
1930년 파시스트 정부는 그라치아니를 리비아의 키레나이카 부총독이자 이탈리아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1934년까지 그곳에서 복무하며 세누시 반란을 진압했는데, 이른바 "리비아 평정" 과정에서 여러 강제 수용소와 노동 수용소 건설을 주도하여 수천 명의 리비아인이 사망했다. 일부는 오마르 무크타르처럼 교수형이나 총살을 당했지만, 대부분은 기아나 질병으로 사망했다.[7] 이러한 그의 행적은 아랍인들 사이에서 그에게 "페잔의 학살자"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8]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2. 1. 초기 생애
1882년 8월 11일, 로마 근교 라치오주 프로시노네현 파일레티노에서 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24] 처음에는 부모의 뜻에 따라 수비아코의 신학교에 다녔다.[24] 이후 로마의 토르콰토 타소 고등학교에서 공부했다.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해 모데나 육군사관학교에 지원할 수 없었고, 아버지의 권유로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다.[4]
2. 2. 군 경력 초기
1903년, 그라치아니는 이탈리아 왕립 육군에 예비 장교 후보생으로 입대했다. 1906년에는 정규 장교 시험에 합격하여 소위로 임관, 로마에 주둔한 제1 근위 연대에 배치되었다.[5]
그는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에 배치되어 아랍어와 티그리냐어를 배웠다.[6] 1911년, 에리트레아에서 뱀에 물려 입원하는 바람에 이탈리아-터키 전쟁에 참전하지 못했다.[6] 요양 후 이탈리아로 돌아와 대위로 진급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육군 역사상 최연소 대령(Colonnello)이 되었다.
3. 식민지 통치와 전쟁 범죄
1935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총독으로 임명된[27] 그라치아니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남부 전선 사령관을 맡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 에티오피아를 침공, 제날레 도리아 전투와 오가덴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을 지휘했다.[9] 1936년 5월 9일, 전공을 인정받아 이탈리아 원수로 승진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총독 겸 셰와/아디스아바바 총독이 되었다.
1937년 2월 19일, 에리트레아인 두 명이 그라치아니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그라치아니는 에티오피아인들에 대한 대대적인 보복을 명령했고, 이는 에티오피아인들에게 ''예카티트 12일''로 기억되는 학살로 이어졌다.[9] 아디스아바바에서만 최대 3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고, 수많은 에티오피아인들이 즉결 처형되거나 투옥, 추방되었다. 이 사건으로 그라치아니는 "에티오피아의 학살자"라는 오명을 얻게 되었다.[9]
3. 1. 리비아
1930년 파시스트 정부는 그라치아니를 리비아의 키레나이카 부총독이자 이탈리아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1934년까지 그곳에서 복무하며 리비아 평정을 통해 세누시 반란을 진압했다. 이른바 "평정" 과정에서 그는 여러 강제 수용소와 노동 수용소 건설을 주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리비아 포로가 사망했다. 일부 포로는 오마르 무크타르와 같이 교수형에 처해지거나 총살되었지만, 대부분은 기아 또는 질병으로 사망했다.[7] 그의 행적은 아랍인들 사이에서 그에게 "페잔의 학살자"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8]
1930년 3월, 육군 중장으로 승진한 그라치아니는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영문판)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그는 사누시 교단의 지도자 오마르 무흐타르를 체포했다. 무흐타르의 처우에 대해 상관인 피에트로 바돌리오 육군 원수는 약식 처형을 요구했으나, 그라치아니는 정식 군사 재판을 열었다. 같은 해 9월 16일, 무흐타르는 정전 협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에 처해졌다.
3. 2. 에티오피아
1935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27] 1935년부터 1936년까지 벌어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남부 전선 사령관을 맡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 에티오피아를 침공, 제날레 도리아 전투와 오가덴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을 지휘했다.[9] 그러나 남부 전선에서의 그라치아니의 활약은 에밀리오 데 보노가 에리트레아에서 시작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이어나간 주공세에 비해 부차적인 것이었다. 철의 의지 행진 이후 승리하여 아디스아바바에 입성한 것은 그라치아니가 아닌 바돌리오였다.
1936년 5월 9일, 그라치아니는 남부 전선 사령관으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이탈리아 원수로 승진했다. 전쟁 후에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총독 겸 셰와/아디스아바바 총독이 되었다.
1937년 2월 19일, 두 명의 에리트레아인이 그라치아니를 암살하려다 실패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그라치아니는 에티오피아인들에 대한 대대적인 보복을 명령했고, 이는 에티오피아인들에게 ''예카티트 12일''로 기억되는 학살로 이어졌다.[9] 아디스아바바에서만 최대 3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되었고, 수많은 에티오피아인들이 즉결 처형되거나 투옥, 추방되었다. 이 사건으로 그라치아니는 "에티오피아의 학살자"라는 오명을 얻게 되었다.[9]
그라치아니는 데브레 리바노스 수도원의 수도사들과 순례자들을 학살하도록 명령했는데, 이는 암살 시도에 대한 보복이자 에티오피아 정교회 성직자들에 대한 깊은 불신 때문이었다.[9]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그라치아니는 이탈리아 육군 참모 총장이었다. 그는 군비 부족을 이유로 참전에 반대했지만, 베니토 무솔리니는 1940년 6월 10일에 참전을 결정했다. 같은 해 7월 1일, 이탈로 발보가 사망하자 그라치아니는 리비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0]
무솔리니는 아돌프 히틀러의 요청으로 동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 식민지에서 공세를 계획했지만, 이탈리아군은 영국군보다 장비와 물자가 부족했다. 그라치아니는 공세 계획에 비판적이었으나, 무솔리니는 1940년 8월 8일 영국령 이집트 침공을 명령했다(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10]
리비아 방면군은 제5군 (이탈리아)과 제10군 (이탈리아)로 나뉘었고, 원정 부대는 제10군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라치아니는 알렉산드리아로 향하는 철도망 확보와 마르사 마트루 점령을 목표로 삼았다. 마리오 베르티 육군 대장이 이끄는 제21군단과 제23군단이 진군했지만, 시디 바라니에서 공세 한계점에 도달하여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그라치아니는 베르티를 해임하고 주세페 텔레라 육군 중장으로 교체했다. 시디 바라니에 진지를 건설하며 증원을 요청했지만, 진지 건설은 미완성이었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그리스 전쟁을 시작하면서 원군 파견은 연기되었다. 1940년 12월 8일, 영국군의 반격 작전인 컴파스 작전이 시작되자, 이탈리아군은 방어선이 돌파당하고 포위 섬멸되었다. 그라치아니는 잔여 병력에게 키레나이카로 철수를 허가했지만, 이탈리아군은 후퇴 중 포위되었고, 테렐라 중장은 전사했다. 안니발레 베르곤졸리 육군 중장의 지휘 아래 바르디아에 방어선을 재구축했지만, 영국 해군의 함포 사격으로 소모된 끝에 돌파당했다. 11만 5천 명이 포로로 잡혔고, 이탈리아 제10군은 괴멸되었다. 그라치아니는 트리폴리의 야전군 사령부에서 책임을 지고 사임하고 퇴역했다.
1943년 9월 18일, 무솔리니가 나치 독일에 의해 구출되어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이 건국되자, 그라치아니는 RSI 정부의 요청에 따라 공화 파시스트당에 입당했다. 피에트로 바돌리오와 조반니 메세는 남부 왕국 정부에 참여하고, 우고 카발레로와 에밀리오 데 보노는 RSI 정부에서 처형된 상황에서, 육군 원수 칭호를 가진 그라치아니의 협력은 매우 큰 의미를 지녔다.[28]
무솔리니는 그라치아니를 국방 장관으로 임명했고,[28] 그라치아니는 독일 국방군과 협력하여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방군 편성에 착수, 4개 보병 사단을 전선에 배치했다. 정권 후반, 독일군으로부터 독립 지휘권을 인정받아 리구리아 군집단을 편성하고, 알프레도 구초니(英語版) 육군 대장을 군집단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리구리아 군집단은 가르파냐나 전투(英語版)에서 연합군에게 전술적 승리를 거두었다.[29] 1945년 4월 27일, 남유럽 추축군의 총붕괴와 무솔리니 처형으로 RSI 정부는 해산되었고, 4월 29일 RSI 군도 연합군과 휴전 협상에 들어가 국방 장관 그라치아니의 서명으로 무장 해제되었다.
4. 1. 북아프리카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그라치아니는 이탈리아 육군 참모 총장이었다. 1940년 6월 이탈로 발보 원수가 사망한 후, 이탈리아령 북아프리카의 사령관 겸 리비아 총독이 되었다.베니토 무솔리니는 그라치아니에게 1940년 8월 8일까지 제10군을 이끌고 이집트를 침공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라치아니는 자신의 군대가 영국군을 격파할 능력이 있는지 의심했고, 침공을 늦추려 했다.
그러나 강등될 위기에 처하자, 그라치아니는 결국 1940년 9월 9일 제10군 4개 사단을 이끌고 이집트 침공을 시작했다. 이탈리아군은 시디 바라니를 점령하고 요새화된 캠프를 구축했다. 1940년 12월, 컴파스 작전에서 영국군은 반격하여 제10군을 격파했다. 1941년 3월 25일, 그라치아니는 이탈로 가리볼디 장군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2년간 활동이 없었다.[10]
1939년 9월 1일,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육군 참모총장으로서 "군비가 부족하다"며 참전 반대를 표명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1940년 6월 10일에 참전을 결정했다. 1940년 7월 1일, 발보가 사망한 후, 후임 리비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아돌프 히틀러의 요청으로 무솔리니는 동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 식민지에서 공세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육군 및 식민지군은 영국군보다 장비와 물자가 부족했다. 발보와 그라치아니는 공세 계획을 비판했다.
무솔리니는 원정을 강행했고, 1940년 8월 8일에 영국령 이집트 원정을 명령했다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
리비아 방면군은 제5군 (이탈리아)과 제10군 (이탈리아)로 나뉘었다. 원정 부대는 제10군을 중심으로 했다. 그라치아니는 작전 목표를 알렉산드리아로 통하는 철도망 확보, 마르사 마트루 점령으로 했다. 마리오 베르티 육군 대장은 제21군단·제23군단을 이끌고 진군했다. 전투는 시디 바라니에서 공세 한계점에 도달하여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그라치아니는 베르티를 해임하고, 주세페 텔레라 육군 중장으로 교체했다. 시디 바라니에 진지를 건설하며 증원을 요청했지만, 진지 건설은 완성되지 않았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그리스 전쟁을 실시하면서 원군 파견은 연기되었다.
1940년 12월 8일, 영국군의 반격 작전 "컴파스"가 발동되자, 이탈리아군은 방어선을 돌파당하고 포위 섬멸되었다. 그라치아니는 잔여 병력에게 키레나이카로 철수를 허가했지만, 이탈리아군은 후퇴 중 포위되었고, 테렐라 중장은 전사했다. 안니발레 베르곤졸리 육군 중장의 지휘 하에 바르디아에 방어선을 재구축했지만, 영국 해군의 함포 사격으로 소모된 끝에 돌파당했다. 11만 5천 명이 포로로 잡혔고, 이탈리아 제10군은 괴멸되었다. 그라치아니는 트리폴리의 야전군 사령부에서 책임을 지고 사임하고 퇴역했다.
대안인 원군 파견이 거부된 상태에서의 패배였지만, 그라치아니는 항변하지 않았다.
4. 2.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1943년 9월 18일, 무솔리니가 나치 독일에 의해 구출되어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이 건국되자, 그라치아니는 RSI 정부의 요청에 따라 공화 파시스트당에 입당했다. 피에트로 바돌리오와 조반니 메세는 남부 왕국 정부에 참여하고, 우고 카발레로와 에밀리오 데 보노는 RSI 정부에서 처형된 상황에서, 육군 원수 칭호를 가진 그라치아니의 협력 표명은 매우 큰 의미를 지녔다.[28]무솔리니는 그라치아니를 국방 장관으로 임명했고[28], 그라치아니는 독일 국방군과 협력하여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방군 편성에 착수, 4개 보병 사단을 전선에 배치했다. 정권 후반, 독일군으로부터 독립 지휘권을 인정받아 리구리아 군집단을 편성하고, 알프레도 구초니(英語版) 육군 대장을 군집단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리구리아 군집단은 가르파냐나 전투(英語版)에서 연합군에게 전술적 승리를 거두었다.[29] 1945년 4월 27일, 남유럽 추축군의 총붕괴와 무솔리니 처형으로 RSI 정부는 해산되었고, 4월 29일 RSI 군도 연합군과 휴전 협상에 들어가 국방 장관 그라치아니의 서명으로 무장 해제되었다.
4. 3. 전범 재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라치아니는 나치 협력 혐의로 이탈리아 군사 법원에서 19년형을 선고받았으나, 변호사가 그의 행동이 "명령을 받은 후"에 이루어졌음을 입증하여 4개월 만에 석방되었다.[16] 그는 다른 구체적인 전쟁 범죄에 대해서는 추가 기소를 받지 않았다.[16] 독일과 일본과 달리, 이탈리아 지휘관들은 연합국 재판소에 의해 기소되지 않았다.국제 연합 전쟁 범죄 위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이 저지른 전쟁 범죄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그라치아니가 1937년 2월에 명령한 학살[13] 등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그를 재판에 회부하려 했다. 1948년 3월 4일, 그라치아니에 대한 혐의가 국제 연합 전쟁 범죄 위원회에 제출되었고, 위원회는 그라치아니를 포함한 8명의 이탈리아인에 대해 일응의 증거가 있다고 동의했다.[13]
그러나 연합군은 이탈리아 군 계층 내에서 누가 실제로 범죄 명령을 내렸는지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이탈리아인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영국 정부는 이러한 입장을 확고하게 지지했으며, 미국은 "이탈리아의 침략에 대한 모호함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책을 추구했다. 결국 에티오피아는 요청을 철회할 수밖에 없었다.[14][15]
이탈리아에서도 파시스트 정권 관계자에 대한 전범 재판이 실시되었다. 국제 전범 법정이 아닌, 이탈리아 국내 재판으로 실시하는 것이 국제 연합에 의해 인정되었다. 법정에서 그라치아니는 주로 "나치스 독일 정부 및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정부에의 협력"을 죄상으로 추궁받아 금고 19년을 선고받았다. 공화제로 이행한 이탈리아의 국제 사회 복귀를 서두르던 국제 연합은 재판 결과를 받아들였지만, 이탈리아 왕국 시대의 식민지 및 점령지에 있어서의 전쟁 책임이 추궁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특히 재독립을 달성한 에티오피아 제국 정부로부터 국제 연합에 항의가 행해졌다.
1948년, 에티오피아는 그라치아니 등 여러 요인이 아비시니아인 절멸을 군과 행정 기관에 명령했다며, 연합국 전쟁 범죄 위원회에 제소했다.[33] 국제 연합은 그라치아니를 포함한 8명의 이탈리아 왕국 시대의 장군에게 민족 정화 의사가 있었음을 인정했지만,[34] 상임 이사국인 영국의 강력한 반대로 이탈리아 왕국군의 장교를 국제 연합이 전범으로 추궁하는 것은 기각되었다.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연방 등과 같은 분쟁을 안고 있었던 점도 있어, 최종적으로 에티오피아 정부는 제소를 단념했다.
1952년, 연합국 및 이탈리아 공화국의 은사로 금고 4년으로 형기가 단축되어, 그라치아니는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35]
4. 4. 정치 활동
그라치아니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범으로 기소되어 금고 19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52년 은사로 석방되었다.[35] 석방 후 군으로 복귀하지 않고, 구 공화 파시스트당 당원들이 결성한 네오 파시즘 정당 이탈리아 사회 운동(MSI)에 참여했다.[35] 유니오 발레리오 보르게세 해군 중령과 함께 MSI의 후견인 역할을 맡았으며, 1953년에는 MSI 지도부로부터 명예 당수 칭호를 받았다. MSI는 전후 이탈리아에서 5번째로 큰 정당으로 성장하여 이탈리아 공산당과 대립하고 기독교민주당과 내각 외 협력을 맺는 등 이탈리아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1955년 1월 11일, 그라치아니는 로마에서 72세의 나이로 병사했다.[35]5. 사망과 논란
1954년 가을 무렵, 그라치아니는 쇠약해졌고 건강 문제도 심해졌다. 정신 건강도 악화되어 때때로 자신이 여전히 아디스아바바의 제국 부왕이라고 생각하며 잠에서 깨어나기도 했다. 연말 무렵에는 심한 고통에 시달렸고 1954년 12월 26일에 수술을 받았다. 수술은 잘 진행되어 1955년 1월 첫째 주 동안 회복하기 시작했다. 1월 10일, 그의 건강은 갑자기 급격히 악화되었다. 자정에 혼수상태에 빠졌고, 오전 4시에 잠시 의식을 되찾아 "내 시간이 되었다면, 나는 침착하게 가서 하느님의 심판을 받겠다"라는 마지막 말을 남겼다. 그는 1955년 1월 11일 오전 6시 로마에서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
1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로마의 성 벨라르미노 성당 앞에서 열린 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현수막을 들고 찬송가를 부르며 파시스트식 경례를 하는 군중들이 거리를 가득 메웠다.[17]
2012년 8월, 16만달러의 공적 자금이 아필레에 있는 그라치아니의 묘 위에 대형 기념비를 건립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기금은 아필레 시장인 에르콜레 비리의 사적 기금으로 보충되었다. 새 묘소에는 "조국"과 "명예"라는 글귀가 새겨졌다. 지방 좌파 정치인들과 전국 평론가들은 이 기념비를 혹독하게 비판했지만, 마을의 "대부분 보수적인" 주민들은 이를 지지했다.[18] 2013년 지방 선거 이후 새로 선출된 라치오 행정부는 그라치아니 기념비에 대한 공적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19] 에티오피아 외무부는 그라치아니가 기념될 자격이 없고, 전쟁 범죄, 집단 학살, 그리고 반인륜적 범죄로 역사 속에서 비난받아야 한다고 밝혔다.[19] 2017년, 비리와 다른 두 명의 아필레 시의원은 기념비를 건립한 죄로 "파시즘 옹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 법원은 기념비 철거를 명령하지 않았다.[20][21]
6. 저서
7. 대중문화
1981년 전쟁 영화인 ''사막의 사자''에서 영국 배우 올리버 리드가 그라치아니 역을 맡았다. 이 영화는 개봉 당시 줄리오 안드레오티 총리의 "군대의 명예를 훼손한다"는 발언으로 인해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상영 금지되었다.[23]
로돌포 달 프라는 이탈리아 영화 ''무솔리니 최후의 날''에서 그라치아니 역을 연기했다.
이탈리아의 가수이자 작곡가인 프랑코 바티아토는 자신의 노래 "리비아 총독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Lo sai che quell'idiota di Graziani farà una brutta fine" (알다시피, 그 멍청한 그라치아니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할 것이다)라는 구절을 통해 그라치아니를 언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raziani
[2]
웹사이트
La brutta storia del monumento a Graziani
https://www.affrica.[...]
[3]
웹사이트
Graziani, Rodolfo
http://www.treccani.[...]
Enciclopedia Treccani
2014-06-11
[4]
서적
Rodolfo Graziani: Story of an Italian General
Fonthill Media
2021
[5]
서적
Una vita per l'Italia
Mursia
1994
[6]
서적
Una vita per l'Italia
Mursia
1994
[7]
뉴스
Italian atrocities in world war two
http://education.gua[...]
The Guardian
2001-06-25
[8]
서적
Muslim Tribesmen and the Colonial Encounter in Fiction and on Film: The Image of the Muslim Tribes in Film and Fiction.
Het Spinhuis
2001
[9]
서적
Haile Selassie's War
Olive Branch
2003
[10]
문서
Encyclopedia of World War II
[11]
Youtube
Video of Graziani in 1944 (in Italian)
https://www.youtube.[...]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The Scarecrow Press, Inc
[13]
간행물
Italian Fascist War Crimes in Ethiopia: A History of Their Discussion, from the League of Nations to the United Nations (1936–1949)
[14]
서적
The History of Ethiop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London
[15]
간행물
The Missed Italian Nuremberg: The History of an Internationally-sponsored Amnesty
https://ssrn.com/abs[...]
University of Rome
[16]
웹사이트
Rodolfo Graziani biography
http://www.treccani.[...]
[17]
서적
Rodolfo Graziani: Story of an Italian General
https://books.google[...]
Fonthill Media
2022-03-31
[18]
뉴스
Village's Tribute Reignites a Debate About Italy's Fascist Past
https://www.nytimes.[...]
2012-08-29
[19]
뉴스
Governor of Lazio calls for withdrawal of funds for Graziani monument
https://www.therepor[...]
2013-04-27
[20]
뉴스
Italian mayor, councillors jailed over monument to fascist general
https://www.thelocal[...]
2024-01-07
[21]
뉴스
Mayor, two councillors convicted for apology of Fascism
https://www.ansa.it/[...]
2024-01-07
[22]
웹사이트
Graziani, Rodolfo
https://openlibrary.[...]
[23]
웹사이트
Culture and Books Review, third year, twenty-fourth issue (Sept-Oct 2005)
http://www.scriptama[...]
2007-01-04
[24]
웹사이트
Graziani, Rodolfo
http://www.treccani.[...]
Enciclopedia Treccani
2014-06-11
[25]
뉴스
Italian atrocities in world war two
http://education.gua[...]
The Guardian
2001-06-25
[26]
문서
Muslim Tribesmen and the Colonial Encounter in Fiction and on Film: The Image of the Muslim Tribes in Film and Fiction.
Het Spinhuis
2001
[27]
문서
Haile Selassie's War
Olive Branch
2003
[28]
Youtube
Video of Graziani in 1944 (in Italian)
https://www.youtube.[...]
[29]
웹사이트
Garfagnana and Operation Wintergewitter
http://digilander.li[...]
[30]
문서
null
[31]
문서
null
[32]
문서
null
[33]
간행물
Italian Fascist War Crimes in Ethiopia: A History of Their Discussion, from the League of Nations to the United Nations (1936?1949)
[34]
간행물
Italian Fascist War Crimes in Ethiopia: A History of Their Discussion, from the League of Nations to the United Nations (1936?1949)
[35]
웹사이트
Rodolfo Graziani biography
http://www.treccani.[...]
[36]
뉴스
Monument to Graziani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37]
웹사이트
Governor of Lazio calls for withdrawal of funds for Graziani monument
http://www.thereport[...]
[38]
웹인용
Graziani, Rodolfo
http://www.treccani.[...]
Enciclopedia Treccani
2014-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