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익형아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형아강은 이매패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족사를 이용해 바위 등에 부착하거나 모래 속에 서식하며, 좌우 비대칭인 껍데기를 가진 경우가 많다. 다양한 형태의 감광세포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를 감지하는 데 사용하며, 일부 종에서는 눈이 퇴화되기도 한다. 2010년의 이매패류 분류 체계 개정을 통해 분류가 이루어졌으며, 돌조개목, 진익형하강, 멸종된 목 등으로 나뉜다. 익형아강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가리비과가 약 2억 4700만 년 전에 분기되었으며, 가리비, 굴, 홍합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매패류 - 조개
    조개는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로, 다양한 종을 아우르며 전 세계 수중 생태계에 서식하고, 많은 동물의 먹이가 되며, 인류의 식량 자원으로 활용되어 왔다.
  • 이매패류 - 이치아강
    이치아강은 모양이 다른 주치와 측치를 가진 이매패류의 하위 분류군으로,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생태적 다양성을 보이고, 원시이치하강과 진이치하강으로 나뉜 새로운 분류법이 제안되었으며, 한국 연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환경 위협에 직면하여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익형아강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리비과의 살아있는 개체
학명Pteriomorphia
명명자Beurlen, 1944
참고 문헌https://www.marinespecies.org/aphia.php?p=taxdetails&id=206
Barnes, Robert D. (1982). Invertebrate Zoology. Philadelphia, PA: Holt-Saunders International. p. 430. ISBN 978-0-03-056747-6.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아강익형아강
하위 분류이건목
방패판목
굴목
익형목
†키르토돈목
†프레카르디오목
이명Pteriomorpha
Filibranchia
참고고유변새류

2. 특징

익형아강은 주로 족사(足絲)를 이용해 바위나 다른 물체에 부착하여 생활하며, 일부 종은 모래 속에 파고 들어가기도 한다. 외투막(外套膜)은 유합되지 않고, 수관(水管)은 없다. 껍데기(殻)는 좌우 비대칭인 경우가 많다. 가리비 등 일부 종은 껍데기 미세 구조가 좌우 방향으로 겹치는 엽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많은 종의 껍데기 안쪽에는 진주층 구조가 있으며, 진주담치(アコヤガイ) 등은 진주(真珠)를 생산한다.[3] 익형아강은 다섯 가지 유형의 감광세포(photoreceptor)를 가지며,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했다.[3] 이는 포식자 감지 및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

3. 분류

2010년 이전 익형아강 분류는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4목 분류([23][24]), 3목 분류([25]), 1목 분류([22]) 등이 있었으나, 계통학적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22][23][24][25] 분자 계통 분석 결과, 민가리비상과는 가리비목 내부에 위치한다.[17] 돌가리비상과와 쥐굴조개상과 위치는 불확실하다.[20][21]

3. 1. 2010년 분류 체계

2010년 비엘레(Bieler), 카터(Carter), 코언(Coan)은 이매패류 분류 체계를 개정하여 익형아강을 포함한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28] 이들은 2010년에 출판된 이매패류의 분류 체계에서 익형아강의 분류를 제시했다.

  • 돌조개목 (Arcida)
  • * 돌조개상과 (Arcoidea)
  • ** 돌조개과 (Arcidae)
  • ** 쿠쿨라이아과 (Cucullaeidae)
  • ** 밤색무늬조개과 (Glycymerididae)
  • ** 복털조개과 (Noetiidae)
  • ** 왕복털조개과 (Parallelodontidae)
  • * 바탕무늬조개상과 (Limopsoidea)
  • ** 바탕무늬조개과 (Limopsidae)
  • ** 필로브리아과 (Philobryidae)
  • '''진익형하강''' (Eupteriomorphia)
  • * 굴목 (Ostreida)[29]
  • ** 굴상과 (Ostreoidea)

주름굴과 (Gryphaeidae)
굴과 (Ostreidae)
잠쟁이과 (Anomiidae)

  • ** 돌굴붙이상과 (Plicatuloidea)

돌굴붙이과 (Plicatulidae)

  • ** 돌굴상과 (Dimyoidea)

돌굴과 (Dimyidae)

  • ** 가리비상과 (Pectinoidea)

엔돌리움과 (Entoliidae)
가리비과 (Pectinidae)
큰집가리비과 (Propeamussiidae)
국화조개과 (Spondylidae)

  • * 외투조개목 (Limida)
  • ** 외투조개상과 (Limoidea)

외투조개과 (Limidae)

  • * 홍합목 (Mytiloida) 또는 담치목 (Mytilida)
  • ** 홍합상과 (Mytiloidea)

홍합과 (Mytilidae)
키조개과 (Pinnidae)

  • ** 진주조개상과 (Pteroidea)

귀조개과 (Malleidae)
진주조개과 (Pteriidae)
풀비니테스과 (Pulvinitidae)

  • 멸종된 목
  • * † Cyrtodontoida
  • * † Praecardioida

3. 2. 추가 분류

주로 BivAToL[16]을 따르지만, 아강과 목 사이에 상목 분류를 추가했다. 또한, 사사키 2010[17]에서 멸종 과를 추가했다.

  • 부등근류 Anisomyariala[18] = 등사새류 Isofilibranchiala = 빈치류 Dysodontala
  • * 홍합목 Mytiloidala
  • ** 홍합상과 Mytiloideala

홍합과 Mytilidaela - 홍합, 이시마테, 무르가이 등

  • Prionodontala = 진다치류 Eutaxodontala = Neotaxodontala
  • * 배모양조개목 Arcoidala
  • ** 배모양조개상과 Arcoideala

배모양조개과 Arcidaela - 붉은대구조개 등
주름배조개과 Cucullaeidaela
탐라조개과 Glycymerididaela
가는실조개과 Limopsidaela
삼각삿갓조개과 Noetiidaela
가는실조개모양과 Philobryidaela
†시콜로에가이과 Parallelodontidaela

  • Eupteriomorphiala
  • * 굴목(Ostreoidala) = 꾀꼬리조개목 Pterioidala
  • ** 이타보가키상과(Ostreoideala)

거북손조개과 Gryphaeidaela
이타보가키과 Ostreidaela - (참굴) 등

  • ** 빗살조개상과 Pinnoideala

빗살조개과 Pinnidaela - 대합

  • ** 꾀꼬리조개상과 Pterioideala

등각조개과 Isognomonidaela
망치조개과 Malleidaela
꾀꼬리조개과 Pteriidaela - 진주담치, 꾀꼬리조개, 마베조개 등
풀비니테스과 Pulvinitidaela
†바케벨리아과 Bakevelliidaela
†이노세람스과 Inoceramidae프랑스어

  • * 가리비목 Pectinoidade
  • ** 납작조개상과 Anomioideala

납작조개과 Anomiidaela
창가리비과 Placunidaela

  • ** 돌가리비상과 Dimyoideala

돌가리비과 Dimyidaela

  • ** 민가리비상과 Limoideala

민가리비과 Limidaela - 민가리비 등

  • ** 가리비상과 Pectinoideala

Entoliidaela
가리비과 Pectinidaela - 비단가리비, 가리비
털가리비과 Propeamussiidaela
바다국화과 Spondylidaela
†네이시아과 Neithieidaela

  • ** 쥐굴조개상과 Plicatuloideala

쥐굴조개과 Plicatulidaela

배모양조개목의 상과 분류는 유동적이며, 여기서는 1상과로 통합했다[19]. BivAToL은 가는실조개과·가는실조개모양과를, 사사키는 그것들에 더해 탐라조개과를, 가는실조개상과 Limopsoideala로 하고 있다. 더욱 세분화하는 설도 있다.

Eupteriomorphiala는, 분자 계통에 의하면 이 2목으로 나뉜다[20][21]. 단, 돌가리비상과와 쥐굴조개상과의 위치 설정에는 다소 불확실성이 있다. 민가리비상과를 민가리비목 Limoidala에 분리하는 설도 있지만[17], 분자 계통으로부터는 민가리비상과는 가리비목의 내부에 위치한다.

종래에는 여러 가지 분류가 있었다. 모두를 꾀꼬리조개목으로 하는 분류[22], 4목으로 나누는 분류[23][24](꾀꼬리조개목 Pterioidala = 빗살조개상과 Pinnoideala + 꾀꼬리조개상과 Pterioideala, 민가리비목 Limoidala = 민가리비상과 Limoideala, 굴목 Ostreoidala = 돌가리비상과 Dimyoideala + 이타보가키상과 Ostreoideala, 가리비목 Pectinoidala = 납작조개상과 Anomioideala + 가리비상과 Pectinoideala + 쥐굴조개상과 Plicatuloideala), 3목으로 나누는 분류[25](굴목과 가리비목을 굴목굴아목 Ostreinala, 가리비아목 Pectininala로 나눔) 등이 있었지만, (1목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계통적으로는 부정된다.

3. 3. 계통

2012년 야론 말코프스키(Yaron Malkowsky)와 아네테 클루스만-콜브(Annette Klussmann-Kolb)가 미토콘드리아(12S, 16S) 및 핵(18S, 28S, H3) 유전자 마커를 사용한 분자계통발생학적 연구에 기반한 분지도는 다음과 같다.[7]

익형아강의 계통 분류는 BivAToL[16]를 따르며, 아강과 목 사이의 분류(상목)를 추가하고 사사키 2010[17]에서 멸종 과를 추가하여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 부등근류 [18] = 등사새류 = 빈치류
  • * 홍합목
  • ** 홍합상과

홍합과 - 홍합, 이시마테, 무르가이 등

  • = 진다치류 =
  • * 배모양조개목
  • ** 배모양조개상과

배모양조개과 - 붉은대구조개 등
주름배조개과
탐라조개과
가는실조개과
삼각삿갓조개과
가는실조개모양과
†시콜로에가이과


  • * 굴목(이타보가키목) = 꾀꼬리조개목
  • ** 이타보가키상과(굴상과)

거북손조개과
이타보가키과 - (참굴) 등

  • ** 빗살조개상과

빗살조개과 - 대합

  • ** 꾀꼬리조개상과

등각조개과
망치조개과
꾀꼬리조개과 - 진주담치, 꾀꼬리조개, 마베조개 등
풀비니테스과
†바케벨리아과
†이노세람스과
납작조개과
창가리비과

  • ** 돌가리비상과

돌가리비과

  • ** 민가리비상과

민가리비과 - 민가리비 등

  • ** 가리비상과

가리비과 - 비단가리비, 가리비
털가리비과
바다국화과
†네이시아과

  • ** 쥐굴조개상과

쥐굴조개과

배모양조개목의 상과 분류는 유동적이다.[19]

는 분자 계통에 의하면 굴목가리비목 2개의 목으로 나뉜다.[20][21]

Giribet & Wheeler 2002에 따른 계통군은 다음과 같다.[20]

3. 4. 멸종된 목


  • 키르토돈토과†
  • 프라에카르디오과†
  • 구부러진이빨과류†
  • 프라에카르디아류†

4. 진화

익형아강의 진화는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더 자세히 밝혀지고 있다. 2012년 야론 말코프스키와 아네테 클루스만-콜브는 미토콘드리아 및 핵 유전자 마커를 사용하여 익형아강 내 분지군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7] 이 연구에서는 가리비과가 약 2억 4700만 년 전에 분기되었고, 굴족가리비아과가 그 뒤를 이었으며, ''가리비''(Pecten)는 약 7천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는조개과와 기타 익형아강 (, 홍합)도 이 분지도에 포함된다.

해당 연구 결과는 아래 분지도와 같다.

{| class="wikitable"

|-

! 익형아강

|-

|

{| class="wikitable"

|-

| (약 2억 4700만년 전) '''가리비과'''

|

가리비아과 (일부)
가리비아과 (일부) 및 빗가리비아과



|-

| 굴족가리비아과

|-

| (7천만년 전) ''가리비'' (''Pecten'')

|-

|

플렉소펙텐속 (Flexopecten)
(약 2억 4700만년 전) 이키가리비속 (Aequipecten)



|-

| 가는조개과 (파일 조개)

|-

| 기타 익형아강 (, 홍합)

|}

|}

Giribet & Wheeler 2002년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는 고유패각류 내에서 익형류의 위치를 보여준다.[20] 익형류는 홍합목과 배모양조개목, 그리고 Eupteriomorphia (굴목, 가리비목)을 포함한다.

{| class="wikitable"

|-

! 고유패각류

|-

|

{| class="wikitable"

|-

! '''익형류'''

|-

| 홍합목

|-

|

배모양조개목
Eupteriomorphia
굴목
가리비목



|-

! 이매패류

|-

|

고이치류
이치류



|}

|}

4. 1. 감광세포의 진화

익형아강 이매패류는 다섯 가지 유형의 감광세포(photoreceptor)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하여 익형아강 내의 서로 다른 분지군(clade)과 관련이 있다.[3] 모자 모양의 안점(cap eyespots), 색소 컵(pigmented cups), 겹눈(compound eyes), 오목 거울 눈(concave mirror eyes), 함입 눈(invaginated eyes) 등이 이에 해당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했다.[3] 익형아강 눈의 주된 목적은 포식자를 감지하고 반응하는 것이다.[4] 따라서 익형아강은 그림자가 생기면 수관을 수축하거나, 폐각을 닫거나, 땅을 파는 행동, 또는 이 세 가지 행동을 조합하여 반응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자 반응을 제외하고는 다른 시각 자극에는 일반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5]

익형아강은 눈이 생기는 것보다 눈이 사라지는 비율이 훨씬 높다. 눈의 획득과 상실을 연구하면 수렴 진화의 메커니즘과 복잡한 형질의 진화와 퇴행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3] 눈은 부착성(epifaunal) 계통에서만 진화했으며, 저서성(infaunal) 또는 반부착성(semi-infaunal) 생활 방식을 채택한 일부 계통에서는 눈이 사라졌다. 이는 눈의 상실과 저서성 또는 반부착성 생활 방식의 채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3] 또한, 프티키니대(Pectinidae)의 눈은 서식지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기능이 저하되어 심해 종에서는 눈이 완전히 없어진다.[6]

4. 2. 분자계통학적 연구

다음은 2012년 야론 말코프스키(Yaron Malkowsky)와 아네테 클루스만-콜브(Annette Klussmann-Kolb)가 미토콘드리아(12S, 16S) 및 핵(18S, 28S, H3) 유전자 마커를 사용한 분자계통발생학적 연구에 기반한 분지도이다.[7]

{| class="wikitable"

|-

! 익형아강

|-

|

{| class="wikitable"

|-

| (약 2억 4700만년 전) '''가리비과'''

|

가리비아과 (일부)
가리비아과 (일부) 및 빗가리비아과



|-

| 굴족가리비아과

|-

| (7천만년 전) ''가리비'' (''Pecten'')

|-

|

플렉소펙텐속 (Flexopecten)
(약 2억 4700만년 전) 이키가리비속 (Aequipecten)



|-

| 가는조개과 (파일 조개)

|-

| 기타 익형아강 (, 홍합)

|}

|}

Giribet & Wheeler 2002에 따른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20]

{| class="wikitable"

|-

! 고유패각류

|-

|

{| class="wikitable"

|-

! '''익형류'''

|-

| 홍합목

|-

|

배모양조개목
Eupteriomorphia
굴목
가리비목



|-

! 이매패류

|-

|

고이치류
이치류



|}

|}

참조

[1] WRMS 종 2009-03-26
[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3] 학술지 Hard to get, easy to lose: Evolution of mantle photoreceptor organs in bivalves (Bivalvia, Pteriomorphia) https://dr.lib.iasta[...] 2020-07-27
[4] 학술지 Charting Evolution's Trajectory: Using Molluscan Eye Diversity to Understand Parallel and Convergent Evolution https://dr.lib.iasta[...] 2008-10-01
[5] 학술지 The Evolution of Eyes in Bivalvia https://www.research[...] 2001-01
[6] 학술지 Impact of habitat and life trait on character evolution of pallial eyes in Pectinidae (Mollusca: Bivalvia) https://www.research[...] 2013-12-10
[7] 학술지 Phylogeny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European Pectinidae (Mollusca: Bivalvia) https://www.research[...] 2012-05
[8] 간행물 Classification of Bivalve families Bouchet, P. & Rocroi, J.P.
[9] 웹사이트 Pteriomorphia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4-08-19
[10] WRMS 종 2009-02-03
[11] WRMS 종 2010-07-09
[12] WRMS 종 2010-07-09
[13] WRMS 종 2010-07-07
[14] WRMS 종 2010-07-09
[15] WRMS 종 2010-07-09
[16] 웹사이트 Species list http://bivatol.org/i[...]
[17] 서적 貝類学 東京大学出版会
[18] 서적 軟体動物学概説(上巻) サイエンティスト社
[19] 서적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Mollus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학술지 On bivalve phylogeny: a high-level analysis of the Bivalvia (Mollusca) based on combined morphology and DNA sequence data http://research.amnh[...]
[21] 학술지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subclass Pteriomorphia (Bivalvia) from mtDNA COI sequences
[22] 서적 動物系統分類学 5 上 軟体動物 I 中山書店
[23] 웹사이트 Taxonomy Browser (Pteriomorphia) http://www.ncbi.nlm.[...]
[24]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Pteriomophia http://www.itis.gov/[...]
[25] 서적 Mollusca: The Southern Synthesis CSIRO publishing
[26] WRMS 종 2012-03-26
[27]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28] 간행물 Classification of Bivalve families Bouchet, P. & Rocroi, J.P.
[29] WRMS 종 2010-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