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본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자본주의는 자본주의의 철학적, 경제적 구조에 대한 비판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여러 종교에서 탐욕을 경고하며 자본주의를 비판했고, 20세기 초 미국과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반자본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1960~70년대 신좌파 운동과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비판과 함께 반자본주의 운동이 확산되었으며, 21세기에는 반세계화 운동과 대안 세계화 운동으로 이어졌다. 사회주의, 아나키즘, 보수주의, 파시즘, 여성주의, 종교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자본주의를 비판하며, 저임금, 빈부격차, 환경 문제 등을 주요 문제로 지적한다. 현대에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로 월가 점령 운동과 같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반세계화 및 대안 세계화 운동이 국제 금융 기구와 자유 무역 협정을 비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본주의 비판 - 사회민주주의
핵전방의 활동은, **각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들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흐름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1950년대 이후로는 변동이 잦아 졌고, 그 당시,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정치적·사회적 힘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그들은 이념을 가진다. 부연적인 내용으로는, 현재의 사회의 문제점과 사회 개혁에 대한 노력을 볼 수 있다. ``` ``` ``` ``` - 자본주의 비판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반세계화 운동 - 생태사회주의
생태사회주의는 자본주의 산업화의 환경 문제와 사회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사회주의와 생태주의를 결합한 좌파 녹색 정치 이념으로, 반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와 자원 지역 통제를 주장하며 탈자본주의 및 탈국가주의 사회를 지향한다. - 반세계화 운동 - 세계 사회 포럼
세계 사회 포럼은 대안 세계화를 지향하는 사회 운동들의 국제적인 연대 조직이자 포럼으로,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며 국제적인 지지를 얻고 있지만 운영 방식과 대표성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안세계화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 대안세계화 - 좌파당 (프랑스)
좌파당(Parti de Gauche)은 2008년 장-뤼크 멜랑숑 등이 창당한 프랑스의 정당으로, 생태사회주의를 지향하며 자본주의 대안을 제시하고, 현재 에릭 코케렐과 다니엘 시몽네가 당을 이끌고 있다.
반자본주의 | |
---|---|
반자본주의 | |
![]() | |
개요 | |
유형 | 정치 이념, 사회 운동 |
주요 반대 대상 | 자본주의 |
주요 목표 | 자본주의 체제 자체의 철폐 또는 자본주의가 초래하는 문제점 해결 |
주요 원인 | 불평등 빈곤 환경 파괴 제국주의 착취 |
역사적 맥락 | |
기원 | 산업 혁명 시기, 자본주의의 폐해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 |
관련 사상 |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
주요 주장 | |
비판 대상 | 사유 재산 시장 경제 이윤 추구 계급 사회 |
추구 가치 | 평등 사회 정의 연대 지속 가능성 |
관련 운동 | |
노동 운동 | 노동조합, 파업 등 |
사회 운동 | 환경 운동, 반세계화 운동, 반전 운동 등 |
비판 | |
반론 | 자본주의가 경제 성장과 혁신을 가져왔다는 주장 반자본주의 운동이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주장 |
관련 정보 | |
관련 문서 |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반세계화 운동 환경 운동 노동 운동 |
언어별 명칭 | |
영어 | Anti-capitalism |
일본어 | 反資本主義 |
2. 역사
반자본주의 사상은 19세기 이후 꾸준히 발전해 왔다. 반자본주의자들은 급진적인 성향을 띠며, 자본주의 사회의 여러 양상에 반대한다.[30][31] 일부는 전통적 보수주의 관점에서 자본주의에 반대하기도 한다. 경제학에서 자본주의는 노동력의 상품화와 시장 메커니즘에 의한 자동 조절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 체제로 인식되지만, 반자본주의자들은 자본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철학적, 정치적 현상들을 비판한다.[32]
20세기 초, 미국 노동자들 사이에서 반자본주의 사상이 널리 퍼졌으며, 콜로라도는 반자본주의 노동 운동의 중심지였다.[1] 마르크스 사상의 영향을 받은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1923년 설립되어 자본주의의 경제적 기반을 반영하는 계층화와 관습을 분석했다. 1930년대 허버트 마르쿠제와 막스 호르크하이머 등이 이끈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비판 이론이라는 철학적 운동을 창출했다. 유르겐 하버마스는 근대 세계관의 보편성이 서구적 합리성 외부의 소외된 관점에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비판 이론은 인류 해방을 목표로 자본주의에서 비롯된 사회 문제를 강조했지만, 대안적인 경제 모델을 직접 제시하지는 않았다.
미셸 푸코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정체성이 형성되는 방식을 개념화하는 데 비판 이론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25]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신좌파 운동은 이러한 정체성을 대변하는 사회 운동을 통해 해방의 의미를 탐구했다. 이들은 경제적 고려를 넘어 반전 운동과 시민권 운동에 참여했으며, 이후 민족, 성별, 성적 지향, 인종과 관련된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은 반자본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26]
반세계화와 대안 세계화는 소련 붕괴 이후 확산된 신자유주의적이고 기업 친화적인 자본주의에 반대한다. 이들은 IMF, WTO, 자유 무역 협정과 같은 국제 금융 기구와 규정을 비판하며, 국제 시장 참여보다 주권을 가진 국민의 자율성과 환경 문제의 중요성을 우선시한다. 멕시코의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EZLN)은 현대 반세계화 운동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2002년 시작된 세계 사회 포럼은 자본주의적 세계화에 맞서는 연례 국제 행사이다.[27]
역사가 게리 거슬에 따르면, 미국에서 반자본주의 이념 공간은 냉전 종식과 자본주의 세계화로 인해 축소되었고, 좌파는 다문화주의와 당파적인 문화 전쟁 문제에 집중하며 급진주의를 재정의해야 했다. 마크 피셔는 이를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라고 칭하며, 자본주의가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정치, 경제 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대안을 상상하는 것조차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고 주장했다.
19세기 이후 제기된 주요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비판 내용 |
---|
2. 1. 근대 이전
여러 종교에서는 자본주의의 철학적 구조를 비판하며, 탐욕에 대한 경고를 경전에 담았다. 천주교에서는 고리대금업을 금지하였고, 기독교 복음서에서는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이 신의 뜻에 반하여 나라를 망친다고 묘사하며 자본주의에서의 탐욕을 경고했다.[33] 불교 경전에도 탐욕과 이기심을 억제해야 한다는 반자본주의적 구절이 많이 등장한다. 이슬람교는 금융과 고리대금을 금지한다.2. 2. 근대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반자본주의 사상이 널리 퍼졌으며, 특히 콜로라도는 반자본주의 노동 운동의 중심지였다.[1] 일제강점기 한국에서는 사회주의 사상이 유입되면서 반자본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허정숙과 같은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자본주의 체제하에서의 여성 억압을 비판하고 여성 해방을 주장했다. 이들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경제적 능력을 갖추어야 진정한 여성 해방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는 여성이 남성에게 종속될 수밖에 없다고 인식했다. 따라서 모두가 평등하게 일하고 분배받는 사회주의 경제 구조를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4]2. 3. 현대
1960년대와 1970년대 신좌파라 불리는 세계적인 정치 운동은 사회 운동을 통해 해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탐구했다. 따라서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사회주의 운동은 순전히 경제적인 고려 사항을 넘어 반전 운동과 시민권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후 민족, 성별, 성적 지향, 인종과 관련된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이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은 더욱 직접적인 반자본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26]반세계화와 대안 세계화는 소련 붕괴 이후 국제적으로 확산된 광범위한 신자유주의적이고 기업 친화적인 자본주의에 반대한다. 특히 IMF, WTO, 그리고 자유 무역 협정과 같은 국제 금융 기구와 규정을 비판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그들은 국제 시장 참여보다 주권을 가진 국민의 자율성과 환경 문제의 중요성을 우선시한다. 현대 반세계화 운동의 대표적인 예로는 멕시코의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EZLN)이 있다. 2002년에 시작된 세계 사회 포럼은 참여 단체들의 네트워킹을 통해 자본주의적 세계화에 맞서는 연례 국제 행사이다.[27]
21세기에 들어와 자본주의의 원점으로의 회귀라고도 할 수 있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추진된 것에 대한 반발로, 월가 점령 운동과 같은 운동이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일본에서도 원래 반자본주의를 내세우는 좌파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여당인 자민당보다 우파의 입장에서 명확하게 반신자유주의를 주장하는 인물이나 세력이 존재한다(일본문화채널 벚꽃 등).
모리나가 타쿠로는 “권력층이 대다수의 무지한 대중으로부터 착취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본질이다”[28]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또한 “권력자·부유층이 일반 서민으로부터 착취한다는 자본주의의 본질을 강화하는 것이 신자유주의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29]
3. 주요 관점
반자본주의는 다양한 관점을 포괄하며, 급진적인 성향을 띠기도 하고,[30] 때로는 유흥업소 폐지와 같은 종교적인 정책 요구로 나타나기도 한다.[31] 경제학에서 자본주의는 노동력의 상품화와 시장 메커니즘을 통한 자동적인 수요 공급 조절을 의미하지만, 반자본주의자들은 자본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철학, 정치적 현상을 주로 비판한다.[32]
19세기 이후 반자본주의자들의 주요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본주의 비판 내용 |
---|
저임금, 열악한 노동 환경 |
물가의 급등락 |
사회보장의 부족 |
빈부격차(경제적 불평등), 실업·무업·무산층의 존재 |
시장 확보를 위한 제국주의적 침략 |
자본이 원인이 되는 전쟁 |
이윤 추구로 인한 결함(시장 실패) |
환경 문제(자연환경 파괴) |
3. 1. 사회주의
사회주의는 생산 수단의 공유 또는 노동자 자주 관리를 통해 자본주의의 경제적 불평등과 권력 집중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사회주의는 공정하고 평등한 자원의 배분과 경제민주주의에 입각한 노동자 기업 소유권 및 자주관리를 옹호함으로써 근본적인 경제적 문제에서 자본주의 이론들을 비판한다.[35] 사회주의는 또한 자본주의의 사회적, 철학적 문제에서도 비판하며, 극단적 개인주의(이기주의와는 다름)를 반대한다.[35]사회주의 경제는 지역 사회 구조에 따른 협동과 대중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계획 경제를 옹호한다. 사회주의는 극단적 개인주의에 반대하고 개인의 자유보다 사회적 발전을 중시한다는 철학적 가치가 극단화되므로 비민주적인 철학으로 많이 발전되어왔지만(대표적인 예로 파시즘) 국민들의 직접 및 간접적 민주주의, 공유재산제를 옹호하는 개조된 민주주의이기도 하다.[36]
대부분의 사회주의는 자본주의 생산 양식에서 생산수단의 집중으로 인해 생기는 불평등을 가장 큰 문제로 삼아 반자본주의적 성향이 심화되어있다. 여기서 생산수단의 편중은 경제 불균형을 일으키며 더 나아가 전쟁, 인종차별 등 모든 것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사회주의는 아나키즘과 공산주의를 파생시켰는데, 이 두 사상 모두 반자본주의적 가치가 기본이 되어 나온 사상들이다.[37]


칼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내부 모순으로 인해 결국 정체될 것이며, 사회주의가 뒤따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인류의 진보를 위한 필수적인 디딤돌에 불과하며, 계급 없는 사회에 도달하기 전에 정치 혁명을 겪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4]
사회주의는 생산 수단의 공공 또는 직접적인 노동자 소유 및 관리와 자원 배분을 주장하며, 모든 개인에게 자원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즉 평등주의적 보상 방식을 지향한다.[2][3] 대부분의 사회주의자들은 자본주의가 자본을 통제하고 노동 착취를 통해 부를 얻는 소수 사회 계층에 권력, 부, 이윤을 불공정하게 집중시킨다고 주장한다.[5][6]
초기 사회주의자들(유토피아 사회주의자들과 리카르도 사회주의자들)은 자본주의가 소수 사회 계층 내에 권력과 부를 집중시키고,[10]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이용 가능한 기술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9]
19세기 이후로 증가해온 주요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본주의 비판 내용 |
---|
저임금, 열악한 노동 환경 |
물가의 급등락 |
사회보장의 부족 |
빈부격차(경제적 불평등), 실업·무업·무산층의 존재 |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제국주의적 침략 |
자본이 원인이 되는 전쟁 |
이윤 추구로 인한 결함(시장 실패) |
환경 문제(자연환경 파괴) |
3. 2.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국가와 자본주의를 모두 비판하며, 개인의 자유와 자율적인 공동체를 중시한다. 좌파 아나키스트들은 자본주의가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고, 평등을 침해하며, 경쟁적인 폭력을 유발한다고 비판한다.[11]
유명한 무정부주의자 엠마 골드만은 임금 노동을 "임금 노예제"라고 비판하며, 자본주의가 인간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주장했다.[19] 골드만은 "재산이 인정하는 유일한 요구는 더 큰 부에 대한 자신의 탐욕스러운 욕망이며, 왜냐하면 부는 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복종시키고, 짓누르고, 착취하는 힘, 노예로 만들고, 격분시키고, 비하하는 힘"이라고 썼다.[19] 또한, 자본주의가 노동자들을 탈인간화하여 "생산자를 기계의 단순한 입자로 만들고, 그의 강철과 철의 주인보다 더 적은 의지와 결단력을 가지게 한다"고 주장했다.[19]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과 칼 마르크스와 같은 사상가들은 임금 노동과 노예제를 비교하며 비판했다.[18] 산업혁명 이후, 러다이트들은 기계가 가져온 탈인간화를 강조했다.[18]
노엄 촘스키는 인신매매 노예제와 자신을 소유자에게 임대하는 "임금 노예제" 사이에는 도덕적 차이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것이 개인의 자유를 훼손하는 개인의 성실성에 대한 공격이라고 생각하며, 노동자들이 자신의 직장을 소유하고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0]
독일의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 철학자 막스 슈티르너는 사유재산은 "법의 은총으로 살아가고" "법의 효과에 의해서만 '나의 것'이 된다"고 보았다. 즉, 사유재산은 순전히 "국가의 보호를 통해, 국가의 은총을 통해" 존재한다는 것이다.[11] 프랑스 무정부주의자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은 자본가, 은행 및 토지 이익을 보호하고, 재산의 축적 또는 획득에 반대했는데, 그는 이것이 경쟁을 방해하고 부를 소수의 손에 집중시킨다고 믿었다. 스페인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 미구엘 히메네스 이과라다는 자본주의를 정부의 결과로 보았다.[12] 그는 "정부가 사라진다는 것은 자본주의가 그 기반에서 곤두박질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국가의 산물이며, 그 안에서 추진되는 유일한 것은 이익, 좋든 나쁘든 획득된 이익이다. 따라서 자본주의와 싸우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국가 자본주의이든 기업 자본주의이든, 정부가 존재하는 한 착취 자본은 존재할 것이다. 의식의 싸움은 국가에 대한 것이다."라고 주장했다.[12]
임금 노예제는 자발적 노예제와 유사한 상황으로, 사람의 생계가 임금에 달려 있는 상황을 말한다.[13][14] 이것은 노예제와 임금 노동 사이의 유추를 통해 경제적 착취와 사회적 계층화를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노동자들이 비교적 낮은 임금을 받는 경우(예: 임금착취 공장[15])와 경제에서 노동자 자치, 직업 선택 및 여가의 부족[16]을 비판한다.
많은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은 대규모 자발적 협회가 산업 제조를 관리해야 하며,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의 개별적인 산출물에 대한 권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 이들은 "사유재산"과 "개인 소유"의 개념을 구분한다. "사유재산"은 사용 여부와 생산 능력에 상관없이 개인에게 사물에 대한 독점적 통제권을 부여하는 반면, "소유"는 사용 중이 아닌 사물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다.[22]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 벤자민 터커의 "4대 독점"(토지, 화폐, 관세, 특허) 외에도, 케빈 카슨은 국가가 교통 및 통신 보조금의 형태로 조직 중앙화를 보조함으로써 부유층에게 부를 이전했다고 주장한다. 카슨은 터커가 개인 시장 거래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간과했다고 믿는 반면, 카슨은 조직 문제에도 초점을 맞춘다.[23]
3. 3. 보수주의
일부 전통적 보수주의자들은 르네상스, 계몽주의, 미국 독립, 프랑스 혁명 등을 거치며 개인주의와 자유주의가 제도화되면서 기존 사회 관행에서 벗어나게 되었다고 비판한다.[33] 이들은 문화와 전통이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에 따라 왜곡된다고 보며, 특히 타국 자본의 유입이 자국의 전통 가치를 상실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다국적 기업이 진출하면서 해당 국가의 문화가 기업 대표 국가(예: 맥도날드 등의 미국)의 문화로 굳어지는 현상을 그 예로 들 수 있다.[33]또한, 물질욕 때문에 가족을 살해하는 등의 현상은 가족 가치를 중시하는 보수주의자들의 반발을 샀다.[33] 그러나 보수주의자들은 사유재산의 허용을 금지하는 공산주의보다는 조절의 여지가 있는 자본주의를 옹호한다. 따라서 이들은 자본주의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규제와 전통 가치의 보존을 강조한다.[33]
3. 4. 파시즘
파시즘은 반자본주의적이었으나, 경제적인 틀에서만 허용되었고, 국가자본주의 내지는 국가사회주의 사이의 체제를 지향했다.[1] 현대 네오-파시즘의 반자본주의적 경향은 반세계화와 동반하여 나타난다.[1]3. 5. 여성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는 자본주의가 여성의 신체를 상품화하고 남성의 경제적 지배를 강화한다고 비판하며, 여성 해방을 위해 사회주의적 경제 구조를 지지한다. 이들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뒤떨어지는 존재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여성도 남성과 같이 경제적 능력을 갖추어야 진정한 여성 해방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자는 허정숙이다. 사회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자본주의적 구조뿐만 아니라, 남성에게 의지하여 안일하게 살려는 자본주의적 여성들도 비판했다.[34]생태여성주의는 자본주의의 탐욕이 자연과 여성을 모두 파괴한다고 비판한다.[34]
3. 6. 종교
가톨릭은 고리대금업을 금지하며, 개신교와 불교의 여러 경전에서는 탐욕을 경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 이슬람교는 금융과 고리대금을 금지한다.[1]기독교에서는 자본주의의 철학적 구조를 비평했다.[1] 수많은 기독교 복음서에서는 인간의 탐욕, 이기심이 신의 뜻에 반하여 나라를 망친다고 묘사되어 자본주의에서의 탐욕에 경고하기도 했다.[1] 그러나 19세기 후반 마르크스주의의 등장으로 인해 절대다수의 기독교인들은 사회주의보다는 자본주의적 경제 구조를 지지한다.[1]
불교에서도 마찬가지로 탐욕과 이기심을 억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면으로 수행을 하며, 수많은 불교 경전에서는 반자본주의적 구절이 많이 등장한다.[1]
4. 비판
반자본주의는 다음과 같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5. 현대의 반자본주의
21세기에 들어와 자본주의의 원점으로의 회귀라고도 할 수 있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추진된 것에 대한 반발로, 월가 점령 운동과 같은 운동이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일본에서도, 원래 반자본주의를 내세우는 좌파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여당인 자민당보다 우파의 입장에서 명확하게 반신자유주의를 주장하는 인물이나 세력(일본문화채널 벚꽃 등)이 존재한다.
모리나가 타쿠로는 “권력층이 대다수의 무지한 대중으로부터 착취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본질이다”[28]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또한 “권력자·부유층이 일반 서민으로부터 착취한다는 자본주의의 본질을 강화하는 것이 신자유주의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29]
참조
[1]
서적
Killing for Coal: America's Deadliest Labor War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Soc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Socialism
[4]
웹사이트
Socialism
https://www.britanni[...]
2008-00-00
[5]
웹사이트
Let's produce for use, not profit
http://www.worldsoci[...]
socialist standard
2010-05-00
[6]
잡지
What Needs To Be Done: A Socialist View
http://www.monthlyre[...]
2014-02-23
[7]
웹사이트
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
http://www.marxists.[...]
2010-10-30
[8]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Socialism
[9]
서적
Marx and Engels Selected Works
Lawrence and Wishart
[10]
웹사이트
Socialism
https://www.britanni[...]
2009-10-14
[11]
웹사이트
G.6 What are the ideas of Max Stirner? in An Anarchist FAQ
http://www.infoshop.[...]
Infoshop.org
2010-09-20
[12]
웹사이트
Anarquismo
http://www.kcliberta[...]
2014-03-31
[13]
사전
wage slave
http://www.merriam-w[...]
2013-03-04
[14]
사전
wage slave
http://dictionary.re[...]
2013-03-04
[15]
웹사이트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http://globetrotter.[...]
Globetrotter.berkeley.edu
2010-06-28
[16]
웹사이트
The Bolsheviks and Workers Control, 1917–1921: The State and Counter-revolution
http://www.spunk.org[...]
Spunk Library
2013-03-04
[17]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Routledge
[18]
서적
Chapter VII
http://www.marxists.[...]
[19]
서적
Anarchism and Other Essays
Dover Publications Inc.
[20]
웹사이트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p. 2 of 5
http://globetrotter.[...]
Globetrotter.berkeley.edu
2011-08-16
[21]
서적
A History of European Socialism
Yale University Press
1983-00-00
[22]
서적
Property and Contract in Their Relations to the Distribution of Wealth
The Macmillan Company
1914-00-00
[23]
웹사이트
Libertarian Left
http://www.amconmag.[...]
The American Conservative
2011-03-00
[24]
학술지
The Rise and Future Demise of the World Capitalist System: Concepts for Comparative Analysis
1974-09-00
[25]
학술지
Critical Theory, Poststructuralism, Postmodernism: Their Sociological Relevance
1991-00-00
[26]
학술지
Endgame Identity? Mapping the New Left Roots of Identity Politics
2000-00-00
[27]
서적
Anticapitalism and culture: radical theory and popular politics
https://nbn-resolvin[...]
Berg
2008-00-00
[28]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29]
서적
「騙されない!」ための経済学 モリタク流・経済ニュースのウラ読み術
PHP研究所
[30]
일반
[31]
일반
[32]
웹사이트
반자본주의와 분자경제학의 관계, 또한 현대 민주주의에서 나타나는 반자본주의
http://www.inclusive[...]
[33]
일반
[34]
일반
[35]
일반
[36]
웹인용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http://global.britan[...]
2013-02-20
[37]
웹사이트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반자본주의
http://www.marxist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훼손되고 도난당한 뱅크시 작품 51점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