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어학회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어학회 사건은 일제강점기, 민족문화 말살 정책에 저항하여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겪은 탄압 사건이다. 1942년, 일제는 조선어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규정하고, 이윤재, 최현배 등 주요 회원들을 체포했다. 이들은 가혹한 고문을 받았으며, 이윤재와 한징은 옥사했다. 재판을 통해 일부는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광복 후 조선어학회가 편찬하던 사전 원고가 발견되어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이 재개되었다. 이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에게는 건국훈장이 추서되었으며, 2019년 영화 말모이에서 이 사건을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한국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일제강점기의 사건 - 민생단 사건
    민생단 사건은 1930년대 만주에서 일본 제국의 이간책으로 만들어진 친일 조직을 구실로 중국 공산당이 항일 무장 투쟁을 하던 조선인들을 숙청한 사건으로, 무고한 희생과 조선인-중국인 간 불신 심화, 항일 연대 약화를 초래했으며 김일성이 이 사건 수습 과정에서 지도력을 강화했다.
  • 일제강점기의 사건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 한글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 한글 - 한글 자판
    한글 자판은 한글 입력 방식의 배열을 의미하며, 두벌식, 세벌식, 타자기 자판, 휴대 전화 자판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리듬감, 도깨비불 현상, 오타 수정 가능성 등 다양한 논점을 가지고 있다.
조선어학회 사건
사건 개요
명칭조선어학회 사건
발생 시기1942년
장소일제강점기 조선
원인조선어학회의 활동을 민족주의 운동으로 간주한 일제의 탄압
관련 단체
관련 단체조선어학회
주요 인물
관련 인물이윤재
한징
이희승
정인승
최현배
김도연
김윤경
이만규
장현식
사건 전개
배경조선어학회의 표준어 제정 및 사전 편찬 활동
경과1942년 10월, 함흥에서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
관련자 33명 검거, 16명 기소
이윤재, 한징 옥사
결과조선어학회 강제 해산
조선어 사전 편찬 중단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 강화
사건의 영향
영향조선어학회의 활동 탄압 및 민족 운동 위축
민족 문화 및 언어 탄압
광복 후 국어학 연구 및 민족 문화 회복 노력에 큰 영향
기타
기타사건 관련자들은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추서받음
사건은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기억됨

2. 조선어학회

조선어학회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에 맞서 우리말과 글을 연구한 민간 학술단체다. 1908년 8월 31일 주시경을 주축으로 '국어연구학회'가 창립된 이래,[14] '배달말글몯음'(1911), '한글모'(1913), '조선어연구회'(1921)라는 명칭 변경 끝에 1931년 1월 10일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고치고 활동을 이어갔다.[15] 장지영, 이윤재, 최현배 등이 중심이 되어 활동했으며,[16] 1932년에 학회지 '한글'을 창간하고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1933), 표준말 사정(1936),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제정(1940)[14]등을 통하여 《한국어 사전》 편찬의 바탕이 되는 작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었다.[17]

3. 사건의 발단

1936년 일제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을 공포하여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18] 1939년에는 학교에서 한국어 과목을 폐지하고, 한국어 신문과 잡지를 점차 폐간시켰다. 1941년에는 조선사상범 예방구금령을 공포하여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였다.[18]

1942년 7월, 함경남도 홍원읍 전진역에서 한 청년이 경찰에 연행되어 심문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메이지대학 졸업생 박병엽은 친구 지창일을 기다리던 중, 한복 차림이라는 이유로 홍원경찰서 후카자와 형사에게 검문을 받았다. 박병엽은 홍원읍 유지의 자제였기에 퉁명스럽게 응대했고, 결국 홍원경찰서로 연행되었다. 경찰은 그의 집을 수색했고, 특별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야스다(安田稔, 본명 안정묵)라는 조선인 형사가 박병엽의 조카딸 박영옥의 일기장을 압수했다. 며칠 후, 야스다는 일기장에서 "국어(國語, 일본어를 말함)를 상용(常用)하는 자를 처벌하였다"라는 구절을 발견했다.

이를 계기로 일제는 함흥 영생고등여학교 교사들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박영옥을 비롯해 그의 친구 최순남, 이순자, 이성희, 정인자가 연행되어 취조를 받았고, 이들은 며칠 간의 고문 끝에 교사 김학준과 정태진을 지목했다. 정태진은 1941년 5월까지 영생고등여학교에서 7년간 재직하다가 정인승의 권유로 조선어학회로 옮겨 사전 편찬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들은 평소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한글 사용을 권장하고, 일제의 패망과 조선 민족의 부활, 임진왜란계월향의 순절 이야기 등을 들려주며 독립 의식을 고취시켰다.

함흥 일출여고(또는 영생여고)의 학생이 한국어로 대화하다가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취조를 받던 중, 1942년 9월 5일 조선어 사전 편찬원 정태진이 관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빌미로 1942년 10월 1일, 일제는 조선어학회를 독립운동단체로 단정하고 관련자들을 검거하기 시작하였다.

4. 사건의 경과

1942년 7월, 함경남도 홍원읍 전진역에서 박병엽이 친구를 기다리던 중, 홍원경찰서 형사에게 검문을 받고 연행되었다. 경찰은 박병엽의 조카딸 박영옥의 일기장에서 "국어(國語, 일본어를 말함)를 상용(常用)하는 자를 처벌하였다"라는 구절을 발견하고, 함흥 영생고등여학교 학생인 박영옥과 친구들을 취조하였다. 이들은 고문 끝에 김학준, 정태진 두 교사를 지목했다. 정태진은 조선어학회의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이었다.[3]

1942년 9월, 영생고등여학교 학생이 한국어로 대화하다가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취조를 받는 과정에서 정태진이 관련되었다는 진술이 나왔다. 이를 빌미로 1942년 10월 1일, 일제는 조선어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단정하고, 이윤재, 최현배, 이희승, 정인승, 김윤경 등 주요 회원들을 서울에서 체포하여 함경남도 홍원으로 압송하였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련 인물들을 검거하여, 1943년 3월 말까지 총 29명이 체포되고 48명이 취조를 받았다. 주요 검거 일자 및 인물은 다음과 같다.



권덕규안호상은 질병으로 구속을 면했다. 체포된 인물들은 홍원경찰서 유치장에서 가혹한 고문을 받았으며, 이윤재와 한징은 옥사하였다.[10] 33명 중 16명이 '조선민족정신을 유지한', '치안유지법 위반'이라는 죄목으로 기소되어 함흥검사국으로 송치되었다.[10]

5. 재판 과정 및 결과

함흥 검찰국은 조선어학회 관계자들을 재조사하여 대부분 석방하고, 이윤재, 한징, 최현배, 이희승, 정태진, 이극로, 김양수, 김도연, 이중화, 김법린, 이인, 장현식 등 13명만 공판에 회부하였다.[10] 1943년 12월 이윤재가,[10] 1944년 2월 한징이 옥사하였다.[10] 나머지 11명은 함흥지방법원에서 각각 징역 2년에서 6년까지의 형을 선고받았다.[10] 정태진은 징역 2년형을 복역하고 형기를 마쳤으며, 장현식은 무죄로 석방되었다.[10] 다른 징역형을 받은 이들은 항소하였으나,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전 기각되었다.[10]

6. 사건의 의의 및 영향

조선어학회 사건은 일제의 억압적인 민족문화 말살 정책에 맞서 한국어와 민족문화를 지키려 했던 지식인들의 노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조선어학회는 해산되었으나,[10] 광복 후 서울역에서 조선어학회가 편찬하던 사전 원고가 발견되면서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이 재개될 수 있었다.[12]

1945년 9월 8일, 서울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2만 6500여 매에 달하는 조선어 사전 원고가 발견되었다.[12] 이 원고를 바탕으로 1947년 10월 9일, 『조선말 큰사전』의 첫 권이 간행되었고, 1957년에는 총 6권으로 완간되었다.[13] 이는 일제강점기 동안 억압받던 한국어 연구가 광복 이후 결실을 맺은 중요한 성과였다.

7. 조선어학회 사건 관련 인물

1942년 일제는 조선어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규정하고 회원 및 관련 인물들을 대거 체포, 투옥했다. 이 사건으로 이윤재, 한징이 옥사하는 등 많은 이들이 고초를 겪었다.

사건 관련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에서 체포된 박병엽과 그의 조카 박영옥, 그리고 함흥 영생고등여학교 학생들인 최순남, 이순자, 정성희, 인자, 그리고 김학준이 있었다. 또한, 조선어학회 사업에 협력한 곽상훈과 김두백 등이 증인으로 심문을 받았다.

7. 1. 주요 인물

다음은 조선어학회 사건의 주요 인물들이다.

이름출생사망출신 지역형량건국훈장 훈격서훈 연도비고
정태진19031952경기 파주징역 2년독립장1962
이극로18931978경남 의령징역 6년--재북
이윤재18881943경남 김해-독립장1962재판 중 사망
최현배18941970경남 울산징역 4년독립장1962
이희승18961989경기 개풍징역 2년 6개월독립장1962
정인승18971986전북 장수징역 2년독립장1962
김윤경18941969한성기소유예애국장19901년간 옥고
권승욱19161974전북 고창기소유예--
장지영18891976한성공소소멸애국장19901년 여 옥고
한징18861944한성-독립장1962재판 중 사망
이중화18811950?한성징역 2년형 집행유예 4년애족장20132년간 옥고
이석린19141999경성기소유예애족장19901년 여 옥고
이강래18911967한성기소유예애족장19901년간 옥고
김선기19071992한성기소유예애족장19901년간 옥고
이병기18911968전북 익산기소유예애국장19901년간 옥고
이만규18821978강원 원주기소유예--1년간 옥고, 재북
정열모18951967충북 회인공소소멸--1년간 옥고, 재북
김법린18991964경남 동래징역 2년형 집행유예 4년독립장19952년간 옥고
이우식18911966경남 의령징역 2년 집행유예 4년독립장19772년간 옥고
윤병호18891974경남 남해기소유예애족장19901년간 옥고
서승효18821964충남 청양기소유예--
김양수18961969한성징역 2년형 집행유예 4년애국장19902년간 옥고
장현식18961950전북 김제무죄애국장19904년간 옥고, 납북
이인18961979한성징역 2년형 집행유예 4년독립장19632년간 옥고
이은상19031982경남 마산기소유예애국장19901년간 옥고
정인섭19051983경기 김포징역 1년형애족장1990
안재홍18911965경기 평택불기소대통령장19892년간 옥고
김도연18941967한성징역 2년형 집행유예 4년애국장19912년간 옥고
서민호19031974전남 고흥-애족장20011년간 옥고
신현모18941975황해 연백기소유예애족장1990
김종철18901957전남 순천기소유예--재외
권덕규18901950경기 김포기소중지--병면(病免)
안호상19021999경남 의령기소중지--병면(病免)


7. 2. 기타 관련 인물

다음은 조선어학회 사건과 관련된 기타 인물들이다.

이름형량건국훈장 훈격서훈 연도비고
김윤경기소유예애국장19901년간 옥고[2][3]
권승욱기소유예--
장지영공소소멸애국장19901년 여 옥고[2][3]
한징-독립장1962재판 중 사망[2][3]
이중화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애족장20132년간 옥고[2][3]
이석린기소유예애족장19901년 여 옥고[2][3]
이강래기소유예애족장19901년간 옥고[2][3]
김선기기소유예애족장19901년간 옥고[2][3]
이병기기소유예애국장19901년간 옥고[2][3]
이만규기소유예--1년간 옥고, 재북[2][3]
정열모공소소멸--1년간 옥고, 재북[2][3]
김법린징역 2년, 집행유예 4년독립장19952년간 옥고[2][3]
이우식징역 2년, 집행유예 4년독립장19772년간 옥고[2][3]
윤병호기소유예애족장19901년간 옥고[2][3]
서승효기소유예--
김양수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애국장19902년간 옥고[2][3]
장현식무죄애국장19904년간 옥고, 납북[2][3]
이인징역 2년, 집행유예 4년독립장19632년간 옥고[2][3]
이은상기소유예애국장19901년간 옥고[2][3]
정인섭징역 1년애족장1990[2][3]
안재홍불기소대통령장19892년간 옥고[2][3]
김도연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애국장19912년간 옥고[2][3]
서민호-애족장20011년간 옥고[2][3]
신현모기소유예애족장1990[2][3]
김종철기소유예--재외[2][3]
권덕규기소중지--병면(病免)[2][3]
안호상기소중지--병면(病免)[2][3]


8. 대중문화

2019년 한국 영화 《말모이》는 조선어학회 주요 인사들의 고문 및 투옥 사건을 다룬 영화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허구적 요소를 가미하여 제작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민족의 독립운동/신문화운동과 3·1운동/신문화운동 https://ko.wikisourc[...] 2023-06-15
[2] Wikidata
[3] 웹사이트 [근현대사 25] 조선어학회사건과 조선인 형사들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cident and Korean Detectives https://www.minjok.o[...] 2023-06-09
[4] 웹사이트 공훈전자사료관 Certificate of Merit for Independence: Lee Byeonggi https://e-gonghun.mp[...] 2023-06-26
[5] Wikidata
[6] 웹사이트 [FICTION VS. HISTORY] The dramatic history of 'Mal_Mo_E': Film about the creation of the first hangul dictionary stays pretty close to the facts https://koreajoongan[...] 2023-06-14
[7] 웹사이트 朝鮮語学会事件 https://kotobank.jp/[...] 2020-04-25
[8] 웹사이트 朝鮮語学会事件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5-02
[9] 웹사이트 朝鮮語學會事件 https://terms.naver.[...] 韓国学中央研究院 2020-05-03
[10] 웹사이트 朝鮮語學會事件 https://ko.wikisourc[...] 2020-05-02
[11] 웹사이트 https://chosonsinbo.[...] 2023-04-15
[12] 웹사이트 ハンギョレ日本語版2018年9月8日付[歴史の中の今日]日帝が押収「朝鮮語大辞典原稿」ソウル駅倉庫で発見さる(上) http://japan.hani.co[...] 2022-08-02
[13] 웹사이트 ハンギョレ日本版二〇一八年9月日付[歴史の中の今日]日帝が押収「朝鮮語大辞典原稿」ソウル駅倉庫で発見さる(下) http://japan.hani.co[...] 2022-08-02
[14] 웹사이트 한글학회 학회소식 (발돋음) https://www.hangeul.[...] 2021-11-22
[15] 웹사이트 조선어연구회 [朝鮮語硏究會]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16] 웹사이트 조선어 학회 -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에 맞서 우리말과 글을 연구한 학술 단체 https://terms.naver.[...] 한국사 사전 3 - 나라와 민족·기구와 단체·역사 인물 2015-02-10
[17] 웹사이트 조선어학회사건 [朝鮮語學會事件]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8] 서적 하룻밤 에 읽는 한국사. http://worldcat.org/[...] P'eip'ŏ Rodŭ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