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동형탑은 군 G에 대해 초한 재귀를 통해 정의되는 군의 열과 군 준동형의 튜플이다. 자기 동형탑의 높이는 자기 동형탑을 구성하는 과정이 멈추는 시점을 나타내며, 군의 자기 동형탑 높이는 항상 존재한다. 무중심군, 유한군, 체르니코프 군, 다순환군, 유한 생성 군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군의 자기 동형탑 높이에 대한 다양한 성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군론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군론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자기 동형탑
2. 정의
군 의 자기 동형탑 은 순서수 에 대한 군 와, 인 순서수 에 대한 군 준동형 (항등 함수)의 튜플이다. 이는 초한 재귀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따름 순서수 에 대하여, 는 의 자기 동형군이다. 는 임의의 를 그에 대응하는 내부 자기 동형 으로 보내는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이다.
만약 ''G''가 자명한 중심을 갖는 체르니코프 군(Černikov群, Chernikov group}})이라면, 이다.
''G''가 자명한 중심을 갖는 다순환군(多循環群, 군]] ''G''의 자기 동형탑 높이는 미만이며 (여기서, 는 의 따름 기수이다), 이는 선택 공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2] 또한,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자기 동형탑 높이가 인, 크기 의 자명한 중심을 갖는 군 ''G''가 존재한다. 즉, 에 대하여,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의 순서수라고 하자.
임의의 크기 의 자명한 중심을 갖는 군 ''G''에 대하여,
그렇다면, 위 결론들에 따라 이다. 하지만 크기 의 자명한 중심을 갖는 군은 개이므로, 다음과 같은 더 강한 결론이 성립한다.
:
즉, 는 크기 의 무중심군의 자기 동형군 높이 에 대한 ‘최적의 근사’가 아니다. 반면, 만약 가 비가산 기수라면, 는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명제 를 증명 가능한 최소의 순서수이며, 이는 강제법을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3] (이러한 일이 가능한 것은
참조
[1]
저널
The automorphism tower problem. II
1998
[2]
저널
The automorphism tower of a centerless group without choice
2009
[3]
저널
The automorphism tower problem revisited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