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효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효상은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 가톨릭 신자이며, 제6·7대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1906년 대구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교수, 영남대학교 재단 이사장 등을 지냈다. 4·19 혁명 이후 참의원에 당선되었고, 5·16 군사 정변 이후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3선 개헌을 주도했으며, 10월 유신 이후 공화당 의장 대리를 역임했다. 말년에는 시 창작과 번역에 힘썼으며, 지역감정 조장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198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북대학교 - 대구사범학교 (1923년)
    대구사범학교는 일제강점기에 설립되어 해방 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교원 양성 과정을 운영하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으로 통합된 교육기관이다.
  • 경북대학교 -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은 1907년 개원하여 현재 진료과와 특성화센터를 운영하며,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 등을 운영하고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공공보건의료 활동과 산하 기관 운영을 통해 지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성산 이씨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성산 이씨 - 이완영
    이완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지역구에서 제19대와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정치자금법 위반 등으로 의원직을 상실했고 노동부 등 공직과 대학교 겸임교수 경력이 있으며, 노동 관련 법안 발의 등에 힘썼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영남대학교 교수 - 김재원 (1964년)
    김재원(1964년)은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후 국회의원, 대통령정무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영남대학교 교수 - 이의근
    이의근은 대통령비서실 서기관, 부천시장, 안양시장, 경상북도지사 등을 역임하고 영남대학교 등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홍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효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효상
이름이효상
한자 표기李孝祥
일송(一松), 한솔
출생일1906년 1월 14일
출생지대한제국 경상북도 대구부
사망일1989년 6월 18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장르시문학
종교유교(성리학) → 천주교(세례명: 아길로)
자녀슬하 3남
활동 기간1930년 ~ 1989년
소속영남대학교 초빙교수
학력
직업
직업정치가
주요 작품
주요 작품《나의 강산아》
《교육의 근본문제》
《인간문제》
《사랑》
《안경》
《산》
《바다》
《인생》

2. 생애

이효상은 1906년 대구에서 태어나 1989년 사망할 때까지 교육, 정치,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30년 도쿄제국대학(현 도쿄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교남학교 교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계에 몸담았다. 해방 후에는 경상북도 학무국장, 경북대학교 교수 및 초대 문리과대학장을 지냈다. 대륜교육재단 이사장, 영남대학교 재단 이사장, 국제신문편집자협회·아시아신문편집자협회 한국 대표, 대구매일신문사 이사 등을 역임했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참의원 의원을 거쳐 5·16 군사 쿠데타 이후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7대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1969년에는 3선 개헌안 통과를 주도했으며,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정희 후보의 당선을 위해 유세 활동을 펼쳤다. 1972년 10월 유신 이후에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민주공화당 의장 대리 등을 역임했다.

1979년 10·26 사건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고향으로 돌아가 시 창작과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의 작품 번역에 힘썼다. 1920년 계산동 본당 가톨릭 소년 회장을 시작으로 가톨릭신문의 전신인 「천주교보」를 창간하는 등 가톨릭 교회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3]

2. 1. 학창 시절 및 교육 활동

1906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30년 도쿄제국대학(현 도쿄대학교) 문학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귀국 후 교남학교에서 교직에 종사하다 1940년 교장에 취임했다.[2][5][4] 1936년 《가톨릭청년》지에 <기적>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등단한 후 많은 작품, 특히 문학과 관련된 연구논문 등을 발표하였다.

1945년 경상북도 학무국장에 취임, 1952년 경북대학교 문리대 교수, 문리대학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4년 루뱅 가톨릭대학교에서 철학과 문학을 수학하고 귀국 후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초대 총장을 역임했다.[2][5][4] 이 외에도 대륜교육재단 이사, 영남학원(嶺南學園) 이사장, 국제신문편집자협회·아시아신문편집자협회 한국 대표, 대구매일신문사 이사 등 교육계와 언론계에서 활동했다. 경북대학교 명예문학박사이다.[2][5][4]

2. 2. 정치 활동

1960년 4·19 혁명 이후 제5대 총선거에서 경상북도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참의원에 당선되어 참의원 예산결산위원장을 역임했다.[2]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이후 민주공화당에 입당, 1963년 2월 제6대 총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대구 남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된 후 제6·7대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의장 재임 중이던 1969년 8월 7일, 개헌안 발의의 국회 보고를 생략한 채 본회의에 상정했다. 당시 야당 의원들의 반대 활동과 본회의장 점거로 본회의 개최가 불가능해지자, 9월 14일 오전 1시경 공화당 의원들과 국회 제3별관으로 이동하여 3선 개헌안을 가결했다.[2]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유세차를 타고 전국을 순회하며 박정희 당선을 위한 선거 유세 활동을 펼쳤다.[2] 1972년 10월 유신으로 계엄령이 선포되고 국회가 해산된 후, 이듬해 제9대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공화당 의장 대리를 역임했다.[2] 아시아·태평양 국회의원 연합 총회 의장, 열국 의회 연맹 총회 의장, 민주공화당 총재 상임 고문 등도 역임했다.[5] 1979년 10·26 사건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고 고향인 대구 근교로 돌아갔다.[2]

2. 3. 지역감정 조장 논란

그는 박정희의 대통령 선거 때 "이 고장은 신라 천 년의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는 고장이지만 이 긍지를 잇는 이 고장의 임금은 여태껏 한 사람도 없었다. 박 후보는 신라 임금의 자랑스러운 후손이다. 이제 그를 대통령으로 뽑아 이 고장 사람을 천 년만의 임금으로 모시자.", "경상도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우리 영남인은 개밥에 도토리 신세가 된다" 등의 발언이 문제가 되어 지역감정을 조장했다.[7] 현대 한국 정치사에서 지역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효시로 보기도 한다.[7][8][9]

2. 4. 가톨릭 활동

이효상은 가톨릭 교회에서 활동하여, 1920년 계산동 본당 가톨릭 소년 회장을 역임했고, 1927년 가톨릭신문의 전신인 「천주교보」를 창간했다.[3] 남방 천주공교 청년회 간부, 대구대교구 지도급 원로 신자회 회원, 국회 신자회 회장, 대구대교구 가톨릭 액션 협의회 고문, 대구대교구사 편찬 위원회 자문위원 등도 역임했다.[3]

2. 5. 말년

1979년 10·26 사건 이후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하고 고향인 대구 근교로 돌아갔다. 이후 시 창작과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의 작품 번역에 힘썼다.[2][3] 1981년 4월 23일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위촉되었으며, 1989년 6월 18일에 사망하였다.[2]

3. 예술 작품

이효상은 시집으로 《사랑》, 《안경》, 《산》, 《바다》, 《인생》 등을 펴냈다. 1948년에는 《산》을, 1955년에는 《애정》을, 1960년에는 《안경》을 출간했다.[2] 저서로는 《나의 강산아》, 《교육의 근본문제》, 《인간문제》 등이 있다. 또한, 사제이자 신학자인 테야르 드 샤르댕(Teilhard de Chardin)의 전집을 번역하여 1971년에 《샤르댕》 (전 6권)으로 출판하였다.[2]

4. 가족 관계


  • 장남: 이문호 (전 경북대 철학과 교수)
  • 차남: 이문희 (로마 가톨릭 대주교, 전 천주교 대구대교구 교구장, 전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 삼남: 이문조 (전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코오롱 이동찬 명예회장의 사위)[6]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0년참의원 (경상북도 선거구)무소속192,167표 (13.35%)2위당선초선
1963년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남구)민주공화당23,513표 (51.43%)1위당선재선
1967년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남구)민주공화당34,846표 (55.92%)1위당선3선
1971년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남구)민주공화당34,740표 (42.86%)2위낙선
1973년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동구·남구)민주공화당76,245표 (43.08%)1위당선4선
1978년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동구·남구)민주공화당79,299표 (27.48%)1위당선5선


6. 이효상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 星山李氏大宗會 ::::::: 인물 - 현조(顯祖)록 http://seongsan.or.k[...] 2024-02-04
[2] 웹사이트 이효상(李孝祥) https://encykorea.ak[...] 2023-10-31
[3] 웹사이트 83세를 일기로 타계한 한솔 이효상 https://m.catholicti[...] 1989-06-25
[4] 웹사이트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3-10-31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0-31
[6] 웹사이트 [新 한국의 가벌] #26. 김종필·정일권·이효상 등 정계 거물과 사돈 맺어 http://www.sisajourn[...] 2015-05-14
[7] 서적 정치공작사령부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
[8] 서적 박 정권 18년: 그 권력의 내막 동아일보사 1986
[9] 웹인용 [DJ 삶의 5가지 꼬리표] 시련·멍에는 역사의 거목을 키웠다 http://www.sportsseo[...] 2010-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