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비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비신은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무르인의 침입, 가뭄, 엘람의 침입으로 인해 제국이 쇠퇴했다. 그는 이신에게 곡물을 구매하도록 파견했으나 이슈비-에라가 독립하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기원전 2004년 엘람의 침공으로 우르 제3왕조가 멸망하면서 엘람으로 끌려갔다. 입비신의 연호는 그의 통치 기간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으며, 유물들을 통해 그의 재위 기간을 엿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 제3왕조 - 우르남무
우르남무는 기원전 21세기경 수메르 지역을 통치한 우르 제3왕조의 창건자로서, 우르를 중심으로 메소포타미아 패권을 장악하고 우르 지구라트 건설, 우르남무 법전 제정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 우르 제3왕조 - 아마르신
아마르신은 우르 제3왕조의 왕으로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아모리인과 전투를 벌였으나, 재위 말년에는 권력 다툼과 반역으로 혼란을 겪다 살해당했다. - 우르의 왕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우르의 왕 - 푸아비
푸아비는 우르 왕릉에서 도굴되지 않은 채 발굴된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의 여왕으로, 그녀의 무덤에서는 황금 머리 장식과 우르의 리라를 비롯한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되어 당시 수메르 사회의 문화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엿볼 수 있다. - 기원전 20세기 통치자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기원전 20세기 통치자 - 망 (하나라)
망은 하나라의 왕으로 회왕의 아들이며 상나라 신하 자해가 수도를 옮기고 동중국해에서 큰 물고기를 잡았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입비신 | |
---|---|
기본 정보 | |
칭호 | 우르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세계 사방의 왕 |
통치 기간 | 기원전 2028년 ~ 기원전 2004년경 (중간 연대기) |
![]() | |
이전 통치자 | 슈-신 |
후임 통치자 | 킨다투 (엘람) |
아버지 | 슈-신 |
왕조 | 우르 제3왕조 |
계승 | 신수메르 제국의 왕 |
2. 즉위 전후의 상황
슈신의 아들로 태어나, 그 뒤를 이어 우르의 왕이 되었다. 그가 즉위한 직후, 푸주리쉬-다간이라고 불리는 우르 제3왕조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던 도시는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었다. 기원전 2025년에 에슈눈나에서 일르슈-일리아가 독립하여 우르의 통제를 벗어난 것이 그와 관련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무르인들은 메소포타미아 기준으로 문명 수준이 낮은 민족으로 여겨졌다. 입비신의 아버지 슈신은 아무르인들의 침략을 막기 위해 "마르투의 벽"을 건설했으나, 이 방어선은 입비신 통치 초기에 돌파되었다.[1]
수신의 아들인 입비신이 왕위에 오른 직후, 우르 제3왕조의 행정 중심지였던 푸주리쉬-다간은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다. 기원전 2025년 에슈눈나에서 일르슈-일리아가 독립한 것이 그와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잇따른 독립과 아무르인의 침입으로 우르 제3왕조는 우르 근교 외에는 영향력을 상실했다. 동쪽의 엘람은 지속적으로 우르를 압박했다. 기원전 2004년, 엘람군이 우르를 침공하여 우르 제3왕조는 멸망했다. '우르 멸망 애가'는 우르의 함락과 파괴, 그리고 입비신의 비참한 운명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3. 아무르인의 침입과 가뭄
학자들은 기원전 2193년경 아카드 제국을 멸망시킨 것과 동일한 가뭄이 우르 제3왕조의 쇠퇴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한다. 페르시아만 퇴적물 연구에 따르면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유량이 기원전 21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경에 매우 적었다.[3] 이로 인해 농업 시스템의 피해와 식량 부족이 발생했을 것이다.
입비신 통치 7년과 8년에 곡물 가격이 평소의 60배로 폭등했다.[4] 이는 아무르인들이 농업 및 관개 시스템을 공격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4]
4. 이슈비-에라의 배신과 이신 제1왕조 성립
기원전 2022년 우르 지역에 대규모 기근이 발생하여 국내 경제가 혼란에 빠졌고, 곡물 가격이 60배나 치솟았다. 이에 입비신은 북부 이신에서 곡물을 구매하기 위해 아무르인 장군 이슈비-에라에게 군대와 은을 주어 파견했다. 그러나 이슈비-에라는 받은 은으로 살 수 있는 양의 절반 정도의 곡물만 보냈고, 아무르인의 침입을 핑계로 더 많은 곡물을 우르로 반입할 수 없다고 알렸다. 또한 15년 치의 곡물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신과 니푸르의 관리를 자신에게 맡길 것을 제안했다.
입비신은 분노하여 이슈비-에라를 질책했지만, 이슈비-에라는 이신을 거점으로 독립하여 '''이신 제1왕조'''를 세웠다. 입비신이 카자르시의 장관 푸주르-눔슈다에게 "이제 엔릴 신은 왕권을 시시한 남자, 이슈비-에라에게 주었다……마리의 사람 이슈비-에라는 우르를 근본부터 파괴할 것이다……"라고 말한 편지가 남아있다.
라르사에서도 나프라눔이라는 아무르인이 지배권을 장악하고 우르에서 독립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우르 제3왕조는 우르 근교 외에는 영향력을 상실했고, 동쪽 엘람의 압력에 시달리며 이슈비-에라의 지위를 인정해야 했다.
5. 엘람의 침입과 우르 제3왕조의 멸망
안, 엔릴, 엔키, 닌후르사가는 그 운명을 결정했다. 즉, 수메르의 신성한 힘을 뒤엎고, 호의로운 통치를 그 집 안에 가두고, 도시를 파괴하고, 집을 파괴하고, 가축 우리를 파괴하고, 양우리를 평평하게 하라; (...) 시마슈키와 엘람, 적이 그들의 자리에 살게 하라. 그의 목자는 자기 궁전에서 적에게 사로잡히고, 입비신은 족쇄에 묶여 엘람 땅으로 끌려가고, 바다 가장자리의 자부 산에서 안찬의 경계까지, 집에서 날아간 제비처럼, 그는 다시는 그의 도시로 돌아갈 수 없으리라[3]
'우르 멸망 애가'에 따르면 우르시는 물자 부족에 시달렸고, 성문이 돌파되어 도시는 파괴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당시 우르의 유적에서는 대규모 파괴의 흔적이 확인되어, '우르 멸망 애가'의 내용을 뒷받침한다. 입비신은 엘람에 의해 안샨으로 끌려갔으며, 그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6. 연호와 비문
입비신의 통치 기간 동안 사용된 연호(年號)들은 그의 통치 기간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4]
순서 | 내용 |
---|---|
1 | 입비신은 왕이다. |
2 | (입비신)은 점괘를 통해 우루크의 이난나의 엔-사제를 선택했다. |
3 | 우르의 왕 입비신은 시무룸을 파괴했다. |
4 | 에남갈란나가 이난나의 엔-사제로 임명되었다. |
5 | 자브샬리의 총독은 왕의 딸 투킨-하티-미그리샤와 결혼했다. |
6 | 우르의 왕 입비신은 니푸르와 우르를 위해 거대한 성벽을 건설했다. |
9 | 우르의 왕 입비신은 강력한 군대를 이끌고 안샨 땅으로 가는 빗장인 후누리로 갔다. |
14 | 우르의 왕 입비신은 폭풍처럼 수사, 아담둔, 아완을 휩쓸고 하루 만에 정복하여 그들의 백성들의 영주들을 사로잡았다. |
17 | 오래 전부터 도시를 알지 못했던 강력한 남풍인 아모리인이 우르의 왕 입비신에게 복종했다. |
23 | 외국 땅의 어리석은 원숭이가 우르의 왕 입비신을 공격했다. |
24 | 우르의 왕 입비신은 ... 공격했다. |
참조
[1]
간행물
The reign of Ibbī-Suen
[2]
문서
Stiebing, p. 79
[3]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4]
웹사이트
Ibbi-Suen
http://cdli.ox.ac.uk[...]
[5]
웹사이트
Cylinder seal: seated figure approached by a goddess leading a worshiper
https://www.metmuseu[...]
[6]
웹사이트
tablet
https://research.bri[...]
[7]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