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체주의는 국가가 개인의 삶 모든 영역을 통제하려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1923년 조반니 아메놀라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총력전'이라는 개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전체주의의 기원, 정의, 특징, 역사적 사례 및 관련된 다양한 논쟁들을 분석하고, 칼 포퍼, 한나 아렌트 등 주요 학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며, 현대 사회에서 전체주의의 의미와 적용에 대해 논의한다.
구분 | |
---|---|
권위주의와의 차이점 | 전체주의는 카리스마 있는 독재자와 고정된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권위주의는 권력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독재자를 특징으로 하며, 군사 정권이나 사회경제적 엘리트의 지지를 받는다. |
정의 | |
정의 | 개인보다 공동체, 국가, 이념을 우선시하며 개인을 전체의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다. |
특징 | |
권력 | 모든 사회정치적 권력을 독재자가 가지며, 국가 정치와 국민을 지속적인 선전 캠페인으로 통제한다. |
통제 | 국가의 정치경제, 교육 시스템, 예술, 과학, 시민의 사생활과 도덕을 포함한 인간 생활의 대부분을 이념으로 통제한다. |
세계관 | 고정된 세계관을 가진다. |
지도자 | 카리스마 있는 독재자를 특징으로 한다. |
정치 체제 | 반대 정당을 금지하고 개인 및 단체의 정치적 주장을 묵살하며 사회의 공적 및 사적 영역을 통제하는 정치 체제이다. |
관련인물 | |
주요 지도자 | ![]() |
관련 개념 | |
권력 범위 | 지방 정부 단일 국가 국가 연합 연방제 국제 기구 |
권력자 수 | 다수파 지배 (민주주의, 폴리아키, 중우정치) 소수파 지배 (합의제, 과두제, 귀족제) 단독 지배 (군주제, 참주제, 독재 정치) |
경제적 분류 | 수렵 채집 사회(원시 공산제, 부족 제도) 봉건제(농본주의, 중상주의) 자유주의(야경 국가, 자본주의, 제국주의) 집산주의(사회주의, 공산주의, 파시즘, 통제 경제) |
권력자 종류 | 신권 정치 실력주의 무능력주의 카키스트크라시 군사 정권 국민 주권(사회 계약론) |
주요 대립축 | (주권) 군주제 대 공화제 (철학) 운명론 대 자유주의 (종교) 정교 일치 대 세속주의 (정치) 권위주의 대 민주주의 ([개인과 집단]) 집단주의 대 개인주의 (경제) 시장 경제 대 집산주의 (지리) 지역 대 글로벌 |
2. 유래 및 정의
전체주의(totalitarismo)라는 단어는 1923년에 조반니 아메놀라(Giovanni Amendola)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ja-4]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등장한 "총력전(total war)"이라는 용어에서 연상된 것으로 보인다.
조반니 젠틸레(Giovanni Gentile)는 자신을 전체주의자라고 칭했다. 1929년 11월 2일, '런던 포스트'는 베니토 무솔리니 체제하의 이탈리아를 최초로 '전체주의 국가'라고 불렀다. 1932년의 파시즘의 교리에서는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이 "전체주의"를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엔초 트라베르소(Enzo Traverso)는 저서 "전체주의"에서 "전체주의"라는 용어와 개념의 역사를 정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담는 "용기"로 기능했다고 기록했다.[ja-4]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 1923년, 조반니 아메놀라가 처음 사용한 "전체주의"는 반파시즘 진영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의 파시즘은 "전체주의 국가"(Stato totalitario)를, 독일의 보수 혁명은 카를 슈미트(Carl Schmitt)가 최초로 "전체 국가"(der totale Staat)를 제창했다.
- 1937년-1947년, "전체주의"는 스탈린주의에 대한 좌익의 비판으로 사용되었고,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의 비교 시도가 보편화되었다.
- 1947년-1968년, 파시즘 진영의 패전과 냉전의 시작으로 "전체주의"는 자유 세계 진영의 반공산주의 슬로건으로 널리 쓰였다.
- 1968년-1980년,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수용소 군도" 출판을 계기로 동유럽 망명자들이 재사용하게 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1920년대 초 "국가 안에 모든 것이 있고, 국가 밖에 아무것도 없으며, 국가에 반대하는 그 무엇도 없다"고 말했다. 이후 조반니 아멘돌라가 무솔리니와 그의 추종자들의 정치 현상을 묘사하기 위해 ‘토탈리타리스모’(Totalitarismo)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ko-1]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Vintage Books, Random House Inc.
전체주의에 대한 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활발해졌으며, 그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
미국 정부는 1950년부터 관변 학파인 〈전체주의 학파〉를 구성하여 기업가 및 경영인 단체를 중심으로 후원을 요청했다. 전체주의 학파는 전체주의를 연구·정의한다고 주장했지만,[ko-2]논문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ko-3]서적 How the Cold War Transformed Philosophy of Science: To the Icy Slope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그들의 분석은 학술적 근거보다는 정치적 논리에 기반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ko-4]서적 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전체주의 학파의 주장은 학술적 근거가 부족하고 자의적인 용어 정의가 많았지만, 1960년대 여러 사건으로 서구 사회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체제가 소극적인 의미에서 전체주의적 성격을 보인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후 냉전 시대에 제1세계에서는 주로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일본 제국과 함께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체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ko-2]논문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
반면 공산권에서는 전체주의가 파시즘과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었다.
칼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은 전체주의를 정치철학 및 인식 이론 관점에서 최초로 분석한 서적으로 평가받는다.[ko-5]서적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김영사
2. 1. 초기 사용
1923년, 무솔리니 정부(1922~1943) 초기 통치 시기에 반파시스트 학자 조반니 아멘돌라는 전체주의를 최고 지도자가 국가의 "일 두체"로서 모든 권력(정치, 군사, 경제, 사회)을 개인적으로 행사하는 "정부 체제"로 정의하고 설명한 최초의 이탈리아 지식인이었다. 이탈리아 파시즘은 권력 유지를 위해 권력을 가진 개인의 독재에 대한 현실 정치와는 달리 이념적이고 유토피아적인 세계관을 가진 정치 체제이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이탈리아 파시즘의 이론가인 조반니 젠틸레는 "두체" 무솔리니의 이탈리아에 대한 합법적, 불법적, 그리고 합법주의적인 사회 공학을 옹호하면서 이념적 용어인 "전체주의"와 "전체주의적인" 것에 정치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이데올로그로서 지식인 젠틸레와 정치인 무솔리니는 새로운 파시스트 이탈리아(1922~1943)의 사회 구조(정부, 사회, 경제, 정치)의 이념적 성격과 실질적인 목표(경제, 지정학, 사회)를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해 "totalitario"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국가의 총체적 대표이자 국가 목표의 총체적 지도"였다.[en-41]서적 The Middle East in Modern World History Routledge 이탈리아 파시즘의 전체주의 사회를 제안하면서 젠틸레는 전체주의 이념(국가에 대한 종속)이 이탈리아 사람들의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을 결정하는 시민 사회를 정의하고 설명했다.[en-11]서적 La dottrina del fascismo 1932 제국주의적 미래에 파시스트 유토피아를 달성하기 위해 이탈리아 전체주의는 인간의 존재를 국가에 대한 종속으로 정치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무솔리니는 이를 "국가 안의 모든 것, 국가 밖의 어떤 것도, 국가에 반대하는 어떤 것도 없다."라는 경구로 요약했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42]간행물 Afghanistan: Implications for Peace and Security 1981
한나 아렌트는 자신의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무솔리니의 독재 정권은 1938년까지 전체주의 정권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전체주의 운동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대중 동원을 수집하는 능력이라고 주장하면서 아렌트는 "모든 정치 집단은 비례적인 힘에 의존하는 반면, 전체주의 운동은 수의 힘에 너무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전체주의 정권은 인구가 비교적 적은 국가에서는 다른 유리한 환경에서도 불가능해 보입니다.... 심지어 '전체주의 국가'라는 용어를 매우 좋아했던 무솔리니조차도 완전한 전체주의 정권을 수립하려 하지 않고 독재와 일당제에 만족했습니다."라고 했다. 예를 들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여전히 명목상의 국가 원수로 군림했고 1943년 무솔리니 해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가톨릭 교회는 1929년 라테란 조약에 따라 교황 비오 11세(1922~1939)와 교황 비오 12세(1939~1958)의 지도하에 바티칸 시국에서 종교적 권위를 독립적으로 행사할 수 있었다.
영어에서 "전체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사람 중 한 명은 1938년 저서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에서 소련과 독일 독재 정권이 분열시키는 것보다 더 많이 통합했다고 논평한 오스트리아 작가 프란츠 보르케나우였다.[en-43]서적 War at the top of the World Routledge "전체주의"라는 딱지는 윈스턴 처칠이 영국 하원 앞에서 1938년 10월 5일에 한 연설에서 뮌헨 협정에 반대하여 나치 독일에 두 번 붙여졌다. 프랑스와 영국은 이 협정으로 나치 독일의 주데텐란트 합병에 동의했다.[en-44]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Vintage Books, Random House 처칠은 당시 에핑 선거구를 대표하는 평의원 국회의원이었다. 2주 후 라디오 연설에서 처칠은 다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번에는 "공산주의 또는 나치 폭정"에 이 개념을 적용했다.[en-45]서적 Fascism: Comparison and Defini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0
역사적인 스페인 반동주의 정당인 스페인 자율권 연맹(CEDA)의 지도자인 호세 마리아 길로블레스 이 키뇨네스는 "스페인에 진정한 통일, 새로운 정신, 전체주의적 정치 체제를 부여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민주주의는 목적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를 정복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때가 되면 스페인 의회는 복종하거나 우리가 그것을 제거할 것입니다."[en-47]간행물 Review of ''End and Beginnings'' 1982-12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은 스페인에 경쟁적인 우익 정당이 있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CEDA는 1937년 4월에 해산되었다. 나중에 길로블레스는 망명했다.[en-48]연설 The Munich Agreement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20-08-07
스페인 내전(1936~1939)에서 싸우고 부상당하고 살아남음으로써 정치적으로 성숙해진 사회주의자 조지 오웰은 에세이 "내가 쓰는 이유"(1946)에서 "1936~37년의 스페인 전쟁과 기타 사건들이 판도를 바꾸었고 그 이후로 나는 내가 어디에 서 있는지 알았습니다. 1936년 이후로 내가 쓴 모든 진지한 작품은 직간접적으로 전체주의에 반대하고 내가 이해하는 민주적 사회주의를 위해 쓰여졌습니다."라고 했다. 미래의 전체주의 정권은 사회를 감시하고 대중 매체를 사용하여 독재를 영속시킬 것이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원한다면 영원히 인간의 얼굴을 짓밟는 부츠를 상상하십시오."라고 했다.[en-49]연설 Broadcast to the United States and to London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20-08-07
제2차 세계 대전(1937~1945)의 여파로 영국 역사가 E. H. 카는 1945년 강연 시리즈와 1946년 저서 ''서방 세계에 대한 소비에트의 영향''에서 탈식민지화되는 유라시아 국가들에서 "개인주의에서 전체주의로 향하는 추세가 도처에서 분명하다"고 말했다. 프롤레타리아 혁명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소련의 소련의 산업화(1929~1941)와 나치 독일을 물리친 대조국전쟁(1941~1945)으로 입증된 바와 같이 가장 성공적인 유형의 전체주의였다. 사회 공학과 전쟁에서의 그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공산권 국가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눈멀고 불치의" 이데올로그만이 공산주의 정권의 사회에서 경찰 국가 전체주의로 향하는 추세를 무시할 수 있었다.[en-50]
'''전체주의'''(totalitarismo)라는 단어는 1923년에 조반니 아메놀라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ja-4]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등장한 "총력전"이라는 용어의 연상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조반니 젠틸레는 전체주의자를 자칭했다. 1929년 11월 2일 '런던 포스트'는 베니토 무솔리니 체제하의 이탈리아를 최초로 '전체주의 국가'라고 불렀다. 1932년의 파시즘의 교리에서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가 "전체주의"를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엔초 트라베르소는 저서 "전체주의"에서 "전체주의"라는 용어와 개념의 역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다른 개념을 담는 "용기"로 기능했다고 기록했다.[ja-4]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 1923년, 조반니 아메놀라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된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반파시즘 진영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의 파시즘은 "전체주의 국가"(Stato totalitario)를, 독일의 보수 혁명은 카를 슈미트가 최초로 "전체 국가"(der totale Staat)를 제창했다.
- 1937년-1947년,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스탈린주의에 대한 좌익으로부터의 비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의 비교 동렬시도 보편화되었다.
- 1947년-1968년, 파시즘 진영의 패전과 냉전의 발발로 인해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자유 세계 진영으로부터의 반공산주의 슬로건으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 1968년-1980년,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수용소 군도" 출판을 계기로 동유럽으로부터의 망명자가 재사용하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독재자였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1920년대 초반에"국가 안에 모두가 있고, 국가 밖에는 아무도 존재하지 않으며, 국가에 반대하는 그 누구도 존재하지 않는 것(Tutto nello Stato, niente al di fuori dello Stato, nulla contro lo Stato.)"이라고 기술했다. 이후 이탈리아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인 조반니 아멘돌라가 무솔리니와 그의 추종자들의 정치 현상을 묘사하기 위해 최초로 ‘토탈리타리스모’(Totalitarismo)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ko-1]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Vintage Books, Random House Inc.
2. 2. 학문적 정의
1923년, 무솔리니 정부(1922~1943) 초기 통치 시기에 반파시스트 학자 조반니 아멘돌라(Giovanni Amendola)는 전체주의를 최고 지도자가 국가의 "일 두체(Il Duce)"로서 모든 권력(정치, 군사, 경제, 사회)을 개인적으로 행사하는 "정부 체제"로 정의하고 설명한 최초의 이탈리아 지식인이었다. 이탈리아 파시즘은 권력 유지를 위해 권력을 가진 개인의 독재에 대한 현실 정치(Realpolitik)와는 달리 이념적이고 유토피아적인 세계관을 가진 정치 체제이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
나중에, 이탈리아 파시즘의 이론가인 조반니 젠틸레(Giovanni Gentile)는 "두체" 무솔리니의 이탈리아에 대한 합법적, 불법적, 그리고 합법주의적인 사회 공학을 옹호하면서 이념적 용어인 "전체주의"와 "전체주의적인" 것에 정치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이데올로그로서 지식인 젠틸레와 정치인 무솔리니는 새로운 파시스트 이탈리아(1922~1943)(Fascist Italy (1922–1943))의 사회 구조(정부, 사회, 경제, 정치)의 이념적 성격과 실질적인 목표(경제, 지정학, 사회)를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해 "totalitario"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국가의 총체적 대표이자 국가 목표의 총체적 지도"였다.[en-41]서적 The Middle East in Modern World History Routledge 이탈리아 파시즘의 전체주의 사회를 제안하면서 젠틸레는 전체주의 이념(국가에 대한 종속)이 이탈리아 사람들의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을 결정하는 시민 사회를 정의하고 설명했다.[en-11]서적 La dottrina del fascismo 1932 제국주의적 미래에 파시스트 유토피아를 달성하기 위해 이탈리아 전체주의는 인간의 존재를 국가에 대한 종속으로 정치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무솔리니는 이를 "국가 안의 모든 것, 국가 밖의 어떤 것도, 국가에 반대하는 어떤 것도 없다."라는 경구로 요약했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42]간행물 Afghanistan: Implications for Peace and Security 1981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자신의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에서 무솔리니의 독재 정권은 1938년까지 전체주의 정권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전체주의 운동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대중 동원을 수집하는 능력이라고 주장하면서 아렌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모든 정치 집단은 비례적인 힘에 의존하는 반면, 전체주의 운동은 수의 힘에 너무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전체주의 정권은 인구가 비교적 적은 국가에서는 다른 유리한 환경에서도 불가능해 보입니다.... 심지어 '전체주의 국가'라는 용어를 매우 좋아했던 무솔리니조차도 완전한 전체주의 정권을 수립하려 하지 않고 독재와 일당제에 만족했습니다."
예를 들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Victor Emmanuel III)는 여전히 명목상의 국가 원수(figurehead)로 군림했고 1943년 무솔리니 해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가톨릭 교회는 1929년 라테란 조약(Lateran Treaty)에 따라 교황 비오 11세(Pope Pius XI)(1922~1939)와 교황 비오 12세(Pope Pius XII)(1939~1958)의 지도하에 바티칸 시국에서 종교적 권위를 독립적으로 행사할 수 있었다.
영어에서 "전체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사람 중 한 명은 1938년 저서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에서 소련과 독일 독재 정권이 분열시키는 것보다 더 많이 통합했다고 논평한 오스트리아 작가 프란츠 보르케나우(Franz Borkenau)였다.[en-43]서적 War at the top of the World Routledge "전체주의"라는 딱지는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이 영국 하원(House of Commons of the United Kingdom) 앞에서 1938년 10월 5일에 한 연설에서 뮌헨 협정(Munich Agreement)에 반대하여 나치 독일에 두 번 붙여졌다. 프랑스와 영국은 이 협정으로 나치 독일의 주데텐란트 합병에 동의했다.[en-44]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Vintage Books, Random House 처칠은 당시 에핑 선거구(Epping (UK Parliament constituency))를 대표하는 평의원(backbencher) 국회의원이었다. 2주 후 라디오 연설에서 처칠은 다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번에는 "공산주의 또는 나치 폭정"에 이 개념을 적용했다.[en-45]서적 Fascism: Comparison and Defini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0
역사적인 스페인 반동주의(reactionary) 정당인 스페인 자율권 연맹(Spanish Confederation of the Autonomous Right)(CEDA)의 지도자인 호세 마리아 길로블레스 이 키뇨네스(José María Gil-Robles y Quiñones)는 "스페인에 진정한 통일, 새로운 정신, 전체주의적 정치 체제를 부여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민주주의는 목적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를 정복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때가 되면 스페인 의회(Cortes Generales)는 복종하거나 우리가 그것을 제거할 것입니다."[en-47]간행물 Review of ''End and Beginnings'' 1982-12 프란시스코 프랑코(Francisco Franco) 장군은 스페인에 경쟁적인 우익 정당이 있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CEDA는 1937년 4월에 해산되었다. 나중에 길로블레스는 망명했다.[en-48]연설 The Munich Agreement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20-08-07
스페인 내전(Spanish Civil War)(1936~1939)에서 싸우고 부상당하고 살아남음으로써 정치적으로 성숙해진 사회주의자 조지 오웰은 에세이 "내가 쓰는 이유(Why I Write)"(1946)에서 "1936~37년의 스페인 전쟁과 기타 사건들이 판도를 바꾸었고 그 이후로 나는 내가 어디에 서 있는지 알았습니다. 1936년 이후로 내가 쓴 모든 진지한 작품은 직간접적으로 전체주의에 반대하고 내가 이해하는 민주적 사회주의(democratic socialism)를 위해 쓰여졌습니다." 미래의 전체주의 정권은 사회를 감시하고 대중 매체를 사용하여 독재를 영속시킬 것이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원한다면 영원히 인간의 얼굴을 짓밟는 부츠를 상상하십시오."[en-49]연설 Broadcast to the United States and to London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20-08-07
제2차 세계 대전(1937~1945)의 여파로 영국 역사가 E. H. 카(E. H. Carr)는 1945년 강연 시리즈와 1946년 저서 ''서방 세계에 대한 소비에트의 영향''에서 탈식민지화(Decolonization)되는 유라시아 국가들에서 "개인주의에서 전체주의로 향하는 추세가 도처에서 분명하다"고 말했다. 프롤레타리아 혁명(proletarian revolution)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소련의 소련의 산업화(Industrialization in the Soviet Union)(1929~1941)와 나치 독일을 물리친 대조국전쟁(Great Patriotic War)(1941~1945)으로 입증된 바와 같이 가장 성공적인 유형의 전체주의였다. 사회 공학과 전쟁에서의 그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공산권 국가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눈멀고 불치의" 이데올로그만이 공산주의 정권의 사회에서 경찰 국가 전체주의로 향하는 추세를 무시할 수 있었다.[en-50]
1950년대 후반 미국의 지정학에서,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Carl Joachim Friedrich)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Zbigniew Brzezinski)의 저서 『전체주의 독재와 전제정치』(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1956)에 제시된 "전체주의", "전체주의적인" 및 "전체주의 모델"이라는 개념과 용어는 미국의 외교 정책 담론에서 일반적인 용법이 되었다. 이후 확립된 "전체주의 모델"은 단일적인 경찰 국가인 소련에 대한 학문적 연구인 크렘린학의 분석 및 해석적 패러다임이 되었다. 크렘린학자들은 정책(국내 및 외교)을 수립하는 정치국의 내부 정치(정책 및 성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소련을 다루기 위한 전략 정보를 얻었다. 더욱이 미국은 바나나 공화국 국가와 같은 파시스트 전체주의 정권에 대처할 때도 전체주의 모델을 사용했다.[en-55]서적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반공주의 정치학자로서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는 6가지 상호 연관되고 상호 지지하는 특징의 단일 전체주의 모델로 전체주의를 설명하고 정의했다.
# 정교한 지도 이념.
# 일당제 국가
# 국가 테러
# 무기 독점 통제
# 대중 커뮤니케이션 매체 독점 통제
# 중앙에서 지시하고 통제하는 계획 경제[en-56]None
'''전체주의'''(totalitarismo)라는 단어는 1923년에 조반니 아메놀라(Giovanni Amendola)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ja-4]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등장한 "총력전(total war)"이라는 용어의 연상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조반니 젠틸레(Giovanni Gentile)는 전체주의자를 자칭했다. 1929년 11월 2일 '런던 포스트'는 베니토 무솔리니 체제하의 이탈리아를 최초로 '전체주의 국가'라고 불렀다. 1932년의 파시즘의 교리(ザ・ドクトリン・オブ・ファシズム)에서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가 "전체주의"를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엔초 트라베르소(Enzo Traverso)는 저서 "전체주의"에서 "전체주의"라는 용어와 개념의 역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다른 개념을 담는 "용기"로 기능했다고 기록했다.[ja-4]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 1923년, 조반니 아메놀라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된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반파시즘 진영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의 파시즘은 "전체주의 국가"(Stato totalitario)를, 독일의 보수 혁명은 카를 슈미트(Carl Schmitt)가 최초로 "전체 국가"(der totale Staat)를 제창했다.
- 1937년-1947년,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스탈린주의에 대한 좌익으로부터의 비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의 비교 동렬시도 보편화되었다.
- 1947년-1968년, 파시즘 진영의 패전과 냉전의 발발로 인해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자유 세계 진영으로부터의 반공산주의 슬로건으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 1968년-1980년,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수용소 군도(収容所群島)" 출판을 계기로 동유럽으로부터의 망명자가 재사용하게 되었다.
전체주의에 대한 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루어졌는데, 그 정의는 각 학자마다 다르다.
미국 정부는 1950년부터 관변 학파인 〈전체주의 학파〉를 구성하고, 기업가 및 경영인 단체를 중심으로 이들을 후원할 것을 요청했다. 전체주의 학파는 전체주의를 연구·정의라고 주장하였다.[ko-2]논문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ko-3]서적 How the Cold War Transformed Philosophy of Science: To the Icy Slope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그러나, 전체주의 학파가 제공하는 전체주의 분석은 학술적인 근거보다는 정치적 논리 위에 서 있었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ko-4]서적 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전체주의 학파의 주장은 학술적 근거가 빈약했고, 자의적인 용어 정의가 심하였으나, 1960년대의 여러 사태에 따라 서구 사회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체제가 소극적인 의미에서 전체주의적 성격을 보인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후 냉전 시기 제1세계(미국·영국·프랑스 등의 자본주의 진영)에서는 주로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일본 제국의 정체(政體)와 더불어,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쓰였다.[ko-2]논문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
반면 공산권에서 전체주의는 파시즘과 동의어로 쓰였으며, 대중적으로 쓰이는 용어가 아니었다.
전체주의를 정치철학 및 인식 이론 관점에서 최초로 파악한 서적은 칼 포퍼의 『열린 사회와 그 적들』(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이 있다.[ko-5]서적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김영사
2. 2. 1.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노예의 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노예의 길』(Der Weg zur Knechtschaftde)에서 전체주의 경제 구조의 형태와 역할을 서술했다. 여기서 'Knechtschaft'는 예속을 의미하며, 영어권에서는 농노를 뜻하는 ‘Serfdom’으로 번역되었다. 하이에크가 묘사한 전체주의 국가의 국민은 노예보다는 농노에 가깝기 때문이다.하이에크는 유럽 사회가 정치적으로는 자유를 보장하지만, 경제적으로는 집산주의(Kollektivismus)를 채택하여 정치적 자유까지 없애려 한다고 비판했다. 경제적 집산주의는 경제적 오류와 붕괴를 야기하고, 정부는 급진적인 집산주의 정책을 실행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 결국 경제 구조의 붕괴로 이어진 국가는 대중에게 이데올로기를 심어주고, 대중을 정치·경제적 불구자로 만든다. 하이에크는 집산주의가 정치적 자유를 소멸시키는 전체주의 관념이라고 주장했다.[ko-6]서적 The Road to Serf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또한, 하이에크는 집산주의 국가의 계획 경제 정책이 비민주적이라고 지적했다. 계획 경제는 국민의 생산 수단을 정부가 집산화해야 하므로 국민의 재산권을 박탈한다. 이러한 재산권 박탈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장되어 ‘복지 사회’ 건설을 위한 방편으로 선전된다.[ko-7]서적 그러나 하이에크는 이를 전체주의적 선동이라고 비판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평등은 자유와 함께할 때 의미가 있으며, 자유와 평등은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 하이에크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민주주의의 근본적인 이유로 제시했다. 자유로운 경쟁에 기초한 시장 질서 속에서 재원을 마련해야 평등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ko-8]서적
하이에크는 집산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이데올로기화된 국가를 ‘사회주의 국가’라고 정의했다. 사회주의 국가는 평등을 위해 인권을 파괴하므로 평등을 달성할 수 없다. 공산주의자들의 인권 경시는 정권 유지를 위해 ‘평등’이라는 가치를 파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하이에크는 사회주의 정부가 자유도, 평등도 이룰 수 없으며, 남는 것은 빈곤, 억압, 폭력과 거짓에 기초한 망상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주의 국가를 전체주의 국가라고 규정했으며, 나치 정권 역시 경제 영역에 통제를 가하는 전체주의 정권이므로 사회주의 정권이라고 보았다.[ko-9]서적
2. 2. 2. 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전체주의의 일종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전체주의의 핵심을 역사주의와 독단주의로 보았으며, 그 기원을 플라톤에게서 찾았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현상계와 절대계를 분리하여 사고할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독단주의의 기원이 되었다.[ko-10]웹인용 The Open Society & its Enemies Routledge 2018-03-19[ko-11]서적 The Hegel Myths and Legend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칼 포퍼는 플라톤의 철학이 중세 시대를 거쳐 헤겔에 의해 부활했으며, 카를 마르크스가 헤겔의 교의를 인간 세계 내부로 확장시켜 실천의 정당성을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포퍼는 마르크스를 근대 전체주의 사고의 태두로 지목하며, 소비에트 연방을 가장 강력한 전체주의 정권으로 보았다.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 역시 전체주의 국가였으나 이론적 정교함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ko-12]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칼 포퍼는 인간의 불완전함과 인식 능력의 한계를 강조하며, 사회는 지속적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완벽한 사회를 추구하는 완벽주의가 역사주의와 독단주의를 낳고, 결국 전체주의로 이어진다고 보았다.[ko-13]서적 The Open Philosophy and the Open Society: A Reply to Dr. Karl Popper's Refutations of Marxism International Publishers 이러한 이데올로기로 뭉쳐진 사회를 ‘닫힌 사회’라고 규정하고,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모든 관점을 열어놓는 사회를 ‘열린 사회’라고 정의했다.
포퍼는 나치 정권은 감정적이고 철학적 기반이 약한 전체주의 정권인 반면, 소비에트 연방은 마르크스의 교의를 엄격히 고수하는 정권으로 이론적 정교함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따라서 그는 진정한 전체주의적 열망을 가진 정권은 소비에트 연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칼 포퍼의 비판이 전체주의 현상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이라는 점에서는 탁월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몰이해에 기초한 비판이라는 단점도 있다고 지적한다.[ko-14]서적 Capital Volume 1 Penguin 마르크스주의자인 에르네스트 만델은 칼 포퍼가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에 무지하다고 비판했다.[ko-15]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nnah Arend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2. 3.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공산주의나 마르크스주의, 특히 소비에트 연방의 일당 독재 체제를 "전체주의"로 보는 견해가 있다.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전체주의의 일종이라고 비판했다. 한나 아렌트는 1951년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파시즘과 국가사회주의를 "전체주의"로 규정했지만, 이들 모두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술했다.프랑크푸르트 학파 출신의 프란츠 보르케나우는 저서 「전체주의라는 적」에서 파시즘과 공산주의의 실질적인 동일성을 기술하며 러시아를 "붉은 파시즘", 나치 독일을 "갈색의 볼셰비즘"이라고 불렀다.[ja-7]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우익과 좌익 모두 겉보기에는 정반대로 보이는 정치사상도 실은 같은 전체주의라고 말했다.
유럽 평의회 의회는 2006년 1월 25일의 1481호 결의에서 "20세기에 휩쓸고 현재에도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권력을 쥐고 있는 '''전체주의'''적인 공산주의 정권은 예외 없이 대규모 인권 침해를 자행해 왔다. 여기에는 강제 수용소, 인위적인 기근, 고문, 노예 노동 및 기타 조직적인 폭력에 의한 개인 및 집단의 살해 외에도 민족적 또는 종교적 박해, 양심이나 사상을 표명할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 보도 자유 침해, 정치적 다원주의 결여 등이 포함된다." "전체주의적 공산주의 체제에서의 범죄는 계급 투쟁 이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원칙이라는 이름 아래 정당화되었다. 공산주의의 적으로 배제된 엄청난 수의 희생자는 자국민이었다." "이러한 범죄는 나치즘의 범죄처럼 국제 사회에 의해 아직 심판받지 못했다. 그 결과 공산주의 정권의 범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매우 미흡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공산당이 합법 정당이며 활동적인 경우도 있다." "유럽 평의회는 공산주의 체제의 범죄를 강력히 비난하는 동시에 공산주의 체제의 희생자의 고통에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이 윤리적인 책무라고 생각한다."라고 결의했다.[ja-8]간행물 Resolution 1481 (2006):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6-01-25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전체주의가 갖는 여러 가지 특징을 규정하였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ko-16]서적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 대중의 열의를 쉬운 개념으로 묶어서 간단하게 보이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계획도 표어화하여 대중을 동원한다.
- 스스로의 집단이 유일하며, 특수한 역사적 사명감을 지녔으며, 대중이 '커다란 사건'에 참여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 생활의 모든 부분을 통제할 수 있는 유능한 비밀경찰을 운영한다.
- 대중이 주도하는 폭력적 사고와 직접 행위가 일상적인 것으로 되며, 정부가 이것을 장려한다.
이 상태에서 대중은 스스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민주적 주체가 아닌, 거대한 계획을 이루기 위해 움직여지는 도구가 되며, 스스로가 이러한 도구가 되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이게 된다. 아렌트는 이 전체주의가 갖는 세 가지 특징이 근대 이후에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으며, 전근대에도 있었던 대중의 열의 및 정치 지도자들의 행동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다. 아렌트는 파시스트 이탈리아, 나치 독일, 볼셰비키 정권을 위 특징을 갖춘 정권이라고 판단했다.[ko-16]서적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2. 2. 4.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 『전체주의 독재와 전제 정치』
1950년대 후반 미국의 지정학에서,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저서 『전체주의 독재와 전제정치』(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1956)에 제시된 "전체주의", "전체주의적인" 및 "전체주의 모델"이라는 개념과 용어는 미국의 외교 정책 담론에서 일반적인 용법이 되었다. 이후 확립된 "전체주의 모델"은 단일적인 경찰 국가인 소련에 대한 학문적 연구인 크렘린학의 분석 및 해석적 패러다임이 되었다. 크렘린학자들은 정책(국내 및 외교)을 수립하는 정치국의 내부 정치(정책 및 성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소련을 다루기 위한 전략 정보를 얻었다. 더욱이 미국은 바나나 공화국 국가와 같은 파시스트 전체주의 정권에 대처할 때도 전체주의 모델을 사용했다.[en-55]서적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반공주의 정치학자로서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는 6가지 상호 연관되고 상호 지지하는 특징의 단일 전체주의 모델로 전체주의를 설명하고 정의했다.- 정교한 지도 이념.
- 일당제 국가
- 국가 테러
- 무기 독점 통제
- 대중 커뮤니케이션 매체 독점 통제
- 중앙에서 지시하고 통제하는 계획 경제[en-56]None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전체주의 독재와 전제 정치』에서 전체주의 독재의 여섯 가지 특징을 나열하고, 그것이 전제 정치(Autocracy)와 어떻게 다른지 서술하였다. 칼 프리드리히가 요약한 전체주의 정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ko-17]서적 From Fascism to Populism in History Univ of California Press
- 유일 사상이 존재한다.
- 유일 합법 정당이 존재한다.
- 비밀경찰에 의한 테러 정치가 이루어진다.
- 정비된 무기에 관한 독점이 이루어진다.
- 문화 및 미디어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가 이루어진다.
- 국가 계획에 의한 통제 경제가 이루어진다.
전체주의 독재는 전제 정치와 다르다. 전제 정치는 한 개인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이며, 개인이 무제약적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이다. 이러한 정치 상태에서 정권의 개체는 일인 권력자에게 정치적 도전을 행하지 않는 이상 일정 자유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전제 정치에서 권력자는 사회 전체 구조를 변혁하려고 하지 않으며, 특정한 이데올로기를 성립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전체주의 독재는 사회의 전(全) 요소를 특정 집단, 특정 이데올로기에 맞게 재구조화하려고 한다.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의 정의는 냉전 시기 ‘자유 진영’이라고 불리는 집단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전체주의’에 대한 정의였다.[ko-17]서적 From Fascism to Populism in History Univ of California Press
2. 2. 5. 프랑수아 퓌레, 『혁명』
프랑수아 퓌레는 자신의 저서 『혁명』에서 프랑스 혁명을 최초의 ‘전체주의 혁명’이라고 칭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는 프랑스 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으로 보지만, 퓌레는 자코뱅 클럽 산악파 정권이 폭력과 억압을 수반하는 전체주의 정권이었다고 해석한다. 그는 “전체주의는 폭력과 계획을 통해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이상가들의 사고로부터 시작된다.”는 전제하에 산악파 주도의 프랑스 혁명을 최초의 실례로 보았다. 또한 볼셰비키 정부(소비에트 연방)를 두 번째 전체주의 정부로 지적했으며, 파시즘 역시 전체주의의 일종으로 보았다.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파시즘을 전체주의 쌍둥이(jumeaux totalitaires프랑스어)라고 칭하며, 정교한 계획에 기반한 볼셰비키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전체주의 사상의 대표로 보았다.[ko-18]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2. 2. 6. 이사야 벌린, 『자유론』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의 『자유론』은 본래 1968년에 쓰여진 『자유에 관한 네 가지 에세이들』(Four Essays on Liberty)의 개정판으로, 그의 사후에 출간되었다. 그는 『자유에 관한 네 가지 에세이들』을 통하여 자유주의에 상반되는 원리를 전체주의라 정의한 다음, 자유주의와 전체주의의 차이 본질을 이 두 사상이 내포한 인식 이론의 차이로 설명하였다.[ko-19]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이사야 벌린은 자유주의 철학의 본질은, 모든 것을 결정하는 단 하나의 본질은 없으며, 각각의 개성 또는 특성 자체가 각각의 본질의 역할을 한다는 다원론(Pluralism)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다원론의 시초는 고대 그리스 시기에 등장한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고르기아스(Gorgias), 데모크리토스(Demokritos)이며 이들은 모두 아테네 민주주의를 옹호하였고 독단주의에 반대했다.[ko-19]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반면, 자유주의와 달리 전체주의는 단 하나의 본질이 모든 것을 결정하며, 진리는 하나 뿐이라는 일원론(Monism)을 신봉한다. 일원론에 따라 전체주의는 명확한 진리에 접근하고자 하며, 당연히 개인, 국가, 사회, 문화 차원에 있어서도 진리에 더더욱 근접한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사야 벌린이 지적한 학자로는 피타고라스(Pythagoras), 파르메니데스(Parmenides), 플라톤(Platon) 등이 있으며, 이후 등장한 스토아 학파와 신플라톤주의 학파도 또한 전체주의의 맹아에 속한다고 보았다. 벌린은 단 하나의 진리가 있다는 믿음, 그 진리가 인간 세계에 어떠한 형태로든 관여한다는 믿음, 마지막으로 이 진리를 인간이 터득할 수 있다는 믿음이라는 세 가지 믿음이 인간을 ‘정교한 통제’, ‘전체적 억압’, ‘무자비한 파괴’, ‘현자의 독재’에 기초한 변화를 발전된 것으로 여기게 만든다고 보았다.[ko-20]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이어서 벌린은 칼 포퍼와 비슷하게 역사주의가 전체주의 담론이라고 분석했다. 벌린에게 있어서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 아닌, 변화하는 것일 뿐이다. 그는 열등한 역사 단계도, 우등한 역사 단계도 없다고 분석했다. 『자유에 관한 네 가지 에세이들』의 전체적인 내용의 핵심은 전체주의가 어떠한 정치 체계가 아닌, 인식 이론의 관점으로부터 나오는 철학적 산물이라는 것이다.[ko-20]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이어서 이사야 벌린은 근대 철학으로 눈길을 돌린다. 그는 20세기 전반에 등장한 전체주의 국가 성립의 근원을 ‘세련된 일원론’에서 찾았는데, 이러한 ‘세련된 일원론’이 바로 근대 철학에 등장했다고 본 것이다. 그는 이러한 전체주의·일원론의 시조로 바뤼흐 스피노자(Baruch Spinoza), 프리드리히 빌헬름 셸링(Friedrich Wilhelm Schelling), 게오르크 헤겔을 지적했다. 벌린이 보기에 이들은 전체주의의 시원적 개념을 제공한 ‘세련된 일원론자’이다.[ko-21]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이사야 벌린은 칼 포퍼가 그러했던 것처럼 마르크스와 레닌이 일원론을 발전시켜서 전체주의 독재를 합리화하고 민주, 법치, 자유를 말살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따라서 이사야 벌린은 냉전 시기의 자유 진영을 지지하였고,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 사이의 대결을 다원주의와 일원주의의 대결이라고 분석하였다. 벌린은 자유 진영을 지지하는 다른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파시즘과 나치즘을 ‘전체주의적 현상’의 일종이라고 보긴 하였으나, 이것을 전체주의를 대표하는 사상이라고 보지 않았다. 이사야 벌린이 보기에 파시즘과 나치즘은 일원론이 아니며, 어떠한 철학적 형태의 인식 이론이 없는 것이었다. 벌린은 파시즘과 나치즘을 ‘기반이 없는 전체주의’로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이 둘은 다분히 감정적이며 일시적인 ‘전체주의적 현상’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플라톤주의, 스토아 학파, 공산주의 등은 전체주의적 현상이 아닌 전체주의 그 자체라고 하였다.[ko-21]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3. 역사적 배경
우파적 관점에서 정치적 전체주의는 모더니즘의 산물이며, 칼 포퍼는 이것이 인본주의 철학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플라톤의 "국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국가를 민족의 정치체로 보는 개념, 그리고 19세기 카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en-8]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8-17 그러나 일부 역사가와 철학자들은 플라톤이 주권 국가를 발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포퍼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다.[en-9]서적 Plato's Modern Enemies and the Theory of Natural Law University of Chicago Press[en-10]서적 In Defense of Plato Russell and Russell
20세기 초, 조반니 젠틸레는 이탈리아 파시즘을 전체주의적 이데올로기로 제시하며, 파시스트 국가가 국민 전체의 삶을 해석하고 발전시킨다고 주장했다.[en-11]서적 La dottrina del fascismo 1932 1920년대 독일에서는 카를 슈미트가 젠틸레의 파시스트 철학을 총통 원리 이데올로기에 통합했다. 테오도어 W.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전체주의의 기원을 계몽주의 시대의 인간 중심주의적 명제에서 찾았다.[en-12]영어 서적 Dialectic of Enlightenmen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1-08-17
윌리엄 루빈스타인은 전체주의 시대에 홀로코스트, 공산주의 정권 하의 대량 학살, 나치 독일의 대량 학살, 아르메니아인 학살 등이 발생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엘리트 구조와 정부 형태가 붕괴된 데서 기인한다고 주장했다.[en-13]서적 Genocide: a history Pearson Education
레닌이 전체주의 모델의 주권 국가를 처음 수립한 정치인이라는 주장이 있으며,[en-16]서적 Totalitarianisms: The Closed Society and Its Friends. A History of Crossed Languages Ed. Universidad de Cantabria 2022-04-17[en-17]서적 Lenin and the Twentieth Century: A Bertram D. Wolfe Retrospective Hoover Press 2022-04-17[en-18]서적 Resolutions and Decision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Volume 2: The Early Soviet Period 1917–1929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04-17 베니토 무솔리니는 자신의 독재 정권이 파시스트 이탈리아를 대표적인 '전체주의 국가'로 만들었다고 말했다.[en-19]간행물 Remembering Mussolini Wilson Quarterly 2022-04-24 카를 슈미트는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서 ''der Totalstaat''(전체 국가)라는 용어를 사용해 독일 전체주의 국가의 정당성을 확립했다.[en-20]서적 Der Begriff des Politischen Rutgers University Press 192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전체주의' 개념이 정치 담론에 포함되었으며, 매카시즘 정치인들은 좌파 전체주의가 서구 문명에 대한 위협이라고 주장하며 냉전을 정당화했다.[en-21]서적 The Totalitarian Paradigm After the End of Communism: Towards a Theoretical Reassessment Rodopi[en-22]서적 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Columbia University Press[en-23]서적 How the Cold War Transformed Philosophy of Science: To the Icy Slope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en-24]서적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 Routledge[en-25]서적 Politics and the Novel during the Cold War Transaction Publishers 2020-11-22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나치즘과 소비에트 공산주의를 새로운 형태의 전체주의 정부라고 규정했다. 그녀는 전체주의 정권이 대중에게 심리적 편안함을 제공하며, 나치즘은 인종 갈등의 역사, 마르크스-레닌주의는 계급 갈등의 역사라고 주장한다고 분석했다.[en-51]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nnah Arend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에릭 호퍼는 《맹신자: 대중 운동의 본질에 대한 고찰》에서 파시즘, 나치즘, 스탈린주의가 자신들의 사회를 문화적으로 우월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정치 운동이 사람들에게 영광스러운 미래를 약속하며, 정치적 신념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점이 정서적 피난처를 제공한다고 보았다.[en-52]서적 The True Believer: Thoughts on the Nature of Mass Movements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2002
폴 하네브링크는 1933년 히틀러의 권력 장악 이후 유럽 기독교인들이 반공주의를 두려워했으며, 우익 전체주의 정권은 기독교인들에게 공산주의를 세속적 유물론의 극치로 세뇌시켰다고 주장했다.[en-53]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유럽의 반공주의 기독교인들은 공산주의를 도덕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파시스트 및 나치와 협력했다.[en-54]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역사적으로 플라톤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로 여겼고,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자코뱅파가 공포정치를 행했지만, 당시에는 "전체주의"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았다. 19세기 후반 사회 문제에 대한 자유주의 국가의 무능함으로 인해 카를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했으며,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일당독재제가 탄생했다. 스탈린주의는 극단적인 개인 숭배와 공포 정치, 대숙청을 자행했다.
이탈리아 왕국에서는 파시즘이, 독일국에서는 나치즘이 정권을 잡았으며, 일본이나 프랑코 체제 하의 스페인, 에스타도 노보의 포르투갈 등 권위주의 체제도 전체주의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3. 1. 현대적 배경
현대 정치학에서는 정부 체제를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en-3]서적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Regimes Lynne Rienner Publisher 2000[en-4]서적 Reader's Guide to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4-02-03 정치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전체주의 정부 체제의 기능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모든 반대(개인 및 집단)에 대한 정치적 탄압, 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 공식적인 경제적 개입주의(통제된 임금 및 가격), 모든 대중 매체(언론, 교과서,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에 대한 공식적인 검열, 공공장소에 대한 공식적인 대규모 감시-경찰 활동 및 국가 테러.[en-1]서적 Reflections on a Ravaged Century Norton 미국의 정치학자 루돌프 룸멜은 "전체주의 국가에서의 대량학살: 사망정치와 대량살인자들"(1994)에서 전체주의 국가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전체주의 국가는 헌법적으로나 사회의 견제 세력(교회, 시골 귀족, 노동조합 또는 지역 권력과 같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정부 시스템을 가진 국가이다. 주기적인 비밀 투표와 경쟁적인 선거를 통해 대중에게 책임을 지지 않으며, 가족, 종교, 교육, 사업, 사유 재산 및 사회 관계를 포함한 사회의 모든 측면을 통제하기 위해 무제한적인 권력을 사용한다.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 연방, 마오쩌둥의 중국, 폴 포트의 캄보디아,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 그리고 네윈의 버마 등이 전체주의적이었다.[en-6]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en-7]간행물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Sage Publications 2010-01
전체주의는 전체주의 정부가 그 목적을 실현하는 기관인 정치 이념이다. 따라서 전체주의는 버마의 국가 사회주의, 구 동독의 마르크스-레닌주의, 그리고 나치즘과 같은 이념을 특징짓는다. 1978~79년 이란 혁명 이후 혁명적인 무슬림 이란조차도 전체주의적이었다. 여기서 전체주의는 이슬람 근본주의와 결합되었다. 요컨대, 전체주의는 절대 권력의 이념이다. 국가 사회주의, 공산주의, 나치즘, 파시즘, 그리고 무슬림 근본주의는 최근의 그 모습 중 일부이다. 전체주의 정부는 그 기관이었으며, 국제적인 법적 주권과 독립성을 가진 국가는 그 기반이었다. "사망정치"가 그 결과이다.
사회에 대한 정부 권력을 행사함에 있어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의 적용은 전체주의 체제의 세계관을 권위주의 체제의 세계관과 구별하는데, 권위주의 체제는 정치 권력에만 관심이 있으며, 정부 권력에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한 사회에 어느 정도의 자유를 부여한다.[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파할 이념이 없는 정치적으로 세속적인 권위주의 정부는 "세계와 인간 본성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지만"[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체주의 정부는 공식적인 "전체주의 이데올로기, 비밀 경찰에 의해 강화된 정치 정당, 그리고 산업 대중 사회의 독점적 통제"를 통해 시민들의 생각과 행동을 완전히 통제하려고 한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3. 2. 이론적 기원
우파적 관점에서 정치적 전체주의는 모더니즘의 산물이며, 칼 포퍼는 이것이 인본주의 철학에서 기원했다고 보았다. 플라톤의 ''국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국가를 민족의 정치체로 보는 개념, 그리고 19세기 카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en-8]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8-17 그러나 일부 역사가와 철학자들은 플라톤이 주권 국가를 발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포퍼의 20세기 해석과 전체주의의 역사적 기원 묘사에 이의를 제기한다.[en-9]서적 Plato's Modern Enemies and the Theory of Natural Law University of Chicago Press[en-10]서적 In Defense of Plato Russell and Russell20세기 초, 조반니 젠틸레는 이탈리아 파시즘을 "전체주의적이며, 모든 가치를 포괄하는 종합과 통일인 파시스트 국가가 국민 전체의 삶을 해석하고 발전시키며 강화한다"는 철학을 가진 정치 이데올로기로 제시했다.[en-11]서적 La dottrina del fascismo 1932 1920년대 독일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나치 법학자 카를 슈미트가 젠틸레의 파시스트 철학을 총통 원리에 통합했다. 20세기 중반, 테오도어 W.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전체주의의 기원을 계몽주의 시대의 "인간은 자연, 사회, 역사와 어떤 연결에도 얽매이지 않은 세계의 주인이 되었다"는 인간 중심주의적 명제에서 찾았다.[en-12]영어 서적 Dialectic of Enlightenmen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1-08-17
윌리엄 루빈스타인은 '전체주의 시대'에 홀로코스트, 공산주의 정권 하의 대량 학살, 나치 독일과 동맹국의 대량 학살, 그리고 아르메니아인 학살이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학살은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유럽의 엘리트 구조와 정상적인 정부 형태가 붕괴된 데서 기원했다고 보았다.[en-13]서적 Genocide: a history Pearson Education
레닌은 전체주의 모델의 주권 국가를 처음으로 수립한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en-16]서적 Totalitarianisms: The Closed Society and Its Friends. A History of Crossed Languages Ed. Universidad de Cantabria 2022-04-17[en-17]서적 Lenin and the Twentieth Century: A Bertram D. Wolfe Retrospective Hoover Press 2022-04-17[en-18]서적 Resolutions and Decision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Volume 2: The Early Soviet Period 1917–1929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04-17 베니토 무솔리니는 자신의 독재 정권이 파시스트 이탈리아를 대표적인 '전체주의 국가'로 만들었다고 말했다.[en-19]간행물 Remembering Mussolini Wilson Quarterly 2022-04-24 또한, 슈미트는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서 ''der Totalstaat''(전체 국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독일 전체주의 국가의 정당성을 확립했다.[en-20]서적 Der Begriff des Politischen Rutgers University Press 192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전체주의' 개념이 정치 담론에 포함되었고, 매카시즘 정치인들은 좌파 전체주의가 서구 문명에 대한 위협이라고 주장하며 냉전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했다.[en-21]서적 The Totalitarian Paradigm After the End of Communism: Towards a Theoretical Reassessment Rodopi[en-22]서적 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Columbia University Press[en-23]서적 How the Cold War Transformed Philosophy of Science: To the Icy Slope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en-24]서적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 Routledge[en-25]서적 Politics and the Novel during the Cold War Transaction Publishers 2020-11-22
플라톤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로 보았고, 프랑스 혁명 시기 자코뱅파는 공포정치를 행했지만, 당시에는 "전체주의"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19세기 후반의 사회 문제에 대해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대응하지 못하자, 카를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폭력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했다. 그 결과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가 탄생했고 비밀 경찰과 숙청이 자행되었다. 특히 스탈린주의 체제 하에서는 개인 숭배, 공포 정치, 대숙청이 극심했다.
이탈리아 왕국에서는 민족주의와 조합주의를 내건 파시즘이, 독일국에서는 민족주의와 반유대주의를 내건 나치즘이 정권을 잡았다. 일본, 프랑코 체제 하의 스페인, 에스타도 노보의 포르투갈 등의 권위주의 체제 역시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등 전체주의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3. 3. 역사적 사례

정치학자 한나 아렌트는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1951)에서 20세기 초의 기업 나치즘과 소비에트 공산주의는 새로운 형태의 전체주의 정부라고 말했다. 정치적 확실성이라는 인간의 정서적 편안함은 혁명적인 전체주의 정권이 대중에게 호소하는 원천이며, 전체주의적 세계관이 과거, 현재, 미래의 복잡한 사회 정치적 미스터리에 대해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단정적인 답을 주기 때문이다. 나치즘은 모든 역사가 적자생존 인종의 민족 갈등의 역사라고 제안했고,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모든 역사가 적자생존 사회 계급의 계급 갈등의 역사라고 제안한다.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보편적 적용 가능성'을 신봉자들이 받아들인 후, 나치 혁명가와 공산주의 혁명가는 국가의 모든 다른 행동을 정당화할 수 있는 단순한 도덕적 확신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역사주의 (역사의 법칙)에 대한 호소 또는 권위주의 국가 기구를 확립하는 데 필요한 편리한 행동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호소를 통해서이다.[en-51]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nnah Arend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에릭 호퍼는 저서 《맹신자: 대중 운동의 본질에 대한 고찰》(1951)에서 이탈리아 파시즘(1922–1943), 독일 나치즘(1933–1945), 러시아 스탈린주의(1929–1953)와 같은 정치적 대중 운동은 자신들의 전체주의 사회를 문화적으로 우월하다고 부정적으로 비교하는 공통적인 정치적 실천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대중 심리학은 정치적 대중 운동에 참여하고 가입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영광스러운 미래의 전망을 제공하며, 정치적 신념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것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모두에서 실제 삶에서 성취가 거의 없는 사람들에게 정서적 피난처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진실한 신봉자는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공식 텍스트에서 가져온 "현실로부터의 사실 증명 스크린"으로 정신적으로 보호받는 진실한 신봉자의 집단적 몸체에 동화된다.[en-52]서적 The True Believer: Thoughts on the Nature of Mass Movements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2002
역사학자 폴 하네브링크는 "반공주의와 반전체주의 사이의 유럽 개신교: 또 다른 양차대전 간 문화투쟁?"(2018)에서 1933년 독일에서 히틀러의 권력 장악은 유럽 기독교인들(가톨릭과 개신교 모두)에게 반공주의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 이유는 새로운 전후 '문화 전쟁'이 공산주의에 대한 투쟁으로 구체화되었기 때문이다. 유럽 양차대전기(1918–1939) 내내 우익 전체주의 정권은 기독교인들에게 러시아의 공산주의 정권을 세속적 유물론의 극치이자 전 세계 기독교 사회와 도덕 질서에 대한 군사적 위협으로 악마화하도록 세뇌시켰다.[en-53]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유럽 전역에서 반공주의 전체주의자가 된 기독교인들은 공산주의와 공산주의 정부를 자신들의 각 사회의 도덕 질서에 대한 실존적 위협으로 인식했으며, 반공주의가 유럽 사회를 기독교 문화의 근원으로 되돌릴 것이라는 이상적인 희망을 가지고 파시스트와 나치와 협력했다.[en-54]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역사적으로, 플라톤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로 생각했고, 프랑스 혁명에서는 자코뱅파가 공포정치를 행했지만, 당시에는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았다.
19세기 후반부터 현저해진 사회 문제에 대해, 당시의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자유주의 국가는 유효한 대응을 세울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카를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폭력 혁명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내걸어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의한 일당 독재 체제가 탄생했고, 비밀 경찰과 숙청이 행해졌다. 특히 스탈린 체제 하에서는 극단적인 개인 숭배와 공포 정치와 대숙청이 행해졌다.
또한 이탈리아 왕국에서는 이탈리아 민족주의와 조합주의를 내건 파시즘, 독일국에서는 독일 민족주의와 반유대주의를 내건 나치즘이 정권을 탈취했다.
한편, 군부, 특히 육군의 영향력이 강한 총동원 체제 하의 일본이나 프랑코 체제 하의 스페인, 그리고 에스타도 노보의 포르투갈 등 권위주의 체제는 엄밀히 파시즘과는 다르지만, 언론의 자유에 대한 억제가 행해지는 등 전체주의와 유사한 특징이 있었다.
어떠한 것이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인가에 대한 학계 내에서 논란은 많지만, 1920년대 이후 이탈리아에서 등장한 파시즘 및 이 사상의 영향을 받은 모든 사상(나치즘, 일본 군국주의 등)이 전체주의라는 것에 별다른 이견은 없다. 논쟁적인 개념은 1917년에 탄생한 러시아 소비에트 정권(РСФСР)과 이 정권에 정통성을 부여한 사상인 볼셰비즘에 대한 평가이다. 전체주의라는 용어를 정치학의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학자 일군의 경우는 볼셰비즘을 전체주의의 범주에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입장에 따른다면,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에 포함하는 흐름을 다음과 같이 나열할 수 있다.
- 볼셰비즘 (레닌주의)
- *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 마오쩌둥 사상
- ** 주체사상
- ** 호찌민 사상
- * 트로츠키주의
- 파시즘
- * 이탈리아 파시즘
- * 나치즘
- ** 신나치주의
- * 신파시즘
- * 팔랑헤주의
- 대안우익
- 일본 군국주의
3. 3. 1. 파시스트 이탈리아
1923년, 무솔리니 정부(1922~1943) 초기 통치 시기에 반파시스트 학자 조반니 아멘돌라는 전체주의를 최고 지도자가 국가의 "일 두체(Il Duce)"로서 모든 권력(정치, 군사, 경제, 사회)을 개인적으로 행사하는 "정부 체제"로 정의하고 설명한 최초의 이탈리아 지식인이었다. 이탈리아 파시즘은 권력 유지를 위해 권력을 가진 개인의 독재에 대한 현실 정치와는 달리 이념적이고 유토피아적인 세계관을 가진 정치 체제이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나중에, 이탈리아 파시즘의 이론가인 조반니 젠틸레는 "두체" 무솔리니의 이탈리아에 대한 합법적, 불법적, 그리고 합법주의적인 사회 공학을 옹호하면서 이념적 용어인 "전체주의"와 "전체주의적인" 것에 정치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이데올로그로서 지식인 젠틸레와 정치인 무솔리니는 새로운 파시스트 이탈리아(1922~1943)의 사회 구조(정부, 사회, 경제, 정치)의 이념적 성격과 실질적인 목표(경제, 지정학, 사회)를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해 "totalitario"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국가의 총체적 대표이자 국가 목표의 총체적 지도"였다.[en-41]서적 The Middle East in Modern World History Routledge 이탈리아 파시즘의 전체주의 사회를 제안하면서 젠틸레는 전체주의 이념(국가에 대한 종속)이 이탈리아 사람들의 공공 영역과 사적 영역을 결정하는 시민 사회를 정의하고 설명했다.[en-11]서적 La dottrina del fascismo 1932 제국주의적 미래에 파시스트 유토피아를 달성하기 위해 이탈리아 전체주의는 인간의 존재를 국가에 대한 종속으로 정치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무솔리니는 이를 "국가 안의 모든 것, 국가 밖의 어떤 것도, 국가에 반대하는 어떤 것도 없다."라는 경구로 요약했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42]간행물 Afghanistan: Implications for Peace and Security 1981
한나 아렌트는 자신의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무솔리니의 독재 정권은 1938년까지 전체주의 정권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전체주의 운동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대중 동원을 수집하는 능력이라고 주장하면서 아렌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모든 정치 집단은 비례적인 힘에 의존하는 반면, 전체주의 운동은 수의 힘에 너무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전체주의 정권은 인구가 비교적 적은 국가에서는 다른 유리한 환경에서도 불가능해 보입니다.... 심지어 '전체주의 국가'라는 용어를 매우 좋아했던 무솔리니조차도 완전한 전체주의 정권을 수립하려 하지 않고 독재와 일당제에 만족했습니다."
예를 들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여전히 명목상의 국가 원수로 군림했고 1943년 무솔리니 해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가톨릭 교회는 1929년 라테란 조약에 따라 교황 비오 11세(1922~1939)와 교황 비오 12세(1939~1958)의 지도하에 바티칸 시국에서 종교적 권위를 독립적으로 행사할 수 있었다.
3. 3. 2. 나치 독일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에 대한 학계 내 논란은 많지만, 1920년대 이후 파시즘 및 그 영향을 받은 사상(나치즘, 일본 군국주의 등)이 전체주의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1917년 러시아 소비에트 정권(РСФСР)과 볼셰비즘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다. 일부 학자들은 볼셰비즘을 전체주의 범주에 넣는다. 이 입장에 따르면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은 다음과 같다.- 볼셰비즘 (레닌주의)
- *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 마오쩌둥 사상
- ** 주체사상
- ** 호찌민 사상
- * 트로츠키주의
- 파시즘
- * 이탈리아 파시즘
- * 나치즘
- ** 신나치주의
- * 신파시즘
- * 팔랑헤주의
- 대안우익
- 일본 군국주의
3. 3. 3. 소비에트 연방
소비에트 정권과 볼셰비즘에 대한 평가는 학계에서 논쟁적이다. 전체주의라는 용어를 정치학 용어로 사용하는 학자들은 볼셰비즘을 전체주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이 관점에 따르면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은 다음과 같다.- 볼셰비즘 (레닌주의)
- *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 마오쩌둥 사상
- ** 주체사상
- ** 호찌민 사상
- * 트로츠키주의
- 파시즘
- * 이탈리아 파시즘
- * 나치즘
- ** 신나치주의
- * 신파시즘
- * 팔랑헤주의
- 대안우익
- 일본 군국주의
3. 3. 4. 기타 사례
어떠한 것이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인가에 대한 학계 내에서 논란은 많다. 그러나 1920년대 이후 이탈리아에서 등장한 파시즘 및 이 사상의 영향을 받은 모든 사상(나치즘, 일본 군국주의 등)이 전체주의라는 것에 이견은 없다. 논쟁적인 개념은 1917년에 탄생한 러시아 소비에트 정권과 이 정권에 정통성을 부여한 사상인 볼셰비즘에 대한 평가이다. 전체주의라는 용어를 정치학의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학자들은 볼셰비즘을 전체주의의 범주에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입장에 따른다면, 전체주의 사상 및 운동에 포함하는 흐름을 다음과 같이 나열할 수 있다.- 볼셰비즘(레닌주의)
- * 마르크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
- ** 마오쩌둥 사상
- ** 주체사상
- ** 호찌민 사상
- * 트로츠키주의
- 파시즘
- * 이탈리아 파시즘
- * 나치즘
- ** 신나치주의
- * 신파시즘
- * 팔랑헤주의
- 대안우익
- 일본 군국주의
4. 전체주의의 특징
일반적으로 전체주의는 시민이 국가의 의사 결정에 중요한 비율을 가지지 않는 권위주의 체제와 공적 및 사생활의 가장 중요한 측면을 지시하는 정치 사상의 결합으로 정의된다.[ja-5]논문 Plato's Tota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전체주의 체제는 국가가 관리하는 매스 미디어를 통한 프로파간다, 일당제, 계획 경제, 언론 통제, 대규모 감시, 국가 폭력 등을 통해 정치 권력을 유지한다. 나치는 전체주의를 채택하여 국가와 민족 공동체의 결합을 강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체를 군주정, 공화정, 민주정으로, 그 타락 형태를 전정, 과두정, 중우정으로 분류했다.
근대에는 전간기부터 ‘전체주의’라는 말이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대치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비민주적인 정치 체제를 모두 ‘전체주의 체제’로 파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권위주의 체제 개념이 등장했다. 그 결과 ‘전체주의 체제·권위주의 체제·민주주의 체제’라는 분류가 정착되었다. 전체주의와 권위주의의 차이는 다음 표와 같다.[ja-6]논문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Dictators: A Comparison of Fidel Castro and Alfredo Stroessner
전체주의 체제 | 권위주의 체제 | |
---|---|---|
카리스마 | 큼 | 작음 |
통치 개념 | 기능으로서의 지도자 | 개인으로서의 지도자 |
권력의 목적 | 공적 | 사적 |
부패 | 적음 | 많음 |
공식 이데올로기 | 있음 | 없음 |
입헌적 다원주의 | 없음 | 있음 |
합법 | 있음 | 없음 |
4. 1. 정치적 특징
현대 정치학에서는 정부 체제를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en-3]서적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Regimes Lynne Rienner Publisher 2000[en-4]서적 Reader's Guide to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4-02-03 전체주의 정부 체제는 정치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모든 반대 세력(개인 및 집단)에 대한 정치적 탄압, 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 공식적인 경제적 개입주의(통제된 임금 및 가격), 모든 대중 매체(언론, 교과서,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에 대한 공식적인 검열, 공공장소에 대한 공식적인 대규모 감시-경찰 활동 및 국가 테러가 있다.[en-1]서적 Reflections on a Ravaged Century Norton루돌프 룸멜은 "전체주의 국가에서의 대량학살: 사망정치와 대량살인자들"(1994)에서 전체주의 국가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헌법이나 사회의 견제 세력(교회, 시골 귀족, 노동조합 또는 지역 권력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정부 시스템을 가진 국가이며, 주기적인 비밀 투표와 경쟁적인 선거를 통해 대중에게 책임을 지지 않으며, 가족, 종교, 교육, 사업, 사유 재산 및 사회 관계를 포함한 사회의 모든 측면을 통제하기 위해 무제한적인 권력을 사용하는 국가이다.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 연방,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 폴 포트의 민주 캄푸치아,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 그리고 네윈의 버마 등이 전체주의 국가의 예시이다.

전체주의는 정부가 그 목적을 실현하는 기관인 정치 이념이다. 따라서 전체주의는 버마의 국가 사회주의, 구 동독의 마르크스-레닌주의, 그리고 나치즘과 같은 이념을 특징짓는다. 1978~79년 이란 혁명 이후 혁명적인 무슬림 이란조차도 전체주의적이었다. 여기서 전체주의는 이슬람 근본주의와 결합되었다. 요컨대, 전체주의는 절대 권력의 이념이다. 국가 사회주의, 공산주의, 나치즘, 파시즘, 그리고 무슬림 근본주의는 최근의 그 모습 중 일부이다. 전체주의 정부는 그 기관이며, 국제적인 법적 주권과 독립성을 가진 국가는 그 기반이다.[en-6]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en-7]간행물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Sage Publications 2010-01
사회에 대한 정부 권력을 행사함에 있어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의 적용은 전체주의 체제의 세계관을 권위주의 체제의 세계관과 구별하는데, 이는 "정치 권력에만 관심이 있으며, [정부 권력]에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한, [권위주의 정부]는 사회에 어느 정도의 자유를 부여한다"는 것이다.[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파할 이념이 없는 정치적으로 세속적인 권위주의 정부는 "세계와 인간 본성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지만"[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체주의 정부는 공식적인 '전체주의 이데올로기, 비밀 경찰에 의해 강화된 [정치] 정당, 그리고 산업 대중 사회의 독점적 통제'를 통해 시민들의 생각과 행동을 완전히 통제하려고 한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일반적으로 시민이 국가의 의사 결정에 중요한 비율을 가지지 않는 권위주의 체제와, 공적 및 사생활의 가장 중요한 측면을 지시하는 정식화된 의미로 널리 공표된 정치 사상의 결합이라고 한다.[ja-5]논문 Plato's Tota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전체주의 체제나 운동은 국가가 관리하는 매스 미디어에 의한 망라적인 프로파간다나, 종종 일당제, 계획 경제, 언론 통제, 대규모 감시, 국가 폭력의 광범위한 사용 등에 의해 정치 권력을 유지한다. 나치는 전체주의를 채택하고 국가와 민족 공동체의 결합을 강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체를 군주제, 공화제, 민주정으로 분류하고 그 타락 형태를 전제 정치, 과두제, 중우 정치로 분류했다.
근대에는 전간기부터 ‘전체주의’라는 말이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접어들자 전체주의 및 전체주의 체제라는 말은 민주주의 및 민주 체제에 대한 대치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비민주적인 정치 체제를 모두 ‘전체주의 체제’로 파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권위주의 체제 개념이 제창되어 정치 체제를 어떻게 규정해야 할 것인가라는 논의와 함께 ‘전체주의 체제·권위주의 체제·민주주의 체제’라는 분류가 정착되어 가고 있다. 전체주의와 권위주의의 차이는 다음 표를 참조하면 된다.[ja-6]논문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Dictators: A Comparison of Fidel Castro and Alfredo Stroessner
전체주의 체제 | 권위주의 체제 | |
---|---|---|
카리스마 | 큼 | 작음 |
통치 개념 | 기능으로서의 지도자 | 개인으로서의 지도자 |
권력의 목적 | 공적 | 사적 |
부패 | 적음 | 많음 |
공식 이데올로기 | 있음 | 없음 |
입헌적 다원주의 | 없음 | 있음 |
합법 | 있음 | 없음 |
4. 2. 경제적 특징
현대 정치학에서는 정부 체제를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en-3]서적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Regimes Lynne Rienner Publisher 2000[en-4]서적 Reader's Guide to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4-02-03 전체주의 정부 체제는 정치적 탄압, 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 공식적인 경제적 개입주의, 언론 검열, 대규모 감시, 국가 테러 등의 특징을 보인다.[en-1]서적 Reflections on a Ravaged Century Norton 루돌프 룸멜은 전체주의 국가를 헌법이나 사회적 견제 세력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대중에게 책임을 지지 않으며, 사회의 모든 측면을 통제하려는 정부 시스템으로 정의했다.[en-6]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en-7]간행물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Sage Publications 2010-01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 민주 캄푸치아, 나치 독일, 버마 등이 전체주의 국가의 예시로 언급된다.[en-6]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전체주의는 정치 이념으로, 국가 사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나치즘, 파시즘, 이슬람 근본주의 등을 특징짓는다. 전체주의 정부는 이러한 이념을 실현하는 기관이며, 국가는 그 기반이 된다. 권위주의 체제와 달리 전체주의 체제는 사회에 대한 정부 권력 행사에 있어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를 적용하여 세계관을 규정한다. 권위주의 정부는 정치 권력에만 관심이 있지만, 전체주의 정부는 공식 이데올로기, 비밀 경찰, 산업 대중 사회의 독점적 통제를 통해 시민의 생각과 행동을 완전히 통제하려 한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체주의 체제는 국가가 관리하는 매스 미디어, 일당제, 계획 경제, 언론 통제, 대규모 감시, 국가 폭력 등을 통해 정치 권력을 유지한다. 나치는 전체주의를 채택하여 국가와 민족 공동체의 결합을 강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체를 군주정, 공화정, 민주정으로, 타락 형태를 전정, 과두정, 중우정으로 분류했다. 근대에는 전간기부터 '전체주의'라는 말이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주주의 체제와 대치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비민주적인 정치 체제를 모두 '전체주의 체제'로 파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권위주의 체제 개념이 제창되었으며, 전체주의, 권위주의, 민주주의 체제로 분류하는 것이 정착되었다. 전체주의와 권위주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ja-6]논문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Dictators: A Comparison of Fidel Castro and Alfredo Stroessner
전체주의 체제 | 권위주의 체제 | |
---|---|---|
카리스마 | 큼 | 작음 |
통치 개념 | 기능으로서의 지도자 | 개인으로서의 지도자 |
권력의 목적 | 공적 | 사적 |
부패 | 적음 | 많음 |
공식 이데올로기 | 있음 | 없음 |
입헌적 다원주의 | 없음 | 있음 |
합법 | 있음 | 없음 |
4. 3. 사회문화적 특징
현대 정치학에서는 정부 체제를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en-3]서적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Regimes Lynne Rienner Publisher 2000[en-4]서적 Reader's Guide to the Social Sciences Routledge 2014-02-03 전체주의 정부 체제는 정치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모든 반대 세력(개인 및 집단)에 대한 정치적 탄압, 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 공식적인 경제적 개입주의(통제된 임금 및 가격), 모든 대중 매체(언론, 교과서,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에 대한 공식적인 검열, 공공장소에 대한 공식적인 대규모 감시-경찰 활동 및 국가 테러.[en-1]서적 Reflections on a Ravaged Century Norton미국의 정치학자 루돌프 룸멜은 "전체주의 국가에서의 대량학살: 사망정치와 대량살인자들"(1994)에서 "전체주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룸멜은 "전체주의 국가"를 헌법이나 사회의 견제 세력(교회, 시골 귀족, 노동조합 또는 지역 권력과 같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정부 시스템을 가진 국가로 정의한다. 이러한 국가는 주기적인 비밀 투표와 경쟁적인 선거를 통해 대중에게 책임을 지지 않으며, 가족, 종교, 교육, 사업, 사유 재산 및 사회 관계를 포함한 사회의 모든 측면을 통제하기 위해 무제한적인 권력을 사용한다.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 연방, 마오쩌둥의 중국, 폴 포트의 캄보디아,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 그리고 네윈의 버마 등이 전체주의 국가의 예시이다.[en-6]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en-7]간행물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Sage Publications 2010-01
전체주의는 전체주의 정부가 그 목적을 실현하는 기관인 정치 이념이다. 따라서 전체주의는 버마의 국가 사회주의, 구 동독의 마르크스-레닌주의, 그리고 나치즘과 같은 이념을 특징짓는다. 1978~79년 이란 혁명 이후 혁명적인 무슬림 이란조차도 전체주의적이었다. 여기서 전체주의는 이슬람 근본주의와 결합되었다. 요컨대, 전체주의는 절대 권력의 이념이다. 국가 사회주의, 공산주의, 나치즘, 파시즘, 그리고 무슬림 근본주의는 최근의 그 모습 중 일부였다. 전체주의 정부는 그 기관이었으며, 국제적인 법적 주권과 독립성을 가진 국가는 그 기반이었다.[en-6]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en-7]간행물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Sage Publications 2010-01
사회에 대한 정부 권력 행사에 있어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의 적용은 전체주의 체제의 세계관을 권위주의 체제의 세계관과 구별한다. 권위주의 정부는 정치 권력에만 관심이 있으며, 정부 권력에 이의가 제기되지 않는 한 사회에 어느 정도의 자유를 부여한다.[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파할 이념이 없는 정치적으로 세속적인 권위주의 정부는 "세계와 인간 본성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지만"[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전체주의 정부는 공식적인 "전체주의 이데올로기, 비밀 경찰에 의해 강화된 [정치] 정당, 그리고 산업 대중 사회의 독점적 통제"를 통해 시민들의 생각과 행동을 완전히 통제하려고 한다.[en-40]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2012-04[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권위주의 체제는 시민이 국가의 의사 결정에 중요한 비율을 가지지 못하는 반면, 전체주의 체제는 공적 및 사생활의 가장 중요한 측면을 지시하는 정식화된 정치 사상을 널리 공표하는 특징을 갖는다.[ja-5]논문 Plato's Tota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전체주의 체제나 운동은 국가가 관리하는 매스 미디어에 의한 망라적인 프로파간다, 일당제, 계획 경제, 언론 통제, 대규모 감시, 국가 폭력의 광범위한 사용 등을 통해 정치 권력을 유지한다. 나치는 전체주의를 채택하고 국가와 민족 공동체의 결합을 강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체를 군주제, 공화제, 민주정으로 분류하고, 그 타락 형태를 전제 정치, 과두제, 중우 정치로 분류했다.
근대에는 전간기부터 ‘전체주의’라는 말이 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접어들자 전체주의 및 전체주의 체제라는 말은 민주주의 및 민주 체제에 대한 대치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비민주적인 정치 체제를 모두 ‘전체주의 체제’로 파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권위주의 체제 개념이 제창되어 정치 체제를 어떻게 규정해야 할 것인가라는 논의와 함께 ‘전체주의 체제·권위주의 체제·민주주의 체제’라는 분류가 정착되어 가고 있다. 전체주의와 권위주의의 차이는 다음 표와 같다.[ja-6]논문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Dictators: A Comparison of Fidel Castro and Alfredo Stroessner
전체주의 체제 | 권위주의 체제 | |
---|---|---|
카리스마 | 큼 | 작음 |
통치 개념 | 기능으로서의 지도자 | 개인으로서의 지도자 |
권력의 목적 | 공적 | 사적 |
부패 | 적음 | 많음 |
공식 이데올로기 | 있음 | 없음 |
입헌적 다원주의 | 없음 | 있음 |
합법 | 있음 | 없음 |
5. 전체주의와 관련된 논쟁
소련과 러시아사에서 소련 시대의 역사학은 전통주의 학파와 수정주의 학파로 나뉜다. 전통주의 학파는 자신들을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소련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의 정치적 본질에 내재된 전체주의의 객관적인 보고자로 여긴다. 이들은 학술 출판물에서 수정주의 역사가들의 우세를 비판하며, 수정주의 학파가 대학, 종합대학, 싱크탱크의 교수진에 과도하게 많다고 주장한다.[en-33]서적 In Denial: Historians, Communism and Espionage Encounter 2003 수정주의 학파는 냉전 역사의 경찰 국가적 측면에 집중하는 전통주의 학파를 비판하며, 이는 우파적 해석에 편향된 반공주의 역사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en-33]서적 In Denial: Historians, Communism and Espionage Encounter 2003 또한 수정주의 학파는 전통주의 역사가들을 HUAC 학파의 미국 공산당에 대한 연구의 정치적으로 반동적인 교수진으로 일축한다.[en-33]서적 In Denial: Historians, Communism and Espionage Encounter 2003
공산주의나 마르크스주의, 특히 소비에트 연방의 일당 독재 체제를 "전체주의"로 보는 견해가 존재한다.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전체주의의 일종으로 비판했다. 한나 아렌트는 1951년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파시즘과 국가사회주의를 전체주의로 규정했지만, 이들 모두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 출신의 프란츠 보르케나우는 저서 「전체주의라는 적」에서 파시즘과 공산주의의 실질적인 동일성을 주장하며 러시아를 "붉은 파시즘", 나치 독일을 "갈색의 볼셰비즘"이라고 불렀다.[ja-7]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우익과 좌익 모두 겉보기에는 정반대로 보이는 정치사상도 실은 같은 전체주의라고 주장했다.
유럽 평의회 의회는 2006년 1월 25일의 1481호 결의에서 "20세기에 휩쓸고 현재에도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권력을 쥐고 있는 '''전체주의'''적인 공산주의 정권은 예외 없이 대규모 인권 침해를 자행해 왔다. 여기에는 강제 수용소, 인위적인 기근, 고문, 노예 노동 및 기타 조직적인 폭력에 의한 개인 및 집단의 살해 외에도 민족적 또는 종교적 박해, 양심이나 사상을 표명할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 보도 자유 침해, 정치적 다원주의 결여 등이 포함된다."고 명시했다. 또한 "전체주의적 공산주의 체제에서의 범죄는 계급 투쟁 이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원칙이라는 이름 아래 정당화되었으며, 공산주의의 적으로 배제된 엄청난 수의 희생자는 자국민이었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이러한 범죄는 나치즘의 범죄처럼 국제 사회에 의해 아직 심판받지 못했으며, 그 결과 공산주의 정권의 범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매우 미흡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공산당이 합법 정당이며 활동적인 경우도 있다."고 결의했다. 유럽 평의회는 공산주의 체제의 범죄를 강력히 비난하며 동시에 공산주의 체제의 희생자의 고통에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이 윤리적인 책무라고 결의했다.[ja-8]간행물 Resolution 1481 (2006):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6-01-25
5. 1. 용어 남용 문제
정치학자 한나 아렌트는 《전체주의의 기원》(1951)에서 20세기 초의 나치즘과 소비에트 공산주의는 새로운 형태의 전체주의 정부라고 말했다. 정치적 확실성이라는 인간의 정서적 편안함은 전체주의 정권이 대중에게 호소하는 원천이며, 그 이유는 전체주의적 세계관이 과거, 현재, 미래의 복잡한 사회 정치적 미스터리에 대해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단정적인 답을 주기 때문이다. 나치즘은 모든 역사가 인종의 민족 갈등의 역사라고,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모든 역사가 사회 계급의 계급 갈등의 역사라고 제안한다.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보편적 적용 가능성'을 신봉자들이 받아들인 후, 혁명가들은 국가의 모든 다른 행동을 정당화할 수 있는 단순한 도덕적 확신을 가지게 된다.[en-51]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nnah Arend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에릭 호퍼는 《맹신자: 대중 운동의 본질에 대한 고찰》(1951)에서 이탈리아 파시즘(1922–1943), 독일 나치즘(1933–1945), 러시아 스탈린주의(1929–1953)와 같은 정치적 대중 운동은 자신들의 전체주의 사회를 문화적으로 우월하다고 부정적으로 비교하는 공통적인 정치적 실천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대중 심리학은 정치적 대중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영광스러운 미래의 전망을 제공하며, 정치적 신념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것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모두에서 성취가 거의 없는 사람들에게 정서적 피난처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진실한 신봉자는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공식 텍스트에서 가져온 "현실로부터의 사실 증명 스크린"으로 정신적으로 보호받는 진실한 신봉자의 집단적 몸체에 동화된다.[en-52]서적 The True Believer: Thoughts on the Nature of Mass Movements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2002
역사학자 폴 하네브링크는 1933년 독일에서 히틀러의 권력 장악은 유럽 기독교인들에게 반공주의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유럽 양차대전기(1918–1939) 내내 우익 전체주의 정권은 기독교인들에게 러시아의 공산주의 정권을 세속적 유물론의 극치이자 전 세계 기독교 사회와 도덕 질서에 대한 군사적 위협으로 악마화하도록 세뇌시켰다.[en-53]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유럽 전역에서 반공주의 전체주의자가 된 기독교인들은 공산주의와 공산주의 정부를 자신들의 각 사회의 도덕 질서에 대한 실존적 위협으로 인식했으며, 반공주의가 유럽 사회를 기독교 문화의 근원으로 되돌릴 것이라는 이상적인 희망을 가지고 파시스트와 나치와 협력했다.[en-54]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냉전 시기 자본주의권에서는 반공주의의 영향으로 ‘전체주의’라는 용어가 공공의 이익을 중시하는 모든 사상에 들씌워지는 주홍글씨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매카시즘이 맹위를 떨치던 1950년대 미국에서는 복지 국가 형성과 관련된 이론, 사상은 물론이고 사회계약론까지 전체주의의 일종이라고 여겨졌다.
역사학자 월터 라퀘르는 자유 진영에서 전체주의라는 용어가 대대적으로 퍼지는 것에 대해 “공산주의 및 국민의 복리증진을 요구하고 달성하려는 사상을 유럽에서 발생한 ‘야만의 정치’인 파시즘과 억지로 엮어서 이 두 사상을 등치시키려는 우익 권위주의자들의 고질적인 선동 방식이다.”라고 평가하였다. 이어서 라퀘르는 전체주의라는 개념은 마르크스주의나 소비에트 연방의 사회 구조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방식이며, 이러한 모든 방식이 빈곤한 이론적 기초 위에 놓여진 것이라고 비판했다.[ko-22]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ko-23]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오스트레일리아의 러시아/소련사학자 실라 피츠페트릭은 이오시프 스탈린 집권기의 단점이 서방권 내에서는 심하게 과장되었으며, 대부분의 내용이 사실과 다른 동시에, 근거가 부족한 주장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빈곤한 주장 위에 놓여져 있는 ‘전체주의’라는 용어는 학술적으로 엄밀한 의미의 개념이 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또한 피츠페트릭은 스탈린의 정책으로 인해 소비에트 연방의 시민이 과거의 삶보다 윤택한 삶을 살 수 있었고, 동시에 더 많은 기회를 누릴 수 있었는데, 전체주의 용어 남용이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모조리 숨긴다고 지적했다. 피츠페트릭은 한 시대의 역사적 상황에 따른 선택 및 그 맥락을 이해하지 못 하게 하는 전체주의 용어 남용은 역사 왜곡 시도의 일종이라고 비판했다.[ko-24]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5. 2. 수정주의 역사학
러시아-미국 냉전(1945–1989) 동안, 크렘린학(정치국 정책 분석)이라는 학문 분야는 소비에트 연방(USSR)을 이오시프 스탈린의 절대 권력에 의해 통제되는 경찰 국가로 보는 ''전체주의 모델''이 지배적인 역사 및 정책 분석을 만들어냈다.[en-26]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크렘린에서 정책을 만드는 정치국의 내부 정치 연구는 냉전 역사에 대한 두 가지 역사학적 해석 학파를 만들었는데, 전통주의 크렘린학은 ''전체주의 모델''을 지지하며 경찰 국가로서의 소비에트 연방을 해석했고, 수정주의 크렘린학은 크렘린 정치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하고 소비에트 사회, 시민, 군대에 대한 정치국 정책의 영향을 분석했다. 수정주의 학자들은 1950년대 스탈린주의 소비에트 연방이 세계 지배를 목표로 하는 전체주의 국가라는 기존의 이미지가 스탈린의 사망 이후 소비에트 사회의 변화로 인해 지나치게 단순화되었다고 주장했다.[en-27]간행물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2002-06 냉전 이후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해체되면서 많은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옛 공산주의 국가의 국립 기록 보관소, 특히 러시아 소비에트 시대에 관한 러시아 연방 국립 기록 보관소에서 연구를 진행했다.[en-30]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en-28]간행물 Revisionism in Soviet History 2007-111950년대에 정치학자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소비에트 러시아와 붉은 중국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들이 지도자에 의한 정부의 ''전체주의 모델''의 5가지 특징으로 체계적으로 통제된다고 주장했다. 그 특징은 (i) 지도자에 대한 개인 숭배를 포함하는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 (ii) 모든 시민 및 군사 무기에 대한 통제, (iii) 공공 및 사적인 대중 통신 매체에 대한 통제, (iv) 대중을 감시하기 위한 국가 테러의 사용, (v) 지도자를 영구적으로 재선출하는 대규모 당원 정치 정당이었다.[en-29]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년대에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소비에트 연방에서 고위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친 자율적인 관료제의 조직과 정책을 연구했다.[en-30]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J. 아치 게티와 린 바이올라와 같은 수정주의 학자들은 소비에트 정부, 공산당, 시민 사회가 스탈린의 사망으로 크게 변화했다는 것을 인정하며 전체주의 모델의 해석적 한계를 넘어섰다. 수정주의 사회사는 소비에트 사회의 사회적 힘이 정부로 하여금 공산주의 경제학의 효용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가진 전쟁 전후 세대로 구성된 소비에트 사회의 실제 정치 경제에 맞춰 공공 정책을 조정하도록 강요했다고 주장했다.[en-31]간행물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2002-06 이러한 관점은 1950년대의 경찰 국가인 소비에트 연방에 대한 스탈린주의 이후의 인식이었던 ''전체주의 모델''을 구식화했다.[en-32]간행물 Review: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09
소련과 러시아사의 소련 시대에 대한 역사학은 전통주의와 수정주의, 두 학파로 나뉜다. 전통주의 역사가들은 자신들을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 소련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의 정치적 본질에 내재된 전체주의를 객관적으로 보고한다고 특징짓는다. 반면, 수정주의 역사가들은 전통주의 학파가 냉전 역사의 경찰 국가적 측면에만 집중하여 반공주의적 편향을 보인다고 비판한다.[en-33]서적 In Denial: Historians, Communism and Espionage Encounter 2003 수정주의 학파는 전통주의 역사가들을 HUAC 학파의 미국 공산당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서 정치적으로 반동적인 교수진으로 일축한다.[en-33]서적 In Denial: Historians, Communism and Espionage Encounter 2003
전통주의 역사학자인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는 소련(1917), 파시스트 이탈리아(1922-1943), 나치 독일(1933-1945)의 전체주의 정권이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의 사회경제적 여파로 인한 정치적 불만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바이마르 공화국(Weimar Germany)(1918-1933) 정부가 좌우 혁명에 무력하게 저항했다고 보았다.[en-57]None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은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가 소련 사회 체제의 실제 기능, 즉 정치적 실체와 사회적 실체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련과 러시아 역사에 대한 전체주의 모델 해석의 한계를 지적했다. 수정주의 학자들은 정치국의 정치경제학이 정책 시행을 위해 지역 당국에 행정 권한을 허용한 것을 전체주의 정권이 시민 사회의 새로운 경제적 요구를 포함하도록 정치 경제를 조정하는 증거로 해석했다. 반면 전통주의 역사학자들은 소련의 정치경제적 붕괴가 정치국이 소련 경제에 대한 대중 참여를 포함하도록 정치 경제를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en-58]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나치 독일 역사가인 카를 디트리히 브라허(Karl Dietrich Bracher)는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의 '전체주의 유형학'이 전체주의를 확립하는 데 필요한 폭력 혁명을 실현하는 '혁명적 역동성'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en-59]서적 The Nazi Dictatorship: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Arno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브라허는 전체주의의 본질이 시민 사회를 국가로 병합하여 집단적 국가 정체성을 창출하기 위한 총체적 통제라고 주장했다.[en-59]서적 The Nazi Dictatorship: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Arno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또한, 전체주의 정부는 반드시 최고 지도자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 지도체제(collective leadership)를 통해 기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역사가 월터 라커(Walter Laqueur)는 브라허의 전체주의 유형학이 정치국의 기능적 현실을 더 정확하게 설명한다고 동의했다.[en-60]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정치학자 레몽 아롱(Raymond Aron)은 '민주주의와 전체주의(Democracy and Totalitarianism)'(1968)에서 전체주의 모델의 다섯 가지 특징을 제시했는데, 이는 (1) 모든 정치 활동을 독점하는 일당 국가, (2) 지배 정당에 의해 옹호되는 국가 이념, (3) 정보에 대한 국가 독점, (4) 국가 통제 경제, (5) 이념적 경찰 국가 공포와 정치적, 경제적, 전문적 활동의 범죄화이다.[en-65]서적 Democracy and Totalitarianism Littlehampton Book Services 1968
1953년 스탈린의 죽음은 소련을 "전체주의 국가"로 보는 단순한 "전체주의 모델"을 무효화시켰다.[en-106]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스탈린 통치(1927~1953)에 대한 수정주의 학파의 해석은 소련이 사회 제도가 미약한 국가였으며, 소련 시민에 대한 국가 테러는 스탈린 정부의 정치적 불법성을 나타냈다는 것이다.[en-106]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또한, 소련 시민들이 개인적 행위 주체성이나 생활을 위한 물질적 자원이 부족하지 않았으며, 소련 공산당의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심리적으로 원자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다.[en-107]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스탈린의 정부 정권의 정통성은 소련 시민의 대중적 지지에 의존했으며, 스탈린은 반소비에트 사람들을 숙청함으로써 전후 노동자 계층 시민들에게 고용과 사회 이동을 창출했다. 스탈린의 사회 공학으로부터 이익을 얻은 사람들은 소련에 충성하는 스탈린주의자가 되었다.[en-107]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동독의 경우, 엘리 루빈(Eli Rubin)은 동독이 전체주의 국가가 아니라 독특한 경제적, 정치적 상황이 평범한 시민들의 관심사와 상호작용한 결과 형성된 사회라고 주장했다.[en-109]서적 Synthetic Socialism: Plastics & Dictatorship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8
1987년에 발터 라케르(Walter Laqueur)는 소련사 분야의 수정주의자들이 소련을 전체주의 국가로 보는 개념에 반대하는 설득력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en-110]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라케르는 수정주의자들의 주장이 독일사에 대한 에른스트 놀테(Ernst Nolte)의 주장과 유사하다고 말했다.[en-110]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폴 부흘(Paul Buhle)과 같은 수정주의 학자들은 라케르가 냉전 수정주의를 독일 수정주의와 잘못 동일시했다고 반박했다.[en-112]서적 William Appleman Williams: The Tragedy of Empire Psychology Press 1995 마이클 파렌티(Michael Parenti)와 제임스 페트라스(James Petras)는 전체주의 개념이 반공 목적으로 정치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 파렌티는 또한 "좌파 반공주의자"들이 냉전 기간 동안 소련을 공격했다고 지적했다.[en-113]서적 Blackshirts and Reds: Rational Fascism and the Overthrow of Communism City Lights Books 1997 페트라스는 CIA가 "스탈린주의 반전체주의"를 공격하기 위해 문화자유회의(Congress for Cultural Freedom)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주장했다.[en-114]간행물 The CIA and the Cultural Cold War Revisited 1999-11-01 21세기에 들어 엔조 트라베르소(Enzo Traverso)는 전체주의 개념을 서방의 적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비판했다.[en-115]프랑스어 서적 Le Totalitarisme: Le XXe siècle en débat Poche 2001
일부 학자들은 요제프 스탈린을 "권위주의자" 대신 "전체주의자"라고 부르는 것이 서구의 자기 이익을 위한 변명이라고 주장한다. 도메니코 로수르도(Domenico Losurdo)는 전체주의가 기독교 신학에서 유래한 다의적 개념이며, 이를 정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역사적 현실의 고립된 요소들을 사용하는 추상적 도식주의이며 냉전 시대 지식인들의 반공주의에 기여한다고 비판했다.[en-116]간행물 Towards a Critique of the Category of Totalitarianism 2004-01
공산주의나 마르크스주의, 특히 소비에트 연방의 일당 독재 체제에 대해 "전체주의"로 보는 견해가 있다. 철학자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마르크스주의가 전체주의의 일종이라고 비판했으며, 한나 아렌트는 1951년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파시즘과 국가사회주의를 "전체주의"로 규정했지만, 이들 모두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프란츠 보르케나우는 저서 「전체주의라는 적」에서 파시즘과 공산주의의 실질적인 동일성을 주장하며 러시아를 "붉은 파시즘", 나치 독일을 "갈색의 볼셰비즘"이라고 불렀다.[ja-7]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좌우 모두 겉보기에는 정반대로 보이는 정치사상도 실은 같은 전체주의라고 주장했다.
유럽 평의회 의회는 2006년 1월 25일의 1481호 결의에서 "20세기에 휩쓸고 현재에도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권력을 쥐고 있는 '''전체주의'''적인 공산주의 정권은 예외 없이 대규모 인권 침해를 자행해 왔다."고 규정했다. 그 예로 강제 수용소, 인위적인 기근, 고문, 노예 노동, 민족적 또는 종교적 박해,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침해, 보도 자유 침해, 정치적 다원주의 결여 등을 들었다. 또한 "공산주의 체제에서의 범죄는 계급 투쟁 이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원칙이라는 이름 아래 정당화되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범죄는 나치즘의 범죄처럼 국제 사회에 의해 아직 심판받지 못했다."고 결의했다.
[ja-8]간행물 Resolution 1481 (2006):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6-01-25
5. 3. 전체주의 모델 비판
러시아-미국 냉전(1945–1989) 동안, 크렘린학(정치국 정책 분석)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절대 권력으로 통제되는 경찰 국가로 소비에트 연방(USSR)을 보는 ''전체주의 모델''이 지배적인 역사 및 정책 분석을 만들어냈다.[en-26]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크렘린의 정치국 내부 정치 연구는 냉전 역사에 대한 전통주의 크렘린학 및 수정주의 크렘린학이라는 두 학파를 만들었다. 전통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전체주의 모델''을 지지하며 ''공산주의 러시아''의 경찰 국가 버전을 뒷받침하는 크렘린 정치 및 정책 해석을 했다.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크렘린 정치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하고 소비에트 사회, 시민 및 군대에 대한 정치국 정책의 영향을 보고했다.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1950년대 스탈린주의 소비에트 연방(USSR)의 전체주의 국가 이미지가 스탈린의 사망으로 소비에트 사회가 변화했기 때문에 지나치게 단순화되고 부정확하다고 말했다.[en-27]간행물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2002-06 냉전 이후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해체되면서 대부분의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옛 공산주의 국가의 국립 기록 보관소에서 연구를 진행했다.[en-30]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en-28]간행물 Revisionism in Soviet History 2007-111950년대에 칼 요아힘 프리드리히는 소비에트 러시아와 붉은 중국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들이 최고 지도자에 의한 정부의 ''전체주의 모델''의 특징으로 체계적으로 통제되는 국가라고 말했다. 이 모델은 (i) 지도자에 대한 개인 숭배를 포함하는 공식적인 지배 이데올로기, (ii) 모든 시민 및 군사 무기에 대한 통제, (iii) 공공 및 사적인 대중 통신 매체에 대한 통제, (iv) 대중을 감시하기 위한 국가 테러의 사용, (v) 지도자를 영구적으로 재선출하는 대규모 당원 정치 정당으로 구성된다.[en-29]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년대에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소비에트 연방(USSR)에서 소비에트 사회를 통치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친 비교적 자율적인 관료제의 조직을 연구했다.[en-30]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J. 아치 게티와 린 바이올라와 같은 수정주의 크렘린 학자들은 소비에트 정부, 공산당, 그리고 소비에트 연방의 시민 사회가 스탈린의 죽음으로 크게 변화했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전체주의 모델의 해석적 한계를 넘어섰다. 수정주의 사회사는 소비에트 사회의 사회적 힘이 소비에트 연방 정부로 하여금 공산주의 경제학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가진 전쟁 전후 세대로 구성된 소비에트 사회의 실제 정치 경제에 맞춰 공공 정책을 조정하도록 강요했음을 시사했다.[en-31]간행물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2002-06 따라서 러시아 현대사는 1950년대의 경찰 국가인 소비에트 연방(USSR)에 대한 스탈린주의 이후의 인식이었던 ''전체주의 모델''을 구식화했다.[en-32]간행물 Review: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09

전통주의 역사학자인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는 소련, 파시스트 이탈리아, 나치 독일의 전체주의 정권이 제1차 세계 대전의 사회경제적 여파로 인한 정치적 불만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했다. 또한, 바이마르 공화국(Weimar Germany) 정부는 전체주의적 성향의 좌우 혁명에 저항, 대응, 진압하는 데 무력했다고 주장했다.[en-57]None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은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가 소련 사회 체제의 실제 기능, 즉 정치적 실체(소련)와 사회적 실체(소련 시민 사회)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련과 러시아 역사에 대한 전체주의 모델 해석의 역사학적 한계를 지적했다. 이는 전문 엘리트가 소련의 지배 계급인 '노멘클라투라'로의 상향 이동을 추구하는 사회주의 계급 투쟁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었다. 정치국의 정치경제학이 정책 시행을 위해 지역 당국에 측정된 행정 권한을 허용한 것은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이 전체주의 정권이 시민 사회의 새로운 경제적 요구를 포함하도록 정치 경제를 조정한다는 증거로 해석했다. 반면 전통주의 역사학자들은 소련의 정치경제적 붕괴가 정치국이 소련 경제에 대한 실제 대중 참여를 포함하도록 정치 경제를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전체주의 경제 정권이 실패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해석했다.[en-58]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나치 독일 역사가인 카를 디트리히 브라허(Karl Dietrich Bracher)는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가 개발한 '전체주의 유형학'이 주권 국가에서 전체주의를 확립하는 데 필요한 폭력 혁명을 실현하는 데 전념하는 호전적인 사람들의 '혁명적 역동성'을 포함하지 않는 유연하지 않은 모델이라고 말했다.[en-59]서적 The Nazi Dictatorship: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Arno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전체주의의 본질은 권위주의적 지도자가 해석하는 보편적 이념을 사용하여 시민 사회를 국가로 병합하여 집단적 국가 정체성을 창출함으로써 시민 사회의 모든 측면을 재구성하기 위한 총체적 통제라는 것이다.[en-59]서적 The Nazi Dictatorship: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Arno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브라허는 전체주의 정부가 반드시 실제 최고 지도자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집단 지도체제(collective leadership)를 통해 기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역사가 월터 라커(Walter Laqueur)는 브라허의 전체주의 유형학이 프리드리히와 브레진스키가 제시한 전체주의 유형학보다 정치국의 기능적 현실을 더 정확하게 설명한다고 동의했다.[en-60]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레몽 아롱(Raymond Aron)은 '민주주의와 전체주의(Democracy and Totalitarianism)'(1968)에서 정부 체제가 전체주의적이라고 여겨지려면 상호 연결되고 상호 지원하는 다섯 가지 특징의 전체주의 모델로 기술하고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지배 정당이 모든 정치 활동을 독점하는 일당 국가.
# 유일한 권위로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받는 지배 정당에 의해 옹호되는 국가 이념.
# 공식적인 진실을 방송하기 위한 대중 매체의 통제, 정보에 대한 국가 독점.
# 국가 통제하에 주요 경제 주체를 특징으로 하는 국가 통제 경제.
# 이념적 경찰 국가 공포, 정치적, 경제적, 전문적 활동의 범죄화.[en-65]서적 Democracy and Totalitarianism Littlehampton Book Services 1968
공산주의나 마르크스주의, 특히 소비에트 연방의 일당 독재 체제에 대해 "전체주의"로 보는 견해가 있다.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전체주의의 일종이라고 비판했다. 한나 아렌트는 1951년 저서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파시즘과 국가사회주의를 "전체주의"로 규정했지만, 이들 모두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프란츠 보르케나우는 저서 「전체주의라는 적」에서 파시즘과 공산주의의 실질적인 동일성을 기술하며 러시아를 "붉은 파시즘", 나치 독일을 "갈색의 볼셰비즘"이라고 불렀다.[ja-7]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우익과 좌익 모두 겉보기에는 정반대로 보이는 정치사상도 실은 같은 전체주의라고 말했다.
유럽 평의회 의회는 2006년 1월 25일의 1481호 결의에서 "20세기에 휩쓸고 현재에도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권력을 쥐고 있는 '''전체주의'''적인 공산주의 정권은 예외 없이 대규모 인권 침해를 자행해 왔다. 여기에는 강제 수용소, 인위적인 기근, 고문, 노예 노동 및 기타 조직적인 폭력에 의한 개인 및 집단의 살해 외에도 민족적 또는 종교적 박해, 양심이나 사상을 표명할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 보도 자유 침해, 정치적 다원주의 결여 등이 포함된다." "전체주의적 공산주의 체제에서의 범죄는 계급 투쟁 이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원칙이라는 이름 아래 정당화되었다. 공산주의의 적으로 배제된 엄청난 수의 희생자는 자국민이었다." "이러한 범죄는 나치즘의 범죄처럼 국제 사회에 의해 아직 심판받지 못했다. 그 결과 공산주의 정권의 범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매우 미흡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공산당이 합법 정당이며 활동적인 경우도 있다."
"유럽 평의회는 공산주의 체제의 범죄를 강력히 비난하는 동시에 공산주의 체제의 희생자의 고통에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이 윤리적인 책무라고 생각한다."라고 결의했다.[ja-8]간행물 Resolution 1481 (2006):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6-01-25
6. 현대적 관점과 응용
로르 노이마이어는 "전체주의 개념은 그 경험적 가치와 규범적 가정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냉전 종식과 함께 정치 및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복귀했다"고 주장했다.[en-67]서적 The Criminalisation of Communism in the European Political Space after the Cold War Routledge 1990년대에 프랑수아 퓌레는 비교 분석을 통해[en-68]학술지 Histoires croisées: François Furet, Ernst Nolte and a Comparative History of Totalitarian Movements 2007 나치즘과 스탈린주의를 연결하기 위해 ''전체주의 쌍둥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en-69]간행물 The Sound and the Furet 2020-08-07[en-70]간행물 Exploiting a Tragedy, or Le Rouge en Noir 2020-08-07[en-71]웹사이트 Nazi Fascism and the Modern Totalitarian State 2020-08-07 에릭 홉스봄은 퓌레가 서로 다른 이념적 뿌리를 가진 두 체제 사이의 공통점을 강조하려는 유혹에 대해 비판했다.[en-72]서적 History and Illusion Abacus 2012 슬라보예 지젝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의 체포에 대해 "피노체트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마법이 깨지고, 고문과 실종이라는 금기시되었던 주제가 뉴스 매체의 일상적인 소재가 되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속삭이지 않고, 칠레 자체에서 그를 기소하는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다"면서 "해방적인 효과"가 "예외적"이었다고 썼다.[en-73]서적 Did Somebody Say Totalitarianism?: Five Interventions in the (Mis)Use of a Notion Verso 2002 살라딘 아메드는 한나 아렌트가 "스탈린 사망 이후 소련은 더 이상 엄밀한 의미에서 전체주의라고 부를 수 없다"고 말한 것을 인용하면서 "이것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 치하의 칠레에서도 마찬가지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칠레를 전체주의 정권의 범주에서 제외하는 것은 부조리할 것"이라고 썼다. 살라딘은 피노체트 치하의 칠레에는 "공식적인 이데올로기"가 없었지만 "배후"에서 칠레를 통치한 사람은 "밀턴 프리드먼 외에는 없었다"면서 "신자유주의의 대부이자 시카고 학파의 가장 영향력 있는 스승이 바로 피노체트의 고문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런 맥락에서 살라딘은 전체주의 개념이 "반대 이데올로기"에만 적용되고 자유주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했다.[en-34]서적 Totalitarian Space and the Destruction of Aura SUNY Press 2019
2010년대 초에 리처드 쇼튼, 블라디미르 티스머네아누, 아비에저 터커는 전체주의 이데올로기가 다양한 정치 체제에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모두 유토피아주의, 과학주의, 정치적 폭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나치즘과 스탈린주의 모두 현대 사회에서 전문화의 역할을 강조했고, 박식가를 과거의 것으로 보았으며, 그들의 주장이 통계와 과학으로 뒷받침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문화에 엄격한 윤리 규정을 부과하고 심리적 폭력을 사용하고 전체 집단을 박해했다고 주장했다.[en-74]서적 Modernism and Totalitarianism: Rethinking the Intellectual Sources of Nazism and Stalinism, 1945 to the Present Palgrave 2012[en-75]서적 The Devil in History: Communism, Fascism, and Some Lessons of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en-76]서적 The Legacies of Totalitarianism: A Theoretical Frame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후안 프란시스코 푸엔테스는 전체주의를 "만들어진 전통"으로 취급하며 "현대적 전제 정치"라는 개념은 "역 시대착오"라고 믿는다. 푸엔테스에게 "전체주의/전체주의의 시대착오적 사용은 과거를 현재의 모습과 유사하게 재구성하려는 의지를 수반한다."[en-77]학술지 How Words Reshape the Past: The 'Old, Old Story of Totalitarianism 2015
다른 연구들은 현대 기술 변화를 전체주의와 연결하려고 시도한다. 쇼샤나 주보프에 따르면 현대 감시 자본주의의 경제적 압력은 온라인 연결과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며, 사회 생활 공간은 기업 행위자들의 포화 상태에 개방되어 이윤 창출 및/또는 행동 규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en-78]서적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The Fight for a Human Future at the New Frontier of Power PublicAffairs 토비 오드는 조지 오웰의 전체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현대의 인위적 실존적 위험, 즉 미래의 대재앙이 기술 변화로 인해 지구에서 기원한 지적 생명체의 잠재력을 영구적으로 파괴하여 영구적인 기술 디스토피아를 만들 수 있다는 개념에 대한 주목할 만한 초기 전조라고 믿었다. 오드는 오웰의 글이 그의 우려가 단지 소설 ''1984년''의 허구적인 줄거리의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진실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1949년 오웰은 "[앞서 열거된 네 가지 위험 요인]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지배 계급은 영구적으로 권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썼다.[en-79]서적 The Precipice: Existential Risk and the Future of Humanity Bloomsbury Publishing 같은 해, 버트런드 러셀은 "현대 기술은 정부 통제의 새로운 강도를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이 가능성은 전체주의 국가에서 매우 충분히 활용되었다"고 썼다.[en-80]학술지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veillance
2016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의 지도부 하에서 중국 시민들의 개인적인 행동에 따라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중국의 개발된 사회 신용 시스템을 ''전체주의적''이라고 묘사했다.[en-81]뉴스 China invents the digital totalitarian state 2018-09-14 중국의 순위 시스템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시스템이 침입적이며 일당 국가가 인구를 통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도구일 뿐이라고 말한다. 지지자들은 이 시스템이 중국을 더 문명화되고 법을 준수하는 사회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한다.[en-82]뉴스 China's Radical Plan to Judge Each Citizen's Behavior 2020-01-23 쇼샤나 주보프는 이 시스템을 전체주의적이라기보다는 도구적이라고 생각한다.[en-83]학술지 The Surveillance Business 2020-03-23
북한은 1994년 김일성 사후에도 전체주의가 살아남은 동아시아 유일의 국가이며, 21세기 현재까지 2011년에 그의 아들 김정일과 손자 김정은에게 권력이 이양되었다.[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미래의 전체주의 정권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다른 신기술로는 뇌 독해, 접촉 추적, 인공지능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있다.[en-84]학술지 A Modest Defence of Mind Reading 2012[en-85]뉴스 Totalitarianism: Congressman calls method to track coronavirus cases an invasion of privacy 2020-04-23[en-86]서적 Towards Digital Enlightenment 2019[en-87]학술지 Classification of global catastrophic risks connec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2018-05-03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강력하고 영구적인 세계 정부의 수립을 통해 일부 실존적 위험을 완화할 수 있지만, 반대로 그러한 정부의 수립은 영구적인 독재 통치와 관련된 실존적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가능한 상쇄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en-88]학술지 Existential Risk Prevention as Global Priority 2013-02
6. 1. 새로운 의미론
1980년, 윌리엄 지머만은 J.F. 호프와 멀 팽소드의 저서 ''소비에트 연방의 통치 방식''에 대한 서평에서, 기존의 전체주의 모델이 소련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en-32]간행물 Review: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09 마이클 스콧 크리스토퍼슨은 아흐메드 살라딘의 저서 ''전체주의 공간과 아우라의 파괴'' 서평에서 한나 아렌트의 스탈린 이후 소련 해석이 반공산주의 선전으로 오용된 전체주의 개념과 거리를 두려는 시도였다고 언급했다.[en-34]서적 Totalitarian Space and the Destruction of Aura SUNY Press 2019존 코넬리는 에세이 "전체주의: 폐기된 이론, 유용한 단어"에서 '전체주의'라는 단어 자체는 유용하지만, 1950년대의 낡은 전체주의 이론은 학계에서 폐기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단어가 나치 독일, 소비에트 연방, 공산주의 중국 등 특정 정권을 지칭하는 데 여전히 유용하며, 바츨라프 하벨이나 아담 미흐니크와 같은 이들이 자신의 지배자를 전체주의자로 인식한 것이 옳다고 말했다. 코넬리는 사람들이 유용한 설명 용어를 낡은 이론과 혼동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en-35]간행물 Totalitarianism: Defunct Theory, Useful Word 2010
스티븐 레비츠키와 루칸 웨이는 저서 ''혁명과 독재: 지속 가능한 권위주의의 폭력적인 기원''에서 초기 혁명 정권이 군사적 침략으로 파괴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전체주의 정권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정권은 기존 사회 구조와 독립적인 사회 혁명으로 시작되며, 응집력 있는 지배 계급, 반대 의견을 억압하는 강압 기구, 그리고 경쟁적인 정치 세력의 파괴를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소비에트 연방과 마오쩌둥 중국을 예시로 들며, 이러한 전체주의적 특징들이 경제 위기나 사회 불만에도 정권이 지속될 수 있게 한다고 설명했다.[en-36]서적 Revolution and Dictatorship: The Violent Origins of Durable Authoritaria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9-13
일부 전체주의 일당제 국가는 사회주의 혁명을 주도한 세력에 충성하는 군 장교들이 일으킨 쿠데타를 통해 수립되기도 했는데, 미얀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1962년),[en-37]서적 Widening circle of genocide Transaction Publishers 1994 시리아 아랍 공화국(1963년),[en-38]서적 Syria and the Neutrality Trap: The Dilemmas of Delivering Humanitarian Aid Through Violent Regimes I.B. Tauris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1978년) 등이 그 예이다.[en-39]서적 Creating Consent in Ba'thist Syria: Women and Welfare in a Totalitarian State I. B. Tauris
6. 2. 기술과 전체주의
로르 노이마이어는 "전체주의 개념은 그 경험적 가치와 규범적 가정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냉전 종식과 함께 정치 및 학문 분야에서 활발하게 복귀했다"고 주장했다.[en-67]서적 The Criminalisation of Communism in the European Political Space after the Cold War Routledge 1990년대에 프랑수아 퓌레는 비교 분석을 통해[en-68]학술지 Histoires croisées: François Furet, Ernst Nolte and a Comparative History of Totalitarian Movements 2007 나치즘과 스탈린주의를 연결하기 위해 ''전체주의 쌍둥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en-69]간행물 The Sound and the Furet 2020-08-07[en-70]간행물 Exploiting a Tragedy, or Le Rouge en Noir 2020-08-07[en-71]웹사이트 Nazi Fascism and the Modern Totalitarian State 2020-08-07 에릭 홉스봄은 퓌레가 서로 다른 이념적 뿌리를 가진 두 체제 사이의 공통점을 강조하려는 유혹에 대해 비판했다.[en-72]서적 History and Illusion Abacus 2012 지젝은 ''누가 전체주의라고 말했나?: 개념의 (오)용에 대한 다섯 가지 개입''에서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의 체포에 대해 "피노체트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마법이 깨지고, 고문과 실종이라는 금기시되었던 주제가 뉴스 매체의 일상적인 소재가 되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속삭이지 않고, 칠레 자체에서 그를 기소하는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다"면서 "해방적인 효과"가 "예외적"이었다고 썼다.[en-73]서적 Did Somebody Say Totalitarianism?: Five Interventions in the (Mis)Use of a Notion Verso 2002 살라딘 아메드는 한나 아렌트가 "스탈린 사망 이후 소련은 더 이상 엄밀한 의미에서 전체주의라고 부를 수 없다"고 말한 것을 인용하면서 "이것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 치하의 칠레에서도 마찬가지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칠레를 전체주의 정권의 범주에서 제외하는 것은 부조리할 것"이라고 썼다. 살라딘은 피노체트 치하의 칠레에는 "공식적인 이데올로기"가 없었지만 "배후"에서 칠레를 통치한 사람은 "밀턴 프리드먼 외에는 없었다"면서 "신자유주의의 대부이자 시카고 학파의 가장 영향력 있는 스승이 바로 피노체트의 고문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런 맥락에서 살라딘은 전체주의 개념이 "반대 이데올로기"에만 적용되고 자유주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했다.[en-34]서적 Totalitarian Space and the Destruction of Aura SUNY Press 2019
2010년대 초에 리처드 쇼튼, 블라디미르 티스머네아누, 아비에저 터커는 전체주의 이데올로기가 다양한 정치 체제에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모두 유토피아주의, 과학주의, 정치적 폭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나치즘과 스탈린주의 모두 현대 사회에서 전문화의 역할을 강조했고, 박식가를 과거의 것으로 보았으며, 그들의 주장이 통계와 과학으로 뒷받침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문화에 엄격한 윤리 규정을 부과하고 심리적 폭력을 사용하고 전체 집단을 박해했다고 주장했다.[en-74]서적 Modernism and Totalitarianism: Rethinking the Intellectual Sources of Nazism and Stalinism, 1945 to the Present Palgrave 2012[en-75]서적 The Devil in History: Communism, Fascism, and Some Lessons of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en-76]서적 The Legacies of Totalitarianism: A Theoretical Frame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그들의 주장은 편파성과 시대착오성 때문에 다른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후안 프란시스코 푸엔테스는 전체주의를 "만들어진 전통"으로 취급하며 "현대적 전제 정치"라는 개념은 "역 시대착오"라고 믿는다. 푸엔테스에게 "전체주의/전체주의의 시대착오적 사용은 과거를 현재의 모습과 유사하게 재구성하려는 의지를 수반한다."[en-77]학술지 How Words Reshape the Past: The 'Old, Old Story of Totalitarianism 2015
다른 연구들은 현대 기술 변화를 전체주의와 연결하려고 시도한다. 쇼샤나 주보프에 따르면 현대 감시 자본주의의 경제적 압력은 온라인 연결과 감시를 강화하고 있으며, 사회 생활 공간은 기업 행위자들의 포화 상태에 개방되어 이윤 창출 및/또는 행동 규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en-78]서적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The Fight for a Human Future at the New Frontier of Power PublicAffairs 토비 오드는 조지 오웰의 전체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현대의 인위적 실존적 위험, 즉 미래의 대재앙이 기술 변화로 인해 지구에서 기원한 지적 생명체의 잠재력을 영구적으로 파괴하여 영구적인 기술 디스토피아를 만들 수 있다는 개념에 대한 주목할 만한 초기 전조라고 믿었다. 오드는 오웰의 글이 그의 우려가 단지 소설 ''1984년''의 허구적인 줄거리의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진실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1949년 오웰은 "[앞서 열거된 네 가지 위험 요인]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지배 계급은 영구적으로 권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썼다.[en-79]서적 The Precipice: Existential Risk and the Future of Humanity Bloomsbury Publishing 같은 해, 버트런드 러셀은 "현대 기술은 정부 통제의 새로운 강도를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이 가능성은 전체주의 국가에서 매우 충분히 활용되었다"고 썼다.[en-80]학술지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veillance
2016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의 지도부 하에서 중국 시민들의 개인적인 행동에 따라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중국의 개발된 사회 신용 시스템을 ''전체주의적''이라고 묘사했다.[en-81]뉴스 China invents the digital totalitarian state 2018-09-14 중국의 순위 시스템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시스템이 침입적이며 일당 국가가 인구를 통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도구일 뿐이라고 말한다. 지지자들은 이 시스템이 중국을 더 문명화되고 법을 준수하는 사회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한다.[en-82]뉴스 China's Radical Plan to Judge Each Citizen's Behavior 2020-01-23 쇼샤나 주보프는 이 시스템을 전체주의적이라기보다는 도구적이라고 생각한다.[en-83]학술지 The Surveillance Business 2020-03-23
북한은 1994년 김일성 사후에도 전체주의가 살아남은 동아시아 유일의 국가이며, 21세기 현재까지 2011년에 그의 아들 김정일과 손자 김정은에게 권력이 이양되었다.[en-2]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미래의 전체주의 정권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다른 신기술로는 뇌 독해, 접촉 추적, 인공지능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있다.[en-84]학술지 A Modest Defence of Mind Reading 2012[en-85]뉴스 Totalitarianism: Congressman calls method to track coronavirus cases an invasion of privacy 2020-04-23[en-86]서적 Towards Digital Enlightenment 2019[en-87]학술지 Classification of global catastrophic risks connec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2018-05-03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강력하고 영구적인 세계 정부의 수립을 통해 일부 실존적 위험을 완화할 수 있지만, 반대로 그러한 정부의 수립은 영구적인 독재 통치와 관련된 실존적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가능한 상쇄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en-88]학술지 Existential Risk Prevention as Global Priority 2013-02
6. 3. 종교적 전체주의
탈레반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냉전 종식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등장한 전체주의 수니파 이슬람 무장 단체이자 정치 운동이다. 탈레반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대부분을 통치했고 2021년에 다시 권력을 잡고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했다. 탈레반의 전체주의적 통치의 특징으로는 다수 파슈툰 민족의 파슈툰왈리 문화를 종교법으로 강제하고, 소수 민족과 탈레반이 아닌 구성원을 정부에서 배제하고, 광범위한 여성 권리 침해 등이 있다.[en-89]None
이슬람 국가는 살라피 지하드주의 무장 단체로, 이라크 반란 당시 아부 오마르 알바그다디가 2006년에 "이라크 이슬람 국가"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지도 아래 이 단체는 2013년에 이름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로 변경했다. 이 단체는 근본주의와 글로벌 지하드주의, 와하비즘, 쿠트비즘이 혼합된 전체주의 이념을 지지한다. 2014년 영토 확장에 따라 이 단체는 이름을 "이슬람 국가"로 바꾸고 칼리파국을 선언했으며, 무슬림 세계를 지배하고 "정치-종교적 전체주의 정권"이라고 묘사된 것을 수립하려 했다. 이 유사 국가는 제3차 이라크 전쟁과 시리아 내전이 진행되는 동안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상당한 영토를 차지했으며, 초대 칼리프인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독재 하에 엄격한 샤리아법 해석을 강요했다.[en-93]웹사이트 Totalitarianism 101: The Islamic State's Offline Propaganda Strategy 2016-03-27[en-94]서적 The Islamic State From Terrorism to Totalitarian Insurgency Routledge[en-95]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Choice 2019-02[en-96]학술지 The Islamic State: A Political-Religious Totalitarian Regime.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21
프랑코 정권 (1936년~1975년)은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학자들은 적어도 1950년대까지 전체주의 국가로 규정했다. 프랑코는 열렬한 가톨릭 신자이자 가톨릭교의 확고한 옹호자이자 선언된 국교로 묘사되었다.[en-97]서적 En el combate por la historia: la República, la guerra civil, el franquismo Pasado y Presente 2020-09-15 공화국에서 이루어진 시민 결혼은 교회가 유효성을 확인하지 않는 한 무효로 선언되었고, 이혼도 마찬가지였다. 이혼, 피임, 낙태는 금지되었다.[en-98]웹사이트 Franco edicts 2005-12-16 역사가 스탠리 G. 페인에 따르면, 프랑코는 아돌프 히틀러나 이오시프 스탈린이 각각 권력의 정점에 있었을 때보다 더 많은 일상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페인은 히틀러와 스탈린은 최소한 거수기 의회를 유지했지만, 프랑코는 통치 초기에 그러한 형식조차 없앴다고 지적했다. 페인에 따르면, 거수기 의회조차 없었다는 사실은 프랑코 정부를 "세계에서 가장 순수하게 자의적인 정부"로 만들었다.[en-99]서적 The Franco Regime, 1936–1975 Univ of Wisconsin Press 그러나 1959년부터 1974년까지 "스페인 기적"이 테크노크라트들의 지도 아래 일어났는데, 이들 중 다수는 오푸스 데이의 구성원이었고, 구 팔랑헤당 경비대를 대체한 새로운 세대의 정치인이었다.[en-100]서적 "Franco: Soldier, Commander, Dictator" Potomac Books, Inc. 1950년대에 개혁이 시행되었고 스페인은 자급자족을 포기하고 고립주의적인 팔랑헤주의 운동에서 경제적 권한을 재할당했다.[en-101]웹사이트 Before China's Transformation, There Was The 'Spanish Miracle' 2014-05-19 이것은 1970년대 중반까지 지속된 대규모 경제 성장을 가져왔으며, "스페인 기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1950년대 소련의 탈스탈린화와 비슷하며, 프랑코 정권은 공개적으로 전체주의에서 어느 정도의 경제적 자유를 가진 권위주의 독재 정권으로 바뀌었다.[en-102]논문
장 칼뱅의 지도 하에 있는 제네바 시 또한 학자들에 의해 전체주의로 특징지어졌다.[en-103]서적 Totalitarianism, Terrorism and Supreme Values: History and Theo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2-28[en-104]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Choice,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28[en-105]서적 Totalitarianism and Political Religions, Volume II: Concepts for the Comparison of Dictatorships Taylor & Francis 2023-02-28
6. 3. 1. 이슬람
탈레반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냉전 종식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등장한 전체주의 수니파 이슬람 무장 단체이자 정치 운동이다. 탈레반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대부분을 통치했고 2021년에 다시 권력을 잡고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했다. 탈레반의 전체주의적 통치의 특징으로는 다수 파슈툰 민족의 파슈툰왈리 문화를 종교법으로 강제하고, 소수 민족과 탈레반이 아닌 구성원을 정부에서 배제하고, 광범위한 여성 권리 침해 등이 있다.[en-89]None
이슬람 국가는 살라피 지하드주의 무장 단체로, 이라크 반란 당시 아부 오마르 알바그다디가 2006년에 "이라크 이슬람 국가"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지도 아래 이 단체는 2013년에 이름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로 변경했다. 이 단체는 근본주의와 글로벌 지하드주의, 와하비즘, 쿠트비즘이 혼합된 전체주의 이념을 지지한다. 2014년 영토 확장에 따라 이 단체는 이름을 "이슬람 국가"로 바꾸고 칼리파국을 선언했으며, 무슬림 세계를 지배하고 "정치-종교적 전체주의 정권"이라고 묘사된 것을 수립하려 했다. 이 유사 국가는 제3차 이라크 전쟁과 시리아 내전이 진행되는 동안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상당한 영토를 차지했으며, 초대 칼리프인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독재 하에 엄격한 샤리아법 해석을 강요했다.[en-90]뉴스 Islamic State leader Abu Bakr al-Baghdadi addresses Muslims in Mosul 2014-07-06[en-91]영어 웹사이트 Caliph Incognito: The Ridicule of Abu Ibrahim al-Hashimi 2020-01-02[en-92]영어 웹사이트 What a caliphate really is—and how the Islamic State is not one 2020-02-05[en-93]웹사이트 Totalitarianism 101: The Islamic State's Offline Propaganda Strategy 2016-03-27[en-94]서적 The Islamic State From Terrorism to Totalitarian Insurgency Routledge[en-95]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Choice 2019-02[en-96]학술지 The Islamic State: A Political-Religious Totalitarian Regime.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21
6. 3. 2. 기독교

프랑코 정권(1936년~1975년)은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학자들은 적어도 1950년대까지 전체주의 국가로 규정했다. 프랑코는 열렬한 가톨릭 신자이자 가톨릭교의 확고한 옹호자이자 선언된 국교로 묘사되었다.[en-97]서적 En el combate por la historia: la República, la guerra civil, el franquismo Pasado y Presente 2020-09-15 공화국에서 이루어진 시민 결혼은 교회가 유효성을 확인하지 않는 한 무효로 선언되었고, 이혼도 마찬가지였다. 이혼, 피임, 낙태는 금지되었다.[en-98]웹사이트 Franco edicts 2005-12-16 역사가 스탠리 G. 페인에 따르면, 프랑코는 아돌프 히틀러나 이오시프 스탈린이 각각 권력의 정점에 있었을 때보다 더 많은 일상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페인은 히틀러와 스탈린은 최소한 거수기 의회를 유지했지만, 프랑코는 통치 초기에 그러한 형식조차 없앴다고 지적했다. 페인에 따르면, 거수기 의회조차 없었다는 사실은 프랑코 정부를 "세계에서 가장 순수하게 자의적인 정부"로 만들었다.[en-99]서적 The Franco Regime, 1936–1975 Univ of Wisconsin Press 그러나 1959년부터 1974년까지 "스페인 기적"이 테크노크라트들의 지도 아래 일어났는데, 이들 중 다수는 오푸스 데이의 구성원이었고, 구 팔랑헤당 경비대를 대체한 새로운 세대의 정치인이었다.[en-100]서적 "Franco: Soldier, Commander, Dictator" Potomac Books, Inc. 1950년대에 개혁이 시행되었고 스페인은 자급자족을 포기하고 고립주의적인 팔랑헤주의 운동에서 경제적 권한을 재할당했다.[en-101]웹사이트 Before China's Transformation, There Was The 'Spanish Miracle' 2014-05-19 이것은 1970년대 중반까지 지속된 대규모 경제 성장을 가져왔으며, "스페인 기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1950년대 소련의 탈스탈린화와 비슷하며, 프랑코 정권은 공개적으로 전체주의에서 어느 정도의 경제적 자유를 가진 권위주의 독재 정권으로 바뀌었다.[en-102]논문
장 칼뱅의 지도 하에 있는 제네바 시 또한 학자들에 의해 전체주의로 특징지어졌다.[en-103]서적 Totalitarianism, Terrorism and Supreme Values: History and Theo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2-28[en-104]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Choice,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28[en-105]서적 Totalitarianism and Political Religions, Volume II: Concepts for the Comparison of Dictatorships Taylor & Francis 2023-02-28
7. 각국에서의 전체주의 인식
7. 1. 일본
조지 케넌은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전, 세계 육군력과 해군력의 상당 부분이 나치, 소비에트, 일본 제국 세 정치 세력에 집중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이 세력을 모두 서방 민주주의에 적대적인 "세 전체주의 국가"로 묶어 평가했다.[ja-9]서적 アメリカ外交50年 岩波現代文庫더글러스 러미스는 독일의 전체주의는 특정 정치 체제인 반면, 일본 문화 자체가 철저하게 전체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ja-10]서적 内なる外国「菊と刀」再考 時事通信社 로베르 기옌은 서유럽의 개인주의와 달리 일본의 개인주의는 집단적인 사상을 가지며, 개인 간 대립을 피하고 체제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ja-11]서적 日本人と戦争 朝日文庫
정신과 의사 도이 다케오는 일본인의 집단 지향성이 조지 오웰의 일구팔사에서 나타나는 전체주의와는 다르다고 보았다. 그는 일본인의 집단 지향성은 개인에게 집단의 지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본능적 감각에 기반한다고 설명했다.[ja-12]서적 表と裏 弘文堂
7. 2. 중국
무라카미 카즈야는 J.린츠의 정의에 따라 중화민국(대만)의 장제스 체제를 전체주의, 그의 아들 장징궈 체제를 권위주의로 분석한다.[ja-13]학술지 中華民国(台湾)における政治体制の移行:権力闘争と「統独」問題を中心にして 北海道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 소에지마 타카히코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전체주의로 규정한다.[ja-14]서적 全体主義(トータリタリアニズム)の中国がアメリカを打ち倒す : ディストピアに向かう世界 ビジネス社8. 결론
참조
[en-1]
서적
Reflections on a Ravaged Century
Norton
[en-2]
서적
Nationalism and Identity in Romania: A History of Extreme Politics from the Birth of the State to EU Accession
Bloomsbury
2010
[en-3]
서적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Regimes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
2000
[en-4]
서적
Reader's Guide to the Social Scien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3
[en-5]
서적
Origins of North Korea's Juche: Colonialism, War,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23-02-05
[en-6]
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Routledge
[en-7]
간행물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Sage Publications
2010-01
[en-8]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8-17
[en-9]
서적
Plato's Modern Enemies and the Theory of Natural Law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n-10]
서적
In Defense of Plato
Russell and Russell
[en-11]
서적
La dottrina del fascismo
1932
[en-12]
서적
Dialectic of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1-08-17
[en-13]
서적
Genocide: a histo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en-14]
간행물
The "Dark Forces," the Totalitarian Model, and Soviet History
https://www.jstor.or[...]
1987
[en-15]
서적
The Totalitarian Legacy of the Bolshevik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4-17
[en-16]
서적
Totalitarianisms: The Closed Society and Its Friends. A History of Crossed Languages
https://books.google[...]
Ed. Universidad de Cantabria
2022-04-17
[en-17]
서적
Lenin and the Twentieth Century: A Bertram D. Wolfe Retrospective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22-04-17
[en-18]
서적
Resolutions and Decision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Volume 2: The Early Soviet Period 1917–192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04-17
[en-19]
간행물
Remembering Mussolini
https://www.jstor.or[...]
Wilson Quarterly
2022-04-24
[en-20]
서적
Der Begriff des Politischen
Rutgers University Press
1927
[en-21]
서적
The Totalitarian Paradigm After the End of Communism: Towards a Theoretical Reassessment
Rodopi
[en-22]
서적
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en-23]
서적
How the Cold War Transformed Philosophy of Science: To the Icy Slope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en-24]
서적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
Routledge
[en-25]
서적
Politics and the Novel during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20-11-22
[en-26]
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27]
간행물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2002-06
[en-28]
간행물
Revisionism in Soviet History
2007-11
[en-29]
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30]
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en-31]
간행물
Did Stalin Kill Kirov and Does It Matter?
2002-06
[en-32]
간행물
Review: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09
[en-33]
서적
In Denial: Historians, Communism and Espionage
Encounter
2003
[en-34]
서적
Totalitarian Space and the Destruction of Aura
SUNY Press
2019
[en-35]
간행물
Totalitarianism: Defunct Theory, Useful Word
2010
[en-36]
서적
Revolution and Dictatorship: The Violent Origins of Durable Authoritaria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9-13
[en-37]
서적
Widening circle of genocide
Transaction Publishers
1994
[en-38]
서적
Syria and the Neutrality Trap: The Dilemmas of Delivering Humanitarian Aid Through Violent Regimes
I.B. Tauris
[en-38]
서적
Creating Consent in Ba'thist Syria: Women and Welfare in a Totalitarian State
I. B. Tauris
[en-38]
간행물
The Levant Reconciling a Century of Contradictions
https://www.academia[...]
2012-04
[en-39]
서적
The Middle East in Modern World History
Routledge
[en-39]
간행물
Afghanistan: Implications for Peace and Security
http://www.jstor.org[...]
1981
[en-39]
서적
War at the top of the World
Routledge
[en-40]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Random House
[en-41]
서적
Fascism: Comparison and Defini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0
[en-42]
서적
The Great Terror: A Re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en-43]
간행물
Review of ''End and Beginnings''
1982-12
[en-44]
연설
The Munich Agreement
http://www.winstonch[...]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20-08-07
[en-45]
연설
Broadcast to the United States and to London
http://www.winstonch[...]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20-08-07
[en-46]
[en-5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nnah Arend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en-52]
서적
The True Believer: Thoughts on the Nature of Mass Movements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2002
[en-53]
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en-54]
학술지
European Protestants Between Anti-Communism and Anti-Totalitarianism: The Other Interwar Kulturkampf?
2018-07
[en-55]
서적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en-56]
None
[en-57]
None
[en-58]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en-59]
서적
The Nazi Dictatorship: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Arno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en-60]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en-6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ropaganda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en-62]
서적
Ambiguities of Domination: Politics, Rhetoric, and Symbols in Contemporary Syr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n-63]
서적
Creating Consent in Ba'thist Syria: Women and Welfare in a Totalitarian State
I. B. Tauris
[en-64]
뉴스
Syrian rebels topple President Assad, prime minister calls for free elections
https://www.reuters.[...]
Reuters
2024-12-08
[en-65]
서적
Democracy and Totalitarianism
Littlehampton Book Services
1968
[en-66]
학술지
Eritrea's Silent Totalitarianism
https://mjps.ssmu.ca[...]
2020-08-07
[en-67]
서적
The Criminalisation of Communism in the European Political Space after the Cold War
Routledge
[en-68]
학술지
Histoires croisées: François Furet, Ernst Nolte and a Comparative History of Totalitarian Movements
2007
[en-69]
간행물
The Sound and the Furet
http://www.thenation[...]
2020-08-07
[en-70]
간행물
Exploiting a Tragedy, or Le Rouge en Noir
https://www.thenatio[...]
2020-08-07
[en-71]
웹사이트
Nazi Fascism and the Modern Totalitarian State
http://www.remember.[...]
2020-08-07
[en-72]
서적
History and Illusion
Abacus
2012
[en-73]
서적
Did Somebody Say Totalitarianism?: Five Interventions in the (Mis)Use of a Notion
Verso
2002
[en-74]
서적
Modernism and Totalitarianism: Rethinking the Intellectual Sources of Nazism and Stalinism, 1945 to the Present
Palgrave
2012
[en-75]
서적
The Devil in History: Communism, Fascism, and Some Lessons of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
[en-76]
서적
The Legacies of Totalitarianism: A Theoretical Frame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en-77]
학술지
How Words Reshape the Past: The 'Old, Old Story of Totalitarianism
2015
[en-78]
서적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The Fight for a Human Future at the New Frontier of Power
PublicAffairs
[en-79]
서적
The Precipice: Existential Risk and the Future of Humanity
Bloomsbury Publishing
[en-80]
학술지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veillance
[en-81]
뉴스
China invents the digital totalitarian state
https://www.economis[...]
2018-09-14
[en-82]
뉴스
China's Radical Plan to Judge Each Citizen's Behavior
https://www.washingt[...]
2020-01-23
[en-83]
학술지
The Surveillance Business
https://newleftrevie[...]
2020-03-23
[en-84]
학술지
A Modest Defence of Mind Reading
https://yjolt.org/mo[...]
2012
[en-85]
뉴스
Totalitarianism: Congressman calls method to track coronavirus cases an invasion of privacy
https://www.washingt[...]
2020-04-23
[en-86]
서적
Towards Digital Enlightenment
2019
[en-87]
학술지
Classification of global catastrophic risks connec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ttps://philarchive.[...]
2018-05-03
[en-88]
학술지
Existential Risk Prevention as Global Priority
2013-02
[en-89]
None
[en-90]
뉴스
Islamic State leader Abu Bakr al-Baghdadi addresses Muslims in Mosul
https://www.telegrap[...]
2014-07-06
[en-91]
웹사이트
Caliph Incognito: The Ridicule of Abu Ibrahim al-Hashimi
http://www.jihadica.[...]
2020-01-02
[en-92]
웹사이트
What a caliphate really is—and how the Islamic State is not one
https://www.brooking[...]
2020-02-05
[en-93]
웹사이트
Totalitarianism 101: The Islamic State's Offline Propaganda Strategy
https://www.lawfarem[...]
2016-03-27
[en-94]
서적
The Islamic State From Terrorism to Totalitarian Insurgency
Routledge
[en-9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Choice
2019-02
[en-96]
학술지
The Islamic State: A Political-Religious Totalitarian Regime.
https://libjournals.[...]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21
[en-97]
서적
En el combate por la historia: la República, la guerra civil, el franquismo
https://dialnet.unir[...]
Pasado y Presente
2020-09-15
[en-98]
웹사이트
Franco edicts
http://search.boe.es[...]
2005-12-16
[en-99]
서적
The Franco Regime, 1936–1975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en-100]
서적
"Franco: Soldier, Commander, Dictator"
Potomac Books, Inc.
[en-101]
웹사이트
Before China's Transformation, There Was The 'Spanish Miracle'
https://www.forbes.c[...]
2014-05-19
[en-102]
논문
[en-103]
서적
Totalitarianism, Terrorism and Supreme Values: History and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2-28
[en-10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ublic Choice, Volume 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28
[en-105]
서적
Totalitarianism and Political Religions, Volume II: Concepts for the Comparison of Dictatorship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2-28
[en-106]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en-107]
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en-108]
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9-08
[en-109]
서적
Synthetic Socialism: Plastics & Dictatorship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8
[en-110]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en-111]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1987
[en-112]
서적
William Appleman Williams: The Tragedy of Empire
Psychology Press
1995
[en-113]
서적
Blackshirts and Reds: Rational Fascism and the Overthrow of Communism
City Lights Books
1997
[en-114]
간행물
The CIA and the Cultural Cold War Revisited
https://monthlyrevie[...]
1999-11-01
[en-115]
서적
Le Totalitarisme: Le XXe siècle en débat
Poche
2001
[en-116]
간행물
Towards a Critique of the Category of Totalitarianism
2004-01
[ja-1]
웹사이트
全体主義とは
https://kotobank.jp/[...]
2021-08-20
[ja-2]
사전
Weblio国語辞典 三省堂 大辞林 第三版
[ja-3]
서적
Reflections on a Ravaged Century
[ja-4]
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ja-5]
논문
Plato's Totalitar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ja-6]
논문
Totalitarian and Authoritarian Dictators: A Comparison of Fidel Castro and Alfredo Stroessner
[ja-7]
서적
全体主義
平凡社新書
[ja-8]
간행물
Resolution 1481 (2006):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http://assembly.coe.[...]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6-01-25
[ja-9]
서적
アメリカ外交50年
岩波現代文庫
[ja-10]
서적
内なる外国「菊と刀」再考
時事通信社
[ja-11]
서적
日本人と戦争
朝日文庫
[ja-12]
서적
表と裏
弘文堂
[ja-13]
학술지
中華民国(台湾)における政治体制の移行:権力闘争と「統独」問題を中心にして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
[ja-14]
서적
全体主義(トータリタリアニズム)の中国がアメリカを打ち倒す : ディストピアに向かう世界
ビジネス社
[ko-1]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Random House Inc.
[ko-2]
논문
'Britain, America and Anti-Communist Propaganda 1945–1953'
The Information Research Department
[ko-3]
서적
How the Cold War Transformed Philosophy of Science: To the Icy Slopes of Lo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ko-4]
서적
The Democracy Makers: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ko-5]
서적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김영사
[ko-6]
서적
The Road to Serf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o-7]
서적
[ko-8]
서적
[ko-9]
서적
[ko-10]
웹인용
The Open Society & its Enemies
https://web.archive.[...]
Routledge
2018-03-19
[ko-11]
서적
The Hegel Myths and Legends
https://archive.org/[...]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ko-12]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https://books.google[...]
[ko-14]
서적
The Open Philosophy and the Open Society: A Reply to Dr. Karl Popper's Refutations of Marxism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Publishers
[ko-15]
서적
Capital Volume 1
Penguin
[ko-1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annah Arendt
Cambridge University Press
[ko-17]
서적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ko-18]
서적
From Fascism to Populism in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ko-19]
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ko-20]
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ko-21]
서적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아카넷
[ko-22]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ko-23]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ko-24]
서적
The Fate of the Revolution: Interpretations of Soviet history from 1917 to the Present
Scribner's
[ko-25]
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