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원적 인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차원적 인간"은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의 저서로, 현대 산업 사회와 소비주의를 비판하며 사회 통제의 형태를 분석한다. 마르쿠제는 기술적 합리성이 문화와 정치 전반에 걸쳐 헤게모니를 형성하고, "풍요 사회"가 자본주의의 착취적 본질을 은폐하여 혁명의 기회를 제한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소비 사회에서 개인이 물질적 소비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추구하며 비합리적으로 행동한다고 비판하고, 반 소비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하지만 상품화의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고 분석한다. 이 책은 1960년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뉴 레프트에 영향을 미쳤고, 오늘날에도 과도한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요구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본주의 비판서 - 자본론 제2권
- 자본주의 비판서 - 자본론 제3권
- 프랑크푸르트 학파 - 비판 이론
비판 이론은 사회를 비판하고 변혁하는 사회 이론으로, 마르크스 철학을 계승하여 실증주의와 권위주의를 비판하며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마르크스주의 수정주의, 정치적 지침 부재, 언어의 난해함 등의 논쟁점이 있다. - 프랑크푸르트 학파 - 문화마르크스주의 음모론
- 사회학 책 - 미국의 민주주의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는 1830년대 미국 사회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담은 정치사상 및 사회학의 고전으로, 미국 민주주의의 성공 요인과 잠재적 위험을 탐구하고 미국 사회 전반에 미치는 민주주의의 영향을 다룬다. - 사회학 책 - 경제와 사회
막스 베버의 사회학은 이상형 개념을 통해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며, 사회 행위와 종교 활동의 유형을 구분하는 분석틀을 제시하고 국가 폭력에서 강제력과 정당성 인정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지만, 보수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일차원적 인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도서 정보 | |
제목 | 일차원적 인간 |
부제 | 진보한 산업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 |
원제 |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the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
저자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주제 | 자본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 산업화 |
출판사 | Beacon Press |
출판일 | 1964년 |
미디어 유형 | 인쇄 |
페이지 수 | 257쪽 |
ISBN | 0-415-07429-0 (2판) |
2. 현대 산업 사회와 소비주의 비판
마르쿠제는 현대 산업 사회가 기술적 합리성을 통해 문화와 공적 생활 전반을 지배하며, 이는 헤게모니적 이데올로기로 이어진다고 분석한다. 그는 소비주의와 현대의 "산업 사회"를 강력하게 비판하며, 이것이 사회 통제의 한 형태라고 주장한다. 마르쿠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시스템이 민주주의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전체주의적이라고 주장한다.
반 소비주의는 불필요한 소비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노동, 낭비 등을 줄이는 생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조차도 광고와 상품화의 극심한 상호 침투로 인해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상품이기 때문이다. 실제적인 필요조차도 말이다.
2. 1. 허위 의식과 현실
마르쿠제는 소비주의와 현대 "산업 사회"를 비판하며, 이것이 사회 통제의 한 형태라고 주장한다. 그는 서구 사회가 민주주의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전체주의적이라고 본다. 기술적 합리성이 문화와 정치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어 헤게모니를 형성했고, 사람들은 헤게모니적 이데올로기인 현대 산업 사회와 자신을 동일시하게 되었다. 마르쿠제에 따르면,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단순한 "허위 의식"이 아니라 현실 그 자체가 되었다.[11]2. 2. 풍요 사회의 문제점
마르쿠제는 현대 산업사회가 만든 "풍요 사회"가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체제의 착취적인 본질을 숨겨 지배와 통제를 강화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풍요 사회는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정치적 혁명의 가능성을 제한한다.[11]마르쿠제는 현대 소비 사회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행복을 구매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자유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통제한다고 주장한다.[3] 이러한 "자유가 없는" 상태에서[4] 사람들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일하고, 심리적으로 파괴적인 영향, 낭비, 환경 피해를 무시하며, 물질적인 것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추구한다.[5]
이는 새로운 제품을 만들고 오래된 제품을 버리게 하여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더 많이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이 일해야 한다는 점에서 비합리적이다. 개인은 인간성을 잃고 산업 기계의 도구이자 소비 기계의 톱니바퀴가 된다. 광고는 사회적 태도를 무너뜨리는 소비주의를 유지하고, 대중에게 행복을 살 수 있다는 심리적으로 해로운 생각을 알린다.
2. 3. 소비자본주의와 자유의 억압
마르쿠제는 현대 소비 사회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행복을 구매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자유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지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1] 이러한 "자유가 없는" 상태에서[12] 소비자들은 실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일하고, 심리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무시하며, 낭비와 환경 피해를 무시하고, 물질적인 물건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추구하는 비합리적인 행동을 한다.[13]이는 새로운 제품을 만들고, 오래된 제품을 폐기하도록 요구하여 경제를 활성화하고 더 많이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이 일해야 할 필요성을 장려한다는 점에서 더욱 비합리적이다. 개인은 인간성을 잃고 산업 기계의 도구이자 소비 기계의 톱니바퀴가 된다. 또한 광고는 사회적 태도를 붕괴시키는 소비주의를 유지하며, 대량으로 제공되고, 행복은 구매할 수 있다는 생각을 대중에게 알리는데, 이는 심리적으로 해로운 생각이다.
2. 4. 산업 기계의 도구화
마르쿠제는 개인이 산업 기계의 도구이자 소비 기계의 톱니바퀴로 전락하여 인간성을 상실한다고 비판한다.[11] 그는 광고가 소비주의를 유지하고 사회적 태도를 붕괴시키며, 행복을 구매할 수 있다는 심리적으로 해로운 생각을 대중에게 주입한다고 경고한다.[12][13]3. 대안적 생활 방식
마르쿠제는 소비주의에 대응하는 생활 방식으로 반 소비주의를 제시한다. 반 소비주의는 불필요한 소비, 노동, 낭비를 줄이는 생활 방식이다. 그러나 이 대안은 광고와 상품화가 서로 깊숙이 침투하면서 복잡한 문제를 낳는다. 실제 필요한 것들마저 상품화되었기 때문이다.
3. 1. 반소비주의
반 소비주의는 불필요한 소비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노동, 낭비 등을 줄이는 생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조차도 광고와 상품화의 극심한 상호 침투로 인해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실제 필요한 것까지 포함하여 모든 것이 상품이기 때문이다.[13]3. 2. 상품화의 문제점
마르쿠제는 소비 생활 방식에 대항할 대안으로 반 소비주의를 제시한다. 반 소비주의는 불필요한 소비, 노동, 낭비 등을 줄이는 생활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조차도 광고와 상품화의 극심한 상호 침투로 인해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실제적인 필요조차도 상품화되었기 때문이다.[11]4. 평가 및 영향
비판 이론가 더글러스 켈너는 『일차원적 인간』을 1960년대를 대표하는 작품이자 20세기의 가장 파괴적인 문학적 기여 중 하나로 평가했다.[1] 마르쿠제는 폴 매틱이 이 책을 비판한 것에 대해 칭찬했다.
철학자 로널드 아론슨은 2014년에 "일차원적 인간"이 마르쿠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선견지명이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 더 관련성이 높다고 썼다.[8]
4. 1. 뉴 레프트에 미친 영향
더글러스 켈너는 "일차원적 인간"이 1960년대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20세기의 가장 파괴적인 문학적 기여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이 책은 발터 벤야민의 "''Nur um der Hoffnungslosen willen ist uns die Hoffnung gegeben''"[6]("절망적인 사람들을 위해서만 우리에게 희망이 주어진다"[7])라는 말을 인용하며 비관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자본주의 사회와 소비에트 공산주의 사회에 대한 불만을 키워가던 뉴 레프트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4. 2. 폴 매틱의 비판
마르쿠제는 폴 매틱이 《일차원적 인간》을 비판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4. 3. 현대적 의의
철학자 로널드 아론슨은 2014년에 『일차원적 인간』이 마르쿠제의 예상보다 더 선견지명이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 더 관련성이 높다고 평가했다.[8]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과도한 소비주의와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마르쿠제는 현대 산업사회가 "풍족한 사회"를 만들었지만, 이는 편안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시스템의 착취적 성격을 위장하고 지배와 통제 수단을 강화한다고 보았다. 그는 소수의 개인이 행복을 살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유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지시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11] 이러한 "자유가 없는" 상태에서[12] 소비자는 실제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일하고, 심리적, 환경적 피해를 무시하며, 물질적 아이템을 통해 사회적 연결을 추구한다고 비판한다.[13]5. 한국어판 서지 정보
- 이케마츠 케이조(생마츠경삼) 외 역, 『일차원적 인간』, 카와이데 쇼보 신샤, 1980년
참조
[1]
서적
Herbert Marcuse,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Routledge
[2]
서적
Marx
Fontana
[3]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Routledge
[4]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Routledge
[5]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Routledge
[6]
서적
Goethes Wahlverwandtschaften, Gesammelte Schriften I.1
Frankfurt am Main
[7]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Routledge
[8]
간행물
Marcuse Today
https://www.bostonre[...]
2014-11-17
[9]
웹사이트
Drux Flux
http://www.nfb.ca/fi[...]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2009-12-29
[10]
서적
Herbert Marcuse,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11]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12]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13]
서적
One-dimensional Man: studies in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