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도는 대한민국 서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의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아우른다. 지리적으로는 서북쪽으로 금강, 동쪽으로 소백산맥과 섬진강을 경계로 충청도와 경상도에 접하며, 서쪽으로는 황해, 남쪽으로는 동중국해에 면한다. 고려 시대 전라주도로 처음 명명되었으며, 전주와 나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라는 명칭이 유지되었고,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었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리되었다. 전라도는 서남 방언을 사용하며, 정치적으로는 평화민주당 계열 정당의 지지 기반이 강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8년 설치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1018년 설치 - 경상도
경상도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신라, 가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낙동강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으로, 부산, 대구, 울산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영남'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고려의 행정 구역 - 경상도
경상도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신라, 가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낙동강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으로, 부산, 대구, 울산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영남'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고려의 행정 구역 - 향·소·부곡
향·소·부곡은 신라와 고려 시대에 일반 군현과 달리 특수한 행정 구역으로, 특산물을 바치고 농산물, 수공업품, 광물 등을 생산했으며, 신분과 기원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다가 조선 초기에 폐지되었다. - 고려의 도 - 경상도
경상도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여 신라, 가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낙동강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으로, 부산, 대구, 울산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영남'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현대 정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고려의 도 - 관내도 (고려)
개경을 중심으로 한 경기 지역과 황해도 일대를 관할했던 고려 시대의 행정 구역인 관내도는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개성부, 남경유수관 양주, 해주, 황주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전라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역사적인 한국의 행정 구역 |
이름 | 전라도 |
한국어 표기 | 전라도 (전라) |
한자 표기 | 全羅道 (全羅) |
로마자 표기 | Jeolla-do (Jeolla) |
맥큔-라이샤워 표기 | Chŏlla-do (Chŏlla) |
수도 | 전주 |
방언 | 전라 |
국가 | 조선 |
설치 | 1395년 |
해체 | 1895년 |
현재 행정 구역 |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금산군 |
정치 | |
행정 구역 | 도 |
지도자 직책 | 관찰사 |
2. 지리
서북부는 금강 하류를 경계로 충청도와 접하고, 동쪽으로 소백산맥과 섬진강을 경계로 경상도와 접한다. 영산강, 섬진강, 만경강 등이 흐른다. 주요 도시로는 광주광역시,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 목포시, 남원시, 순천시, 여수시 등이 있다.
삼한 시대에 전라도 지역에는 마한 연맹체가 있었으며, 제주도에는 탐라국이 있었다.[1] 1세기 무렵, 노령산맥 이북의 마한 소국들은 백제 온조왕과 다루왕에게 통합되었다. 노령산맥 이남의 마한 세력은 백제의 영향 아래 침미다례라는 연맹을 형성했다. 고구려의 공격으로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하면서 백제의 영향력이 약화되자 가야가 순천, 여수 등지를 침략하고, 남원 일대에 기문 지방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이후 국력을 회복한 백제가 침미다례를 탈환하고 가야 세력을 축출하여 전라도의 마한 세력은 완전히 백제에 통합되었다. 백제는 지방행정단위인 5방(方) 가운데 현재의 전라북도 지역에 고부군을 치소로 중방(中方), 전라남도 지역에 장성을 중심으로 남방(南方)을 설치하였다. 백제 무왕은 익산을 천도지로 선정하고 미륵사를 창건했다.
3. 역사
신라는 660년 당의 도움을 받아 백제를 정복하면서, 그 지역은 후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는 문무왕 16년의 일이었다.[1] 신라는 이 지역을 9주(州)와 5경(京)으로 재편성하였는데, 그중 3주는 옛 백제 지역에 속했다.[1] 옛 백제의 북쪽 영토인 웅주(熊州)는 오늘날 충청남도에 해당한다.[1] 완산주(完山州)와 남원시는 오늘날 전라북도에 해당하며, 완산주는 나중에 전주로 개칭되었다.[1] 남쪽 지역은 무진주(武珍州)였는데, 경덕왕 16년(757년)에 무주(武州)로 개칭되었다.[1] 무주는 1군(郡)과 43현(縣)으로 구성되었으며, 오늘날 전라남도에 해당한다.[1]
983년, 고려 성종 2년에 전국이 12목으로 개편되면서 전라도 지역에는 전주목, 나주목, 승주목(순천)이 설치되었다. 995년, 성종은 전국을 10도(道)로 개편하면서 전라북도 일대를 강남도(江南道), 전라남도 일대를 해양도(海陽道)로 정하였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에 전국이 다시 5도로 개편되면서 강남도와 해양도가 합쳐져 전라주도(全羅州道)가 되었다. 전라주도는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주요 도시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현재 전라도로 알려진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된 최초의 사례이다. 이후 거의 8세기 동안 이러한 체제가 유지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전라도는 2목 2부 18군 82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주·군 및 주현 별호 현재 지명 속현 별호 현재 지명 전주목 완산
견성전라북도 전주시 김마군 - 익산시 김마면 낭산현 - 익산시 낭산면 옥야현 - 익산시 모현동 진안현 - 진안군 진안읍 우주현 - 완주군 풍동읍 고산현 - 완주군 고산면 운제현 - 완주군 화산면 마령현 - 진안군 마령면 여량현 - 익산시 여산면 이성현 - 김제시 공덕면 이성현 - 완주군 이서면 함열현 함라 익산시 함라면 남원부 용성 전라북도 남원시 임실군 - 임실군 임실읍 순창군 옥천, 오산 순창군 순창읍 장계현 - 장수군 장계면 적성현 - 순창군 적성면 거녕현 - 장수군 반암면 구고현 - 임실군 청웅면 장수현 - 장수군 장수읍 운봉현 - 남원시 운봉면 구례현 - 구례군 구례읍 고부군 -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보안현 낭주 부안군 보안면 부녕현 - 부안군 부안읍 정읍현 - 정읍시 대산군 - 정읍시 칠보면 인의현 - 정읍시 정우면 상질현 - 고창군 흥덕면 고창현 - 고창군 고창읍 임피현 웅성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만경현 - 군산시 옥구읍 부윤현 - 김제시 성덕면 옥구현 - 군산시 옥구읍 만경현 - 김제시 만경읍 진례현 - 전라남도 익산군 부리현 - 익산군 부리면 청구현 옥천 진안군 용담면 주계현 - 무주군 무주읍 무풍현 - 무주군 무풍면 진동현 옥계 익산군 진산면 김제현 - 전라북도 김제시 평고현 - 김제시 용지면 김구현 봉산 김제시 김구면 거야현 - 김제시 금산면 나주목 통의
금성전라남도 나주시 무안군 - 무안군 무안읍 담양군 - 담양군 담양읍 곡성군 옥천 곡성군 곡성읍 낙안군 - 보성군 벌교읍 남평군 - 나주시 남평읍 철야현 - 나주시 풍황면 회진현 - 나주시 다사면 반남현 - 나주시 반남면 안로현 - 영암군 금정면 복룡현 - 광산구 복룡동 원율현 - 담양군 금성면 여척현 - 광산구 본량동 창평현 - 담양군 고서면 장산현 - 신안군 장산면 진원현 - 장성군 진원면 화순현 - 화순군 화순읍 장흥부 정주
관산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수녕현 - 장흥군 장흥읍 회녕현 - 보성군 회천면 장저현 - 장흥군 장평면 탐진현 별산 강진군 강진읍 영광군 기성 전라남도 영광군 압해군 - 신안군 압해읍 장성군 - 장성군 북이면 심계현 - 장성군 심계면 육창현 - 영광군 군남면 해제현 - 무안군 해제면 모평현 모양 함평군 해보면 함풍현 기성 함평군 함평읍 임지현 - 신안군 임자면 장사현 - 고창군 상하면 무송현 - 고창군 성송면 영암군 - 전라남도 영암군 황원군 - 해남군 황산면 도강군 금릉 강진군 병영면 곤미현 - 영암군 학산면 해남현 - 해남군 해남면 죽산현 - 해남군 마산면 보성군 산양 전라남도 보성군 동복현 - 화순군 동복면 복성현 - 보성군 복내면 조양현 - 보성군 조성면 남양현 - 고흥군 남양면 옥과현 - 곡성군 옥과면 태강현 - 고흥군 동강면 두원현 - 고흥군 두원면 승평군 - 전라남도 순천시 부유현 - 순천시 주암면 돌산현 - 여수시 돌산읍 여수현 - 여수시 광양현 - 광양시 광양읍 해양현 광산
익양광주광역시 - - - 진도현 - 전라남도 진도군 가흥현 - 진도군 군내면 임회현 - 진도군 임회면 능성현 - 화순군 능주면 - - - 탐라현 - 제주특별자치도 - - -
고려 왕건은 고려 왕조의 안정을 위해 훈요십조를 남겼다. 그중 8조에서는 고려에 끝까지 저항한 후백제가 있었던 전라도 지역에 대해 “간교한 말로 권세를 농락하고 정사를 어지럽히며 재변을 일으키므로 비록 선량한 백성이라 할지라도 그에 상응하는 벼슬에 임명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이는 후백제 멸망 당시 아버지 견훤에게 아들 신검이 반역한 결과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나, 전라도 출신을 정사에 참여시키지 않는 차별 의식이 여기서 생겨났고, 다른 지역 출신자들로부터 배신자의 땅이라는 차별 의식은 후세에 영향을 미쳤다.[4]
조선 시대에도 전라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태조 이성계는 본관인 전라북도 전주를 한양, 개성과 더불어 3경으로 승격하였으며, 태종 이방원은 전주에 경기전을 지어 선조들을 모셨다. 1409년(태종 9년)에는 전라도 관찰사 윤향(尹向)의 건의로 속현과 향·소·부곡이 다른 지역보다 먼저 폐지되었다.
1645년(인조 23년) 나주에서 향리가 목사를 칼로 찔러 중상을 입히는 사건이 일어나 나주목이 금성현(錦城縣)으로 강등되고, 나주 대신 남원을 따서 전남도(全南道)라 하였다. 1654년(효종 5년) 금성현은 나주목으로, 전남도는 전라도로 복구되었다. 그러나 1년 후인 1655년 나주에서 전패(殿牌)가 파손되는 사건이 일어나 다시 금성현으로 강등되고 전남도가 되었다. 이후 광남도(光南道) 등으로 개칭했다가 되돌렸다.
1728년(영조 4년)에는 이인좌의 난(세종대왕의 넷째 아들인 전주 이씨 임영대군 후손의 역모 사건)이 일어나 나주목이 또다시 현으로 강등되고, 광주를 따서 전광도(全光道)로 변경되기도 했으나, 1737년에 곧 다시 전라도로 돌아왔다.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폐지되고 전주부, 남원부, 나주부, 제주부로 분리되었다(금산군은 공주부에 편입).
동학 농민 혁명과 남한 대토벌 작전 때 조선군과 일본 제국군에 의해 전라도 인민들이 학살당하여 세력이 약화되었다.[6][7]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전라북도는 전주와 북부 남원 지역으로, 전라남도는 남부 남원 지역, 나주 지역, 그리고 제주도로 구성되었다.[1] 전주는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로 남았고, 광주는 전라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1] 2005년 전라남도청이 무안으로 이전되었고, 광주는 광역시로 지정되었다.[1]
3. 1. 고대
삼한 시대에 전라도 지역은 마한 연맹체가 있었으며, 제주도에는 탐라국이 있었다.[1] 1세기 무렵, 노령산맥 이북의 마한 소국들은 백제 온조왕과 다루왕에게 통합되었다. 노령산맥 이남의 마한 세력은 백제의 영향 아래 침미다례라는 연맹을 형성했다. 고구려의 공격으로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하면서 백제의 영향력이 약화되자 가야가 순천, 여수 등지를 침략하고, 남원 일대에 기문 지방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이후 국력을 회복한 백제가 침미다례를 탈환하고 가야 세력을 축출하여 전라도의 마한 세력은 완전히 백제에 통합되었다. 백제는 지방행정단위인 5방(方) 가운데 현재의 전라북도 지역에 고부군을 치소로 중방(中方), 전라남도 지역에 장성을 중심으로 남방(南方)을 설치하였다. 백제 무왕은 익산을 천도지로 선정하고 미륵사를 창건했다.
3. 2. 통일 신라
신라는 660년 당의 도움을 받아 백제를 정복하면서, 그 지역은 후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이는 문무왕 16년의 일이었다.[1] 신라는 이 지역을 9주(州)와 5경(京)으로 재편성하였는데, 그중 3주는 옛 백제 지역에 속했다.[1]
옛 백제의 북쪽 영토인 웅주(熊州)는 오늘날 충청남도에 해당한다.[1] 완산주(完山州)와 남원시는 오늘날 전라북도에 해당하며, 완산주는 나중에 전주로 개칭되었다.[1] 남쪽 지역은 무진주(武珍州)였는데, 경덕왕 16년(757년)에 무주(武州)로 개칭되었다.[1] 무주는 1군(郡)과 43현(縣)으로 구성되었으며, 오늘날 전라남도에 해당한다.[1]
3. 3. 고려
983년, 고려 성종 2년에 전국이 12목으로 개편되면서 전라도 지역에는 전주목, 나주목, 승주목(순천)이 설치되었다. 995년, 성종은 전국을 10도(道)로 개편하면서 전라북도 일대를 강남도(江南道), 전라남도 일대를 해양도(海陽道)로 정하였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에 전국이 다시 5도로 개편되면서 강남도와 해양도가 합쳐져 전라주도(全羅州道)가 되었다. 전라주도는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주요 도시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현재 전라도로 알려진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통합된 최초의 사례이다. 이후 거의 8세기 동안 이러한 체제가 유지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전라도는 2목 2부 18군 82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군 및 주현 | 별호 | 현재 지명 | 속현 | 별호 | 현재 지명 |
---|---|---|---|---|---|
전주목 | 완산 견성 | 전라북도 전주시 | 김마군 | - | 익산시 김마면 |
낭산현 | - | 익산시 낭산면 | |||
옥야현 | - | 익산시 모현동 | |||
진안현 | - | 진안군 진안읍 | |||
우주현 | - | 완주군 풍동읍 | |||
고산현 | - | 완주군 고산면 | |||
운제현 | - | 완주군 화산면 | |||
마령현 | - | 진안군 마령면 | |||
여량현 | - | 익산시 여산면 | |||
이성현 | - | 김제시 공덕면 | |||
이성현 | - | 완주군 이서면 | |||
함열현 | 함라 | 익산시 함라면 | |||
남원부 | 용성 | 전라북도 남원시 | 임실군 | - | 임실군 임실읍 |
순창군 | 옥천, 오산 | 순창군 순창읍 | |||
장계현 | - | 장수군 장계면 | |||
적성현 | - | 순창군 적성면 | |||
거녕현 | - | 장수군 반암면 | |||
구고현 | - | 임실군 청웅면 | |||
장수현 | - | 장수군 장수읍 | |||
운봉현 | - | 남원시 운봉면 | |||
구례현 | - | 구례군 구례읍 | |||
고부군 | - |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 보안현 | 낭주 | 부안군 보안면 |
부녕현 | - | 부안군 부안읍 | |||
정읍현 | - | 정읍시 | |||
대산군 | - | 정읍시 칠보면 | |||
인의현 | - | 정읍시 정우면 | |||
상질현 | - | 고창군 흥덕면 | |||
고창현 | - | 고창군 고창읍 | |||
임피현 | 웅성 |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 만경현 | - | 군산시 옥구읍 |
부윤현 | - | 김제시 성덕면 | |||
옥구현 | - | 군산시 옥구읍 | |||
만경현 | - | 김제시 만경읍 | |||
진례현 | - | 전라남도 익산군 | 부리현 | - | 익산군 부리면 |
청구현 | 옥천 | 진안군 용담면 | |||
주계현 | - | 무주군 무주읍 | |||
무풍현 | - | 무주군 무풍면 | |||
진동현 | 옥계 | 익산군 진산면 | |||
김제현 | - | 전라북도 김제시 | 평고현 | - | 김제시 용지면 |
김구현 | 봉산 | 김제시 김구면 | 거야현 | - | 김제시 금산면 |
나주목 | 통의 금성 | 전라남도 나주시 | 무안군 | - | 무안군 무안읍 |
담양군 | - | 담양군 담양읍 | |||
곡성군 | 옥천 | 곡성군 곡성읍 | |||
낙안군 | - | 보성군 벌교읍 | |||
남평군 | - | 나주시 남평읍 | |||
철야현 | - | 나주시 풍황면 | |||
회진현 | - | 나주시 다사면 | |||
반남현 | - | 나주시 반남면 | |||
안로현 | - | 영암군 금정면 | |||
복룡현 | - | 광산구 복룡동 | |||
원율현 | - | 담양군 금성면 | |||
여척현 | - | 광산구 본량동 | |||
창평현 | - | 담양군 고서면 | |||
장산현 | - | 신안군 장산면 | |||
진원현 | - | 장성군 진원면 | |||
화순현 | - | 화순군 화순읍 | |||
장흥부 | 정주 관산 |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 수녕현 | - | 장흥군 장흥읍 |
회녕현 | - | 보성군 회천면 | |||
장저현 | - | 장흥군 장평면 | |||
탐진현 | 별산 | 강진군 강진읍 | |||
영광군 | 기성 | 전라남도 영광군 | 압해군 | - | 신안군 압해읍 |
장성군 | - | 장성군 북이면 | |||
심계현 | - | 장성군 심계면 | |||
육창현 | - | 영광군 군남면 | |||
해제현 | - | 무안군 해제면 | |||
모평현 | 모양 | 함평군 해보면 | |||
함풍현 | 기성 | 함평군 함평읍 | |||
임지현 | - | 신안군 임자면 | |||
장사현 | - | 고창군 상하면 | |||
무송현 | - | 고창군 성송면 | |||
영암군 | - | 전라남도 영암군 | 황원군 | - | 해남군 황산면 |
도강군 | 금릉 | 강진군 병영면 | |||
곤미현 | - | 영암군 학산면 | |||
해남현 | - | 해남군 해남면 | |||
죽산현 | - | 해남군 마산면 | |||
보성군 | 산양 | 전라남도 보성군 | 동복현 | - | 화순군 동복면 |
복성현 | - | 보성군 복내면 | |||
조양현 | - | 보성군 조성면 | |||
남양현 | - | 고흥군 남양면 | |||
옥과현 | - | 곡성군 옥과면 | |||
태강현 | - | 고흥군 동강면 | |||
두원현 | - | 고흥군 두원면 | |||
승평군 | - | 전라남도 순천시 | 부유현 | - | 순천시 주암면 |
돌산현 | - | 여수시 돌산읍 | |||
여수현 | - | 여수시 | |||
광양현 | - | 광양시 광양읍 | |||
해양현 | 광산 익양 | 광주광역시 | - | - | - |
진도현 | - | 전라남도 진도군 | 가흥현 | - | 진도군 군내면 |
임회현 | - | 진도군 임회면 | |||
능성현 | - | 화순군 능주면 | - | - | - |
탐라현 | - | 제주특별자치도 | - | - | - |
고려 왕건은 고려 왕조의 안정을 위해 훈요십조를 남겼다. 그중 8조에서는 고려에 끝까지 저항한 후백제가 있었던 전라도 지역에 대해 “간교한 말로 권세를 농락하고 정사를 어지럽히며 재변을 일으키므로 비록 선량한 백성이라 할지라도 그에 상응하는 벼슬에 임명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이는 후백제 멸망 당시 아버지 견훤에게 아들 신검이 반역한 결과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나, 전라도 출신을 정사에 참여시키지 않는 차별 의식이 여기서 생겨났고, 다른 지역 출신자들로부터 배신자의 땅이라는 차별 의식은 후세에 영향을 미쳤다.[4]
3. 4. 조선
조선 시대에도 전라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태조 이성계는 본관인 전라북도 전주를 한양, 개성과 더불어 3경으로 승격하였으며, 태종 이방원은 전주에 경기전을 지어 선조들을 모셨다. 1409년(태종 9년)에는 전라도 관찰사 윤향(尹向)의 건의로 속현과 향·소·부곡이 다른 지역보다 먼저 폐지되었다.1645년(인조 23년) 나주에서 향리가 목사를 칼로 찔러 중상을 입히는 사건이 일어나 나주목이 금성현(錦城縣)으로 강등되고, 나주 대신 남원을 따서 전남도(全南道)라 하였다. 1654년(효종 5년) 금성현은 나주목으로, 전남도는 전라도로 복구되었다. 그러나 1년 후인 1655년 나주에서 전패(殿牌)가 파손되는 사건이 일어나 다시 금성현으로 강등되고 전남도가 되었다. 이후 광남도(光南道) 등으로 개칭했다가 되돌렸다.
1728년(영조 4년)에는 이인좌의 난(세종대왕의 넷째 아들인 전주 이씨 임영대군 후손의 역모 사건)이 일어나 나주목이 또다시 현으로 강등되고, 광주를 따서 전광도(全光道)로 변경되기도 했으나, 1737년에 곧 다시 전라도로 돌아왔다.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폐지되고 전주부, 남원부, 나주부, 제주부로 분리되었다(금산군은 공주부에 편입).
동학 농민 혁명과 남한 대토벌 작전 때 조선군과 일본 제국군에 의해 전라도 인민들이 학살당하여 세력이 약화되었다.[6][7]
3. 5. 대한민국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전라북도는 전주와 북부 남원 지역으로, 전라남도는 남부 남원 지역, 나주 지역, 그리고 제주도로 구성되었다.[1] 전주는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로 남았고, 광주는 전라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1] 2005년 전라남도청이 나주로 이전되었고, 광주는 광역시로 지정되었다.[1]4. 행정 구역
전라도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에 변화가 있었다.
고려 시대에는 2목, 2부, 18군, 82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구분 | 지역 |
---|---|
2목 | 전주목, 나주목 |
2부 | 남원부, 장흥부 |
18군 | 영광군, 영암군, 보성군, 승평군, 해양현, 진도현, 능성현, 탐라현, 무안군, 담양군, 곡성군, 낙안군, 남평군, 고부군, 임피현, 진례현, 김제현, 김구현 |
조선 시대에는 1부, 4목, 7도호부, 11군, 33현으로 구성되었다.[2]
구분 | 지역 |
---|---|
1부 | 전주부 |
4목 | 나주목, 광주목, 제주목, 장흥도호부 |
7도호부 | 남원도호부, 장흥도호부, 순천도호부, 광양도호부, 강진도호부, 해남도호부, 영암도호부 |
11군 | 보성군, 익산군, 고부군, 영암군, 영광군, 진도군, 나주군, 순창군, 금산군, 진산군, 김제군, 여산군 |
33현 | 창평현, 용담현, 임피현, 만경현, 금구현, 릉성현, 광양군, 용안군, 함열군, 부안군, 함평군, 강진군, 옥과군, 고산군, 태인군, 옥구군, 남평군, 흥덕군, 정읍군, 고창군, 무장군, 무안군, 구례군, 곡성군, 장성군, 진원군, 운봉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무주군, 동복군, 화순군, 흥양군, 해남군, 대정군, 정읍군 |
이러한 행정 구역 변화는 각 시대의 지방 통치 체제와 관련이 있다.
4. 1. 전라북도의 행정구역 변천
고려 시대에는 전주목을 비롯하여 남원부, 고부군, 임피현, 진례현, 김제현, 금구현 등이 전라북도 지역에 위치했다.주·군 및 주현 | 별호 | 현재 지명 | 속현 | 별호 | 현재 지명 |
---|---|---|---|---|---|
전주목 | 완산(莞山), 견성(甄城) | 전주시 | 금마군 | - | 익산시 금마면 |
낭산현 | - | 익산시 낭산면 | |||
옥야현 | - | 익산시 모현동 | |||
진안현 | - | 진안군 진안읍 | |||
우주현 | - | 완주군 봉동읍 | |||
고산현 | - | 완주군 고산면 | |||
운제현 | - | 완주군 화산면 | |||
마령현 | - | 진안군 마령면 | |||
여량현 | - | 익산시 여산면 | |||
이성현 | - | 김제시 공덕면 | |||
이성현 | - | 완주군 이서면 | |||
함열현 | 함라(咸羅) | 익산시 함열읍 | |||
남원부 | 용성(龍城) | 남원시 | 임실군 | - | 임실군 임실읍 |
순창군 | 옥천(玉川), 오산(烏山) | 순창군 순창읍 | |||
장계현 | - | 장수군 장계면 | |||
적성현 | - | 순창군 적성면 | |||
거령현 | - | 장수군 번암면 | |||
구고현 | - | 임실군 청웅면 | |||
장수현 | - | 장수군 장수읍 | |||
운봉현 | - | 남원시 운봉읍 | |||
구례현 | - | 구례군 구례읍 | |||
고부군 | - | 정읍시 고부면 | 보안현 | 낭주(浪州) | 부안군 보안면 |
부령현 | - | 부안군 부안읍 | |||
정읍현 | - | 정읍시 | |||
대산군 | - | 정읍시 칠보면 | |||
인의현 | - | 정읍시 정우면 | |||
상질현 | - | 고창군 흥덕면 | |||
고창현 | - | 고창군 고창읍 | |||
임피현 | 취성(鷲城) | 군산시 임피면 | 회미현 | - | 군산시 회현면 |
부윤현 | - | 김제시 성덕면 | |||
옥구현 | - | 군산시 옥구읍 | |||
만경현 | - | 김제시 만경읍 | |||
진례현 | - | 충청남도 금산군 | 부리현 | - | 금산군 부리면 |
청거현 | 옥천(玉川) | 진안군 용담면 | |||
주계현 | - | 무주군 무주읍 | |||
무풍현 | - | 무주군 무풍면 | |||
진동현 | 옥계(玉溪) | 금산군 진산면 | |||
김제현 | - | 김제시 | 평고현 | - | 김제시 용지면 |
금구현 | 봉산(鳳山) | 김제시 금구면 | 거야현 | - | 김제시 금산면 |
조선시대에는 전주부, 남원도호부, 익산군 등이 있었다. 1949년 전주시가 전주부로 승격되었다.
4. 2. 전라남도의 행정구역 변천
고려 지리지를 기준으로 전라도는 2목, 2부, 18군, 82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주·군 및 주현 | 별호 | 현재 지명 | 속현 | 별호 | 현재 지명 |
---|---|---|---|---|---|
나주목(羅州牧) | 통의(通義) 금성(錦城) | 나주시 | 무안군(務安郡) | - | 무안군 무안읍 |
담양군(潭陽郡) | - | 담양군 담양읍 | |||
곡성군(谷城郡) | 욕천(浴川) | 곡성군 곡성읍 | |||
낙안군(樂安郡) | - | 보성군 벌교읍 | |||
남평군(南平郡) | - | 나주시 남평읍 | |||
철야현(鐵冶縣) | - | 나주시 봉황면 | |||
회진현(會津縣) | - | 나주시 다시면 | |||
반남현(潘南縣) | - | 나주시 반남면 | |||
안로현(安老縣) | - | 영암군 금정면 | |||
복룡현(伏龍縣) | - | 광산구 복룡동 | |||
원율현(原栗縣) | - | 담양군 금성면 | |||
여황현(餘艎縣) | - | 광산구 본량동 | |||
창평현(昌平縣) | - | 담양군 고서면 | |||
장산현(長山縣) | - | 신안군 장산면 | |||
진원현(珍原縣) | - | 장성군 진원면 | |||
화순현(和順縣) | - | 화순군 화순읍 | |||
장흥부(長興府) | 정주(定州) 관산(冠山) | 장흥군 관산읍 | 수령현(遂寧縣) | - | 장흥군 장흥읍 |
회령현(會寧縣) | - | 보성군 회천면 | |||
장택현(長澤縣) | - | 장흥군 장평면 | |||
탐진현(耽津縣) | 별산(鼈山) | 강진군 강진읍 | |||
영광군(靈光郡) | 기성(箕城) | 영광군 | 압해군(壓海郡) | - | 신안군 압해읍 |
장성군(長城郡) | - | 장성군 북일면 | |||
삼계현(森溪縣) | - | 장성군 삼계면 | |||
육창현(陸昌縣) | - | 영광군 군남면 | |||
해제현(海際縣) | - | 무안군 해제면 | |||
모평현(牟平縣) | 모양(牟陽) | 함평군 해보면 | |||
함풍현(咸豊縣) | 기성(箕城) | 함평군 함평읍 | |||
임치현(臨淄縣) | - | 신안군 임자면 | |||
장사현(長沙縣) | - | 고창군 상하면 | |||
무송현(茂松縣) | - | 고창군 성송면 | |||
영암군(靈岩郡) | - | 영암군 | 황원군(黃原郡) | - | 해남군 황산면 |
도강군(道康郡) | 금릉(金陵) | 강진군 병영면 | |||
곤미현(昆湄縣) | - | 영암군 학산면 | |||
해남현(海南縣) | - | 해남군 현산면 | |||
죽산현(竹山縣) | - | 해남군 마산면 | |||
보성군(寶城郡) | 산양(山陽) | 보성군 | 동복현(同福縣) | - | 화순군 동복면 |
복성현(福城縣) | - | 보성군 복내면 | |||
조양현(兆陽縣) | - | 보성군 조성면 | |||
남양현(南陽縣) | - | 고흥군 남양면 | |||
옥과현(玉果縣) | - | 곡성군 옥과면 | |||
태강현(泰江縣) | - | 고흥군 동강면 | |||
두원현(荳原縣) | - | 고흥군 두원면 | |||
승평군(昇平郡) | - | 순천시 | 부유현(富有縣) | - | 순천시 주암면 |
돌산현(突山縣) | - | 여수시 돌산읍 | |||
여수현(麗水縣) | - | 여수시 | |||
광양현(光陽縣) | - | 광양시 광양읍 | |||
해양현(海陽縣) | 광산(光山) 익양(翼陽) | 광주광역시 | - | - | - |
진도현(珍島縣) | - | 진도군 | 가흥현(嘉興縣) | - | 진도군 군내면 |
임회현(臨淮縣) | - | 진도군 임회면 | |||
능성현(陵城縣) | - | 화순군 능주면 | - | - | - |
5. 정치
고려 태조 왕건은 고려 왕조의 안정을 위해 십계명(훈요십조)을 남겼다. 그중 8조에서는 고려에 끝까지 저항한 후백제가 있었던 전라도 지역에 대해 “간교한 말로 권세를 농락하고 정사를 어지럽히며 재변을 일으키므로 비록 선량한 백성이라 할지라도 그에 상응하는 벼슬에 임명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후백제 멸망 당시 아버지 견훤에게 아들 신검이 반역한 결과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이나, 반역의 지역이라는 이유로 전라도 출신자를 정사에 참여시키지 않는다는 차별 의식이 여기서 생겨났고, 다른 지역 출신자들로부터 배신자의 땅이라는 차별 의식은 후세에 영향을 미쳤다.[4]
대한민국 독립 후, 박정희 정권 하의 1970년대( 제3공화국 말기 이후)에 경상도와의 대립이 발생한 결과, 1990년대 이후( 제6공화국) 전라도는 유권자의 80% 전후가 좌파 정당에 투표하는 강력한 좌파 지역 기반이 되었다.[4] 이는 전라도 출신의 유력 정치가인 김대중과 경상도 출신의 역대 대통령들이 대립한 것, 전라도 개발이 미뤄지고 중앙 관청에서 전라도 출신자가 냉대받은 것,[5]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이 발생하면서 경상도 출신자가 주류를 차지하는 보수 정당에 대한 반발이 커진 때문이며, 제6공화국에서 실시된 국정 선거에서 김대중이 결성한 평화민주당 계열 정당(현재 더불어민주당)이 지역 내 제1당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대통령 선거도 마찬가지로, 현행 선거 제도가 된 1987년 5월 대통령 선거 이후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모두 김대중 또는 평화민주당 계열 정당의 후보자가 최다 득표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4월 5일 여론 조사에서도 전라도만 69%로 문재인 정권의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다른 지역에서는 모두 지지율보다 불지지율이 더 높았다.
6. 언어
전라도 지역에서는 서남 방언을 사용한다.[1]
7.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jeonbuk.[...]
[2]
웹사이트
History {{!}} jeollanamdo
https://www.jeonnam.[...]
2024-05-26
[3]
기타
[4]
서적
物語韓国の歴史
中公新書
1989
[5]
뉴스
様々な差別ある韓国 全羅道が長く地域差別の対象となった訳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5-10-15
[6]
웹인용
일본군 동학농민 학살 '진중일지' 공개
https://www.joongang[...]
2023-04-07
[7]
웹인용
알라딘: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
https://www.aladin.c[...]
2023-09-08
[8]
웹사이트
조선시대법령자료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