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의 한글 표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어의 한글 표기는 1676년 《첩해신어》에서 근대 이전의 표기 예시를 찾아볼 수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표기법 규정이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문교부가 '들온말 적는 법'을 제정했으나 정착되지 못했고, 1986년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이 제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북한은 2001년 '외국말적기법'을 확립했다. 현재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과 최영애-김용옥 일본어 표기법, 북한의 외국말적기법 등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하며, 통용되는 비공식 표기도 혼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래어 - 역차용
역차용은 언어 간 상호작용, 문화 교류, 국제적 소통 증가로 인해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차용된 단어가 다시 원래 언어로 돌아오는 현상으로, 언어의 역동성을 보여주지만 언어와 문화 정체성 약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외래어 -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 어휘를 한국어로 표기하기 위한 규칙으로, 현지 발음을 존중하며 국어의 자모만 사용하고 1 음운을 1 기호로 표기하며 7개의 받침만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한글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 한글 - 조선어학회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은 일제강점기, 일제가 조선어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어학회 회원들을 체포하고 탄압한 사건으로, 이윤재, 최현배 등이 고문과 옥사를 당했으며, 한국어 사전 편찬에 차질을 빚었으나 광복 후 『조선어대사전』 편찬으로 이어져 한국어 발전과 민족 문화 수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일본어 - 중고 일본어
중고 일본어는 794년부터 1185년까지 헤이안 시대에 사용된 일본어의 한 형태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파생되고,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문자 체계로 사용하며,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의 문법과 다양한 문법 요소, 고유어와 한자어를 어휘로 사용했다. - 일본어 - 이로하 노래
이로하 노래는 일본어 가나 전체를 사용하여 지은 7·5조 가요 형식의 시로, 불교적 무상함을 노래하며, 가나 손글씨 연습과 일본어 순서 표기에 활용되었고, 작자 미상에 다양한 해석과 이야기가 전해진다.
일본어의 한글 표기 | |
---|---|
일본어의 한글 표기 정보 | |
한글 | 일본어의 한글 표기 |
한자 | 日本語의 한글 表記 |
히라가나 | にほんごのハングルひょうき |
가타카나 | イルボノエ ハングル ピョギ |
로마자 표기법 | 문화관광부 2000년식: Ilboneoui Han(-)geul Pyogi 매큔-라이샤워식: Ilbonŏŭi Han'gŭl P'yogi |
2. 역사
1676년에 간행된 《첩해신어》는 근대 이전에 일본어를 언문으로 표기한 예이다. 일제강점기에는 1912년 조선총독부가 정한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에서 일본어의 언문 표기에 대해 언급되었고[1], 1930년 "언문 철자법"에서는 "스"가 "스한국어"로 바뀌는 등 현재 표기와 가까워졌다.[3]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문교부가 "들온말 적는 법한국어"을 제정하여 일본어 표기법을 규정했다.[4] 이 표기법은 반시옷을 사용하고, 어두의 탁음을 된소리로, 어중의 탁음을 평음으로 표기하는 등 특징이 있었으나, 일반인에게 어려워 정착되지 못했다.[5]
1986년 국립국어원은 현행 외래어 표기법을 제정하여, 일본어의 か행과 た행을 각각 ㅋ과 ㅌ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본 대중문화의 영향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과 다른 표기가 널리 퍼지기도 했다.[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56년 "조선어외래어표기법한국어" 제정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2001년 현행 표기의 근거가 되는 "외국말적기법한국어"이 제정되었다.[6]
2. 1. 1948년 문교부 '들온말 적는 법'
1948년 대한민국 문교부에서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은 일본어 표기에 대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규정했다.[5]- 자행음(ザ, ジ, ズ, ゼ, ゾ)은 ㅿ|반시옷한국어으로 표기한다. ㅿ|반시옷한국어을 쓰지 않는 경우에는 ㅅ으로 적을 수 있다.
- 어두의 탁음(ガ행, ダ행, バ행)은 된소리(ㄲ, ㄸ, ㅃ)로, 어중의 탁음은 평음(ㄱ, ㄷ, ㅂ)으로 표기한다.
- 어중의 ㅋ, ㅌ, ㅍ행 음은 된소리(ㄲ, ㄸ, ㅃ)로 표기한다(촉음에 따르는 경우는 제외).
- 비음(ん)은 뒤따르는 소리에 따라 ㅇ, ㄴ, ㅁ으로 표기한다.
- ア일본어, ヤ일본어, ワ일본어, カ일본어, ガ일본어, ハ일본어행 음 앞에서는 'ㅇ'으로 표기
- サ일본어, ザ일본어, タ일본어, ダ일본어, ナ일본어, ラ일본어행 음 앞에서는 'ㄴ'으로 표기
- マ일본어, バ일본어, パ일본어행 음 앞에서는 'ㅁ'으로 표기
- 촉음(っ)은 뒤따르는 소리에 따라 받침을 다르게 표기한다.
- 장모음은 앞 모음을 겹쳐서 표기한다. (예: シュウ일본어 → 슈우, ショウ일본어 → 쇼오)
일본어 문자 표기 | 한글 표기 |
---|---|
재벌일본어 | ᅀᅡ|반시옷한국어이바쯔 |
한국일본어 | 강꼬꾸 |
짝수일본어 | 꾸우스으 |
일체일본어 | 읻다이 |
이 표기법은 원음주의를 내세웠지만, 일반인에게는 어려워 정착되지 못했다.
2. 2. 대한민국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1986년 제정, 2014년 일부 개정)
국립국어원이 정하고 문교부 고시 제85-11호로 공표한 외래어 표기법 중 일본어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22]가나 | 한글 | |
---|---|---|
어두 | 어중·어말 | |
ア イ ウ エ オ일본어 | 아 이 우 에 오 | 아 이 우 에 오 |
カ キ ク ケ コ일본어 | 가 기 구 게 고 | 카 키 쿠 케 코 |
サ シ ス セ ソ일본어 | 사 시 스 세 소 | 사 시 스 세 소 |
タ チ ツ テ ト일본어 | 다 지 쓰 데 도 | 타 치 쓰 테 토 |
ナ ニ ヌ ネ ノ일본어 | 나 니 누 네 노 | 나 니 누 네 노 |
ハ ヒ フ ヘ ホ일본어 | 하 히 후 헤 호 | 하 히 후 헤 호 |
マ ミ ム メ モ일본어 | 마 미 무 메 모 | 마 미 무 메 모 |
ヤ イ ユ エ ヨ일본어 | 야 이 유 에 요 | 야 이 유 에 요 |
ラ リ ル レ ロ일본어 | 라 리 루 레 로 | 라 리 루 레 로 |
ワ (ヰ) ウ (ヱ) ヲ일본어 | 와 (이) 우 (에) 오 | 와 (이) 우 (에) 오 |
ン일본어 | style="border-bottom: 0; border-top: 0;" | | ㄴ |
ガ ギ グ ゲ ゴ일본어 | 가 기 구 게 고 | 가 기 구 게 고 |
ザ ジ ズ ゼ ゾ일본어 | 자 지 즈 제 조 | 자 지 즈 제 조 |
ダ ヂ ヅ デ ド일본어 | 다 지 즈 데 도 | 다 지 즈 데 도 |
バ ビ ブ ベ ボ일본어 | 바 비 부 베 보 | 바 비 부 베 보 |
パ ピ プ ペ ポ일본어 | 파 피 푸 페 포 | 파 피 푸 페 포 |
キャ キュ キョ일본어 | 갸 규 교 | 캬 큐 쿄 |
ギャ ギュ ギョ일본어 | 갸 규 교 | 갸 규 교 |
シャ シュ ショ일본어 | 샤 슈 쇼 | 샤 슈 쇼 |
ジャ ジュ ジョ일본어 | 자 주 조 | 자 주 조 |
チャ チュ チョ일본어 | 자 주 조 | 차 추 초 |
ニャ ニュ ニョ일본어 | 냐 뉴 뇨 | 냐 뉴 뇨 |
ヒャ ヒュ ヒョ일본어 | 햐 휴 효 | 햐 휴 효 |
ビャ ビュ ビョ일본어 | 뱌 뷰 뵤 | 뱌 뷰 뵤 |
ピャ ピュ ピョ일본어 | 퍄 퓨 표 | 퍄 퓨 표 |
ミャ ミュ ミョ일본어 | 먀 뮤 묘 | 먀 뮤 묘 |
リャ リュ リョ일본어 | 랴 류 료 | 랴 류 료 |
위 표기 일람표에 따라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 제1항
촉음(ッ(っ)일본어)은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11]
サッポロ일본어 삿포로 | トットリ일본어 돗토리 | ヨッカイチ일본어 욧카이치 |
キュウシュウ일본어(九州일본어) 규슈 | ニイガタ일본어(新潟일본어) 니가타 |
トウキョウ일본어(東京일본어) 도쿄 | オオサカ일본어(大阪일본어) 오사카 |
; 제3항
일본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제4항
중국 및 일본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 제5항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2.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외국말적기법' (2001년 제정)
다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가 2001년에 정한 '외국말적기법' 중 '일본말 단어를 우리 글자로 적는 법'이다.[23]가나 | 조선글 | 가나(요음) | 조선글 |
---|---|---|---|
아 이 우 에 오 | 아 이 우 에 오 | ||
카 키 쿠 케 코 | 가 기 구 게 고 | 캬 큐 쿄 | 갸 규 교 |
사 시 스 세 소 | 사 시 스 세 소 | 샤 슈 쇼 | 샤 슈 쇼 |
타 치 쯔 테 토 | 다 지 쯔 데 도 | 챠 츄 쵸 | 쟈 쥬 죠 |
나 니 누 네 노 | 나 니 누 네 노 | 냐 뉴 뇨 | 냐 뉴 뇨 |
하 히 후 헤 호 | 하 히 후 헤 호 | 햐 휸 효 | 햐 휴 효 |
마 미 무 메 모 | 마 미 무 메 모 | 먀 뮤 묘 | 먀 뮤 묘 |
야 유 요 | 야 유 요 | ||
라 리 루 레 로 | 라 리 루 레 로 | 랴 류 료 | 랴 류 료 |
와 오 | 와 오 | ||
가 기 구 게 고 | 가 기 구 게 고 | 갸 규 쿄 | 갸 규 교 |
자 지 즈 제 조 | 자 지 즈 제 조 | 쟈 쥬 죠 | 쟈 쥬 죠 |
다 지 즈 데 도 | 다 지 즈 데 도 | ||
바 비 부 베 보 | 바 비 부 베 보 | 뱌 뷰 뵤 | 뱌 뷰 뵤 |
파 피 푸 페 포 | 빠 삐 뿌 뻬 뽀 | 퍄 퓨 표 | 뺘 쀼 뾰 |
어중 · 어말의 카행과 타행은 된소리로 표기한다. 단, 합성어에 관해서는 어중에도 평음으로 표기한다.
伊丹|이타미일본어 | 七条|시치조일본어 |
長崎|나가사키일본어 | 北九州|기타큐슈일본어 |
촉음은 뒤에 카행음이 이어질 경우에는 ㄱ한국어, 그 외에는 ㅅ한국어 받침으로 표기한다.
北海道|홋카이도일본어 | 日産|닛산일본어 |
鳥取|돗토리일본어 | 札幌|삿포로일본어 |
받침소리 글자 ん일본어은 뒤에 모음이 이어지거나 아무것도 이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ㅇ한국어, 그 외에는 ㄴ한국어 받침으로 표기한다.
信越|신에쓰일본어 | 雲仙|운젠일본어 |
関東|간토일본어 | 南原|난바라일본어 |
2. 4. 기타 일본어의 한글 표기
다음은 과거의 여러 일본어 표기법을 정리한 표이다.
위 표는 조선총독부 보통학교 조선어 독본 편찬 요지에 따른 가나-한글 대응표이다.
위 표는 조선어 학회의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이다.
위 표는 1963년 문교부 고시 편수자료 4집의 표기법이다.
가나 | 한글 |
---|---|
ア イ ウ エ オ일본어 | 아 이 우 에 오 |
カ キ ク ケ コ일본어 | 카 키 쿠 케 코 |
サ シ ス セ ソ일본어 | 사 시 스 세 소 |
タ チ ツ テ ト일본어 | 타 치 쓰 테 토 |
ナ ニ ヌ ネ ノ일본어 | 나 니 누 네 노 |
ハ ヒ フ ヘ ホ일본어 | 하 히 후 헤 호 |
マ ミ ム メ モ일본어 | 마 미 무 메 모 |
ヤ ユ ヨ일본어 | 야 유 요 |
ラ リ ル レ ロ일본어 | 라 리 루 레 로 |
ワ (ヰ) ウ (ヱ) ヲ일본어 | 와 (이) 우 (에) 오 |
ン일본어 | ㄴ (ㅇ, ㅁ) |
ガ ギ グ ゲ ゴ일본어 | 가 기 구 게 고 |
ザ ジ ズ ゼ ゾ일본어 | 자 지 즈 제 조 |
ダ ヂ ヅ デ ド일본어 | 다 지 즈 데 도 |
バ ビ ブ ベ ボ일본어 | 바 비 부 베 보 |
パ ピ プ ペ ポ일본어 | 파 피 푸 페 포 |
예: 고다 구미(こうだ くみ일본어), 지바(ちば일본어)
위 표는 문교부에서 고시한 일본어 표기법이다.
3. 표기법 비교
거센소리로 표기하되, ち일본어는 된소리로 표기한다.
예: 코오다 쿠미, 찌바어중·어말의 か일본어행·た일본어행(つ일본어 제외) 거센소리로 표기한다.
예: 타코야키(たこやき일본어), 모찌(もち일본어)된소리로 표기한다.
예: 다꼬야끼, 모찌つ일본어 ‘쓰’로 표기한다.
예: 쓰시마(つしま일본어)‘쯔’로 표기한다.
예: 쯔시마촉음(っ일본어) 항상 ㅅ 받침으로 표기한다. か일본어행 앞에서는 ㄱ 받침으로,
さ일본어행·た일본어행·ぱ일본어행 앞에서는 ㅅ 받침으로 표기한다.항상 ㅅ 받침으로 표기한다. 발음(ん일본어) 항상 ㄴ 받침으로 표기한다. 모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ㅇ 받침으로,
자음 앞에서는 ㄴ 받침으로 표기한다.항상 ㄴ 받침으로 표기한다. 장음 표기하지 않는다.
예: 고다 구미(こうだ くみ일본어)모음을 중복시킨다. 이중 모음은 끝에 발음되는 모음을 중복한다.
예: 코오다 쿠미じゃ일본어행, ちゃ일본어행 자, 차 등으로 표기한다. 쟈, 챠 등으로 표기한다. 합성어 전체를 한 덩어리로 취급한다.
예: 기타큐슈({{lang)각 구성 단위를 따로따로 표기한 뒤 이어서 쓴다.
예: 기따규슈 (× 기따뀨슈)전체를 한 덩어리로 취급한다.
예: 키타큐우슈우조사 は일본어, へ일본어 하, 헤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