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글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고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는 대한민국의 국경일이다. 1926년 '가갸날'로 시작되어, 여러 차례 날짜 변경을 거쳐 1945년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13년부터 공휴일로 재지정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어기본법에 따라 한글날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한글 발전 유공자 포상과 세종문화상 수여를 통해 한글의 가치를 기리고 있다. 북한에서는 조선글날을,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조선어문자의 날을 기념한다. 한글날은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상징하며,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념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은 김씨 일가 관련 기념일과 군사 관련 기념일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전통 명절 외에도 김일성, 김정일 생일과 조선인민군 창건일, 공화국 창건 기념일 등을 중요하게 기념하고 정치적 목적에 따라 변경되기도 하며, 김씨 일가 우상화와 체제 선전의 도구로 활용된다는 비판이 있다.
한글날
기본 정보
공식 명칭한글날
다른 이름한글 반포일
조선글날
기념 대상한글 창제 기념
날짜10월 9일 (남한)
1월 15일 (북한)
종류국가, 문화
기념일매년
관련훈민정음
명칭 (남한)
한국어한글날
한자韓글날
로마자 표기Hangeullal
매큔-라이샤워 표기Han'gŭllal
명칭 (북한)
한국어조선글날
한자朝鮮글날
로마자 표기Joseongeullal
매큔-라이샤워 표기Chosŏn'gŭllal
기타
관련 정보한글날

2. 유래와 역사

훈민정음 언해본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이다. 1926년 조선어연구회(현 한글학회)는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에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념했다.[22] 당시 한글은 '가갸글'로도 불렸기 때문이다. 1928년부터는 국어학자 주시경이 제안했던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여 '한글날'로 바꾸었다.

1931년 또는 1932년부터 양력으로 날짜를 환산하여 기념했으나, 1582년 이전 율리우스력 윤일을 잘못 계산하여 오차가 있었다. 1934년부터는 역산 그레고리력을 적용하여 10월 28일에 기념하였다.

1940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는데, 정인지 서문에 9월 상순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었다. 이를 근거로 음력 9월 10일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여 10월 9일로 한글날을 변경, 확정하였다.[2]

조선 시대에는 한자이두, 향찰, 구결, 각필과 같은 음운 표기 체계를 사용했다.[5][6][7][8] 그러나 한자와 한국어의 차이, 많은 한자 수 때문에 하층민은 글을 쓰기 어려웠다. 세종대왕은 백성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9]

북한에서는 조선글날이라 하여 1월 15일에 기념하며,[2]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2014년부터 9월 2일을 '조선어의 날'로 지정했다.[3][4]

2. 1. 날짜 변천

1926년 조선어연구회는 음력 9월 29일(11월 4일)에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여덟 회갑)을 기념하는 제1회 '가갸날' 행사를 가졌다. 당시 한글은 '가갸글'로도 불렸기 때문이다. 1928년부터는 주시경이 제안한 '한글'이라는 이름을 따라 '한글날'로 명칭을 변경했다.[22]

1931년 또는 1932년부터는 양력으로 날짜를 환산하여 10월 29일에 기념했다. 그러나 이는 1582년 이전의 율리우스력 윤일을 잘못 계산한 결과였다. 1446년 당시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실제로는 10월 18일이 된다. 1934년부터는 역산 그레고리력을 적용하여 계산한 10월 28일로 변경하여 기념하였다.

1940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정인지 서문에 9월 상순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었다. 이를 근거로 음력 9월 10일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여 10월 9일로 한글날을 변경, 확정하였다.[2]

2. 2. 대한민국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1월 16일[23]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1949년 6월 4일 대통령령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건"을 제정[24]하면서,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공휴일로 지정했다.

1990년 11월 5일, 공휴일이 지나치게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로 국군의 날과 함께 한글날을 공휴일에서 제외하였다.[29] 그러나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35]

2005년 10월 5일, 대한민국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는 ‘한글날 국경일 지정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이후 2005년 12월 8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글날을 국경일로 격상하는 내용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되었다.[30]

2012년 12월 28일, 국무회의에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이 통과되면서 한글날은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38][39][40]

2. 2. 1. 법률 및 기념 행사

대한민국 정부는 '국어기본법'과 '국어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한글날 행사를 진행한다.[41][42]

'국어기본법' 제20조에 따르면, 정부는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범국민적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한다. 기념행사에 관한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41]

'국어기본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르면, 정부는 한글날 기념행사 때 한글과 국어 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매우 큰 개인이나 단체를 한글발전유공자로 포상하고, 한국 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개인이나 단체에 대하여 세종문화상을 수여할 수 있다.[42] 한글발전유공자 포상은 '상훈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고, 세종문화상 수여는 '정부 표창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며, 시상 분야, 수상 인원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한다.[42]

2005년에 '국어기본법'[43]과 '국어기본법 시행령'[44]을 제정하여 한글날 기념 부분을 법률화하고, 2006년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별표][45]를 개정해서 한글날 관련 별표가 삭제되었다.

이전에는 '각종기념일등에관한규정' [별표][46]에 따라 한글날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여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라고 하였다.

3. 기념

10월 9일훈민정음의 보급 및 사용을 알리는 날이자,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념하는 날이다.[2] 대한민국에서는 1446년 10월 9일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여 '한글날'로 지정하였다.[2]

대한민국 정부는 훈민정음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고, 국민적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기념 행사를 개최한다.

일제강점기였던 1926년, 한글학회[10]는 음력 9월 말일(그레고리력 11월 4일)에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8회갑)을 기념하여 "가갸날"(가갸날한국어)을 선포하였다. 1928년에는 "한글날"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31년 그레고리력 10월 29일로 변경되었다가, 1934년 10월 28일로 다시 변경되었다. 1940년 훈민정음 해례 원본이 발견되면서 훈민정음이 음력 9월 상순에 공포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1446년 음력 9월 10일은 율리우스력으로 10월 9일에 해당한다.

1945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0월 9일이 한글날로 정해지고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1991년 유엔의 날과의 균형을 위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가, 2012년 국회 의결을 거쳐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11][12]

2009년 광화문광장에 세종대왕상이 공개되었고, 한글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한글의 의미를 되새긴다.[13][14]

3. 1. 북한

북한에서는 훈민정음 창제일을 기준으로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기념한다.[2] 1443년 12월 ~ 1444년 1월에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을 기념한다.

3. 2. 중국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는 2014년부터 9월 2일을 "조선어의 날"로 지정했다.[3][4] 2014년 3월,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제14기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9차 회의는 매년 9월 2일을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조선어문자의 날(조선언어문자의 날)로 제정하는 데 합의했다.[18]

4. 한글날의 의미와 가치

10월 9일 한글날은 훈민정음의 보급과 사용을 알리는 날이자,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날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훈민정음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고, 국민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2]

한글날은 한국북한 양국에서 기념하는데, 한국에서는 '한글날'로 10월 9일에, 북한에서는 '조선글날'로 1월 15일에 기념한다.[2]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2014년부터 9월 2일을 '조선어의 날'로 지정했다.[3][4]

세종대왕은 한자를 배우기 어려운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문해력 향상에 기여했다.[9] 1926년 조선어연구회(이후 한글학회)는 한글 반포 480주년을 기념하여 '가갸날'을 제정했고,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날짜 변경을 거쳐 1945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0월 9일이 한글날로 지정되었다.[10]

1991년 한글날은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가, 한글학회 등의 노력으로 2012년 국회에서 국경일로 환원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고,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11][12] 최근에는 한글날을 맞아 언어의 한글 전용화 운동도 확대되고 있다.[16]

4. 1. 한글과 민주주의

훈민정음 창제 이전 조선 시대에는 한자를 주로 사용하였고, 이두, 향찰, 구결 등 한국어 음운 표기 체계도 있었으나, 일반 백성들은 한자를 익히기 어려워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5][6][7][8] 세종대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백성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9]

이는 백성을 사랑하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며, 모든 백성이 쉽게 글을 익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민주주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글날을 통해 한글의 창제 정신을 되새기고, 한글의 가치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이 민주주의 사회의 근간을 튼튼하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한글을 통해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하고 사회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한글날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북한 '조선글날'부터 훈민정음 상주본까지 … 당신이 알아야 할 572돌 한글날 https://www.hankyung[...] 2018-10-08
[3] 웹사이트 延边有了"朝鲜语言文字日" http://www.yanjinews[...] 2016-08-23
[4] 웹사이트 Chinese Yanbian City Seeks to Designate Day of Korean Language http://world.kbs.co.[...] 2014-02-12
[5] 서적 Asia's Orthographic Dilemm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6-09-20
[6] 서적 Multilingual Access and Services for Digital Collect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9-20
[7] 간행물 Invest Korea Journal https://books.googl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2016-09-20
[8] 뉴스 Korea Now https://books.google[...] 2016-09-20
[9] 서적 Concise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From the Sumerians to the Cognitivist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6-10-13
[10] 서적 Sources of Korean Tradition: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10-03
[11] 뉴스 Starting Next Year, Rest on Hangeul Day (Korean: 내년부터 한글날 쉰다…22년만에 공휴일 재지정) http://news.naver.co[...] 2012-11-07
[12] 뉴스 Hangul Day a national holiday again (Korean: 직장인들'활짝 웃을'준비하시고~"클릭!") http://koreajoongang[...] 2012-11-09
[13] 뉴스 Remembering Hangul http://koreajoongang[...] 2009-09-26
[14] 뉴스 Statue of King Sejong is unveiled http://koreajoongang[...] 2009-10-10
[15] 뉴스 1981年12月11日付 中央日報 中央日報 1981-12-11
[16] 웹사이트 変質してしまった韓国の公休日『ハングルの日』、増加する「排斥」の雰囲気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20-10-22
[17] 뉴스 하늘의 날 23년 만에 휴일로 재지정 http://news.naver.co[...] 헤럴드경제 2012-12-24
[18] 웹사이트 延边朝鲜族自治州设“朝鲜语言文字日” http://www.xxbcm.com[...] 2014-03-26
[19] 웹사이트 한글날 https://ko.dict.nave[...]
[20] 웹사이트 한글날 https://stdict.korea[...]
[21] 웹사이트 한글날은 계속 같았다? https://terms.naver.[...] 의심 많은 교양인을 위한 상식의 반전 101 2012
[22] 뉴스 연합뉴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3] 웹사이트 훈민정음 반포일 http://sillok.histor[...]
[24] 법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 http://www.law.go.kr[...] 1949-06-04
[25] 법률 국경일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1949-10-01
[26] 법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1970-06-15
[27] 법률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1982-05-15
[28] 법률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http://law.go.kr/lsI[...] 1984-02-21
[29] 법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1990-11-05
[30] 뉴스 [현장에서] 15년 만에 이뤄낸 '국경일 한글날'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12-10
[31] 법률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06-09-06
[32] 법률 대한민국 국기법 http://law.go.kr/lsI[...] 2007-01-26
[33] 법률 대한민국 국기법 시행령 http://www.law.go.kr[...] 2007-07-27
[34] 법률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 http://law.go.kr/lsI[...] 2007-07-27
[35] 웹인용 한글날 휴일 재지정 추진…가능성은? https://news.naver.c[...] 2012-09-18
[36] 웹인용 한글날 재지정 추진 http://www.pandora.t[...] 2012-05-15
[37] 웹인용 어버이날·한글날 공휴일 될까 http://www.kwangju.c[...] 2012-05-31
[38] 법률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12-12-28
[39] 웹인용 내년부터 한글날 쉰다…22년만에 공휴일 재지정 https://news.naver.c[...] 2012-11-07
[40] 웹인용 한글날, 올해부터 법정공휴일...“달력 빨간날 아니어도 쉽니다” http://www.etoday.co[...] 2013-09-23
[41] 웹인용 국어기본법 http://www.law.go.kr[...] 법제처 2013-03-23
[42] 웹인용 국어기본법 시행령 http://www.law.go.kr[...] 법제처 2015-12-31
[43] 웹인용 국어기본법(법률 제7368호) http://www.law.go.kr[...] 법제처 2005-01-27
[44] 웹인용 국어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18973호) http://www.law.go.kr[...] 법제처 2005-07-27
[45] 웹인용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19675호) http://www.law.go.kr[...] 법제처 2006-09-06
[46] 웹인용 각종기념일등에관한규정 (대통령령 제18143호) http://www.law.go.kr[...] 법제처 2003-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