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광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권 광장은 프랑스 파리 샤요 궁전 사이에 위치한 광장으로, 에펠탑을 조망할 수 있는 명소이다. 1985년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의 제안으로 '자유와 인권 광장'으로 명명되었으며, 세계 인권 선언 채택과 르네 카생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다. 1937년 세계 박람회를 앞두고 조성되었으며, 1940년 아돌프 히틀러가 방문하여 사진을 촬영한 장소이기도 하다. 광장에는 프랑스 혁명 당시의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문과 조제프 르생스키 신부의 기념 문구가 새겨진 석판이 설치되었으며, 2016년에는 나치 점령기 장애인 추모 석판이 세워졌다. 매년 10월 17일은 '세계 빈곤 극복의 날'로 기념되고, 시위가 열리는 장소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펠 탑 - 귀스타브 에펠
프랑스의 토목기사이자 건축가인 귀스타브 에펠은 철골 구조 건축의 선구자로서 에펠탑 건설과 자유의 여신상 내부 구조 설계에 참여했으며, 후기에는 항공학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파나마 운하 스캔들에 연루되기도 했다. - 에펠 탑 - 에펠 (영화)
에펠은 귀스타브 에펠과 그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린 2021년 프랑스-독일-벨기에 합작 영화로, 젊은 시절 만났던 아드리엔 부르제와의 재회와 에펠탑 건설을 둘러싼 갈등, 그리고 그 탑이 두 사람의 사랑의 기념비가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 파리의 기념물 - 바스티유 광장
바스티유 광장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하며 프랑스 혁명의 상징적인 장소였던 바스티유 감옥 터에 조성되어 7월 혁명 기념비와 오페라 바스티유 등이 있는 역사적 시민 휴식 공간이다. - 파리의 기념물 - 카루젤 개선문
카루젤 개선문은 나폴레옹 1세가 로마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을 본떠 1806년에서 1808년 사이 건설한 건축물로, 튀일리 궁전의 관문이었으나 궁전 파괴 후 샹젤리제 거리, 에투알 개선문과 함께 '역사의 축'을 이루며, 꼭대기에는 평화의 여신이 승리의 전차를 탄 콰드리가가 있다. - 파리 16구 -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에서 출발하여 미국, 캐나다, 일본 등의 가입을 통해 글로벌 기구로 재편되었으며, 현재 38개 회원국이 경제 성장, 개발 지원, 무역 활성화, 국제 조세 규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파리 16구 - 파리 생제르맹 FC
파리 생제르맹 FC는 1970년 창단되어 리그 1에 참가하는 프랑스 파리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90년대와 2011년 QSI 인수 후 투자를 통해 프랑스 최강팀으로 군림하고 있으며 파르크 데 프랭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인권 광장 | |
---|---|
기본 정보 | |
![]() | |
소재 국가 | 프랑스 |
위치 | 파리 16구 샤요 구역 샤요 궁전 내 |
조성 시기 | 19세기 |
명칭 | |
프랑스어 | Parvis des Droits de l'homme |
2. 위치와 명칭
샤요 궁전의 두 건물 사이에 위치한 광장으로, 도로 너머 트로카데로 11월 11일 광장 과 트로카데로 정원을 내려다보고 있다. 광장 바로 아래는 국립 무용극장이 위치해 있는데, 거꾸로 말하면 이 광장은 해당 극장의 옥상 테라스에 해당된다.[1]
1937년 세계 박람회를 앞두고 샤요 궁전과 함께 조성되었다. 이전에는 1878년 건설된 트로카데로 궁전의 콘서트홀이 자리잡고 있었다. 당시 샤요 궁전을 바탕으로 양쪽에 금박 청동상이 4개씩, 총 8개가 들어섰다.[2]
1985년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의 뜻으로 '자유와 인권 광장'으로 명명되었다.[1] 이는 1948년 12월 10일 제5차 유엔 총회를 계기로 세계 인권 선언이 채택된 장소가 광장 아래 샤요 궁전인 동시에, 선언문 초안 작성에 참여한 프랑스 대표 르네 카생을 기리기 위한 의도였다.[1]
광장에 올라서면 남쪽 방면으로 바로 눈앞에 에펠탑이 우뚝 선 풍경이 펼쳐지기 때문에 파리를 찾은 관광객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명소로 꼽힌다. 시민들 가운데서는 롤러블레이드와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사람들도 있으나 광장의 바닥 타일 자체는 운동에 적합하지 않다. 이와 더불어 에펠탑이 잘 보이는 장소라는 점에서 프랑스 국내외 정치 관련 시위대가 모여 집회를 벌이고, 그 자체로 프랑스 내지는 파리에서 시위를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장소로도 쓰인다.
파리 메트로의 환승역인 트로카데로역에서 가깝다.
3. 역사
1940년 나치 독일이 프랑스 파리를 점령한 뒤 방문한 아돌프 히틀러가 에펠탑을 배경으로 찍은 유명한 사진도 이곳 광장에서 촬영되었다.
1985년 '인권 광장'으로 명명된 직후 기념석판이 설치되었는데,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발표된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제1조 "인간은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 (Les hommes naissent et demeurent libres et égaux en droits)가 적혀 있다.
1987년 10월 17일에는 프랑스의 신부이자 인권운동가인 조제프 르생스키의 주도로 광장 반대편 끝에 두번째 석판이 설치되었다. 그 내용은 "1987년 10월 17일, 전세계의 인권과 시민권 수호자들이 이 광장에 모여, 굶주림과 무지, 폭력의 희생자들을 추모하였다. 가난은 피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는 신념을 재확인하고, 전세계에서 빈곤 퇴치를 위해 싸우는 이들과의 연대를 선언하였다. 가난한 삶에 내몰리는 그 어떤 곳이든, 인권은 침해되고야 만다. 이들의 인권이 존중될 수 있도록 단결하는 것은 신성한 의무다. — 조제프 르생스키 신부"였다.
위 석판을 설치한 것을 계기로, 프랑스에서는 매년 10월 17일을 '세계 빈곤 극복의 날' (Journée mondiale du refus de la misère)로 기념하고 있으며, 유엔에서도 같은 날을 '국제 빈곤 퇴치의 날'로 공식 승인하고 있다.
2016년에는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뜻에 따라 나치 점령기에 사망한 장애인들을 추모하는 석판이 세 번째로 세워졌다.[5]
3. 1.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L'inauguration du parvis des droits de l'homme au Trocadéro
https://fresques.ina[...]
[2]
서적
Le palais de Chaillot
[3]
간행물
L'Arc de Triomphe empaqueté : l'œuvre ultime de Christo
Paris 16 Le Mag, magazine d'information de la mairie du 16e arrondissement
2021-09
[4]
웹사이트
La statue du Printemps empaquetée par Christo
https://www.histoire[...]
2020-08-19
[5]
웹인용
Hollande rend hommage aux handicapés maltraités sous l'Occupation
https://www.lefigaro[...]
2020-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