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수화 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수화 어족은 일본 수화(JSL)를 중심으로 한국 수화(KSL)와 대만 수화(TSL)를 포함하는 수화 언어의 어족을 의미한다. 이 어족은 1878년 일본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과 대만으로 전파되었다. JSL을 사용하는 사람은 KSL 또는 TSL을 사용하는 사람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TSL은 JSL과 약 60%의 어휘를 공유한다. 이들 언어는 문법 구조와 기능적 특징을 공유하며, 비수지 신호를 통합하는 특징을 보인다. 일본 본토와 교류가 적었던 일부 지역에서는 자체적인 마을 수화가 형성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화 - 대만 수화
    대만 수화는 일본 통치 시대 일본 수화에서 비롯되어 중국 수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현재 타이베이와 타이난을 중심으로 두 가지 방언이 존재하고, 영화 '사일런트 포레스트'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가 향상되었다.
  • 수화 - 일본 수화
    일본 수화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문법 구조를 가진 자연 언어로, 비수지 신호와 손, 손가락, 팔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며 한국 수화와 대만 수화에 영향을 주었고 일본어와는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진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일본 수화 어족
언어 정보
이름일본 수화 어족
지역동아시아
어족수화 어족 중 하나
Glotto 코드jsli1234
GlottorefnameJSLic
구성 언어
언어 1일본 수화
언어 2한국 수화?
언어 3대만 수화

2. 역사

1878년(메이지 11년) 교토의 학교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3] 일제강점기대만일제강점기조선에도 퍼져나갔다.

1878년 일본 최초의 농학교가 교토에 설립되었다.[3] 1879년에는 도쿄에도 청각 장애 아동을 위한 대규모 공립학교가 개교했다.[3] 초기에는 교토와 도쿄 학교 간 교육 내용에 차이가 있었으나, 1908년 청각 장애 교육 심포지엄을 통해 교육 내용이 표준화되면서 일본 수어(JSL)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4]

일본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을, 1895년부터 1945년까지 대만을 식민 지배하면서 청각 장애 학교를 설립하고 일본 본토에서 교사를 파견하여 일본 수화(JSL)를 교육했다.[5] 일제강점기 한국에서는 1889년부터 수화가 사용되었고, 1908년부터 학교에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5] 대만에서는 1895년 식민지 시대부터 일본 수화가 전파되어 대만 수화(TSL)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는 1915년 타이난, 1917년 타이베이에 농학교가 설립되어 일본인 농(聾)교사에 의해 일본 수화가 전해졌다.[10]

1945년 해방/종전 이후에도 한국 수화(KSL)와 대만 수화(TSL)는 일본 수화(JSL)와의 유사성을 유지하며, 서로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현재 대만 수화와 일본 수화 사이에는 어휘의 약 60%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10]

2. 1. 일본 수화의 기원

1878년 일본 최초의 농학교가 교토에 설립되었다.[3] 1879년에는 도쿄에도 청각 장애 아동을 위한 대규모 공립학교가 개교했다.[3] 초기에는 교토와 도쿄 학교 간 교육 내용에 차이가 있었으나, 1908년 청각 장애 교육 심포지엄을 통해 교육 내용이 표준화되면서 일본 수어(JSL)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4]

2. 2. 한국 수화와 대만 수화에 미친 영향

일본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을, 1895년부터 1945년까지 대만을 식민 지배하면서 청각 장애 학교를 설립하고 일본 본토에서 교사를 파견하여 일본 수화(JSL)를 교육했다.[5] 일제강점기 한국에서는 1889년부터 수화가 사용되었고, 1908년부터 학교에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5] 대만에서는 1895년 식민지 시대부터 일본 수화가 전파되어 대만 수화(TSL)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는 1915년 타이난, 1917년 타이베이에 농학교가 설립되어 일본인 농(聾)교사에 의해 일본 수화가 전해졌다.[10]

1945년 해방/종전 이후에도 한국 수화(KSL)와 대만 수화(TSL)는 일본 수화(JSL)와의 유사성을 유지하며, 서로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현재 대만 수화와 일본 수화 사이에는 어휘의 약 60%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10]

3. 기능적 특징

일본어, 한국어, 대만 만다린이 서로 관련 없는 구어임에도 불구하고, JSL을 사용하는 사람은 TSL 또는 KSL을 사용하는 사람과 큰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TSL은 JSL과 어휘의 약 60%를 공유하지만,[2] 언어 간의 유사성은 단순히 어휘 유사성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동일한 문법적 특징을 많이 공유하며, KS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2]

JSL 계열 언어는 주변 지역 사회의 구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문법 구조와 특징을 갖는다.[6] JSL, KSL 및 TSL 사용자는 문법적 특징과 기능 마커(functional marker)와 같이 공유하는 공통점 때문에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이 세 언어에 고유한 특징은 성별의 어휘적 인코딩이다. 엄지 손가락으로 만든 일부 수화는 남성을 나타내고, 새끼 손가락으로 만든 해당 수화는 여성을 나타낸다.[7]

다른 수화 언어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어휘, 구문, 담론 및 정서적 기능을 가진 비수지 신호를 통합한다. 여기에는 눈썹 올리기 및 찌푸리기, 얼굴 찡그리기, 고개 흔들기 및 끄덕이기, 몸통 기울이기 및 움직이기 등이 포함된다.[8]

3. 1. JSL, KSL, TSL 간의 상호 이해도

일본어, 한국어, 대만 만다린이 서로 관련 없는 구어임에도 불구하고, JSL을 사용하는 사람은 TSL 또는 KSL을 사용하는 사람과 큰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TSL은 JSL과 어휘의 약 60%를 공유하지만,[2] 언어 간의 유사성은 단순히 어휘 유사성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동일한 문법적 특징을 많이 공유하며, KS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2]

JSL 계열 언어는 주변 지역 사회의 구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문법 구조와 특징을 갖는다.[6] JSL, KSL 및 TSL 사용자는 문법적 특징과 기능 마커(functional marker)와 같이 공유하는 공통점 때문에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이 세 언어에 고유한 특징은 성별의 어휘적 인코딩이다. 엄지 손가락으로 만든 일부 수화는 남성을 나타내고, 새끼 손가락으로 만든 해당 수화는 여성을 나타낸다.[7]

다른 수화 언어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어휘, 구문, 담론 및 정서적 기능을 가진 비수지 신호를 통합한다. 여기에는 눈썹 올리기 및 찌푸리기, 얼굴 찡그리기, 고개 흔들기 및 끄덕이기, 몸통 기울이기 및 움직이기 등이 포함된다.[8]

3. 2. JSL 계열 언어의 특징

JSL 계열 언어는 주변 지역 사회의 구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문법 구조와 특징을 갖는다.[6] JSL, KSL, TSL 사용자는 문법적 특징과 기능 표시와 같은 공유점을 통해 상호 작용이 용이하다.[6] 예를 들어, 세 언어에 고유한 특징은 성별의 어휘적 인코딩으로, 엄지손가락은 남성, 새끼손가락은 여성을 나타낸다.[7]

다른 수화 언어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어휘, 구문, 담론 및 정서적 기능을 가진 비수지 신호를 통합한다. 여기에는 눈썹 올리기 및 찌푸리기, 얼굴 찡그리기, 고개 흔들기 및 끄덕이기, 몸통 기울이기 및 움직이기 등이 포함된다.[8]

3. 3. 비수지 신호

4. 기타 수화

일본 본토와 역사적으로 거의 교류가 없었고 청각 장애가 비교적 흔했던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자체적인 마을 수화가 형성되었다. 고니야 수화(아마미 오시마)와 미야쿠보 수화(에히메현 미야쿠보)가 그 예시이다. 최근에는 의사소통 증가로 인해 일본 수화가 이들 마을 수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Variation in East Asian Sign Languag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2010
[2] 서적 Variation https://books.google[...]
[3] 간행물 The Education of the Deaf in Japan https://www.jstor.or[...] 1905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Japanese Sign Language 手話の歴史 https://deafjapan.co[...] 2020-10-10
[5] 웹사이트 Korean Sign Language -Plot Owlcation - Education https://owlcation.co[...] 2020-10-10
[6] 서적 Sign Languages East and West https://books.google[...] 2008
[7] 서적 Variation https://books.google[...]
[8] 서적 Variation https://books.google[...]
[9] 서적 Variation https://books.google[...]
[10] 간행물 Taiwan Sign Language Research: An Historical Overview
[11] 서적 Variation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