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홍반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홍반열은 리케차 자포니카(Rickettsia japonica)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진드기를 통해 감염되며, 발열, 발진, 가피 형성이 주요 증상이다. 1984년 일본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2006년 대한민국에서도 첫 발생 사례가 보고되었다. 일본에서는 4류 감염증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치료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예방을 위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케차증 - 발진티푸스
    발진티푸스는 리케차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이, 벼룩, 진드기 등을 통해 전파되며, 두통,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고, 항생제를 통해 치료한다.
  • 리케차증 - 발진열
    발진열은 리케차 티피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쥐에 기생하는 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고열과 전신 발진,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테트라시클린과 같은 항생제로 치료하고 집쥐와 벼룩을 구제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 진드기 매개 질병 - 야토병
    야토병은 야토병균에 의해 발생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절지동물 매개, 감염 동물 접촉, 오염 물질 섭취 등으로 전파되며, 다양한 임상 형태와 증상을 보이고, 항생제 치료로 회복 가능하지만 생물학 무기로 개발된 사례도 있는 북반구 질병이다.
  • 진드기 매개 질병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SFTS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며 동북아시아에서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으로, 절지동물 매개 감염 및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고 발열, 소화기 증상,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며 치사율이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
  • 인수공통감염병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으로 예방하고, 덱사메타손 등 약물로 치료한다.
  • 인수공통감염병 - SARS-CoV
    SARS-CoV는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을 일으킨 코로나바이러스로, 주로 동물을 통해 전파되어 근육통, 두통, 발열 등의 전신 증상과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며, SARS-CoV-2와 유전적으로 유사하다.
일본홍반열
질병 정보
이름일본홍반열
동의어동양반점열
분야감염내과
증상
증상발열, 홍반, 괴사딱지
합병증
합병증파종성 혈관내 응고, 다발성 장기 부전, 중추신경계 합병증,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뇌수막염
원인
원인리케차 자포니카 감염
진단 및 치료
치료테트라사이클린, 스테로이드
기타 정보
학명Rickettsia japonica
영어 이름oriental spotted fever

2. 병원체

리케차의 일종인 일본홍반열 리케차(Rickettsia japonica|리케차 자포니카영어)에 의해 발생한다.

리케차는 진정세균의 한 그룹으로, 숙주가 되는 다른 생물의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한 편성세포내기생체이다. 이 중 몇몇 종은 사람에게 병원성을 가지며, 와일-펠릭스 반응이라고 불리는, 환자 혈청 내에서 생기는 항체를 이용한 검사법을 사용하여 감별할 수 있다. 일본홍반열 리케차는 홍반열군 리케차에 분류되며, 리케차는 다음과 같은 세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

구분와일-펠릭스 반응 패턴
발진티푸스 또는 발진열을 일으키는 발진티푸스군 리케차OX2:+, OX19:+++, OXK:-
홍반열을 일으키는 홍반열군 리케차OX2:+++, OX19:+, OXK:-
쯔쯔가무시병을 일으키는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X2:-, OX19:-, OXK:++


3. 감염 경로

일본홍반열 리케차는 다른 홍반열군 리케차와 마찬가지로 숲에 서식하는 진드기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들 진드기가 매개체가 되어 사람을 흡혈할 때 리케차를 감염시킨다.[5]

일반적으로 숲에 서식하는 진드기류는 평생 동안 1~3회(종에 따라 다름)만 다른 동물(조류나 포유류 등 온혈동물)로부터 흡혈하여 영양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6]


  • 유충에서 약충으로 탈피
  • 약충에서 성충으로 탈피
  • 교미와 산란


이 흡혈 시에, 보균 진드기로부터 흡혈된 동물에게 리케차가 전달된다.

흡혈된 동물이 일본홍반열 리케차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리저버라고 불림) 보균하지 않은 진드기가 흡혈하면 리케차에 감염된다(진드기의 유독화). 여러 번 흡혈을 하는 진드기의 경우, 리케차를 갖지 않은 무독 상태로 태어나도, 도중의 흡혈에 의해 유독화되어, 다른 동물(사람 포함)로부터 흡혈함으로써 리케차 전염에 관여한다. (라임병도 참조) 또한 홍반열군 리케차는 어미 진드기에서 알로의 수직 감염(경란 감염)도 일어나므로, 태어날 때부터 유독한 진드기도 존재한다.

일본홍반열 리케차의 경우, 어떤 종류의 진드기가 매개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한 점도 있지만, 참진드기(Haemaphysalis flava|참진드기la), 털진드기(H. longicornis|털진드기la), 작은소피참진드기(Ixodes ovatus|작은소피참진드기la) 등이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들 진드기에서의 경란 감염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진드기가 매개체 겸 리저버)뿐만 아니라, 소형의 설치류나 야생의 사슴 등이 리저버로서 자연 환경 중에서의 일본홍반열 리케차 보존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역사

1906년, 하워드 테일러 리케츠는 북아메리카에서 중남미에 걸쳐 많이 보이는 질환인 로키산 홍반열병원체를 발견했다. 리케츠는 이후 발진티푸스 병원체 연구 중 사망했지만, 그 공적을 기려 1916년 이들 병원체는 리케차(Rickettsia|리케차la)로 명명되었다.

그 후 유라시아 대륙에서 보이는 시베리아 진드기열 (R. sibirica|R. 시비리카la에 의한)이나 버튼열 (R. conorii|R. 코노리la에 의한), 호주에서 보이는 퀸즐랜드 진드기열 (R. australis|R. 오스트랄리스la에 의한) 등이 로키산 홍반열 (로키산 홍반열 리케차 R. rickettii|R. 리케치la에 의한)과 마찬가지로 리케차증임이 밝혀졌고, 홍반열군 리케차는 전 세계 넓은 지역에 걸쳐 산기슭, 숲에 분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한편,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풍토병으로 쯔쯔가무시병 발생이 알려져 있었지만, 홍반열 존재는 알려지지 않아 일본에는 고유 홍반열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1984년, 도쿠시마현에서 고열과 홍반을 동반하는 질환이 3건 연이어 발생했다. 그 증상과 진드기에 의한 물린 부위 등으로 처음에는 쯔쯔가무시병이 의심되었지만, 와일-펠릭스 반응 결과 쯔쯔가무시병이 아닌,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홍반열군에 분류되는 리케차에 의한 감염증임이 밝혀져, 일본 홍반열(Japanese spotted fever|일본 홍반열영어)로 명명되었다. 1986년에 병원체가 분리되어, R. japonica|R. 야포니카la로 명명되었다.

5. 역학

일본홍반열은 원래 일본 풍토병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06년 대한민국 남부에서 처음으로 발생 사례가 보고되었다.[7] 일본에서는 간토 지역 이서에서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주부 지방 남쪽의 태평양 연안의 따뜻한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나[4] 점차 발생 지역이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홍반열을 옮기는 참진드기류는 일본 전국에 살고 있기 때문에, 왜 간토 이서 지역에서만 발생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본홍반열은 진드기에 물려야만 사람에게 감염되므로, 진드기의 생태와 서식지가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발생 시기는 4월에서 11월 사이이며, 특히 진드기가 활발하게 흡혈 활동을 하는 여름철에 집중된다. 주로 숲이나 산지에 사는 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므로, 대나무 숲이나 밭에서 작업할 때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질병인 쓰쓰가무시병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발생 시기가 지역에 따라 봄부터 초여름(동북·호쿠리쿠 지방) 또는 가을(그 외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일본홍반열과는 발생 양상이 다르다.

1984년 처음 발견된 이후, 일본에서는 매년 10-60건 정도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1994년까지는 10-20명 정도였으나, 1995년 이후 연간 40-60명 정도로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98건이 보고되었다.[8][9][10] 진드기의 분포 지역 확대와 검사 체계 강화 등으로 인해 감염 보고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일본의 연도별 일본홍반열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는 다음과 같다.

연도발생 건수사망자 수
2017년337건-
2018년305건-
2019년318건13명

[11]

6. 증상

발열, 발진(특히 홍반, 붉은 반점 구진), 자상 부위(진드기에 물린 자국에서의 가피 형성)가 주요 3대 증상이다. 특히 발열과 발진은 대부분 환자에게서 나타나며, 발진은 가려움을 동반하지 않는다.[13]

소화기 증상(식욕 부진, 메스꺼움), 전신 권태감, 두통, 관절통[12]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드기에 물린 후 2~8일 경부터 두통, 발열, 권태감, 관절통, 근육통 등이 나타난다. 발열과 동시에 또는 그 전에 붉은 반점 구진이 발생한다. 림프절 종창(부어오름)은 드물게 나타난다.

같은 홍반열군 리케차증인 로키산 홍반열에 비해 증상은 대체로 경미하지만, 사망 사례도 존재한다.[14] 쯔쯔가무시병과 감별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쯔쯔가무시병에서는 림프절 종창이 자주 나타나고, 발진이 사지보다 몸통에 더 많이 나타나며, 쯔쯔가무시병 쪽이 자상 부위의 가피 부위가 큰 경향(종종 1cm 이상)이 있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풍진과 증상이 유사하지만, 하이킹이나 캠핑 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고 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있다면 일본홍반열을 의심해야 한다. 진드기 종류 중에는 흡혈 시 가려움이나 통증을 억제하는 물질을 생산하는 것이 있어, 물린 것을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자상 부위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일반 검사에서는 CRP 양성, 백혈구혈소판 감소, 간 효소, 페리틴 상승[13]이 나타난다.

7. 치료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가 이루어진다.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효과가 없지만, 일본 뇌염을 비롯한 다른 리케차와 마찬가지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가 매우 효과적이어서[14] 제1선택 약물로 사용된다. 털진드기병과는 달리 뉴퀴놀론계 항생제도 효과가 있다. 로키산 홍반열과 마찬가지로 신속한 치료 시작이 중요하며, 고열 환자에게는 테트라사이클린과 뉴퀴놀론의 병용 요법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되고 있다.[15]

8. 예방

백신은 만들어지지 않았으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진드기 서식지(삼림, 산지) 출입을 자제하고, 야외활동 시 긴 옷을 착용하며, 디에틸톨루아미드(DEET) 함유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진드기에 물렸을 경우, 억지로 떼어내거나 으깨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억지로 떼어낼 경우 진드기의 머리 부분이 피부에 남아있을 수 있고, 으깰 경우 리케차를 주입하게 될 수 있다. 진드기에 물렸다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지와 경작지에 진드기를 옮기는 야생 동물의 접근을 막기 위해 울타리를 설치하여 감염자 수를 줄인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14]

9. 법적 조치

1999년, 감염증 예방 및 감염증 환자에 대한 의료에 관한 법률 제정에 따라 일본홍반열은 4류 감염증으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2] 논문 Japanese spotted fever: report of 31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3] 서적 Infectious Diseases of Japan: 2017 edition https://books.google[...] GIDEON Informatics Inc 2017
[4] 간행물 国立感染症研究所『今月のトピック』2005年12月
[5] 논문 日本紅斑熱の媒介動物 https://doi.org/10.1[...]
[6] PDF バイエル製薬 http://www.zc-info.c[...]
[7] 웹사이트 Japanese spotted fever, South Korea. http://www.ncbi.nlm.[...] NBCI
[8] 웹사이트 日本紅斑熱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感染症の話 2002年第25週号(2002年6月17日~6月23日)掲載
[9] 웹사이트 (お探しのページが見つかりません)日本紅斑熱による死亡例の発生について(情報提供)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健康局結核感染症課 平成20年8月1日
[10] 웹사이트 年別報告数一覧(その1:全数把握) https://idsc.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感染症情報センター
[11] 웹사이트 日本紅斑熱、過去最多 20年、マダニ媒介の感染症―野外活動に注意を・厚労省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21-07-17
[12] 웹사이트 どこかで起きていてもおかしくないエラー症例(Case No.37)後医は名医? 始めは急性腸炎と診断されていたが…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13] 논문 我が国におけるダニ媒介感染症の現状と課題 https://doi.org/10.2[...]
[14] 논문 島根半島弥山山地における日本紅斑熱患者数の減少に繋がったThe One Health Approach https://doi.org/10.1[...]
[15] 웹사이트 日本紅斑熱の治療 https://idsc.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16] 논문 Important Clinical Features of Japanese Spotted Fever https://www.ajtmh.or[...] 2018-07-02
[17]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18] 논문 Japanese spotted fever: report of 31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9] 서적 Infectious Diseases of Japan: 2017 edition https://books.google[...] GIDEON Informatics Inc 2017
[20] 논문 "[The first report of the rickettsial infections of spotted fever group in Japan: three clinical cases]" https://pubmed.ncbi.[...] 1985-11
[21] 논문 Japanese Spotted Fever, South Korea - Volume 12, Number 7—July 2006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journal - CDC
[22] 웹인용 인하대병원, 일본홍반열 첫 학계 보고 https://www.dailymed[...] 2023-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