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하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하대역은 수인·분당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1965년 1월 5일 수인선 보통역으로 용현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73년 7월 14일 남인천-송도 구간 폐선으로 인해 폐지되었다가,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 ~ 인천 구간 개통으로 인하대역으로 재개업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인하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등이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폐지된 철도역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 1973년 폐지된 철도역 - 신평역 (대구)
    신평역은 1967년 신호소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73년 폐역된 대구선 상의 한국철도공사 폐역 신호소였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도화역
    도화역은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2001년 개통되어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경인선 완행만 정차하고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공원 등과 인접해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전철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사곡역
    사곡역은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립된 간이역에서 시작하여 2024년 대경선 개통과 함께 전철 전용 신역사로 탈바꿈했으며,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구미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인하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 이름仁荷大駅 (인하대역)
한자 표기仁荷大驛
로마자 표기Inhadae-yeok
역 번호K269
주소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 지하313 (용현동 672-1)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승강장2면 2선
구조지하역
개업일2016년 2월 27일
노선 정보
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이전 역K268 학익역
이전 역 간 거리1.1km
다음 역K270 숭의역
다음 역 간 거리1.8km
영업 거리청량리역 기점 102.5 km
기타 정보
역 등급보통역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사진
인하대역 역명판
역명판
인하대역 승강장
승강장
인하대역 1번 출구
1번 출구 (2016년 2월 28일)
지도 정보

2. 역사

인하대역은 과거 수인선 협궤철도 시절 '''용현역'''으로 운영되다가 폐지된 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광역철도 개통과 함께 현재의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연 역이다. 자세한 역사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2. 1. 용현역 시절 (1965-1973)

1965년 1월 5일 수인선보통역으로 '''용현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1973년 7월 14일 수인선 남인천-송도 구간이 폐선되면서 용현역도 함께 폐지되었다.[2]

2. 2. 인하대역 재개통 (2016-현재)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 ~ 인천 구간 개통과 함께 '''인하대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8][9][3][4]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기점 및 거리가 수정되었다.[10]

2020년 9월 12일 수원 ~ 오이도 구간이 개통되면서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다. 이로써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전 개통으로 역 번호가 K261에서 K269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노선방면
1-- 수인·분당선숭의 · 신포 · 인천 방면
2-- 수인·분당선송도 · 오이도 · 수원 · 왕십리 방면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 수인·분당선승차4,6935,8055,9396,1824,1824,8385,8716,439[11]
하차4,5185,4625,6255,8514,9484,5725,5846,170


6. 인접한 역

(청량리 방면)-- 수인·분당선
완행인하대역숭의역
(인천 방면)연수역
(오이도 방면)-- 수인·분당선
급행인천역
(인천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Map http://map.daum.net/
[2]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4호 1973-07-11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20호 2015-09-04
[4] 문서
[5] 웹사이트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6] 뉴스 수인선 인천구간 '인하대역' 등 4개 역명 확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8-11
[7] 뉴스 慶全·水仁線 불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2-07-14
[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20호 2015-09-04
[9] 문서
[1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 2020-05-29
[11]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