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동은 밀가루로 만든 일본의 면 요리로, 다양한 조리법과 종류가 존재한다. 헤이안 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혼돈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며, 면의 굵기, 제법, 조리 방식, 고명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일본 내에서는 지역별로 특색 있는 우동이 발달했으며, 한국, 팔라우 등 다른 국가에서도 현지화된 형태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국수 - 잡채
    잡채는 여러 채소를 섞어 만든 음식으로, 당면, 채소, 고기 등을 간장 양념에 버무려 만든 한국 요리이며, 궁중 연회에서 시작되어 당면 도입 후 현재 형태로 발전, 명절이나 잔칫날에 즐겨 먹는다.
  • 우동 - 기시멘
    기시멘은 일본의 넓고 납작한 우동 면 요리로, 나고야 키시멘은 별도 기준이 있으며, 우동과 유사한 조리법으로 삶는 시간이 짧고 다양한 고명과 카레, 미소니코미 등으로 다채롭게 즐길 수 있으며 에도 시대부터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 우동 - 사누키 우동
    사누키 우동은 가가와현에서 유래한 쫄깃한 면발과 멸치 육수의 독특한 맛으로 유명한 우동의 한 종류로, 다양한 메뉴와 업태로 발전해왔으며 관광 산업에도 활용되고 있다.
  • 밀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밀국수 - 스트란고치
우동 - [음식]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국수
주재료밀가루
지역일본
명칭
일본어,
로마자 표기udon
요리 정보
변형가케우동
야키우동
관련 요리샤부샤부
추가 정보
가케우동; 따뜻한 국물에 담긴 우동

2. 어원

아오키 마사루(青木正児일본어)의 『혼돈(곤동)의 역사(饂飩の歴史일본어)』에 따르면, 우동(饂飩일본어)은 헤이안 시대(794~1185)에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혼둔 또는 곤동(混飩일본어, 얇은 밀가루 피에 고기소를 넣어 찌거나 끓이는 음식)에서 음훈을 따 운동(温飩일본어)이라 불리다가, 점차 오늘날의 표기인 우동(うどん)으로 변화한 것이라 전해진다.

일본의 우동 문화는 역사적으로 메밀국수(소바키리)보다 더 오래되었다. 밀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로 여겨지며, 밀은 벼농사가 어려운 지역에서 재배되며 발전하였다. "문전 소바"와 마찬가지로, 참배객 등을 위한 "문전 우동"으로서 오래된 역사를 가진 사찰과 관련된 문화적인 우동이 각지에 존재한다(가스 우동, 요시다 우동, 이세 우동 등).

3. 역사

아오키 마사루(青木正児)의 『혼돈(饂飩)의 역사(饂飩の歴史)』에 따르면, 우동(饂飩)은 헤이안 시대(794~1185)에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혼둔 또는 곤동(混飩, 얇은 밀가루 피에 고기소를 넣어 찌거나 끓이는 음식)에서 음훈을 따 운동(温飩)이라 불리다가, 점차 오늘날의 표기인 우동(うどん)으로 변화한 것이라 전해진다.[29]

우동의 발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확실하지 않지만, 시대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나라 시대에 遣唐使에 의해 당나라에서 전래된 밀가루 앙금이 들어간 경단 과자인 "'''훈둔'''(混沌)"에 기원을 찾는 설.
  • 아오키 마사지의 『우동의 역사』에 따르면, 완탕에 해당하는 중국어는 "餛飩(컨톤; 중국어 발음은 hún tún)"이라고 쓰며, 또한 이것을 "餫飩(운톤, 컨톤)"이라고도 쓰는데, 이것이 같은 발음의 "溫飩(운톤; 중국의 발음은 wēn tún)"이라는 표기가 되고, 이것이 "饂飩(우동; 중국어 발음은 yún tún)"이 되었다고 하는 설.
  • 헤이안 시대에 遣唐使로 당나라에 건너간 쿠카이가 우동을 시코쿠에 전해 사누키 우동이 탄생했다는 전설.
  • 헤이안 시대 989년, 이치조 천황이 카스가타이샤에 참배했을 때 "박탁"(현대에는 호토우라고 읽지만 '''하쿠타쿠'''라고 읽는다. 신젠으로 봉납되었다)를 먹었다는 『소우키』의 기록에서 발상은 나라라고 하는 설.[25][26][27]
  • 닌지 2년(1241년)에 송에서 귀국한 엔니(성일국사)가 제분 기술을 가지고 돌아와 우동, 메밀국수, 만두 등의 분식 문화를 널리 전파했다는 설. 죠텐지(후쿠오카시, 엔니 건립) 경내에는 "우동 메밀국수 발상의 지"라고 적힌 비석이 서 있다.[28]
  • 남북조 시대 말기의 『정훈왕래』나 『절용집』 등에 "우동", "우톤"이라는 단어가 나타난다. 에도 시대에는 "우동"과 "운동"이라는 단어가 병존했고, 우키요에에 그려진 간판 등에 "운톤"이라고 쓰여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메이지 초기의 사전 『언해』에는 "우동은 운동의 약자"라고 기록되어 있다.
  • 무로마치 시대에 기록된 『척소왕래』에 "소면은 열탕, 끊어진 밀은 냉수에 씻는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끊어진 밀이 전신이라고 생각하는 설도 있지만, 그 두께가 더 가늘고 차갑게 먹었던 것으로부터 냉면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끊어진 밀을 따뜻하게 해서 먹는 "온밀"과 차갑게 해서 먹는 "냉밀"은 총칭하여 '''우동'''이라고 불렸다.[30]


어쨌든 에도 시대 전기에는 현대의 형태의 것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널리 먹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1940년 9월, 식당 등에서 제공되는 우동에 공정가격이 설정되었다. 65문 이상의 양으로 한 그릇 10전[32]이었다. 이후, 맛의 좋고 나쁨은 관계없이 10전에 팔리게 되었기 때문에, 재료 조달난과 맞물려 우동의 질 저하가 진행되었다.

4. 종류

우동은 뜨거운 물에 삶아 만들며, 제공 방식은 우동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보통 여름에는 차갑게, 겨울에는 뜨겁게 먹는다. 에도 시대에는 두꺼운 밀가루 면을 우동이라 불렀고, 뜨거운 국물에 담가 먹는 것은 누루무기(温麦), 얇고 차가운 면은 히야무기(冷麦)라고 불렀다.

차가운 우동은 계란말이, 닭고기, 오이, 무와 같은 신선한 채소와 섞어 샐러드처럼 먹기도 한다. 우동 국물의 고명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며, 대부분 조리 없이 추가하지만 튀김을 넣기도 한다.

템푸라 우동


키츠네 우동


카레 우동


모리 우동


우동은 쌀밥과 같이 주식이자 경사스러운 일에 대접되는 축제 음식으로, 예로부터 일본 전국에서 먹어 왔다.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재료가 다르다. 면을 삶을 때는 냄비에 걸 수 있는 깊은 체 모양의 "테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동을 담는 그릇으로는 뚝배기, 접시, 체, 냄비 외에 통, 대야 등도 사용된다.

우동은 전문점 외에도 메밀국수와 함께 파는 가게나 외식 체인점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슈퍼마켓 등에서 건면, 삶은 면, 생면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며, 컵라면으로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 가격대도 다양하다. 자판기에서도 따뜻한 우동을 판매하기도 한다.[24]

우동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 가케우동(かけうどん) (관동 지방) 또는 스우동(すうどん) (간사이 지방): 얇게 썬 어묵 조각을 고명으로 올린 국물 우동이다.
  • 가마아게우동(釜揚げうどん): 뜨거운 물이 담긴 냄비에 담겨 나오며, 따뜻한 다시 스키야키 소스에 찍어 먹는다.
  • 카레우동(カレーうどん): 카레 국물에 고기나 채소를 넣어 끓인 우동이다. 비에이 지역의 카레 우동이 유명하다.[3]
  • 키츠네우동(きつねうどん): 달콤하게 조린 유부(아부라아게)를 올린 우동으로, 오사카에서 유래했다.[4]
  • 나베야키우동(鍋焼きうどん): 해산물채소나베(냄비)에 끓여 만든 우동 전골이다. 새우튀김, 버섯, 달걀 등이 주로 들어간다.
  • 다누키우동(たぬきうどん) (관동 지방) 또는 하이카라우동(はいからうどん) (간사이 지방):[4] 튀김 반죽 조각(텐카스)을 올린 우동이다.
  • 템푸라우동(天ぷらうどん): 새우튀김이나 가키아게(모둠 튀김)를 올린 우동이다.
  • 츠키미우동(月見うどん): 뜨거운 국물에 날달걀을 올려 익힌 우동이다.
  • 와카메우동(わかめうどん): 미역을 올린 우동이다.
  • 야키우동(焼うどん): 간장 기반 소스로 볶은 우동으로, 야키소바와 비슷하게 조리된다. 기타큐슈에서 유래했다.
  • 부카케우동(ぶっかけうどん): 진한 다시 국물에 차갑게 제공되는 우동이다.[5]
  • 자루우동(ざるうどん): 차갑게 식힌 우동 면에 잘게 썬 을 얹고, 대나무 에 담아 제공된다. 차가운 소스에 찍어 먹으며, 와사비나 간 생강과 함께 먹는다.
  • 치카라 우동(力うどん): 구운 찹쌀떡(모찌)을 올린 우동이다.
  • 고보텐 우동(ごぼ天うどん): 튀긴 우엉 채를 넣은 우동이다.
  • 마루텐 우동(丸天うどん): 튀긴 큰 어묵을 올린 우동이다.
  • 오보로 우동(おぼろうどん): 다시마 조각을 넣은 우동이다.
  • 오야코 우동(親子うどん): 닭고기달걀, 얇게 썬 양파를 넣고 단맛이 나는 다시 국물에 끓인 우동이다.
  • 산사이 우동(山菜うどん): 산채를 넣은 우동이다.
  • 스태미나 우동(スタミナうどん): 고기, 날달걀,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넣은 우동이다.

4. 1. 면의 상태에 따른 분류

일본 농림 규격(JAS)의 '건면류 품질 표시 기준'에 따르면, 건면 우동은 밀가루에 소금과 물을 섞어 반죽한 후 띠 모양으로 가늘게 썰어 건조시킨 것으로, 장경(長徑)이 1.7mm 이상인 것을 말한다.[37] 장경이 1.3mm 이상 1.7mm 미만인 것은 '소면'의 기준에도 해당하지만, '가는 우동'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37] 손으로 뽑은 우동은 밀가루에 소금과 물을 섞어 반죽한 후 전분이나 식용유 등을 바르고 늘여서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법으로, 장경 1.7mm 이상의 둥근 막대 모양 또는 띠 모양으로 성형하며, '손으로 뽑은 건면의 일본농림규격'의 상세 내용을 충족해야 한다.

생면·삶은 면 등(반생·냉동면 포함)은 제면법에 관계없이 '생면류의 표시에 관한 공정경쟁규약'에 따라 '우동'으로 규정되는데,[39] 이 규약상 '소면'도 포함되어 좁은 의미에서는 '생면·삶은 면 타입은 우동만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에게 오인되지 않는 명칭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소면' 명칭을 사용하는 것도 인정된다.[40]

과거에는 제법의 차이 등으로 '가는 우동'과 '소면'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지만, 현재는 기준·규약에 따라 취급 업체에 일임되어 있어 건면·생면 등에서 모호한 부분이 있다.

  • '''삶은 우동(유데우동)''': 생우동을 제면 후 뜨거운 물에 삶아 면의 숙성을 멈추고 1인분씩 나누어 만든 것이다. 둥글게 뭉쳐놓았기 때문에 "다마(玉)"라고도 한다.[43] 슈퍼나 편의점 등에서도 판매되며, 쫄깃함은 쉽게 잃기 쉽지만 비교적 저렴하다. 컵이나 봉지에 든 인스턴트 제품에는 삶은 후 식초나 에틸알코올을 방부제로 뿌리고 진공포장한 제품도 있다.
  • '''생우동''': 제면 후 그대로, 또는 표면에 밀가루를 뿌려 포장한 것이다. 맛이 뛰어나지만, 면의 숙성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장기 보관에는 적합하지 않다. 숙성이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산소흡수제와 함께 포장하기도 한다.
  • '''반생우동''': 먹기 직전에 뜨거운 물에 삶아 면을 건진 후 찬물에 헹구어 제공하는 것이 정통이다. 밀의 전용 품종 재배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소흡수제와 함께 포장하는 경우가 많다.
  • '''건면 우동''': 일반적으로 '건면'이라고 불리는 상태로, 가는 우동에 많다. 제면 후 건조시켜 20cm 내외의 막대 모양으로 정리하여 보관하기 쉽게 만든 것이다.
  • '''냉동 우동''': 뜨거운 물에 삶은 직후 급속 냉동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류를 얼리면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냉동 우동에는 전분이 결합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유부면(후라이면) 등 인스턴트 면''': 컵이나 봉지에 든 인스턴트 제품에는 기름에 튀기거나 동결건조 또는 삶은 후 열풍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고 있다.


우동의 '''코시'''(コシ)는 부드러우면서도 탄력 있는 상태, 즉 신장도(伸長度)를 의미한다.[44] 씹었을 때 탄력 있는 것이 코시이며, 사누키 우동(讃岐うどん)의 경우 5cm의 우동을 잡아당겨 8.5cm 이상 끊어지지 않고 늘어나는 상태를 코시가 있다고 한다. 식품가공학 연구자 미키 에이조(가가와 대학(香川大学) 명예교수)는 코시를 "탄력성과 점성이 모두 있는 상태"라고 정의하며, 밀가루의 단백질글루테닌글리아딘이 얽혀 글루텐의 그물 구조를 형성하여 코시를 만들어낸다고 분석한다.[45] 이나니와 우동(稲庭うどん)처럼 강한 코시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지만, 간사이(関西)나 큐슈(九州) 등 코시가 강하지 않은 것을 선호하는 지역 및 사람들도 많다.

4. 2. 제법에 따른 분류

일반적으로 우동은 밀가루에 2%~6% 정도의 소금을 넣은 반죽으로 만든다. 이는 밀가루의 글루텐을 조이고 반죽의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반죽에 들어간 소금의 90% 정도는 면을 삶는 과정에서 빠져나간다. 극히 드물지만, 소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만드는 우동도 있다.[35]

밀가루 외의 탄수화물로 만든 우동도 있다. 홋카이도 쿠치야노정·류스토무라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식량 부족 시대에 감자를 원료로 한 전분 우동을 재현하여 제공하고 있다.[35] 쌀가루로 만든 우동 모양의 면은 라이스누들을 참조한다.

일본의 전통 요리이지만, 현대에는 사용되는 밀의 절반 이상이 오스트레일리아산 스탠다드 화이트(ASW)이다. 낮은 아밀로스 함량과 쫄깃한 식감을 가진 우동용 밀도 일본 국내에서 개발 및 재배되고 있는데, 「きたほなみ|키타호나미일본어」, 「あやひかり|아야히카리일본어」, 「きぬあかり|키누아카리일본어」가 대표적인 품종이다.[36]

건면의 경우, 일본농림규격의 「건면류 품질표시기준[37]」에 따라, 밀가루에 소금과 물을 섞어 반죽한 후 띠 모양으로 가늘게 썰어 건조시키는 제법으로 기계를 이용해 제조한 것은 기계면으로 분류되며, 면의 굵기(장경[38])가 1.7mm 이상인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면의 굵기가 1.3mm 이상 1.7mm 미만인 것은 「소면」의 기준이기도 하지만, 이를 충족하는 경우 「가는 우동」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37] 손으로 뽑은 우동의 경우, 밀가루에 소금과 물을 섞어 잘 반죽한 후, 전분이나 식용유 또는 밀가루를 바르고 늘이면서 건조, 숙성시키는 제법으로 면의 굵기 1.7mm 이상의 둥근 막대 모양 또는 띠 모양으로 성형하며, 『손으로 뽑은 건면의 일본농림규격』의 상세 내용을 충족하는 것이 해당한다.

생면·삶은 면 등(반생·냉동면 포함)은 제면법에 관계없이 「생면류의 표시에 관한 공정경쟁규약[39]」에서 「이 규약에서 ‘우동’이란 넓적한 면, 소면, 소면 등 명칭에 관계없이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한 후 제면한 것 또는 제면 후 가공한 것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 규약상 「소면(일본요리)|소면」도 포함되어 좁은 의미에서는 「생면·삶은 면 타입은 우동만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항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오인되지 않는 명칭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에 따라 「소면(일본요리)|소면」의 명칭을 사용하는 것도 인정되고 있다.[40]

과거에는 제법의 차이(면봉이나 기계로 반죽을 늘려 자르는지, 가늘게 말린 반죽을 늘이는지 등), 사회적 통념상으로도 가는 면인 「가는 우동」과 「소면」은 명확하게 구분되었지만, 현재는 「우동(가는 우동)」과 「소면」의 명칭 구분은 기준·규약에 따라 취급 업체에 일임되어 있으므로, 건면·생면 등에서 모호한 부분이 있다.

일반적인 제법에는 '''손으로 치는 방식'''과 '''손으로 늘이는 방식'''이 있다. 제면기로 제조하는 것도 이 두 가지 제법 중 하나이거나, 모든 공정을 기계로 하는 것이다.[42]

; 손으로 치는 우동

: 밀가루(일반적으로 중력분)를 물과 소금으로 반죽하여 반죽한 후 일정 기간 숙성시킨 다음, 잘 밟아 밀대로 납작하게 펼친 후 마지막으로 칼로 썬 것. 잘 밟음으로써 글루텐이 발달하여 쫄깃한 것이 특징이다. 칼로 자르기 때문에 단면은 사각형이다. 산지에 따라 소금을 넣지 않는 것도 있다. 일부 또는 모든 공정을 기계로 할 수 있으며, 기계로 한 것은 「손으로 친 듯한 우동」이라고 한다.

; 손으로 늘이는 우동

: 밀가루(박력분이 많음)를 물과 소금으로 반죽하여 반죽한 후 일정 기간 숙성시키고, 숙성시킨 반죽을 두 개의 막대기 양쪽 끝에 걸어 여러 번 늘인 것. 늘일 때 기름을 바르는 경우도 있다. 가늘고 목넘김이 좋은 면이 특징이다. 늘이는 과정에서 부러지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쫄깃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늘여서 만들기 때문에 단면은 원형이다. 반죽에는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늘이는 작업은 대부분 수작업이다. 이 제법으로 만들어지는 우동으로는 이나니와 우동( 아키타현), 고토 우동( 나가사키현), 비젠 우동( 오카야마현)이 대표적인 예이다.

4. 3. 조리 방법 및 먹는 방식에 따른 분류

우동은 조리 방법과 먹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기본적으로 면을 뜨거운 물에 삶아 조리하며, 이후에 추가되는 재료나 국물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46]

  • 가케 우동(かけうどん) (관동 지방) 또는 스 우동(すうどん) (간사이 지방): 얇게 썬 파와 어묵 등을 고명으로 올린 국물 우동이다.
  • 가마아게 우동(釜揚げうどん): 뜨거운 물이 담긴 냄비에 담겨 나오며, 따뜻한 다시 스키야키 소스에 찍어 먹는다.
  • 카레 난반(カレー南蛮) 또는 카레 우동(カレーうどん): 고기나 채소가 들어갈 수 있는 매운 카레 국물에 나오는 우동이다. 비에이 지역의 카레 우동이 유명하다.[3]
  • 키츠네 우동(きつねうどん): 달콤한 튀긴 두부인 아부라아게를 올린 우동으로, 오사카에서 유래했다.[4]
  • 나베야키 우동(鍋焼きうどん): 해산물채소나베(냄비)에 끓여 만든 우동 전골이다. 튀김 새우, 버섯, 달걀 등이 주로 들어간다.
  • 다누키 우동(たぬきうどん) (관동 지방) 또는 하이카라 우동(はいからうどん) (간사이 지방):[4] 튀김 반죽 조각인 텐카스를 올린 우동이다.
  • 템푸라 우동(天ぷらうどん): 새우 튀김이나 가키아게(모둠 튀김) 등을 올린 우동이다.
  • 츠키미 우동(月見うどん): 뜨거운 국물에 날달걀을 올려 익힌 우동이다.
  • 와카메 우동(わかめうどん): 미역을 올린 우동이다.
  • 야키 우동(焼きうどん): 간장 기반 소스로 볶은 우동으로, 야키소바와 비슷하게 조리된다. 기타큐슈에서 유래했다.
  • 부카케 우동(ぶっかけうどん): 진한 다시 국물에 차갑게 제공되는 우동이다.[5]
  • 자루 우동(ざるうどん): 차갑게 식힌 우동 면에 잘게 썬 을 얹고, 대나무 접시에 담아 제공된다. 차가운 소스에 찍어 먹으며, 와사비나 간 생강과 함께 먹는다.


자루우동


가케우동


츠케지루우동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우동이 있으며, 지역이나 가게에 따라 특색 있는 우동을 맛볼 수 있다.

4. 4. 고명에 따른 분류

우동의 고명은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는데, 대부분 조리 없이 추가되지만 튀김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4] 이러한 고명들은 소바에도 사용될 수 있다.

  • 힘 우동
    치카라 우동(力うどん): 구운 찹쌀떡(모찌)을 올린 우동이다.
  • 고보텐 우동(ごぼ天うどん): 튀긴 우엉 채를 넣은 우동이다.
  • 하이카라 우동(はいからうどん): 튀김 부스러기(텐카스)를 올린 우동으로, 간사이 지방에서 주로 쓰이는 명칭이다. 타누키 우동을 참조.
  • 카케 우동(かけうどん): 얇게 썬 어묵 조각을 고명으로 올린 국물 우동으로, 간토 지방에서 주로 쓰이는 명칭이다. 간사이 지방에서는 스 우동(素うどん)이라고 부른다.
  • 카마아게 우동(釜揚げうどん): 뜨거운 물이 담긴 냄비에 면을 담아 제공하며, 따뜻한 다시 스키야키 소스에 찍어 먹는다.
  • 카레 난반(カレー南蛮) 또는 카레 우동(カレーうどん): 카레 국물에 고기나 채소를 넣어 끓인 우동이다. 홋카이도 비에이 지역의 카레 우동이 유명하다.[3]
  • 키츠네 우동(きつねうどん): 달콤하게 조린 유부를 올린 우동이다. 오사카에서 유래되었으며, 여우(키츠네)가 유부를 좋아한다는 속설이 있다.[4]
  • 마루텐 우동(丸天うどん): 튀긴 큰 어묵을 올린 우동이다.
  • 나베야키 우동(鍋焼きうどん): 나베(냄비)에 해산물과 채소를 넣고 끓인 우동 전골이다. 새우튀김, 버섯, 달걀 등이 주로 들어간다.
  • 오보로 우동(おぼろうどん): 다시마 조각을 넣은 우동이다.
  • 오야코 우동(親子うどん): 닭고기달걀, 얇게 썬 양파를 넣고 단맛이 나는 다시 국물에 끓인 우동이다.
  • 산사이 우동(山菜うどん): 산채를 넣은 우동이다.
  • 스태미나 우동(スタミナうどん): 고기, 날달걀,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넣은 우동이다.
  • 타누키 우동(たぬきうどん): 튀김 부스러기(텐카스)를 올린 우동으로, 간토 지방에서 주로 쓰이는 명칭이다.[4] 간사이 지방에서는 하이카라 우동이라고 부른다.[4]
  • 템푸라 우동(天ぷらうどん): 새우튀김이나 가키아게(모둠 튀김)를 올린 우동이다.
  • 츠키미 우동(月見うどん): 뜨거운 국물에 날달걀을 넣어 익힌 우동이다.
  • 와카메 우동(わかめうどん): 미역을 올린 우동이다.
  • 야키 우동(焼うどん): 간장 소스에 볶은 우동으로, 야키소바와 비슷하게 조리된다.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에서 유래되었다.
  • 키자미 우동
    키자미 우동(きざみうどん): 가늘게 썬 유부를 올린 우동이다.
  • 토로로우동: 산약 등을 갈아 넣은 우동이다.
  • 타마고토지우동(玉子とじうどん): 반숙 계란으로 덮은 우동이다.
  • 카모난반(鴨南蛮): 오리고기를 넣은 우동이다.
  • 니쿠우동
    니쿠우동(肉うどん):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달콤 짭짤하게 조려 올린 우동이다.
  • 가약(加薬)우동: 여러가지 재료를 넣은 우동이다.
  • 시포쿠우동: 간장, 설탕 등으로 맛을 낸 국물에 여러가지 재료를 넣어 끓인 우동이다.
  • 앙카케우동(あんかけうどん): 걸쭉한 녹말 앙을 얹은 우동이다.
  • 오다마키우동
    오다마키우동(おだまきうどん): 차완무시에 우동을 넣은 음식이다.

4. 5. 기타


  • 나베야키우동: 뚝배기를 사용한 겨울 우동 요리이다. 튀김, 계란, 어묵, 닭고기, 야채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미소니코미우동: 국물이 된장으로 만들어지며, 뚝배기 등에 넣고 끓인 요리이다. 된장을 사용한 것은 아이치현의 향토 요리로 여겨진다. 그 외에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 특유의 된장을 사용한 것이 제공되며, '''시골식 니코미우동''', '''시골풍 미소니코미우동'''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히메지 찬폰야키(うまいもん横丁)

  • 야키우동: 야키소바와 비슷한 요리이다. 간장이나 된장, 우스터 소스 등으로 간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건면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
  • 찬폰야키: 히메지시에서 유래한 향토 음식으로 야키우동야키소바가 섞인 것이다.[54] 굵기가 다른 이 어우러진 식감은 신감각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여러 번 소개되었다.[55]
  • 우동스키: 오뎅탕과 비슷한 요리이지만, 면이 주재료이다. 킨키 지방에서 자주 먹는다.
  • 튀김 우동: 튀김 소바처럼 튀긴 것으로, 맥주 안주나 스낵 과자로 먹는 경우가 많다.
  • 샐러드: 야채와 함께 드레싱을 뿌려 샐러드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사라우동은 이름에 "우동"이라는 단어가 있지만, 우동을 사용하지 않는 면 요리이다.

메밀국수를 제공하는 매장에서는 면을 가공하거나 삶는 과정에서 메밀가루가 묻을 가능성이 있으며, 메밀 알레르기 항원을 섭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러한 내용의 주의 표시를 게시하는 매장도 있다(메밀 알레르기 참조).

5. 지역별 우동

우동은 면의 두께와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오이타현의 団子汁|당고지루|단고지루일본어호토와 비슷하며, "경단 수프"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두껍고 납작한 우동과 유사하다. 고토 열도의 五島うどん|고토 우동|고토 우동일본어은 가늘고 단단하며, 면에 동백기름이 코팅되어 있다.[6] 홋카이도 구찬의 豪雪うどん|고세쓰 우동|고세쓰 우동일본어은 감자 전분으로 만들어져 쫄깃하고 반투명하며, "폭설 우동"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7] 후쿠오카의 博多うどん|하카타 우동|하카타 우동일본어은 두껍고 부드럽다. 군마현 기류의 ひもかわ|히모카와|히모카와일본어는 매우 납작하고 넓다.

갓꽃나물과 어묵이 들어간 한국식 우동


한국에서는 일본식 우동뿐만 아니라 분식점이나 포장마차에서 판매되는 한국식 우동도 흔히 볼 수 있다. 두 종류 모두 '우동'(우동한국어)이라고 불리며, 이는 일본어 '우동'(うどん)에서 유래했다.[9] 한국에서 '우동'은 면 요리를, '우동면'(우동면한국어)은 면 자체를 가리키며, 가락국수(가락국수한국어)의 일종으로 여겨진다.[9] 한국식 우동에는 갓꽃나물과 어묵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일본식 우동에서는 흔하지 않은 재료이다.

팔라우에는 일본 통치 시대의 영향으로 '우동(udong)'이라는 음식이 있으며, 간장 베이스 국물을 사용하지만 오키나와 소바처럼 국물이 적다. 면은 스파게티를 사용한다.[11]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여러 언어에도 일본 우동에서 유래한 wutongchk,[12] udongpon, utongkos, [13]과 같은 단어가 존재한다.

필리핀의 odongceb 또는 udongceb은 다바오 지역과 비스야스 제도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일본 우동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현대에는 거의 유사점이 없다. 오동은 중국식 밀가루 면으로, 노란색을 띠고 두꺼우며, 통조림 정어리와 토마토 소스를 넣어 만든 요리가 대표적이다.

5. 1. 일본

일본에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우동이 발달해 왔다.

지역우동 이름특징
고토 열도고토 우동가늘고 단단하며, 면에 동백기름을 발라 독특한 풍미를 낸다.[6]
홋카이도 구찬고세쓰 우동감자 전분을 사용하여 쫄깃하고 반투명하다.[7]
후쿠오카하카타 우동두껍고 부드럽다.
군마현 기류히모카와매우 납작하고 넓은 면이다.
야마나시현호토넓적한 면과 채소를 된장국에 넣어 끓인다. 면 반죽에 소금을 넣지 않는다.
아키타현이나니와 우동가는 면이다.
미에현 이세이세 우동부드러운 면을 단맛이 나는 간장에 비벼 먹는다.
간사이 지방부드럽고 중간 두께의 우동이 인기 있다.
나고야키시멘물결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 납작한 면이다.[8]
도치기현 구즈미미 우동귀 모양을 닮아 행운을 가져다주는 음식으로 여겨진다.
나고야미소니코미 우동붉은 된장 국물에 닭고기, 날달걀, 채소 등을 넣어 끓인다. 면은 매우 단단하며 소금을 넣지 않는다.
사이타마현 카즈카즈 우동수작업으로 반죽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사이타마현 후카야후카야 니보토호토의 일종으로, 후카야 쪽파를 많이 넣어 끓인다.
사이타마현 코노스코노스 가와하바 우동폭이 8cm나 되는 넓은 면이다.
사이타마현 니이자니이자 닌진 우동당근을 넣어 반죽하여 주황색을 띤다.
가가와현사누키 우동두껍고 다소 단단한 면이다.
나가사키현사라 우동가는 면을 튀겨 여러 가지 토핑과 함께 제공한다.



나고야 역의 키시멘


일본의 우동 문화는 메밀국수(소바)보다 역사가 오래되었다.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가 원산지로 여겨지는 밀은 벼농사가 어려운 지역에서 재배되며 발전하였다. 사찰과 관련된 "문전 우동" 문화도 각지에 존재한다.

간사이 지방에서는 우동이 선호되지만, 관동 지방에서는 메밀국수가 더 선호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일본메밀국수, 서일본은 우동"이라는 구분은 명확한 근거가 없으며, 실제로는 관동 지방에도 무사시노 우동, 미즈사와 우동 등 다양한 우동 전문점이 많다.[33] 2004년 우동 생산량은 가가와현에 이어 사이타마현이 2위를 차지했으며, 군마현도 5위 안에 들었다.

킨키 지방에서도 메밀국수가 일찍부터 먹혔지만, 교토메밀 재배가 성행하여 니신소바와 같은 메밀 요리가 발달했다. 사누키국(현재의 가가와현)을 제외한 서일본 지역에서는 부드러운 면이 선호되며, 간사이 지방에서는 국물 요리의 감각으로 우동을 즐긴다.[34]

"일본 3대 우동"이라는 명칭이 있지만, 이는 각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부르는 것일 뿐 특정 기관이 인정한 것은 아니다. 사누키 우동, 이나니와 우동, 고토 우동, 미즈사와 우동, 히미 우동, 키시멘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현대 일본에서 사용되는 우동용 밀의 절반 이상은 오스트레일리아산이다. 그러나 낮은 아밀로스 함량과 쫄깃한 식감을 가진 우동용 밀 품종도 일본에서 개발 및 재배되고 있다.[36]

5. 2. 한국

한국에서는 일식 우동뿐만 아니라 분식점이나 포장마차에서 파는 한국식 우동도 인기가 있다. 두 가지 우동 모두 한국에서 우동으로 불리며, 우동이라는 명칭 역시 일본어 우동(うどん)에서 왔다.[9] 한국에서 우동이라는 단어는 우동 면으로 만든 국수 요리를 일반적으로 의미하며, 가락국수라는 명칭으로도 자주 불린다.[9]

정통 일본식 우동 요리는 수많은 일식당에서 제공되는 반면, 한국식 우동 국수는 분식집과 포장마차에서 제공된다. 두 가지 유형 모두 일본어 '우동'(うどん)의 음차인 '우동'(우동한국어)이라고 불린다.[9] 한국에서 '우동'은 국수 요리를 가리키는 반면, 국수 자체는 '우동면'(우동면한국어; "우동 국수")이라고 불리며, 가락국수(가락국수한국어; "굵은 국수")의 한 종류로 간주된다.[9] 우동 국수의 일반적인 재료로는 갓꽃나물과 어묵이 있는데, 이 두 재료는 일본식 우동 요리에서는 그다지 흔하지 않다.

5. 3. 기타 국가

팔라우에는 일본의 지배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동(udong)'이라는 음식이 있다.[10] 국물은 일본 우동처럼 간장을 베이스로 하지만, 오키나와 출신 이민자가 많았던 영향으로 오키나와 소바처럼 국물이 적게 들어간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면이 스파게티[11]라는 것이다. 팔라우에서는 스파게티를 구하기가 더 쉬웠기 때문이다.

인근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들에도 일본 우동에서 유래한 유사한 외래어가 있다. 축크어: wutongchk,[12] 폰페이어: udongpon, 코스라에어: utongkos, 그리고 야프어: .[13]

odongceb 또는 udongceb필리핀 다바오 지역과 비스야스 제도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일본의 우동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여겨지나, 현대에는 유사점이 없다. 오동(Odong)은 중국식 밀가루 면으로, 노란색을 띠고 두껍다. 대표적인 오동 요리는 통조림 정어리와 토마토 소스를 넣어 만든다.

홍콩에서는 「烏冬麵중국어」이라고 쓰고 광동어로 「우동민(烏冬麵)」이라고 발음한다.

대만에서는 烏龍麵중국어 또는 烏龍湯麵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 친숙하다.

베트남의 호이안에는 「까오러우」(Cao lầu)라는 밀가루를 원료로 하는 굵은 면 요리가 있으며, 17세기 전반의 주인선무역 시대의 이세 상인이 가져온 이세 우동을 기원으로 한다는 설이 있다.

하와이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초기까지 많은 일본인 이민자들의 정착지가 되었으며, 사이민이라는 면 요리가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14 types of instant udon (in Japanese) https://osusume.myna[...]
[2] 뉴스 Nanban dishes are fit for a barbarian https://www.japantim[...] 2019-01-16
[3] 웹사이트 Biei carry udon official website http://www.bieicurry[...] 2023-10-09
[4] 웹사이트 A comforting udon noodle recipe for the winter season https://www.japantim[...] 2021-01-27
[5] 웹사이트 Make a splash with bukkake udon (Japanese cold noodles with broth) http://www.seriousea[...] 2017-01-27
[6] 웹사이트 (TV program ''Umai!'') Smooth! Gotō udon https://www.nhk.or.j[...] NHK 2023-09-22
[7] 웹사이트 豪雪うどん うどん ミュージアム 【うどん 博物館】 http://udon.mu/gouse[...] 2018-04-25
[8] 뉴스 Kishiya: Nagoya's flatter noodles boast a local flavor https://www.japantim[...] 2023-01-05
[9] 웹사이트 udong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3-15
[10] 논문 The Changes in the Use of Japanese Loanwords in Palauan https://www.jstage.j[...]
[11] 웹사이트 (TV show) What sightseeing organizers recommend – Palau (aired on November 24th, 2012) https://www.tv-tokyo[...] 2021-07-12
[12] 논문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oanword Vocabulary in Micronesian Languages (The Remnants of Japanese in Micronesia) https://ir.library.o[...]
[13] 웹사이트 qudoong https://www.trussel2[...] 2021-07-12
[14] 웹사이트 US, Japan linguistic legacies https://issuu.com/ed[...] Edge Davao 2021-07-12
[15] 웹사이트 26 top Filipino iconic dishes http://www.philstar.[...]
[16] 웹사이트 Definition of authentic ''Okinawa soba'' https://www.oki-soba[...] 2021-07-12
[17] 웹사이트 For the love of Ligo sardines https://edgedavao.ne[...] 2021-07-12
[18] 웹사이트 Manila craves for Davao cuisine http://archives.pia.[...]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2021-07-12
[19] 서적 Davao: A Case Study in Japanese-Philippine Relations https://kuscholarwor[...] University of Kansas, Center for East Asian Studies
[20] 논문 Rethinking Okinawan Diasporas in 'Davaokuo'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Relations with Mainland Japanese and Filipino Residents of Davao, the Philippines http://ir.lib.u-ryuk[...] Center for migration studies, University of the Ryukyus (琉球大学移民研究センター) 2006-03-01
[21] 웹사이트 UDON - 作品 - Yahoo!映画 https://movies.yahoo[...]
[22] 백과사전 饂 삼성당
[23] 웹사이트 食品自動販売機:自動販売機 http://www.jbinc.co.[...] Japan Beverage Holdings 2017-01-12
[24] 뉴스 熱々うどんの自販機、どんな仕組み?機械の内部を拝見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17-01-12
[25] 뉴스 うどん発祥の地に名乗り 13日に奈良でイベント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20-05-XX
[26] 뉴스 麺のルーツを味わう - 奈良公園で索餅まつり https://www.nara-np.[...] 나라 신문 2020-05-18
[27] 뉴스 古代人が食べていた!?うどん再現 奈良公園のイベントで披露 https://web.archive.[...] 산케이 신문 2020-05-XX
[28] 웹사이트 うどん・そばも饅頭も 発祥の地博多 http://hakatanomiryo[...] 2020-05-18
[29] 뉴스 うどんのルーツに新説 https://www.shikoku-[...] 시코쿠 신문 2020-05-XX
[30] 기타
[31] 서적 たべもの噺 평범사
[32] 서적 昭和ニュース辞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 매일 커뮤니케이션즈
[33] 웹사이트 【沿線おでかけリポート】第12回 伝統を味わう武蔵野うどん http://www.jreast.co[...] JR동일본 하치오지 지사 2020-05-18
[34] 기타
[35] 뉴스 【継ぐメシ!つなぎたい郷土食】でんぷんうどん(北海道俱知安町・留寿都村)戦時の農家料理復活 일본농업신문 2021-08-07
[36] 뉴스 【論説】うどん用小麦/地場の個性 広域流通を https://www.agrinews[...] 日本農業新聞 2020-07-08
[37] PDF 乾めん類品質表示基準 http://www.caa.go.jp[...]
[38] 텍스트
[39] PDF 生めん類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 http://www.jfftc.org[...]
[40] PDF 生めん類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 http://www.jfftc.org[...]
[41] 서적 軍隊調理法
[42] 서적 うどん大全 旭屋出版 2006
[43] 텍스트
[44] 서적 うどん大全 旭屋出版 2006
[45] 뉴스 【探る】うどんのコシ こねて強く/二つのたんぱく質絡み合う 読売新聞 2018-03-15
[46] 웹사이트 うどんは釜揚げがもっともおいしい http://www.hokuto-ko[...]
[47] 웹사이트 丸天うどん http://udon.mu/marut[...] 2017-01-12
[48] 웹사이트 しっぽく http://www.nichimen.[...]
[49] 텍스트
[50] 서적 名古屋メン リベラル社 2012-06-03
[51] 뉴스 カレーはいかにして国民食になりしか 日本に広まったルーツ極める https://publications[...] アエラ 1999-10-04
[52] 웹사이트 カレー産業 https://www5a.biglob[...] 2020-05-24
[53] 뉴스 小倉発祥の味博多に浸透中 どきどきうどん 出店相次ぐ 店ごとに個性「癖になる」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09-06-17
[54] 웹사이트 姫路名物グルメ8.焼きそばと焼きうどんが合体!ちゃんぽん焼き http://bjtp.tokyo/hi[...] 2020-05-18
[55] 웹사이트 ㈱八角 - うまいもん横丁のちゃんぽん焼きが「関ジャニ∞横山君が選ぶ最も食べたいご当地うどん」に。 http://hakkaku88.co.[...]
[56] 웹사이트 うどんの百科事典 日本中の「ご当地 うどん」が大集合! http://udon.mu/ 2020-05-18
[57] 텍스트
[58] 웹사이트 研究プロジェクト「うどん文化の活性化」 http://www2.toyo.ac.[...]
[59] 웹사이트 麺のまち「うどんの里館林」振興会 http://www.ftnet.or.[...]
[60] 웹사이트 「食」によるまちおこし事例研究 http://www.city.hach[...]
[61] 웹사이트 うどん辞典:全国ご当地うどん<前編>(金トビ志賀) http://www.kintobi.c[...]
[62] 뉴스 読売新聞栃木版 2017-04-30
[63] 웹사이트 小山でうどんを食べよう! https://www.city.oya[...] 2021-10-15
[64] 웹사이트 うどん「冷汁うどん」 https://web.archive.[...]
[65] 웹사이트 武蔵村山のうどん解説 http://murayamaudon.[...]
[66] 웹사이트 煮ぼうとう http://www.fukaya-ta[...]
[67] 웹사이트 「ほうとう」と「煮ぼうとう」うまい方を本家とする http://www.shinyoshi[...]
[68] 텍스트
[69] 서적 ホウトウ 山梨県史民俗編
[70] 텍스트
[71] 웹사이트 氷見うどん高岡屋本舗 http://www.himiudon-[...]
[72] 서적 被差別の食卓 https://www.shinchos[...] 新潮社 2005-06
[73] 웹사이트 ぶっかけうどん物語 http://www.sqr.or.jp[...]
[74] 뉴스 大豆うどん(広島県江田島市)歯応えほど良くヘルシー/つゆに甘み 飽きない味 日本経済新聞 2020-04-11
[75] 웹사이트 コラム―鳴門うどん https://www.maff.go.[...] 2019-06-12
[76] 웹사이트 鳴門うどん 鳴ちゅる 〜鳴門のB級グルメ〜 http://www.naruto-ka[...] 2019-06-12
[77] 웹사이트 鳴ちゅる.com http://naruchuru.com[...] 2019-06-12
[78] 웹사이트 コラム―たらいうどん https://www.maff.go.[...] 2019-06-12
[79] 웹사이트 あっ、たどつ「鍋ホルうどん http://xn--98j027gxk[...] 2020-05-18
[80] 웹사이트 博多うどんの発音
[81] 웹사이트 コナモザイク(コナモン図鑑)「博多うどん」 http://www.konamon.c[...]
[82] 웹사이트 対談 http://www.heiwafood[...]
[83] 뉴스 グルメ都市福岡:「うどんも、まんじゅうも発祥」ミス福岡がイベントPR http://mainichi.jp/s[...] 毎日jp 2008-01-28
[84] 웹사이트 福岡うどんDB「福岡うどん」 https://web.archive.[...]
[85] 간행물 讃岐に待ったをかける博多うどんの逆襲 http://www.jma-jp.ne[...] 日本マーケティング協会 2005-06-13
[86] 서적 九州宝御膳物語 おいしい郷土料理大事典 西日本新聞社 2006
[87] 웹사이트 五島手延うどんの歴史 http://www.goto-teno[...]
[88] 웹사이트 長崎とうどんの歴史 http://www.nagasaki-[...]
[89] 웹사이트 魚うどん http://www.pref.miya[...]
[90] 간행물 日韓市民意識調査 NHK放送文化研究所 2010-11
[91] 뉴스 外国人観光客に聞く、満足した日本食はナニ? https://www.itmedia.[...] ITmedia 2010-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