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하대역은 수인·분당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1965년 1월 5일 수인선 보통역으로 용현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73년 7월 14일 남인천-송도 구간 폐선으로 인해 폐지되었다가,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 ~ 인천 구간 개통으로 인하대역으로 재개업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인하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등이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폐지된 철도역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1973년 폐지된 철도역 - 신평역 (대구)
신평역은 1967년 신호소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73년 폐역된 대구선 상의 한국철도공사 폐역 신호소였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도화역
도화역은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2001년 개통되어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경인선 완행만 정차하고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공원 등과 인접해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사곡역
사곡역은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립된 간이역에서 시작하여 2024년 대경선 개통과 함께 전철 전용 신역사로 탈바꿈했으며,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구미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인하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역 이름 | 仁荷大駅 (인하대역) |
| 한자 표기 | 仁荷大驛 |
| 로마자 표기 | Inhadae-yeok |
| 역 번호 | K269 |
| 주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 지하313 (용현동 672-1)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승강장 | 2면 2선 |
| 구조 | 지하역 |
| 개업일 | 2016년 2월 27일 |
| 노선 정보 | |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이전 역 | K268 학익역 |
| 이전 역 간 거리 | 1.1km |
| 다음 역 | K270 숭의역 |
| 다음 역 간 거리 | 1.8km |
| 영업 거리 | 청량리역 기점 102.5 km |
| 기타 정보 | |
| 역 등급 | 보통역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사진 | |
![]() | |
![]() | |
![]() | |
| 지도 정보 | |
2. 역사
인하대역은 과거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 '''용현역'''으로 운영되다가 폐지된 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광역철도 개통과 함께 현재의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연 역이다. 자세한 역사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 1965년 1월 5일: 수인선 '''용현역'''으로 영업 개시[8][9]
- 1973년 7월 14일: 남인천-송도 구간 폐선으로 용현역 폐지[2]
-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 ~ 인천 구간 개통과 함께 '''인하대역'''으로 재개업[8][9][3][4]
-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전 개통 및 분당선 직결 운행 시작[10]
2. 1. 용현역 시절 (1965-1973)
1965년 1월 5일 수인선의 보통역으로 '''용현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1973년 7월 14일 수인선 남인천-송도 구간이 폐선되면서 용현역도 함께 폐지되었다.[2]2. 2. 인하대역 재개통 (2016-현재)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 ~ 인천 구간 개통과 함께 '''인하대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8][9][3][4]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기점 및 거리가 수정되었다.[10]
2020년 9월 12일 수원 ~ 오이도 구간이 개통되면서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다. 이로써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전 개통으로 역 번호가 K261에서 K269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 수인·분당선 | 승차 | 4,693 | 5,805 | 5,939 | 6,182 | 4,182 | 4,838 | 5,871 | 6,439 | [11] |
| 하차 | 4,518 | 5,462 | 5,625 | 5,851 | 4,948 | 4,572 | 5,584 | 6,170 |
6. 인접한 역
(청량리 방면)
완행
(인천 방면)
(오이도 방면)
급행
(인천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