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민주의는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 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문화주의와 민중주의의 갈등을 배경으로, 독일에서 교육받은 안호상이 주도하여 개발된 정치 이념이다. 한국 민족의 동질성을 강조하며, 외부 세력과 자본주의, 공산주의에 맞서 민족의 단결을 주장했다. 이승만 정부의 통치 이념으로 채택되어 반공주의와 북진통일론을 내세웠으며, 일당 국가 체제를 지향했다. 1949년 결성된 일민주의보급회를 통해 이념을 전파하려 했으나, 이승만의 관련자 숙청으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정체성 정치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한국의 정체성 정치 -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민족주의는 순혈주의에 기반한 방어적 민족주의 성격을 띠며, 역사적 배경과 이념 대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며 비판적 논의와 차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한국의 파시즘 - 10월 유신
    10월 유신은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비상 조치로, 국회 해산, 헌법 정지, 유신헌법 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고 사실상 종신 집권을 가능하게 한 체제이다.
  • 한국의 파시즘 - 조광 (잡지)
    《조광》은 1935년 조선일보 자매지로 창간된 순수 문예 잡지였으나, 중일 전쟁 이후 친일 성향을 강화하여 일본 제국주의를 옹호하고 식민 통치에 협력하는 등 친일 행위를 지속하다 1944년 폐간된 친일 잡지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일민주의 - [정당]에 관한 문서
개요
국명일민주의 (一民主義, Ilminjuui)
주창자이승만
이범석
창립일1949년
주요 참여 단체국민청년
삼민주의 (계파)
관련 정당자유당
관련 단체
대한청년단
일민주의 옹호회
이념 및 성향
정치 성향극우
주요 이념네오 파시즘
극단적 민족주의
가족주의
반공주의
반중 감정
반일 감정

2. 역사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 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문화주의자'(문화주의론자/문화주의론자한국어)와 '민중주의자'(민중투쟁론자/민중투쟁론자한국어) 사이의 갈등은 일민주의 형성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16] 문화주의자들은 한국의 후진성을 극복하고 국민을 문화적으로 문명화, 계몽시키기 위해 강력하고 애국적인 엘리트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중주의자들은 한국인이 이미 주권을 가진 국가이며 모든 정당성은 민중에게서 나온다고 주장했다. 일민주의는 이러한 한국적 사고의 문화주의 흐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16]

일민주의는 주로 독일에서 교육받은 안호상 교육부 장관에 의해 개발되었다.[13] 그는 1920년대 후반 예나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17] 1949년 4월 22일에 설립된 전국학생연맹과 관련이 있었으며, 안호상이 1920년대 독일 유학생 시절과 태평양 전쟁 동안 목격한 국가주의 청년 단체의 영향을 받았다.[13] 이 교리는 처음 등장했을 때 다양한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1950년 한국 전쟁의 발발은 당국과의 관계를 크게 증진시켰다.[13]

1952년 이후 일민주의는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고, 이승만의 일민주의 관련자 숙청으로 쇠퇴했다.

2. 1.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의 영향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 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문화주의자'(문화주의론자/문화주의론자한국어)와 '민중주의자'(민중투쟁론자/민중투쟁론자한국어) 사이의 갈등은 일민주의 형성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16] 문화주의자들은 한국의 후진성을 극복하고 국민을 문화적으로 문명화, 계몽시키기 위해 강력하고 애국적인 엘리트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중주의자들은 한국인이 이미 주권을 가진 국가이며 모든 정당성은 민중에게서 나온다고 주장했다. 일민주의는 이러한 한국적 사고의 문화주의 흐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16]

일민주의는 주로 독일에서 교육받은 안호상 교육부 장관에 의해 개발되었다.[13] 그는 1920년대 후반 예나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17] 1949년 4월 22일에 설립된 전국학생연맹과 관련이 있었으며, 안호상이 1920년대 독일 유학생 시절과 태평양 전쟁 동안 목격한 국가주의 청년 단체의 영향을 받았다.[13] 이 교리는 처음 등장했을 때 다양한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1950년 한국 전쟁의 발발은 당국과의 관계를 크게 증진시켰다.[13]

1952년 이후 일민주의는 더 이상 언급되지 않았고, 이승만의 일민주의 관련자 숙청으로 쇠퇴했다.

2. 2. 이승만 정부의 통치 이념

일민주의는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 운동에서 '문화주의자'와 '민중주의자' 간의 갈등에서 기원한다. 문화주의자들은 한국의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 강력한 엘리트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민중주의자들은 한국인이 이미 주권을 가진 국가라고 주장했다. 일민주의는 이러한 문화주의적 흐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16]

이 개념은 주로 독일에서 교육받은 안호상 교육부 장관에 의해 발전되었다.[13] 안호상은 1920년대 후반 예나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17] 1949년 4월 22일에 설립된 전국학생연맹 (NDSC)과 관련이 있었다.[13] 그는 독일 유학 시절과 태평양 전쟁 당시의 국가주의 청년 단체에서 영향을 받아 일민주의를 구체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일민주의는 초기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비판을 받았으나,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반공주의 이념과 결합하면서 이승만 정권의 핵심 통치 이념으로 자리 잡았다.[13] 그러나 1952년 이후 이승만의 일민주의 관련자 숙청으로 쇠퇴하였다.

3. 주요 내용

''일민주의''는 한국인이 고대부터 유전적으로, 정신적으로,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민족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18] 그러나 이러한 민족 정체성은 외부 세력과 그 협력자들에 의해 훼손되었으며, 오늘날 자본가와 공산주의자들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았다. 한국 국민은 수년간 유지해 온 단결을 회복함으로써 이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민주의''는 이승만의 민주국민당과 1951년에 창당된 그 후신인 자유당의 핵심 이념이었다.[18]

''일민주의''는 귀족과 대중 간의 형식적 차별 철폐, 토지 개혁을 통한 빈부 격차 완화, 남녀의 사회적·정치적 평등, 남북 또는 도시 자본과 농촌 간의 차별 종식 등을 포함하는 4가지 정치 강령을 기반으로 했다.[18] 사실상 일당 국가를 지지하며, 당파 정치를 종식하고 단결된 국민을 옹호했다.[18]

''일민주의''는 김일성공산주의 조선로동당이 이끄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을 통해 이루어진 민족주의적 호소에 대항하기 위해 강력한 반공주의적 민족주의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19]

3. 1. 민족의 단일성과 순수성 강조

일민주의는 한국인이 고대부터 유전적, 정신적,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민족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18] 그러나 이러한 민족 정체성은 외부 세력과 그 협력자들에 의해 훼손되었으며, 오늘날 자본가와 공산주의자들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한국 국민은 수년간 유지해 온 단결을 회복함으로써 이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민주의는 이승만의 민주국민당과 1951년에 창당된 그 후신인 자유당의 핵심 이념이었다.[18] 김일성공산주의 조선로동당이 이끄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을 통해 이루어진 민족주의적 호소에 대항하기 위해 강력한 반공주의적 민족주의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19]

3. 2. 반공주의와 북진통일론

일민주의는 김일성공산주의 조선로동당이 이끄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을 통해 이루어진 민족주의적 호소에 대항하기 위해 강력한 반공주의적 민족주의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19] 일민주의자들은 호전적인 반공주의자들이었다. 미국 측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남한 군대가 북쪽으로 진격하여 한반도에서 북한 정부를 전복하고, 공산주의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며, 무력으로 한반도 전 지역을 점령하여 비공산주의 통일된 대한민국을 건설하는 "북진통일"을 주장했다.[20]

3. 3. 일당 국가 지향

일민주의는 사실상 일당 국가 체제를 지지하며, 당파 정치를 종식하고 단결된 국민을 옹호했다.[18] 이는 이승만자유당 창당과 장기 집권 과정에서 나타난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과 연결된다. 일민주의는 김일성공산주의 조선로동당이 이끄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을 통해 이루어진 민족주의적 호소에 대항하기 위해 강력한 반공주의적 민족주의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19]

3. 4. 4대 강령

일민주의는 귀족과 대중 간의 형식적 차별 철폐, 토지 개혁을 통한 빈부 격차 완화, 남녀의 사회적·정치적 평등, 남북 또는 도시 자본과 농촌 간의 차별 종식 등을 포함하는 4가지 정치 강령을 기반으로 했다.[18] 사실상 일당 국가를 지지하며, 당파 정치를 종식하고 단결된 국민을 옹호했다.[18]

4. 일민주의보급회

1949년 9월에 창립된 일민주의보급회(일민주의보급회/一民主義普及會한국어)는 민족주의 단체이다.[21][22] 이승만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를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범석안호상 등이 이끌었던 대한청년단의 전직 회원들이 중심이 되었다.[21][22] 반자본주의반공주의를 모두 비판했지만, 기본적으로 친미적인 성향을 띠었으며, 냉전이 격화되면서 반자본주의 성향은 대한청년단 시절보다 두드러지지 않았다.[21][22]

5. 비판

참조

[1] 서적 조선, 한국 의 내셔널리즘 과 소국 의식: 조공국 에서 국민 국가 로 산처럼 2007
[2] 웹사이트 "100% 대한민국", 가능하다! 파시즘이라면 https://www.pressian[...] 2021-01-25
[3] 서적 이 승만 의 정치 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4] 뉴스 파시즘의 재현(1): 이승만의 일민주의(一民主義) 제창 http://www.ohmynews.[...] 2015-12-10
[5] 서적 Korea's Grievous W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6] 학술지 Cultural Performance and Political Regime Change https://www.jstor.or[...] 2009
[7] 학술지 Cultural Performance and Political Regime Change https://www.jstor.or[...] 2009
[8] 뉴스 한국에서 '화교 여성'으로 산다는 것 https://www.hani.co.[...] 2005-09-26
[9] 뉴스 한국은 어떻게 화교를 혐오해왔나 '137년의 기록' https://www.hani.co.[...] 2018-10-26
[10] 서적 한국 의 소수자, 실태 와 전망 한울 아카데미 2004
[11] 서적 식민지 파시즘 의 유산 과 극복 의 과제 지식 산업사 2006
[12] 학술지 Analyzing the Typology of Korean Citizens' Perspectives on the Admission and Settlement of Asylum Seekers and Refugees https://www.jstor.or[...] 2021
[13] 학술지 Moral Imperatives: South Korean Studenthood and April 19 th https://www.jstor.or[...] 2012
[14] 서적 한국교육운동사: 1950-yŏndae kyoyuk ŭi yŏksa insik 지식 산업사 1994
[15] 서적 이 승만 의 집권 초기 권력 기반 연구 景仁文化社 2005
[16] 학술지 Cultural Performance and Political Regime Change https://www.jstor.or[...] 2009
[17] 학술지 Social Darwinism as History and Reality: 'Competition' and 'The Weak' in Early Twentieth-Century Korea 2016
[18] 서적 Korea's Grievous W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ncorporated 2016
[19] 서적 Korea's Grievous Wa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ncorporated 2016
[20] 웹사이트 2. 이승만정권·자유당, 극우반공이데올로기 연구 https://db.history.g[...]
[21] 웹사이트 일민주의(一民主義) http://encykorea.aks[...]
[22] 간행물 Excessive Nation' and 'Indiscoverable Individual': 'One-people principle' and particularity of Korean nationalism https://www.kci.go.k[...] 2015
[23] 뉴스 교육부 40년 출입 老기자의 대한민국 교육부 장관 48인論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6-06-01
[24] 뉴스 두발단속, 체벌...군국주의는 현재진행형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5-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