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개는 연체동물로, 껍데기로 몸을 보호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생태적으로는 껍데기, 외투막, 아가미 등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물속 미생물을 먹고 산다. 조개는 인류에게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굽거나 찌개로 끓이는 등 다양한 요리법이 발달했다. 조개 요리 전에는 해감을 통해 모래를 제거하며, 껍데기가 벌어지는 순간이 맛이 좋다고 여겨 껍데기째로 조리하는 경우가 많다. 5월~8월에는 패독 발생 위험으로 특정 조개류 섭취를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 조개 껍데기는 장식품이나 화폐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종교적으로는 이슬람교에서 하나피 학파를 제외하고 할랄 식품으로, 유대교에서는 코셔가 아닌 식품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개 - 나전칠기
    나전칠기는 조개껍데기를 옻칠한 바탕에 장식하는 공예품으로, 이집트 라덴 기법에서 시작하여 중국 뤄디안 기법을 거쳐 동아시아에서 발전, 고려 시대에 성행하고 조선 시대에 독특한 양식을 확립했으며, 일본을 거쳐 유럽에서도 인기를 얻었고 현대에는 전통과 현대 디자인이 융합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조개 - 우럭 (조개)
    우럭(조개)은 갯벌에 서식하며 얇은 껍질과 사이펀을 가진 조개로,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어 식용으로 이용되며, 바다 수달 등을 천적으로 둔다.
  • 식용 패류 - 골뱅이
    골뱅이는 얕은 바다에 사는 육식성 고둥인 큰구슬우렁이의 일반 명칭으로, 자갈 바닥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이매패류를 잡아먹으며, 봄에 알덩어리를 낳고, 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어업에 피해를 주는 유해 생물이기도 하다.
  • 식용 패류 - 고둥
    고둥은 석회질 원뿔형 껍데기를 가진 나선형 연체동물로, 식용, 장식용, 화폐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조가비 수집 대상이 되고 문화적 의미도 지니지만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이매패류 - 익형아강
    익형아강은 족사를 이용하여 부착생활을 하는 이매패류 분류군으로, 좌우 비대칭 껍데기를 가지며, 엽상 미세구조와 진주층 구조를 지닌 종이 많고, 감광 세포를 통해 포식자를 감지하며, 홍합목, 굴목, 가리비목, 진주조개목 등을 포함하여 경제적,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매패류 - 이치아강
    이치아강은 모양이 다른 주치와 측치를 가진 이매패류의 하위 분류군으로,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생태적 다양성을 보이고, 원시이치하강과 진이치하강으로 나뉜 새로운 분류법이 제안되었으며, 한국 연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환경 위협에 직면하여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조개
일반 정보
민물조개 해부도
민물조개 해부도
한국어조개
영어Clam
일본어貝 (카이)
중국어蛤 (gé)
어원'Clam'은 닫히거나 단단히 잡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함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이형치아목 (Heterodonta)
심장조개목 (Cardiida)
돌맛조개목 (Myida)
기타
다양한 과를 포함 (아래 참고)
특징
서식지담수 및 해수
먹이플랑크톤 및 유기물
수명종류에 따라 다름 (밍크조개는 507년 생존 기록)
설명두 개의 껍데기를 가진 이매패류
다양한 크기와 형태
식용으로 이용
생태 및 습성
서식 환경민물, 기수, 해수 환경
먹이 획득 방식여과 섭식 (filter feeder)
이동 방식대부분 고착 생활
일부 종은 발을 사용하여 이동
번식유성 생식
암수 분리 또는 자웅동체
천적해조류, 게, 불가사리 등
생태적 역할수질 정화
다른 동물의 먹이 제공
종류
주요 종대합
바지락
가무락조개
새꼬막
백합 (조개)
동죽
개량조개
키조개
맛조개
홍합 (때로는 clam으로 분류되기도 함)
기타 다양한 종
담수 조개재첩
말조개
칼조개
기타
인간과의 관계
식용세계 여러 지역에서 식용으로 소비
요리구이


파스타
기타 다양한 요리
주의사항패류 독소 중독 주의
신선한 조개 섭취
기타 용도진주 양식
낚시 미끼
기타 정보
관련 속담입을 다물다 (clam up)

2. 생태

껍데기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데, 이매패류의 껍데기는 접번에 의해 맞물려 있으며, 수축성이 있는 조개관자가 붙어 있어 껍데기를 열고 닫는다. 복족류는 나선 모양의 껍데기를 가지고 있다. 뿔조개처럼 긴 관 형태의 껍데기를 가지기도 한다.

껍데기 안쪽에는 외투막이 있고 외투막에서 칼슘을 지닌 액체를 내어 껍데기를 만든다.

조개의 몸은 전체가 물렁물렁하고 뼈, 관절이 없으므로, 몸을 자유롭게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다. 몸속에는 아가미, , , , 심장 등이 있다. 대부분의 조개는 아가미로 호흡하나, 일부 폐로 호흡하는 종도 있다.

이매패류 조개는 머리와 치설(radula)은 없고 도끼 모양의 이 있는데 이것을 부족(斧足)이라고 한다. 부족은 을 파고 들어가거나 기어다니는 데 쓴다. 판 모양의 아가미가 있어 호흡을 하고 먹이를 거르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이매패류는 이 없으나, 일부 눈이 있는 종류도 있으며, 가리비의 경우 껍데기 끝부분에 빛을 감지하는 눈들이 붙어 있기도 하다.

복족류 조개는 부분이 역할을 하여 복족(腹足)이라고 한다. 머리에는 더듬이, 그리고 빛을 감지하는 이 있으며, 눈은 더듬이 끝에 있거나, 더듬이 옆에 붙어 있기도 하다. 입 안에는 강판처럼 생긴 치설이 있다. 대부분 복족류의 발에는 뚜껑이 있어 껍데기 속으로 숨을 때 뚜껑을 닫아 몸을 보호한다.

대부분의 조개류는 암수딴몸이지만, 일부 암수한몸인 것도 있고 나이에 따라 성이 바뀌는 것도 있다. 주로 체외수정을 한다. 암컷은 알을 만들어 출수관으로 몸 밖 바닷물에 뿌리고, 수컷은 정충(정자)를 만들어 출수관으로 바닷물에 뿌린다. 이들이 만나면 수정이 이루어져 바위나 암초에 붙어 작은 유생이 된다. 조개의 유생은 플랑크톤과 유사하게 생겨서 물속을 돌아다닐 수 있다. 유생이 조금 더 성장하면 치패(어린 조개)가 되어 조개의 모습이 된다.

민물, 바닷물, 짠물, 갯벌, 민물이 섞인 등 물속 생태계에는 어디에나 분포하며 물속의 미생물을 잡아먹고 자란다. 바다에서는 바닷가의 파도가 밀려 들어오는 끝자락, 조간대에서 수심 10,000m까지 서식한다. 조개는 바다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터 공급자이자 다양한 동물의 먹이원으로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연체동물이다.[7] 조개를 먹는 현존하는 포유류에는 바다코끼리의 태평양 및 대서양 종, 대서양과 태평양의 모든 물범 아종, 바다사자의 대부분 종, 캘리포니아 바다사자, 수염바다표범, 심지어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담수종을 섭취하는 수달 종도 포함된다.[8] 모든 종류의 새들도 연안 지역에서 조개를 잡을 수 있다면 먹는다. 홍부리(북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9] 검은머리물떼새, 흰두루미[10]와 유럽두루미, 플로리다와 카리브해의 아메리카 홍학,[11] 그리고 알락할미새는 전 세계에서 조개를 먹는 수많은 새들 중 일부일 뿐이다. 대부분의 문어 종은 대왕문어를 포함하여 조개를 주요 식단으로 한다.

3. 요리

조개는 지구상에 등장한 초기부터 수많은 동물의 먹잇감이었다. 인류 역시 조개를 식용으로 활용했으며, 강과 바다 근처 원시인 거주 지역에서는 조개가 주된 포획 대상이었고, 조개껍데기를 쌓아놓은 패총 유적이 생겨나기도 했다.

오래전부터 인류는 조개를 식용으로 사용해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안 지역에는 다양한 조개 요리가 존재한다. 바닷가에서는 여성, 노인, 어린이들도 쉽게 조개를 채취할 수 있으며, 불에 굽거나 찌개로 끓이면 맛이 좋다. 특히 살이 부드럽거나 맛이 좋은 조개는 날로 먹거나 구이, 튀김, 볶음, 탕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조개관자나 키조개처럼 껍데기를 여닫는 근육을 요리하기도 하며, 오늘날에는 조개를 인공적으로 양식하기도 한다.

조개 요리를 할 때는 해감을 통해 모래를 제거하며, 보통 껍데기째 조리한다. 5월에서 8월 사이에는 삭시톡신이라는 패독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홍합이나 등의 조개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3. 1. 조리법

인류는 오래전부터 조개를 식용으로 사용해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안 지역에는 수많은 종류의 조개 요리가 발달해 있다. 바닷가의 조개는 여성, 노인, 어린이들도 쉽게 채취할 수 있으며, 불에 굽거나 찌개로 끓여 먹으면 맛이 좋다.

특히 살이 부드럽거나 맛이 좋고 쉽게 잡히는 종류를 중심으로 조개 요리가 발달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구이, 튀김, 볶음, 탕 등 다양한 조리법이 존재한다. 살 외에 껍데기를 여닫는 근육인 조개관자를 요리하기도 하는데, 키조개 종류가 대표적이다. 오늘날에는 조개를 인공적으로 양식하기도 한다.

조개 요리 전에는 해감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개는 수관을 통해 물을 빨아들여 먹이를 걸러내는 습성이 있는데, 이때 모래도 함께 빨아들여 몸속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물에 하루 정도 담가두면 조개가 모래를 뱉어내 깨끗하게 먹을 수 있다.

조개는 보통 껍데기째 조리하는데, 이는 껍데기가 벌어지는 순간이 가장 맛있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조개를 사용할 때만 껍데기가 벌어지며, 껍데기의 칼슘 성분은 해장에도 도움을 준다.

5월~8월에는 홍합이나 등 바닷물에 서식하는 조개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시기에는 수온이 높아져 삭시톡신(saxitoxin)이라는 패독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삭시톡신은 바닷물 속 플랑크톤을 통해 발생하며, 봄과 여름에 플랑크톤이 많이 번식하여 패독 발생 위험이 높다. 패독에는 기억상실성, 설사성, 마비성 등이 있다. 양식 조개는 플랑크톤 수를 조절하여 패독 발생 확률이 낮지만, 간혹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2. 주의사항

조개는 인류에게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안 지역에는 다양한 조개 요리가 존재한다. 바닷가에서는 여성, 노인, 어린이들도 쉽게 조개를 주울 수 있으며, 불에 굽거나 찌개로 끓여 먹으면 맛이 좋다. 조개 요리를 할 때는 껍데기째 조리하는데, 이는 껍데기가 벌어지는 순간이 가장 맛있고, 껍데기의 칼슘 성분이 해장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5월~8월에는 홍합 등 바닷물에 서식하는 조개를 피하는 것이 좋다. 이 기간에 수온이 일정 이상으로 올라가면 삭시톡신이라는 패독이 발생하여 중독될 수 있기 때문이다.[1] 삭시톡신은 바닷물 속 플랑크톤을 통해 발생하는데, 봄과 여름에 플랑크톤이 많이 발생하여 패독도 주로 이 시기에 발생한다. 패독에는 기억상실성, 설사성, 마비성 등이 있다.[1] 양식 조개는 플랑크톤 수를 조절하여 패독 발생 확률이 낮지만, 간혹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3. 3. 세계의 조개 요리

조개 요리


조개가 흰색 와인 소스에 끓고 있다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종류의 조개를 섭취한다.

미국 동부 해안과 캐나다 해양주에서는 '조개'라는 용어가 경첩조개(`Mercenaria mercenaria`)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맛조개(`Mya arenaria`)와 대서양 쿼호그(`Arctica islandica`)와 같은 다른 식용 종을 지칭하기도 한다. 대서양 연안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또 다른 종은 서프 조개(`Spisula solidissima`)이다. 가리비는 미국 전역에서 식용되지만, 고둥은 서부 해안의 유럽 종보다 얻기 어렵고, 동부 해안에서는 모기가 많은 염습지와 갯벌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흔하지 않다.[12]

미국 동부에는 딸기 고둥(`Americardia media`), `Trachycardium muricatum`, `Dinocardium robustum` 등 몇 가지 식용 종이 있다.[13] 이들은 노스캐롤라이나 연안의 섬인 아우터뱅크스에서 소규모로 잡혀 수프, 찜, 절임 등으로 사용되었다.[14]

미국 동부 해안에서는 대나무 조개(`Ensis directus`)가 조개 스트립을 만드는 데 인기가 있지만, 해변과 매우 가까운 모래 속에 파고드는 특성 때문에 채취가 어렵다.[15] 대나무 조개는 껍질 가장자리가 날카로워 주의해야 한다.

미국 서부 해안에서는 버터 조개(`Saxidomus gigantea`),[17] 태평양 면도칼 조개(`Siliqua patula`),[18] 가퍼 조개(`Tresus capax`),[19] 지오덕 조개(`Panopea generosa`),[20] 피스모 조개(`Tivela stultorum`)[21] 등 다양한 종이 수천 년 동안 섭취되어 왔다.[16]

조개는 날것, 찜, 삶기, 굽기, 튀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조개 차우더, 조개 카지노, 조개 케이크, 스터피 등으로 만들거나, 뉴잉글랜드 조개 구이처럼 뜨거운 돌과 해초를 사용하여 요리할 수도 있다. 서부 해안에서는 치오피노와 세비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22]

인도 해안 지역, 특히 콘칸, 케랄라, 벵골, 카르나타카, 타밀나두 해안 지역에서는 조개가 많이 소비된다. 케랄라에서는 조개를 사용하여 카레를 만들고 코코넛과 함께 볶는다. 말라바르 지역에서는 "엘람바카", 케랄라 중부 지역에서는 "카카"라고 불린다. 특히 탈라세리 지역의 말라바르 요리에는 코코넛을 넣은 조개 카레가 유명하다. 인도 남서부 해안 콘칸 지역에서는 조개로 카레 및 반찬을 만든다. 망갈로르 지역의 베아리 무슬림 가구에서는 조개를 주재료로 한 요리를 준비한다. 우두피와 망갈로르 지역에서는 marvaitcy라고 불리며,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일본에서 조개는 혼합 해산물 요리, 냄비 요리, 된장국, 쓰쿠다니 등에 사용된다. '''시지미'''(`Corbicula japonica`), '''아사리'''(`Venerupis philippinarum`), '''하마구리'''(`Meretrix lusoria`)가 일본 요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개 종류이다.[23]

영국은 섬 전체를 둘러싼 바위와 자갈 해안 지형 덕분에 조개류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하지만 양식 또는 상업적 수확을 위해 재배되는 해산물의 70%가 유럽 대륙으로 수출된다.[24] 영국은 역사적으로 소고기와 유제품으로 유명했지만, 해안 조개 무덤 등에서 조개가 영국 식단의 주요 식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25],[26]

영국에서는 칼조개(`Ensis siliqua`)[27], 일반적인 고막조개, 쿼호그, 홈카펫 조개(Palourde clam), `Spisula solida`[29] 등이 인기 있는 조개 종류이다.

이탈리아에서 조개는 혼합 해산물 요리나 파스타와 함께 먹는다. ''봉골레''(`Venerupis decussata`), ''코차''(`Mytilus galloprovincialis`), ''tellina''(`Donax trunculus`) 등이 이탈리아 요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개이다. 과거에는 ''다테로 디 마레''(`Lithophaga lithophaga`)를 먹었지만,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채취 및 판매가 금지되었다.

4. 껍데기의 용도

조개 껍데기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단하고 오랫동안 유지된다. 일부 종은 안쪽의 진주층 부분이 빛을 받아 화려한 색을 내기도 한다. 그래서 옛날부터 조개 껍데기를 장식품이나 화폐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나전칠기의 무늬도 조개 껍데기에서 추출한 자개 조각으로 만든 것이다.

몰디브, 페르시아만서아프리카 지역 등에서는 조개 껍데기를 화폐로 사용한 곳이 많았다. 일부 지역은 20세기까지 일반 화폐와 조개 껍데기를 화폐로 병용한 곳도 있었다. 대항해시대 이후 유럽에서도 이 지역과 거래할 때 조개 껍데기로 거래하기도 하였다. 과거에는 특히 ''메르케나리아''와 같은 일부 조개 종이 동부 북아메리카의 알곤킨 사람들에 의해 신성한 장신구의 일종인 왐펌을 제조하고, 조개 껍데기 화폐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30]

5. 종교적 의미

이슬람교에서는 학파에 따라 조개를 할랄 식품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하나피 학파에서는 물고기만 할랄로 간주하여 조개를 허용하지 않는다. 유대교에서는 조개를 트레이프라 하여 코셔가 아닌 식품으로 분류한다.

6. 조개류 목록

蛤|조개중국어는 이매패강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이다. 다음은 조개류의 목록이다.

문/아문속/종
이매패류우럭목쇄방사늑조개과계화도조개/쇄방사늑조개
족사부착쇄조개과코끼리조개
석공조개과돌맛조개
우럭과우럭
백합목백합과대합, 바지락, 백합
개량조개과동죽
재첩과재첩
가리맛조개과가리맛조개
죽합과맛조개
석패목귀이빨대칭이, 말조개, 펄조개, 도끼조개, 칼조개, 곳체두드럭조개, 두드럭조개
가리비목가리비과가리비, 국자가리비
돌조개목돌조개과꼬막, 피조개
담치목홍합과섭조개, 진주담치, 홍합
굴목굴과, 참굴
진주조개목키조개과키조개
진주조개과진주조개
복족류: 개오지, 골뱅이, 구멍삿갓조개, 소라, 수염고둥, 전복, 청자고둥, 피뿔고둥, 실꾸리고둥과



식용 조개는 다음과 같다.


  • 방주조개류, 방주조개과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에서 인기)
  • 대서양 칼조개: ''Ensis directus''
  • 대서양 서프 조개: ''Spisula solidissima''
  • 일반적인 가리비: ''Cerastoderma edule'' (대부분 유럽 원산, 아일랜드와 영국에 매우 많음)
  • 대서양 자이언트 가리비: ''Dinocardium robustum''
  • 지오덕: ''Panopea abrupta'' 또는 ''Panope generosa'' (세계에서 가장 큰 굴착 조개)
  • 굴절 칼날조개, ''Solen strictus'' (한국, 일본, 대만에서 인기)
  • 홈 카펫 조개: ''Ruditapes decussatus''
  • 경성 조개 또는 북부 쿼호그: ''Mercenaria mercenaria'' (미국 동부 및 캐나다 해양 지역 원산)
  • 리레이트 아시아 경성 조개: ''Meretrix lyrata''
  • 마닐라 조개: ''Venerupis philippinarum''
  • 대양 쿼호그: ''Arctica islandica''
  • 태평양 칼조개: ''Siliqua patula''
  • 피피, ''Plebidonax deltoides'' 및 ''Paphies australis''
  • 피스모 조개: ''Tivela stultorum''
  • 포드 조개: ''Ensis siliqua''
  • 스푸트: ''Ensis magnus''
  • 부드러운 조개: ''Mya arenaria''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간주되지 않는 조개는 다음과 같다.

  • 구슬 조개류 또는 뾰족한 구슬 조개, 구슬조개과
  • 오리 조개류 또는 트러프 조개, 트러프조개과
  • 습지 조개, Corbiculidae과
  • 파일 조개, Limidae과
  • 대형 조개: ''Tridacna gigas'' (동아시아 원산이며 식용 가능하지만, 번식이 느림)
  • 아시아 조개: ''Corbicula'' 속
  • 페퍼리 파로 쉘: ''Scrobicularia plana''

참조

[1] 백과사전 Clam https://www.britanni[...] 2016
[2] 웹사이트 Can You Eat Freshwater Clams in the Nature? https://www.wildbunn[...] 2019-04-29
[2] 웹사이트 Musseling in http://www.eatthewee[...] 2012-08
[2] 웹사이트 USFWS: America's Mussels https://www.fws.gov/[...]
[3] 웹사이트 Clams recipes https://www.bbc.co.u[...] 2017-02-23
[4] 웹사이트 Clam https://en.oxforddic[...] Oxford
[5] 뉴스 Ming the Clam, World's Oldest Animal, Was Actually 507 Years Old https://www.cbsnews.[...] 2013-11-14
[6]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Shell Structures https://naturalhisto[...]
[7] 웹사이트 Outreach & Education https://www.nwfsc.no[...] NOAA Fisheries 2020-06-11
[8] 웹사이트 River Otters https://www.westsoun[...] West Sound Wildlife
[8] 웹사이트 Asian small-clawed otter https://www.marwell.[...] Marwell Zoo
[9] 웹사이트 Roseate Spoonbill https://ambergriscay[...]
[10] 뉴스 Whooping Crane https://www.national[...] 2010-11-11
[11] 웹사이트 The Birds of Bonaire http://www.geographi[...]
[12] 웹사이트 Clams https://wdfw.wa.gov/[...]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 Wildlife
[12] 웹사이트 Cockle https://www.seafoods[...] Diversified Communications 2014-01-23
[13] 웹사이트 Atlantic Giant Cockle (Dinocardium robustum) http://oceanica.cofc[...] College of Charleston
[14] 서적 Modern American Cookery ... With a list of family medical recipes, and a valuable miscellany https://books.google[...] J. and J. Harper 1831
[15] 웹사이트 dredging of clams http://www.dfo-mpo.g[...]
[16] 웹사이트 Nisqually People and the River http://www.yelmhisto[...] Yelm History Project
[16] 뉴스 What Did the Chumash Eat? https://classroom.sy[...] 2017-09-29
[16] 웹사이트 Tsawwassen First Nation History and Timeline http://tsawwassenfir[...] Tsawwassen First Nation 2011-11-10
[17] 뉴스 Plenty of clams, oysters in Puget Sound and Hood Canal https://www.seattlet[...] 2015-06-27
[18] 뉴스 Dig Those Razor Clams https://www.northcoa[...] 2018-02-01
[19] 뉴스 Oregon clam chowder http://theworldlink.[...]
[20] 웹사이트 All About Geoduck: The Life of a (Delicious) Oversized Mollusk https://www.seriouse[...] 2018-08-10
[21] 뉴스 Digging for Pismo clams at San Diego Beaches https://www.sandiego[...] 2013-04-12
[22] 웹사이트 razor clams http://langdoncook.c[...] 2014-04-04
[23] 논문 Food sources for the bivalve Corbicula japonica in the foremost fishing lakes estimated from stable isotope analysis None 2006-01-01
[24] 뉴스 Trade insights: More than 70% of UK seafood exports go to EU https://www.undercur[...] 2021-04-10
[25] 논문 Mesolithic middens and molluscan ecology: A view from southern Britain
[26] 웹사이트 Mesolithic and Neolithic shell middens in western Scotl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shellfish exploitation patterns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Edinburgh
[27] 웹사이트 Razorfish https://britishseafi[...] 2012-10-12
[28] 웹사이트 Razor Clams on display in Billingsgate Fish Market, London https://www.alamy.co[...] Alamy
[29] 논문 New species in aquaculture: Are the striped venus clam ''Chamelea'' gallina(Linnaeus, 1758) and the surf clam ''Spisula'' solida(Linnaeus 1758) potential candidates for diversification in shellfish aquaculture?
[30] 서적 The Big Oyster: History on the Half Shell https://archive.org/[...] Penguin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