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술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술라는 고대 로마의 다층 건물로, 오늘날의 아파트와 유사한 형태를 띠었다. 투기 목적으로 건설되어 화재와 붕괴에 취약했으며, 최대 9층까지 지어지기도 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높이를 제한했고, 로마에는 돔스보다 인술라가 훨씬 많았다. 로마의 웅변가 키케로는 인술라의 소유주였으며, 부실 공사로 붕괴된 인술라를 통해 더 높은 임대료를 받을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건축물 - 도미틸라 카타콤베
    도미틸라 카타콤베는 로마에 있는 초기 기독교 지하 묘지로, 플라비아 도미틸라의 소유지에 건설되었으며, 다양한 구역과 초기 기독교 미술, 이교도적 요소가 공존하는 프레스코화가 남아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로마의 건축물 - 스타디오 올림피코
    스타디오 올림피코는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60년 하계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AS 로마와 SS 라치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주요 국제 스포츠 이벤트와 문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인술라
개요
오스티아 안티카의 인술라 파사드
로마의 오스티아 안티카에 있는 전형적인 인술라의 파사드
유형다층 건물
위치고대 로마 도시
재료벽돌
콘크리트
목적주거
역사 및 특징
어원
정의고대 로마 도시에서 사용된 일종의 아파트 건물이다.
인술라는 로마의 도시 풍경에서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건설 재료대개 벽돌로 지어졌다.
로마 콘크리트를 사용했다.
용도하층은 상점이나 사업체에 사용되었다.
상층은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거주민인술라는 다양한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거주했다.
부유한 사람들은 더 넓고 고급스러운 아파트를 소유했다.
가난한 사람들은 더 작고 기본적인 방에 살았다.
시설기본적인 편의 시설만 제공되었다.
난방, 수도, 하수도 시설이 부족했다.
위험 요소화재에 취약했다.
붕괴 위험이 있었다.
유명한 인술라인술라 펠리쿨라 (Insula Felicula)
사회적 의미
주거 환경인술라는 로마 시민 대다수의 주거 형태였다.
인구 밀도가 높았다.
위생 문제가 심각했다.
사회 계층인술라는 사회 계층을 반영했다.
더 나은 인술라에 사는 것은 사회적 지위 상승을 의미했다.
도시 계획인술라는 로마의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시의 모습과 생활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구조

인술라는 대부분 투기 목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건설되어 부실 공사였으며, 목재, 벽돌, 나중에는 원시적인 콘크리트로 지어졌다. 유베날리스의 『풍자시집』에 나오는 것처럼, 화재에 취약하고 붕괴되기 쉬웠다.[7] 난방이나 수도 시설이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화장실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2. 1. 층수 및 크기

아우구스투스는 인술라의 높이를 약 약 21.34m로 제한하기 전에는 최대 9층까지 지을 수 있었다. 이후 이 제한은 약 약 18.29m로 더 줄어들었다.[8][9] 특히 큰 ''인술라 펠리클레스'' 또는 ''펠리쿨라''는 플라미니우스 서커스 근처 제9구역에 위치해 있었다. 초기 기독교 작가 테르툴리아누스는 펠리클레스를 신들의 높은 집에 비유하여 다층 건물들의 오만을 비난했다.[10] 일반적인 ''인술라''는 약 334.45m2 면적에 40명 이상을 수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체 구조는 약 6~7개의 아파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아파트는 바닥 면적이 약 약 92.90m2이다. 로마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인술라''는 서기 2세기부터 건축된 5층 건물인 아라 코엘리 인술라로, 카피톨리노 언덕 기슭에서 발견된다.

안전 문제와 추가 계단을 오르내리는 어려움 때문에, ''인술라''의 최상층은 가장 선호되지 않았고, 따라서 임대료가 가장 저렴했다.[11]

2. 2. 주거 공간

스트라본은 ''인술라''가 ''도무스''처럼 상수도와 위생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투기 목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건설되기도 하여 부실한 ''인술라''가 생겨났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목재, 벽돌, 그리고 나중에는 로마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유베날과 같은 로마 풍자시인이 묘사했듯이 화재와 붕괴에 취약했다.[7]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부동산 투기를 통해 도시 내에 많은 ''인술라''를 소유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크라수스가 소유한 건물이 부실 공사로 붕괴되었을 때, 새 건물에 더 높은 임대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7] 주거 공간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최상층에서 가장 작았으며, 가장 크고 비싼 아파트는 저층에 위치했다.

안전 문제와 추가 계단 때문에, ''인술라''의 최상층은 가장 선호되지 않았고, 따라서 임대료가 가장 저렴했다.[11]

서기 2세기 초 로마 항구 도시 오스티아 안티카에서 발견된 ''인술라''


로마 외 다른 예로는 오스티아 안티카의 ''인술라''가 있다. 이들은 서기 2, 3세기 동안의 ''인술라''가 어떠했을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오스티아에 있는 이 특정 구조물은 또한 호화로운 ''인술라''의 증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오늘날 증거가 희귀하기 때문에 이러한 호화로운 ''인술라''가 얼마나 흔했는지는 불확실하다.[12] 평면도를 통해 이러한 호화로운 ''인술라'' 중 하나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모든 다른 방에 접근할 수 있는 'medianum'이라고 불리는 직사각형 생활 공간이 있다. 이 부착된 리셉션 룸은 양쪽 끝에서 크기가 달랐으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별도 방으로 더 분할되었지만 때로는 각각 하나로 남아있었다.[13] 큰 유리창은 이 방으로 빛을 들어오게 했다. 이 창문은 종종 정원, 안뜰 또는 거리를 내다보았다.[12] 'medianum'의 인접한 측면에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큐비쿨라''가 있었다.[14] 오스티아의 더 큰 ''인술라''는 상층에 주방, 변소, 심지어 상수도가 있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5] 오스티아에서 보이는 추가적인 호화로운 특징으로는 아파트까지 이어지는 계단으로 가는 외부 문을 장식하는 화려한 벽기둥이나 기둥이 있다. 이 장식은 이 특정 인술라가 장기적으로 거주하는 부유한 개인을 수용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인술라''에 거주하는 하류층을 위해 오스티아에서 단순한 2~4개의 방으로 된 아파트도 발견된다. 카사 디 디아나에서 볼 수 있듯이, 1층에는 공유 생활 공간으로 이어지는 조명이 어두운 여러 개의 작은 방이 있는 좁은 복도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술라는 로마의 카피톨리노 언덕에서도 발견되며, 이는 당시 높은 주택 수요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이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식수용 변소와 저수조도 공유되는 것으로 보인다.[15] 이러한 공유 숙소 유형은 하류층을 위해 단기 거주자 모두에게 임대되었으며, 단기 체류자 또는 유랑 노동자를 위한 여관으로도 사용되었다.[14] 그러나 이것은 단지 추측일 뿐이며, 공유되었는지 여부와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공간에 거주했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2. 3. 편의 시설

스트라본은 인술라가 도무스처럼 상수도와 위생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투기 목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건설되기도 하여, 건설이 부실한 인술라도 있었다.[7] 이들은 목재, 벽돌, 그리고 나중에는 로마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유베날과 같은 로마 풍자시인이 묘사했듯이 화재와 붕괴에 취약했다.[7]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부동산 투기를 했으며, 도시 내에 많은 인술라를 소유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한 인술라가 부실한 건설로 인해 붕괴되었을 때, 붕괴된 건물보다 새 건물에 더 높은 임대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7]

오스티아에 있는 인술라는 호화로운 인술라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평면도를 통해 호화로운 인술라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다른 방에 접근할 수 있는 'medianum'이라고 불리는 직사각형 생활 공간이 있었고, 이 공간은 양쪽 끝에서 크기가 달랐으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별도 방으로 나뉘었지만 때로는 하나로 남아있기도 했다.[13] 큰 유리창은 이 방으로 빛을 들어오게 했으며, 창문은 종종 정원, 안뜰 또는 거리를 내다보았다.[12] 'medianum' 옆에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큐비쿨라가 있었다.[14] 오스티아의 더 큰 인술라는 상층에 주방, 변소, 심지어 상수도가 있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15] 아파트까지 이어지는 계단으로 가는 외부 문을 장식하는 화려한 벽기둥이나 기둥은 이 인술라가 장기간 거주하는 부유한 개인을 수용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인술라에 거주하는 하류층을 위해 오스티아에서는 단순한 2~4개의 방으로 된 아파트도 발견된다. 카사 디 디아나에서 볼 수 있듯이, 1층에는 공유 생활 공간으로 이어지는 조명이 어두운 여러 개의 작은 방이 있는 좁은 복도가 있다. 식수용 변소와 저수조도 공유되는 것으로 보인다.[15]

3. 로마의 인술라

스트라본에 따르면, 로마의 인술라는 대부분 도무스와 마찬가지로 수도와 하수도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거주자들은 쓰레기나 배설물을 창밖의 길거리에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인술라는 투기 목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건설되기도 하여, 건설이 부실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목재, 벽돌, 로마 콘크리트 등으로 지어졌으며, 유베날과 같은 로마 풍자시인들은 화재와 붕괴에 취약하다고 묘사했다.

아우구스투스는 인술라의 높이를 약 20.7m로 제한하기 전에는 최대 9층까지 지을 수 있었다. 이후 이 제한은 약 17.75m로 더 줄어들었다.[8][9] ''인술라 펠리클레스'' 또는 ''펠리쿨라''는 플라미니우스 서커스 근처 제9구역에 위치해 있었는데, 초기 기독교 작가 테르툴리아누스는 이를 신들의 높은 집에 비유하며 다층 건물의 오만을 비난했다.[10] 일반적인 ''인술라''는 약 334.45m2 면적에 40명 이상을 수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체 구조는 약 6~7개의 아파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아파트는 바닥 면적이 약 약 92.90m2이다.

기원 200년대 후반에는 최대 5만 채의 인술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동시대의 단독 주택인 돔스는 불과 2000채였다. 이후 도시의 인구는 점차 감소했다.

3. 1. 부동산 투기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부동산 투기를 통해 도시 내에 많은 ''인술라''를 소유했다. 키케로는 부실한 건설로 ''인술라''가 붕괴되었을 때, 새 건물에 더 높은 임대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7] 그는 지주로도 유명했으며, 로마 시내에 다수의 인술라를 소유하고 있었다. 부실 공사로 인술라가 붕괴되었을 때, 키케로는 새로운 인술라를 지으면 높은 임대료를 받을 수 있으므로 붕괴된 것이 다행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0]

키케로

3. 2. 오스티아 안티카의 인술라

스트라본은 ''인술라''가 ''도무스''처럼 상수도와 위생 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투기 목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건설되어 부실한 경우가 많았다고 언급했다. 인술라는 목재, 벽돌, 로마 콘크리트 등으로 지어졌으며, 유베날과 같은 로마 풍자시인들은 화재와 붕괴에 취약하다고 묘사했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부동산 투기의 일환으로 도시 내에 많은 ''인술라''를 소유했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부실 공사로 인술라가 붕괴되었을 때, 새 건물에 더 높은 임대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고 한다.[7] 주거 공간은 건물 최상층에서 가장 작았고, 가장 크고 비싼 아파트는 저층에 위치했다.

오스티아 안티카의 ''인술라''는 서기 2, 3세기 동안의 ''인술라''가 어떠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특히, 호화로운 ''인술라''의 증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다만, 오늘날 증거가 희귀하여 이러한 호화로운 ''인술라''가 얼마나 흔했는지는 불확실하다.[12] 평면도를 보면, 모든 방에 접근할 수 있는 ''medianum''이라고 불리는 직사각형 생활 공간이 있고, 양쪽 끝에서 크기가 다른 리셉션 룸이 연결되어 있었다. 이 리셉션 룸은 두 개의 방으로 분할되거나 하나로 사용되기도 했다.[13] 큰 유리창을 통해 빛이 들어왔으며, 창문은 정원, 안뜰, 또는 거리를 내다보았다.[12] ''medianum'' 옆에는 보통 두 개의 ''큐비쿨라''가 있었다.[14] 오스티아의 더 큰 ''인술라''는 상층에 주방, 변소, 상수도 시설까지 갖추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5] 아파트 입구 계단에는 화려한 벽기둥이나 기둥 장식이 있었는데, 이는 장기 거주하는 부유한 개인을 위한 주거 공간이었음을 시사한다.

오스티아에서는 하류층을 위한 2~4개의 방으로 된 단순한 아파트도 발견된다. 카사 디 디아나의 경우, 1층에 좁은 복도가 있고, 복도에서 조명이 어두운 여러 개의 작은 방을 지나 공유 생활 공간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유형의 인술라는 로마의 카피톨리노 언덕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는 당시 높은 주택 수요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이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식수용 변소와 저수조는 공유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5] 이러한 공유 숙소는 하류층 단기 거주자나 유랑 노동자를 위한 여관으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14] 공유 여부와 거주 인원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3. 3. 아라 코엘리 인술라

아라 코엘리 인술라는 카피톨리노 언덕 기슭에서 발견되는 서기 2세기 경 건축된 5층 건물로, 로마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인술라이다.

안전 문제와 추가적인 계단 때문에, 인술라의 최상층은 가장 선호되지 않았고, 따라서 임대료가 가장 저렴했다.[11]

4. 규제 및 관리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시의 건물 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개혁을 시행했다.[16] 화재와 붕괴 위험 때문에, 아우구스투스는 인술라의 높이를 70 로마 피트 (20.7m)로 제한했으며,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네로 황제는 불특정 수치로 다시 제한했다.[4] 트라야누스 황제는 높이를 60 로마 피트 (17.75m)로 줄였다.[17] 4세기 지역 목록에 따르면, 3세기 말에 약 1,790개의 ''도무스''에 비해 도시에는 약 42,000~46,000개의 ''인술라''가 있었다.

로마의 웅변가 키케로지주로도 유명했으며, 로마 시내에 다수의 인술라를 소유하고 있었다. 부실 공사로 인술라가 붕괴되었을 때, 키케로는 새로운 인술라를 지으면 높은 임대료를 받을 수 있으므로 붕괴된 것이 다행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0]

스트라본의 저작에 따르면, 로마의 인술라 대부분에는 돔스와 마찬가지로 수도와 하수도 시설이 있었다. 하지만, 거주자들은 쓰레기나 배설물을 창밖의 길거리에 버렸다고 한다.

5. 갤러리

참조

[1] 서적 Daily Life in the Roman City: Rome, Pompeii and Ost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서적 Rome: A Living Portrait of an Ancient Cit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0-08-01
[3] 서적 L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Global India Publications 2009-12-01
[4] 서적 A companion to the city of Rome https://www.worldcat[...] 2018-09-24
[5] 서적 Floods of the Tiber in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서적 Bona Dea: The Sources and a Description of the Cult https://books.google[...] Brill
[7] 서적 The Roman City
[8] 웹사이트 Roman Living: Inside an Insula https://web.archive.[...] 2012-06-01
[9] 웹사이트 Insula (Architecture) https://www.britanni[...] 2021-10-12
[10] 기타 Tertullian, ''Against the Valentinians'' 7, as cited by John W. Humphrey, John P. Oleson, and Andrew N. Sherwood, ''Greek and Roman Technology: A Sourcebook''
[11] 서적 History of Ancient Rome (Mary Beard) https://archive.org/[...] 2015
[12] 서적 A companion to the city of Rome https://www.worldcat[...] 2018-09-24
[13] 서적 A companion to the city of Rome https://www.worldcat[...] 2018-09-24
[14] 서적 A companion to the city of Rome https://www.worldcat[...] 2018-09-24
[15] 서적 A Companion to the City of Rome Wiley-Blackwell
[16] 웹사이트 Strabo 5.3.7 http://data.perseus.[...]
[17] 서적 A companion to the city of Rom https://www.worldcat[...] 2018-09-24
[18] 서적 増訂新版羅和辞典 研究社
[19] 서적 図解インテリア・ワードブック 建築資料研究社
[20] 서적 The Roman C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