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주의적 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주의적 위기는 자연재해와 인위적 재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광범위한 문제로, 재산 피해, 인명 피해, 심리적 고통, 사회경제적 불안정, 환경 파괴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자연재해는 지진, 태풍, 홍수 등이 있으며, 인위적 재난은 전쟁, 사회 불안, 테러 등이 있다. 이러한 위기는 여성과 아동에게 특히 취약하며, 정신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제연합(UN)을 비롯한 다양한 기구와 비정부기구(NGO)들이 위기 관리 및 대비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주의 - 인도주의적 지원
    인도주의적 지원은 국제 연합 총회 결의 및 운영 규약에 따라 정부와 비정부 기구 등이 제공하는 식량, 의료 등의 지원을 의미하지만, 소비 패턴 변화, 자원 착취, 의료 지원 비효율성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며,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이 국제적 대응을 조정하나 재정 자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 인도주의 - 지진 대비
    지진 대비는 지진 발생 시 생존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생존 및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개인, 사회, 건축물 수준에서 심리적 대비, 교육 및 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 위기관리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위기관리 - 재난안전관리본부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는 대한민국의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총괄하는 중앙정부 기관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본부장 아래 2실 1국, 6정책관, 1심의관, 28과(1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재난 대응 및 안전 정책 수립을 담당한다.
인도주의적 위기
정의
정의다수의 사람들의 건강, 안전, 복지 또는 생존에 대한 광범위한 위협을 수반하는 사건 또는 일련의 사건
주요 특징지역 사회의 정상적인 기능이 마비됨
원인자연 재해
인위적 재해
복합적인 요인
유형
자연 재해지진
홍수
가뭄
허리케인
쓰나미
인위적 재해전쟁
내전
대량 학살
기근
전염병
대응
주요 활동인도적 지원 제공
의료 지원
식량 지원
피난처 제공
긴급 구호 활동
관련 기관국제 적십자사
국경 없는 의사회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
세계 식량 계획
유엔 난민 기구
고려 사항
인도주의적 원칙인간성
중립성
공정성
독립성
윤리적 문제지원 제공의 우선순위 결정
문화적 차이 고려
지역 사회 참여
정보 보호
기타
관련 용어인도적 지원
재난
긴급 구호
국제 개발 협력
외부 링크
관련 자료인도주의 연합 팩트 시트: 인도주의적 위기란 무엇인가
UCSF 글로벌 보건 과학: 복합적인 인도주의적 비상 프로그램
NPR: 인도주의 전문가, 트럼프의 '인도주의적 위기' 용어 사용에 대한 논쟁
호주 국립 대학교 문화 조사: 인도주의 워크숍

2. 발생 요인

인도주의적 위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자연재해와 인위적 재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도주의적 위기는 자연 재해와 인재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다. 자연 재해에는 쓰나미, 지진, 허리케인, 홍수, 가뭄, 산불 등이 있으며, 인재는 전쟁, 사회 불안, 시위, 갈등, 테러 공격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5]

국제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연맹(IFRC)은 자연 재해, 기술 재해(유해 물질 유출, 체르노빌형 원자력 사고, 화학 폭발), "내란, 내전 및 국제전"과 관련된 장기적인 인재를 포괄하는 범주를 제시한다.[6]

전염병이 진행 중이거나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특히 병독성이나 감염률이 증가하는 AIDS, 조류 인플루엔자, 결핵 등은 인도주의적 위기에 해당될 수 있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이상 기후 등 인간 활동이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가 증가하여, 천재와 인재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2. 1. 자연재해

쓰나미, 지진, 허리케인, 홍수, 가뭄, 산불 등은 자연 재해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야기하며, 재산 피해, 신체적 부상 및 사망, 심리적 고통, 이재민 발생, 일상 활동의 장기적인 중단 등을 초래할 수 있다.[5]

2. 1. 1. 대표적인 자연재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자연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로는 지진, 태풍, 화산 폭발 등이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는 인간 생활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한다. 2017년 5월을 기준으로,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 등 인간의 활동이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자연재해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재와 인재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2. 2. 인위적 재난

인위적 재난으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는 전쟁, 사회 불안, 시위, 갈등, 테러 공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5] 국제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연맹(IFRC)은 내란, 내전, 국제전과 관련된 장기적인 인재를 포함하는 범주를 제시한다.[6] 국제적으로 인도주의적 대응 부문은 자연 재해와 무력 충돌 및 전쟁과 관련된 복합 재난을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7]

2. 2. 1. 대표적인 인위적 재난

국경 분쟁 등 국외 세력과의 무력 충돌에 의한 피해나, 내전이나 분쟁 등 국내 여러 집단의 대립에 의한 피해가 있다[45]。정부에 의한 국민 탄압·박해·학살 등으로 국내 정세가 매우 불안정한 국가도 여전히 존재하며, 이들 대부분은 정치·경제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45]。또한, 유조선 사고에 의한 해양 오염이나, 원전 폭발 사고에 의한 대기 오염 등도 인재에 포함된다[45]

3. 영향

인도주의적 위기는 여러 측면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하면 여성과 아동, 특히 여자아이들은 위험에 처한 난민이나 이재민의 대다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는다. 위기 상황에서 임신, 생식 건강, 성폭력 및 성적 착취와 관련된 사망은 여성에게서 급격히 증가한다. 여성들은 가족 계획 서비스, 산전·산후 관리 등 보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질병, 폭력, 사망에 취약해진다.[8] 여성난민위원회(Women's Refugee Commission)와 같은 비영리 단체는 위기로 고통받는 여성들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9]

경제적 문제는 인도주의적 위기를 야기하거나, 반대로 위기가 경제 붕괴를 초래하기도 한다. 위기 발생 후에는 국가 경제 환경에서 생계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11] 여성 난민 위원회는 실향민이나 난민에게 교육과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중요한 요구 사항으로 꼽는다.[12] 인도주의적 위기는 내전, 경제적 부족, 정부 붕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식량 안보 부족, 기근, 부패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은 인권 침해, 폭력, 대량 학살과 같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진다.[13] 엘니뇨와 같은 기상 패턴은 전 세계적으로 기아, 난민 발생, 건강 위험을 악화시킬 수 있다.[14]

자연재해는 피해 지역에 환경 및 생태학적 영향을 미친다. 천연자원의 심각한 감소를 초래하고, 해당 지역을 미래의 문제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16] 산불은 대기오염, 먼지 구름, 발암성 가스 방출 등을 유발하며, 산림 생태계의 야생 동물에게 심각한 영향을 준다. 홍수나 쓰나미와 같은 수자원 관련 자연재해는 물로 인한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며, 물고기, 산호 및 기타 해양 생물이 영향을 받아 어민들의 생계에도 영향을 미친다.[17]

세계보건기구(WHO)는 재난으로 영향받는 인구 5명 중 1명이 이미 정신 건강 장애를 앓고 있으며, 이는 재난 상황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추정한다.[22] 여기에는 가벼운 불안 및 우울증부터 조울증이나 정신분열증과 같은 심각한 질환까지 포함된다.[23] 위기로 인한 급성 스트레스는 단기적인 불안을 야기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증과 같은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24][25][26] WHO와 국제기구상임위원회(IASC)는 인도주의적 위기 시 정신 건강 관리가 응급 대응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23][24]

3. 1. 여성의 사회적 지위

파키스탄에 있는 여성 난민들이 땅에 앉아 있다.


인도주의적 위기 발생 시 여성과 아동(주로 여자아이)은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는다. 위기 이후 위험에 처한 난민이나 이재민의 4분의 3은 여성과 아동이며, 이들 중 4분의 1은 생식 가능 연령이고, 5분의 1은 임신했을 가능성이 높다. 비상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임신, 생식 건강, 성폭력 및 성적 착취와 관련된 사망은 특히 여성에게서 급격히 증가한다. 여성들은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 가족 계획 서비스, 산전 관리, 산후 관리, 기타 보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며,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험 증가로 질병, 폭력, 사망에 취약해진다.[8]

여성난민위원회(Women's Refugee Commission)와 같은 비영리 단체는 다양한 유형의 인도주의적 위기로 고통받는 여성들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9] 여성난민위원회에 따르면 인도주의적 위기 발생 초기 몇 시간 동안 여성과 어린 아이들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으며, 기관과 단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그러나 위기 발생 후 몇 시간과 몇 달 내에 가장 중요한 요구 사항은 난민과 국내 실향민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식량과 의료와 같은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며, 신원 정보를 확인하고, 성폭력을 예방하는 것이다.[10]

3. 2. 사회경제적 현실

경제적 문제는 인도주의적 위기를 야기할 수도 있고, 인도주의적 위기가 경제적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한 후에는 국가의 경제적 환경에서 생계를 회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1] 여성 난민 위원회는 지역의 경제적 질을 유지하기 위해 교육과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요구 사항 중 하나로 꼽는다. 이는 실향민이나 난민의 기술을 활용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12]

인도주의적 위기는 내전과 경제적 부족, 정부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식량 안보 부족, 기근, 부패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인권 침해, 폭력, 대량 학살과 같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진다.[13]

엘니뇨 기상 패턴은 전 세계적으로 기아, 난민 발생, 건강 위험을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와 같은 정부와 기구들은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예측 행동과 조기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다.[14][15]

3. 3. 환경 및 생태학적 영향

자연재해는 피해 지역에 환경 및 생태학적 영향을 미친다. 자연재해의 여파는 천연자원의 심각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해당 지역을 미래의 문제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16] 예를 들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대기오염, 먼지 구름, 발암성 가스 방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산림 생태계의 야생 동물은 이러한 사건의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홍수나 쓰나미와 같은 수자원 관련 자연재해의 경우, 물로 인한 광범위한 피해가 흔하다.[17] 물고기, 산호 및 기타 해양 생물이 영향을 받아 어민들의 생계에도 영향을 미친다.[18]

3. 4. 정신 건강 영향

세계보건기구(WHO)는 재난으로 영향받는 인구 중 5명 중 1명이 이미 정신 건강 장애를 앓고 있으며, 이는 재난 상황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추정한다.[22] 이 추정치에 포함된 정신 건강 장애는 가벼운 불안 및/또는 우울증부터 조울증이나 정신분열증과 같은 심각하고 지속적인 질환까지 다양하다.[23]

인도주의적 위기의 스트레스는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 급성 또는 단기적인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인도주의적 위기는 종종 사람들을 고향에서 쫓아내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여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심각한 불안을 야기한다.[24] 이러한 급성 불안은 단기적으로 인도주의적 지원 단체가 제공하는 자원을 통해 스스로를 돌볼 수 있는 주민들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4] 또한 급성 정신 건강 영향은 위기 이후 재건 과정에서 주민들의 회복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25] 급성 스트레스는 이미 정신 건강 장애를 앓고 있는 개인의 기존 질환을 악화시켜 우울증이나 조현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더욱 힘들게 만들 수 있다.[25]

인도주의적 위기로 인한 급성 정신 건강 문제는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질환이 될 수 있다.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난민 인구의 9%에서 40% 사이가 난민이 된 위기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는 것으로 추정된다.[26] 이러한 연구는 또한 위기에 영향을 받은 인구의 상당한 비율(5%에서 30% 사이)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몇몇 대규모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인도적 위기의 만성 정신 건강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이러한 추정치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26] 적절하고 신속한 치료가 없다면 PTSD와 중등도에서 중증의 우울증 및 불안은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질환이 될 수 있다.[26]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기구상임위원회(IASC)는 인도주의적 위기 시 정신 건강 관리가 응급 대응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23][24] 제공되는 정신 건강 관리의 유형은 상황과 자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최전선의 정신 건강 응급 처치, 지역 사회 지원 그룹 및 일상적인 임상 정신 건강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23] WHO는 또한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 외에도 각국의 정신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여 위기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응급 대응이 끝난 후에도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권고한다.[23] 2020년 코크란 검토에 따르면, 인도주의적 위기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정신 질환 예방을 위한 심리적 및 사회적 개입에 대한 연구에서 현재 연구를 검토한 결과 개입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더 나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7] 연구에 따르면, 최초 대응자들은 종종 정신 건강을 간과한다. 재난은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이 재난에 대한 자신의 감정적 경험을 처리하도록 지원받으면 회복력이 증가하고, 위기 시 다른 사람을 돕는 능력이 향상되며, 지역 사회 참여가 증가한다. 감정적 경험을 집단적으로 처리하면 재난 이후 더 큰 연대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감정적 경험에는 본질적으로 적응력이 있지만, 이러한 경험을 반추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이러한 성장이 가능하다.[28]

4. 인도주의적 위기 관리

인도주의적 위기 관리는 국제연합(UN)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NGO)들이 협력하여 위기에 대응하고 대비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4. 1. NGO와 인위적 재난 관리

국제연합(UN)은 인도주의적 위기 감독에 있어 주요 국제 행위자이지만, 위기 대응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기구(IOs), 국제 비정부기구(INGOs), 비정부기구(NGOs)를 위기 관리 조정에 통합하였다.[35] NGOs는 인도주의적 위기 관리, 특히 인위적 재난의 경우 전략적 사고, 행위자 조정, 다양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INGOs와 NGOs는 인도주의적 위기 관리에서 책임 있는 행위자들의 클러스터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들은 국가와의 결합으로부터의 분리와 객관성의 입장이라는 조직적 특성을 공유하지만,[36] 운영 수준에서 차이가 있다. INGOs는 국제적으로 운영되며, NGOs는 국내 수준의 활동에 속한다.[37] 비정부기구는 전반적으로 비영리 구조를 가지며, 위험에 처해 있고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반대급부를 기대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인간의 필요를 충족하고 인권을 보호하는 데 있어 연대 노력에 집중할 수 있다.[38]

NGOs는 인도주의적 위기 관리에서 조정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중요시한다. NGOs는 종종 다양한 행위자들과 협력해야 하며, 파트너십 전반에 걸쳐 기대치와 목표가 달라 효율적인 협력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NGOs는 세 가지 전략적 운영 환경을 활용하여 당사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구축한다. 첫째, “내부 작업장”[42]은 NGO와 긴밀히 협력하는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며, 조직의 직원과 위기 노출 지역의 자원봉사자로 구성된다. 둘째, “조직 간 포럼”[42]은 특정 위기에 대처하는 여러 NGOs, 지역 당국, UN 기관에 대한 적절한 보고를 포함한 여러 NGOs 간의 의사소통 라인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관계”[42]는 NGO 직원과 위기에 처한 개인 간의 의사소통의 다문화적 차원을 인식한다.[42]

NGOs는 인도주의적 위기 업무에서 전략적 사고를 채택할 수 있다. 전략적 사고는 특정 위기의 환경과 지원하는 조직의 상황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위험에 처한 사람들의 필요와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더 폭넓게 이해함으로써, 양측 모두에게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더 커진다.[43]

4. 2. 인도주의적 위기 대비

재난 대비는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한 예방, 대응 및 복구를 위한 핵심 요소이며, 물리적 대비(내진 설계, 위험 지역 건축물 회피, 주택 보강, 비상 키트 준비 등)와 행동적 대비(훈련, 조기 경보, 재난 보험 등)로 분류할 수 있다. 국제 사회는 재난 대비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핵심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 '''유엔 재해위험경감사무국(UNDRR):''' 유엔 국제재해경감전략(UNISDR)을 이행하며, 센다이 재해위험경감 계획 2015-2030 이행을 지원한다.[29]
  •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 전 세계적으로 자연 및 인위적 재난에 대한 대비, 대응 및 복구를 지원한다.[30]
  • '''인도지원업무조정국(OCHA):''' 인도주의적 행위자들을 모아 위기에 대한 일관된 대응을 보장하며, 전 세계 인도적 위기에 대한 인식 제고, 대비 및 대응을 옹호한다.[31][30]
  • '''기구간 상임위원회(IASC):''' 인도주의 정책, 옹호 및 대응 평가, 개선에 관한 행동을 조정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32] IASC 변혁적 의제의 의정서 8: “대비를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와 의정서 9: “긴급 대응 준비”는 국가와 인도주의 단체가 위험 평가 및 대비 계획을 위해 이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33]
  • '''글로벌 클러스터:''' 인도주의 프로그램 주기 동안 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유엔이 설정한 클러스터 접근 방식의 기본이다. 각 글로벌 클러스터 내의 책임자는 인도주의적 위기 발생 전에 표준 개발, 정책 설정 및 부문에 대한 모범 사례 공유를 통해 국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한다.[30][34]


이러한 다섯 가지 재난 대비 기관 외에도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영국 국제개발부(DFID),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SIDA) 등 재난 대비 활동에 자금을 지원하는 다수의 정부 원조 기관과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과 같이 재난 대비를 지원하는 많은 자선 단체가 있다.

5. 지속 가능한 해결책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한 단일 해결책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도주의적 위기의 주요 원인은 종종 여러 다른 요인들과 얽혀 있다. 더욱이, 하나의 결과가 또 다른 결과로 이어지고, 이것이 또 다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수의 경우 물고기와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및 생태적 영향이 발생한다. 이는 어부들의 소득원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지역 주민들은 식량 공급원과 해산물 소비 문화를 잃게 된다. 이는 여성과 어린이들이 소득과 식량을 얻기 위해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강요받는 사회적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분명히, 하나의 위기는 서로 연결된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단일 해결책은 없다. 터프츠 대학교의 파인스타인 국제센터는 인도적 위기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에라리온 내전에서 회복 중인 마을에 구호 물품을 제공하는 영국의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Humanitarian Crisis http://humanitarianc[...] 2013-05-06
[2] 웹사이트 Complex Humanitarian Emergency Program http://globalhealths[...] 2013-05-04
[3] 뉴스 Humanitarian Experts Debate Trump's Use Of The Term 'Humanitarian Crisis' https://www.npr.org/[...] NPR 2019-01-09
[4] 웹사이트 Humanitarian workshop flyer http://culturalinqui[...] 2013-05-07
[5] 논문 Pandemic and Typhoon: Positive Impacts of a Double Disaster on Mental Health of Female Students in the Philippines 2021
[6] 웹사이트 Types of disasters: Definition of hazard https://www.ifrc.org[...] 2020-05-11
[7] 웹사이트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handbook for complex emergencies http://www.reliefweb[...] 2013-09-17
[8] 웹사이트 UNFPA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 Protecting Women in Emergency Situations http://www.unfpa.org[...] 2015-02-09
[9] 웹사이트 Women's Refugee Commission – Humanitarian Crises Around the World http://womensrefugee[...] 2015-02-09
[10] 웹사이트 Women's Refugee Commission – Top 10 Needs Facing Refugees and Those Displaced in Emergencies https://web.archive.[...] 2015-02-09
[11] 웹사이트 Themes http://www.humanitar[...] 2015-02-09
[12] 웹사이트 Humanitarian coordination –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system http://www.unicef.or[...] 2015-02-09
[13] 웹사이트 Conflict, economic crisis and drought a humanitarian emergency out of control – Humanitarian Practice Network http://www.odihpn.or[...] 2015-02-09
[14] 뉴스 Return of El Niño raises risk of hunger, drought and malaria, scientists warn https://www.theguard[...] 2023-08-10
[15] 뉴스 UN warns world to prepare for El Nino impact https://www.france24[...] 2023-07-04
[16] 웹사이트 Groupe URD – Trainer's Guide "Integrating the Environment into Humanitarian Action and Early Recovery" http://www.urd.org/E[...] 2015-02-09
[17] 웹사이트 Natural Disasters & Environmental Hazards - Chapter 2 - 2012 Yellow Book - Travelers' Health - CDC https://web.archive.[...] 2013-09-17
[18] 웹사이트 WWF – Ecological Consequences of Natural Disasters: Tsunami http://wwf.panda.org[...] 2015-02-09
[19] 뉴스 Confronting Water Scarcity in North Africa https://arabcenterdc[...] 2023-12-21
[20] 보고서 Testing the Water: How Water Scarcity Could Destabilis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ttps://www.jstor.or[...]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8
[21] 웹사이트 Stockholm International Water Institute (SIWI) https://sustainabled[...]
[22] 웹사이트 Mental health in emergencies https://www.who.int/[...] 2020-12-13
[23] 웹사이트 Mental health in emergencies https://www.who.int/[...] 2020-12-13
[24] 웹사이트 Improving humanitarian assistance across sectors through mental health and psychosocial support https://odihpn.org/m[...] 2020-12-13
[25] 웹사이트 Immense mental health toll of humanitarian crises not being addressed https://www.icrc.org[...] 2019-10-04
[26] 논문 The prevalence of mental illness in refugees and asylum seek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
[27] 논문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s in people living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ffected by humanitarian crises 2020-09-08
[28] 논문 The responsibility of communicating difficult truths about climate influenced societal disruption and collapse: an introduction to psychological research https://insight.cumb[...] 2021
[29] 웹사이트 Who we are - UNDRR https://www.unisdr.o[...] 2019-10-25
[30] 웹사이트 Building a Better Response https://www.building[...] 2019-10-25
[31]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ww.unocha.o[...] 2016-09-27
[32] 웹사이트 About the Inter-Agency Standing Committee IASC https://interagencys[...] 2019-10-25
[33] 웹사이트 IASC Transformative Agenda IASC https://interagencys[...] 2019-10-25
[34] 웹사이트 What is the Cluster Approach? HumanitarianResponse https://www.humanita[...] 2019-10-25
[35] 서적 General coordination of responses to crisis situations New York: Routledge 2014
[36] 논문 Civil Society and Humanitarian Action: NGOs' Roles in Peace Support Operations 2011
[37] 서적 International Institutions: classification and main characteristics New York: Routledge
[38] 논문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 indispensable player of humanitarian aid https://www.cambridg[...] 2007
[39] 서적 NGOs, Crisis Management and Conflict Resolution http://dx.doi.org/10[...] 2013
[40] 논문 Responding to the Humanitarian Crisis of the Rohingya in Myanmar: A Comparison between the Role of State and NGOs http://www.librellop[...] 2021-07-26
[41] 서적 Working Through Ambiguity: International NGOs in Myanmar The Hauser Center for Nonprofit Organizations
[42] 서적 Managing Refugee-Assistance Cris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tor Routledge
[43] 서적 Strategic Thinking and Planning New York: Routledge
[44] 웹사이트 What Is a Humanitarian Emergency http://humanitarianc[...] The Humanitarian Coalition 2017-05-08
[45] 서적 人道危機と国際介入 : 平和回復の処方箋 有信堂高文社
[46] 웹사이트 What Is a Humanitarian Crisis http://humanitarianc[...] 2013-05-06
[47] 웹사이트 Complex Humanitarian Emergency Program http://globalhealths[...] 2013-05-04
[48] 뉴스 Humanitarian Experts Debate Trump's Use Of The Term 'Humanitarian Crisis' https://www.npr.org/[...] NPR 2019-01-09
[49] 웹사이트 Humanitarian workshop flyer http://culturalinqui[...] 2013-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