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드프랑스 RE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드프랑스 RER은 프랑스 파리와 그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19세기 중반 파리와 교외를 잇는 철도 노선에서 시작되었다. 5개의 노선(A, B, C, D, 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87km의 노선과 257개의 역을 갖추고 있다. RER은 파리 시내와 교외를 연결하여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수도권 통합에 기여했으며, 파리 교통공단(RATP)과 프랑스 국철(SNCF)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하지만 주요 노선의 혼잡, 열차 제동으로 인한 대기 오염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RER - RER A선
    파리 도심과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RER A선은 1960년대부터 건설 및 확장을 거쳐 현재는 서쪽에서 동쪽까지 이어지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 중 하나로, 수송 능력 증대를 위해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 및 2층 열차 도입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드프랑스 RER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파리 RER 아이콘
파리 RER 아이콘
원래 이름Réseau Express Régional
영어 이름Regional Express Network
운영자RATP (RER A 및 B)
SNCF (모든 노선)
개통일1977년 12월 9일
노선 수5
역 수257
시스템 길이602 km
전기 시스템가공 전차선, (RATP)
(SNCF)
최고 속도140 km/h
연간 승객 수9억 8천 3백만 명 (2019년)
RER C 열차
RER C 열차가 빌뇌브르루아 역에 정차해 있다.
RER 노선도
일드프랑스의 윤곽을 보여주는 네트워크의 벡터 맵
지역
국가일드프랑스
오드프랑스
상트르발드루아르

2. 역사

19세기 중반 파리와 교외를 연결하는 철도가 여럿 개통되었지만, 이들 터미널 역은 방면별, 회사별로 나뉘어 있었고, 당시 파리 시가지 주변부에 위치해 있었다. 터미널 역과 도심부와의 연결이나 터미널 역 상호 간의 환승은 합승마차, 마차 궤도, 노면전차 등에 의존해야 했다. 19세기 말에는 이러한 교통 기관의 혼잡이 문제가 되었고, 특히 1889년의 만국 박람회에서는 큰 과제로 남았다. 1900년 만국 박람회를 앞두고 파리 시내에 새로운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안이 몇 가지 제안되었으며, 그중에는 교외 노선을 지하선이나 고가선으로 중심부까지 연장하여 상호 직통시키려는 것도 있었다.

1930년대파리 메트로 정비가 일단락된 후, 교외 노선의 도심 직통 운행 및 상호 직결 운행 계획이 다시 검토되었다. 이때 새롭게 건설이 계획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경로
남북선북역 - 룩상부르크역, 오스테를리츠역, 몽파르나스역
동서선생 라자르역 - 리옹역, 뱅센선(현 RER A선 동부)
남동-남서선오르세역 - 앵발리드역



이 노선망은 "메트로폴리탄 익스프레스(Métropolitan Express)"로 불렸으며, 메트로 운영 회사 CMP(RATP의 전신)에 의해 운행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재정난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계획은 중단되었다.

RATP는 1950년대에 교외선 도심 운행 계획을 다시 검토하였다. 이 계획은 1930년대의 계획과 유사했지만, 라데팡스 지구 개발, 중앙 시장의 교외 이전 및 부지 재개발(샤틀레 레 알 역), 파리 북부의 신공항(현 샤를 드 골 국제공항) 접근, 교외 신도시 건설 등 전후 파리 수도권에서 실시된 새로운 도시 계획에 대응하도록 수정되었다.

1961년 7월 6일, 당시 공공사업부 장관이었던 로베르 뷔롱에 의해 뇌이 다리에서 RER 건설이 시작되었다.[14] 1969년 뱅센선의 나시옹역 운행 시점부터 "RER"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5][16]

1977년 A선의 지하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면서 파리 도심부를 횡단하며 동서 교외를 직통하는 운행이 시작되었다. 동시에 남북 방향 지하선이 신설되면서 소선이 도심으로 진입하여 B선이 되었고, 두 노선은 샤틀레-레알역에서 연결되었다.[18]

이후 SNCF의 기존 교외 노선도 도심의 지하선과 연결되어 직통 운행을 시작하여 RER 노선망에 편입되었다. 또한, 신도시 개발 등에 맞춰 교외에 신설된 노선도 있다.

1979년, 앵발리드역과 오르세 미술관역 간 지하 신선 개통 및 동서 직통 운행 개시로 C선이 개통되었다.[1] 1987년, 파리 북역에서 출발하는 지상 교외선과 도심 지하선의 직결로 D선이 개통되었다.[21] 1999년, 파리 동역과 생 라자르역 간 지하 신선 개통으로 E선이 개통되었다.

2. 1. 기원

19세기 중반 파리와 교외를 연결하는 철도가 여러 개통되었지만, 이들 터미널 역은 방면별, 회사별로 나뉘어 있었고, 당시 파리 시가지 주변부에 위치해 있었다. 터미널 역과 도심부와의 연결이나 터미널 역 상호 간의 환승은 합승마차, 마차 궤도, 노면전차 등에 의존해야 했다. 19세기 말에는 이러한 교통 기관의 혼잡이 문제가 되었고, 특히 1889년의 만국 박람회에서는 큰 과제로 남았다. 1900년의 만국 박람회를 앞두고 파리 시내에 새로운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안이 몇 가지 제안되었으며, 그중에는 교외 노선을 지하선이나 고가선으로 중심부까지 연장하여 상호 직통시키려는 것도 있었다.

1895년 파리-오를레앙 철도의 교외 노선 중 하나인 소선(현 RER B선의 남부)이 파리 남부의 댕페르-로슈로 역에서 중심부에 가까운 뤽상부르 역까지 연장되었고, 그 결과 소선의 이용자는 약 30% 증가했다. 1900년 파리-오를레앙 철도가 오스테를리츠 역에서 오르세 역으로, 서부 철도가 샹 드 마르스 역에서 앵발리드 역으로 (모두 현 RER C선의 일부) 연장되었다. 그러나 이 세 노선은 상호 연결되지 않았다. 이 외의 교외 노선의 도심부 연장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시내 교통은 독립된 노선망인 메트로에 의해 담당하게 되었다.

2. 2. 도심 직통 계획과 중단

1930년대파리 메트로 정비가 일단락된 후, 교외 노선의 도심 직통 운행 및 상호 직결 운행 계획이 다시 검토되었다. 이때 새롭게 건설이 계획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경로
남북선북역 - 룩상부르크역, 오스테를리츠역, 몽파르나스역
동서선생 라자르역 - 리옹역, 뱅센선(현 RER A선 동부)
남동-남서선오르세역 - 앵발리드역



이 노선망은 "Métropolitan Express"로 불렸으며, 메트로 운영 회사 CMP(RATP의 전신)에 의해 운행될 계획이었다. 이 때문에 1938년 프랑스 국철(SNCF) 발족 당시 파리-오를레앙 철도의 소선은 SNCF가 아닌 CMP로 인계되었다. 그러나 재정난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계획은 중단되었다.

2. 3. 전후 계획 재개와 RER 개통

RATP는 1950년대에 교외선 도심 운행 계획을 다시 검토하였다. 이 계획은 1930년대의 계획과 유사했지만, 라데팡스 지구 개발, 중앙 시장의 교외 이전 및 부지 재개발(샤틀레 레 알 역), 파리 북부의 신공항(현 샤를 드 골 국제공항) 접근, 교외 신도시 건설 등 전후 파리 수도권에서 실시된 새로운 도시 계획에 대응하도록 수정되었다.

1961년 7월 6일, 당시 공공사업부 장관이었던 로베르 뷔롱에 의해 뇌이 다리에서 RER 건설이 시작되었다.[14] 1969년 뱅센선의 나시옹역 운행 시점부터 "RER"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5][16]

1977년 A선의 지하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면서 파리 도심부를 횡단하며 동서 교외를 직통하는 운행이 시작되었다. 동시에 남북 방향 지하선이 신설되면서 소선이 도심으로 진입하여 B선이 되었고, 두 노선은 샤틀레-레알역에서 연결되었다.[18]

이후 SNCF의 기존 교외 노선도 도심의 지하선과 연결되어 직통 운행을 시작하여 RER 노선망에 편입되었다. 또한, 신도시 개발 등에 맞춰 교외에 신설된 노선도 있다.

1979년, 앵발리드역과 오르세 미술관역 간 지하 신선 개통 및 동서 직통 운행 개시로 C선이 개통되었다.[1] 1987년, 파리 북역에서 출발하는 지상 교외선과 도심 지하선의 직결로 D선이 개통되었다.[21] 1999년, 파리 동역과 생 라자르역 간 지하 신선 개통으로 E선이 개통되었다.

3. 노선

RER은 A선, B선, C선, D선, E선의 5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연장은 587km이며, 257개 역(파리 시내 33개 역 포함) 중 76.5km가 지하 구간이다.[4]

'''파리 RER 노선 목록'''[24]
노선명운영사최초 개통일최종 연장일역 수운행 열차피크길이일일 이용객
(A)
16x16px
A선RATP/SNCF19771994469126
(B)
16x16px
B선RATP/SNCF197719814714720
(C)
16x16px
C선SNCF197920008417220
(D)
16x16px
D선SNCF198719955413412
(E)
16x16px
E선SNCF19992024256422



각 노선은 파리 시내를 통과할 때 RER 전용 선로를 이용하지만, 일부 시내 중심부 선로는 D선과 B선이 공유한다. RER은 파리의 대부분의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RATP와 국영 철도 운영업체인 SNCF가 공동으로 운영한다.[4]

각 노선의 주요 목적지는 다음과 같다.

3. 1. 주요 역


  • 샤를 드 골-에투알역(1970): 개선문 아래에 깊숙이 건설되었다.[17]
  • 라데팡스역(1970): 파리 시 경계 바로 바깥쪽, 라 데팡스 대관문 부지 아래에 지표면에 가깝게 건설되었다.[17]
  • 오베르역(1971): 생 라자르역 근처에 깊숙이 건설되었다.[17]
  • 샤틀레-레알역(1977): 이전 시장 부지에 지표면에 가깝게 건설되었으며, 2017년에 유럽에서 가장 큰 지하역으로 알려졌다.[25]
  • 리옹역(1977): 주요 SNCF역 아래 및 옆에 지표면에 가깝게 건설되었다.[18]
  • 나시옹역(1969): 나시옹 광장에 깊숙이 건설되었다.[15][16]

3. 2. 운행

주간에는 파리 시내에서 15~20km 범위에서 10~15분 간격, 40~50km 범위에서 20~3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러시아워에는 증편되어 각 계통이 집중되는 시내 지하 구간에서는 최단 2분 간격으로 운행된다.[7]

4. 운영

파리 교통공단(RATP)은 A선의 난테르-프레펙튀르 동쪽과 생제르맹앙레 지선의 모든 역, 그리고 Gare du Nord 남쪽의 B선 역을 관리한다.[7][8] C선, D선, E선과 A선의 서부 교외 일부 지선, B선의 파리 북역 이북은 프랑스 국철(SNCF)의 파리 근교 수송 부문인 트랑실리앵(Transilien)이 운영한다. RATP가 운영하는 RER 역 중 9개는 메트로 노선과, 다른 9개는 SNCF의 트랑실리앵 서비스와 환승할 수 있다.[9]

RER의 운영은 A선 대부분 및 B선 파리 북역 이남 구간은 파리 교통공단(RATP)이, C선, D선, E선 및 A선 서부 교외 일부 지선, B선 파리 북역 이북 구간은 프랑스 국철(SNCF)의 트랑실리앵(Transilien)이 담당하며, 양자 간 상호 운행이 이루어진다.

5. 차량

RER B호선 라 플랜 – 스타드 드 프랑스역.


RER 전 노선은 프랑스 국철(SNCF) 방식대로 좌측 통행을 실시한다. RATP와 SNCF가 공동 운영하여 직결 운전을 하므로, 파리교통공사의 직류 1.5kV와 SNCF의 교류 25kV 규격에 모두 대응하는 열차(MI 79, MI 2N)가 개발되었다. 다만 MS 61 전동차는 1,500V 직류 구간에서만 운행한다.[32]

RER 노선은 1961년 국제 철도 연맹 표준안에 따라 가공전차선 공간 확보를 위해 큰 단면의 터널을 지난다. 단선 터널 너비는 6.30m, 복선 터널은 최대 8.70m로, 단면적은 최대 50제곱미터이다.[32]

RER 차량은 SNCF 열차처럼 가공 전선 전력을 사용하고 좌측 통행을 하는데, 이는 RER 네트워크에서 교외 SNCF 선로가 우위를 점하기 때문이다. 반면 파리 메트로 열차는 제3 레일 전력을 사용하고 우측 통행을 한다. RER 열차는 서로 다른 두 운영자가 같은 궤도 인프라를 공유한다.[32]

RER 초기 차량은 1937년부터 1987년 2월 27일까지 ''line de Sceaux''(이후 RER B에 통합)에서 사용된 Z 23000 차량이었다. 이후 도입된 차량은 다음과 같다.

  • 1965년: Z 5300
  • 1967년: MS 61
  • 1980년: MI 79
  • 1985년: MI 84, Z 8800
  • 1988년: Z 20500
  • 1996년: MI 2N
  • 2001년: Z 20900
  • 2011년 12월 5일: MI 09
  • 2015년: Z 50000(Francilien)
  • 2019년: Regio 2N(Z 57000)


2017년 알스톰과 봄바디어 운송 컨소시엄은 37.5억유로 규모 계약으로 D선과 E선의 노후 차량 교체를 위해 255대의 X’Trapolis Cityduplex 2층 열차 전기 동차를 공급하기로 선정되었다. 2023년 4월에는 운행 빈도 증가를 위해 60대의 Cityduplex가 추가 주문되었다.

모든 차량은 크로스 시트이며, 2층 객차도 많이 사용되어 좌석 수 확보에 힘쓰고 있다. 차량 규격은 SNCF 도시 간 노선과 마찬가지로 전장 25m 전후의 대형 차체이다. 보통 8~10량으로 편성되며, 주말이나 야간에는 4~5량으로 단축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2층 구조에 3개의 출입문(2m 폭)을 가진 차량(Z22500, MI2N, MI09)도 도입되어 착석 정원 증가와 승하차 시간 단축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6. 사회적 영향 및 평가

RER은 파리 중심부와 교외 지역 간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켜, 수도와 주변 지역의 통합을 촉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샤틀레 - 레알 역과 그 주변 지역, 레알 포럼의 레저 및 쇼핑 시설은 교외 거주자(''방리외자르'')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로 자리 잡았다.[26]

A선과 B선은 빠르게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특히 A선은 시간당 최대 55,000명의 승객이 이용(1992년 기준)하여 동아시아 외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989년 디지털 신호 시스템 설치와 1998년부터 2017년까지 이층 열차를 점진적으로 도입하여 2분마다 한 대 이상의 열차가 운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A선의 주요 역은 혼잡 시간대에 극심한 혼잡을 겪고 있다.[27] 2015년 6월, 알스톰 교통(Alstom Transport)은 자동 열차 운전(ATO) 시스템을 A선에 설치하기 위해 2000만유로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 인해 운행 빈도를 높이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다.[28]

RER은 노선에 있는 역 근처의 토지 가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29] 그러나 RER은 열차 제동으로 인한 입자 오염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PM10 입자 오염은 에서 정기적으로 400 μg/m3에 달하며,[30] 이는 인근 지하철역보다 훨씬 높고, 유럽 연합 위원회의 일일 평균 제한치[31] 50 μg/m3의 8배에 달한다.

7. 한국과의 비교 및 영향

대한민국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는 RER을 모델로 계획되었으며, 특히 GTX-A 노선은 A선과 유사한 점이 많다. GTX는 수도권 외곽 지역과 서울 도심을 빠르게 연결하여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RER은 파리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교외 지역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전통적으로 폐쇄적이었던 수도와 주변 지역의 재통합을 도왔다는 평가를 받는다.[26]

참조

[1] 웹사이트 La qualité de service du réseau express régional (RER) en Île-de-France https://medias.vie-p[...] French Court of Accounts 'Annexe n° 1 : consistance et caractéristiques du réseau RER' 2023-10
[2] 웹사이트 Regional Rail for New York City – Part I http://www.thetransp[...] thetransportpolitic.com 2009-07-16
[3] 웹사이트 12-billion-euro overhaul of major rail hub in France takes shape https://www.railtech[...] railtech.com 2023-01-20
[4] 문서 1993
[5] 문서 1993
[6] 웹사이트 Les transports en commun http://www.paris.fr/[...] Mairie de Paris 2005-2006
[7] 웹사이트 Line A: a priority http://www.ratp.fr/e[...] RATP 2011-11-11
[8] 웹사이트 New management system for line B http://www.ratp.fr/e[...] RATP 2011-11-11
[9] 문서 Statistiques Annuelles 2006 Départiment Commercial Tarification, Vente Résultats LAC A73 54,quai de la Rapée-75599 Paris
[10] 웹사이트 Railways Around The World That Inspired Crossrail https://londonist.co[...] londonist.com 2022-04-27
[11] 문서 2018
[12] 웹사이트 Schéma directeur d'aménagement et d'urbanisme de la région de Paris (SDAURP) https://www.institut[...] institutparisregion.fr 2023-05-28
[13] 웹사이트 Versement transport http://acegi.fr/Doc_[...] ACGEI 2011-11-11
[14] 문서 1993
[15] 간행물 Deep-Level Underground for Paris 1970-02
[16] 웹사이트 About us: History https://www.iledefra[...] Île-de-France Mobilités 2023-05-28
[17] 간행물 The Underground Revolution 1983-08
[18] 뉴스 France's answer to Crossrail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7-20
[19] 간행물 World Update 1995-01
[20] 문서 2004
[21] 웹사이트 INA - Report on the new RER D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SNCF selects consortium to supply 255 trains for Île-de-France network https://www.globalra[...] globalrailwayreview.com 2017-01-11
[23] 웹사이트 Alstom to supply sixty more new-generation trains for Île-de-France https://www.railadve[...] railadvent.co.uk 2023-04-27
[24] 웹사이트 La qualité de service du réseau express régional (RER) en Île-de-France https://medias.vie-p[...] French Court of Accounts 2023-10
[25] 웹사이트 Ouverture de la Porte Marguerite de Navarre, nouvel accès direct à la gare de Châtelet-Les Halles https://www.ratp.fr/[...] RATP
[26] 서적 Des Halles au Forum: Métamorphose au coeur de Paris Harmattan
[27] 위키백과 SACEM signalling
[28] 웹사이트 Automatic train operation to be installed on Line A of Paris RER https://www.intellig[...] intelligenttransport.com 2015-06-11
[29] 문서 1980
[30] 웹사이트 Les données | Plateforme opendata de la RATP http://data.ratp.fr/[...] 2013-03-24
[31] EU Directives 1999/30/EC, Annex III http://eur-lex.europ[...]
[31] EU Directives 96/62/EC, the Air Quality Framework Directive http://eur-lex.europ[...]
[32] 문서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