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계획 502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전계획 5029는 북한 붕괴 시나리오에 대비하기 위해 한미 연합군사령부가 수립한 작전 계획이다. 1999년 처음 논의되었으며, 2005년 미국은 작전 계획을 구체화하려 했으나, 한국 정부는 미국의 지휘권 행사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여 이견을 보였다. 2008년 김정일의 건강 이상설이 제기되면서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으며, 대량살상무기 확보, 중국의 개입 가능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대한민국은 북한 급변사태에 대비하는 입장을 유지하며,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한 대비책 마련을 과제로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계획 - 베노나 프로젝트
베노나 프로젝트는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 및 냉전 초기에 소련의 암호화된 통신을 해독하여 분석한 극비 프로젝트로, 소련의 스파이 활동과 미국 내 첩보망을 밝히는 데 기여했지만, 자료 해석 및 신뢰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군사 계획 - 튜브 앨로이스
튜브 앨로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핵무기 개발 계획의 코드명으로, 프리쉬-파이얼스 보고서와 MAUD 위원회의 보고서를 거쳐 미국의 맨해튼 계획에 흡수된 후 영국이 자체적으로 재개하여 핵실험을 성공했다. - 군사작전 - 전시 작전통제권
전시 작전통제권은 전시 상황에서 군대 작전을 통제하는 권한으로, 주요 국가들은 안보 환경과 동맹 관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행사하며, 대한민국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은 전면전 시 나토가 작전권을 가진다. - 군사작전 - 작전계획 5027
작전계획 5027은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해 미국과 대한민국이 공동 수립한 작전 계획으로, 북한의 남침 대비 방어 계획에서 시작하여 북한 정권 붕괴까지를 목표하며 미군 증원과 한미 연합군 공세 작전을 주요 내용으로 하지만 정보 유출, 한미 동맹 불평등성 논란, 유연성 부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미국 관계 - 주한 미군
주한미군은 1945년 인천 상륙 후 한반도에 주둔하며 일본군 무장해제,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후 대한민국 안보에 기여하고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되어 활동 중이나, 규모, 역할, 주둔 비용, SOFA 개정 등 여러 쟁점이 있다. - 대한민국-미국 관계 -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는 대한민국의 미국 외교 사절이자 대사관의 수장으로, 과거 조선에 파견된 미국 공사를 시작으로 외교 관계 단절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다시 임명되어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에 관여하고 특별한 인연으로 주목받기도 했으나 피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작전계획 5029 | |
---|---|
개요 | |
명칭 | 작전계획 5029 |
영문명 | Operational Plan 5029; OPLAN 5029 |
관련 분쟁 | 한국 전쟁 |
종류 | 준전시용 작전계획 |
목표 | 북한이 전복될 만큼의 국가 위기 상황에 대처 |
계획 | |
계획 주체 | 한미연합군사령부 |
계획 시작 | 1999년–현재 |
실행 | |
실행 주체 | 주한 미군 대한민국 국군 |
장소 | |
위치 | 한반도 |
작전 | |
목표 | 미국/대한민국이 북한 정권의 갑작스러운 붕괴에 대비하는 계획 |
기타 정보 | |
관련 기사 | OPLAN 5029 risks ceding South Korean sovereignty to the U.S. U.S. Weighs Options in Possible N. Korea Conflict OPLAN 5029 |
비고 | 대한민국 정부의 반대로 폐기 |
2. 역사
1999년 주한 미군 사령관 존 H. 틸렐리 주니어 장군이 한미 연합군사령부의 북한 붕괴 대비 시나리오 및 작전 계획 존재를 인정하면서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논의되었다. 2005년에는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가 미국의 구체적인 군사 작전 계획 격상 제안을 주권 침해 우려로 거부했지만, 양국 국방 장관은 개념 계획을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 2008년 김정일 건강 이상설이 대두되면서 논의가 재점화되었고, 미국 합동참모본부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간 회의를 통해 전시 작전 통제권 전환과 함께 작전 계획 수립이 논의되었다.[1] 월터 샤프 주한 미군 사령관은 북한의 불안정 및 정권 교체를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응 계획이 준비되어 있다고 밝혔다.[1]
2. 1. 초기 논의 (1999년)
1999년 8월, 주한 미군 사령관 존 H. 틸렐리 주니어 장군은 한미 연합군사령부가 북한 붕괴를 가정한 시나리오와 작전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며, "우리가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상할 것"이라고 언급했다.2. 2. 한미 간 이견과 협의 (2005년)
2005년 초,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작전계획 5029의 일반적인 행동 방침을 구체적인 군사 작전 계획으로 발전시키려는 미국의 제안을 거부했다. 이 계획에는 북한 붕괴 시 미국이 한국 군사 자산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한국 정부는 이 계획이 "대한민국의 주권 행사"를 제한할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미국 정부는 민감한 핵 시설과 군사 시설을 확보하고 일반 대중을 보호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05년 6월, 윤광웅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부 장관은 이 개념 계획을 더욱 "개선하고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2. 3. 김정일 건강 이상설과 논의 재점화 (2008년)
2008년 말, 김정일 건강 이상설이 퍼지면서 작전계획 5029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1]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부 장관과 이상희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은 그해 10월 회담을 통해 전시 작전 통제권의 대한민국 국군 전환 계획과 함께 북한 붕괴 시 작전 계획 수립을 논의했는데,[1] 이는 미국 합동참모본부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간의 회의에서 제안된 내용에 따른 것이었다.[1] 월터 샤프 주한 미군 사령관은 한국 퇴역 장성 제독회 연설에서 북한의 불안정 및 정권 교체를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응 계획이 준비되어 있다고 밝혔다.[1]2. 4. 북한의 반응
조선중앙통신은 "미국과 남조선 호전 세력이 공개적으로 반공화국 군사 회담을 열어 '만일의 사태에 즉각 증원 병력을 투입'하기로 합의했다"고 주장하며, "미국 호전 세력은 선군 사상을 가진 군대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를 오판하지 말고 새로운 전쟁을 위한 무모한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3]3. 주요 시나리오
북한 붕괴 시나리오의 결과에 대한 추측이 많은데, 이는 상세한 작전 계획의 부재, 북한 개입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 그리고 다양한 행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때문이다.
- '''대규모 탈북 사태''': 많은 북한 주민들이 붕괴 상황을 틈타 국경을 넘어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 '''북한 내 쿠데타 발생''': 북한 내부 권력 투쟁으로 인해 쿠데타가 발생하여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 '''자연재해''':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북한 정권의 통제력이 약화되고, 인도적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시나리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작전계획 5029의 불확실성, 북한 개입 상황, 관련 행위자들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1. 대량살상무기 확보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을 확보하는 것은 핵 테러에 사용되거나 대한민국에 대한 사용을 막는 데 중요하다.[5] 대한민국과 미국 관리들은 전시 작전 통제권 전환 계획 전후에 미국의 군대가 핵 물질 확보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대한민국 군대도 핵, 화학, 생물학 무기 관련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5]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군이 난민을 구조하는 동시에 미군이 북한의 구(舊)체제로부터 대량살상무기 관리권을 탈취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13]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계획)이 한국에 사용되거나 핵 테러리즘을 위해 이용되지 않도록 북한의 핵무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과 미국의 양국 고위 관계자는 "미군은 아마도 전시(戰時) 상황의 계획된 군사 작전 추세와 전후(前後)하여 핵무기 관련 시설·물자 등의 확보에 솔선하여 노력할 것이다. 또한 한편으로 한국군은 핵·화학·생물학 무기 관련 사항에 있어 미군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3]
3. 2. 중국의 개입 가능성
미국 평화 연구소와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UN 결의에 따른 권한 부여 및 조정을 선호하지만, 북한의 급작스러운 붕괴 시 질서 회복을 위해 단독으로 행동할 의향을 시사했다. 여기에는 인도주의적 목적, 평화 유지, 비확산 목적의 군인 및 기타 인력 투입이 포함된다.[6] 일부 중국 전문가들은 인도의 핵 프로그램과 유사하게, 미국과 북한이 타협하여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허용할 경우,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주장하며 고립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전직 대한민국 간첩 박채서는 재판 과정에서 중국 정보부 국장급 인물로부터 "병아리 계획"이라는 비상 계획에 대해 들었다고 주장했다. 이 계획의 이름은 작은 알을 보호하는 어미 닭을 의미한다.[7][8] 박채서의 주장에 따르면, 이 계획은 남포시와 원산시 사이, 대동강을 따라 중국군이 질서를 회복하고, 난민의 중국 유입을 막으며, 한국군 및 미국군에 대한 완충 지대를 형성하기 위한 점령 구역을 설정하는 경계선을 포함한다. 또한 박채서는 이 경계선 너머로는 어떠한 중국의 투자도 허용되지 않았으며, 인민해방군 군인들이 선양시에 주둔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에 작전 도로를 건설하는 데 2.5조원가 소요되었다고 주장했다.
3. 3. 기타 시나리오
작전계획 5029의 세부 사항은 불확실하며, 북한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 광범위한 관계자들이 취할 수 있는 선택지, 이러한 존재로 인해 북한 붕괴의 결과로 일어날 수 있는 추측이 매우 많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는 대규모 탈북 사태, 북한 내 쿠데타 발생, 자연재해 등이 포함된다.4. 대한민국의 입장과 과제
대한민국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하여 작전계획 5029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작전계획 5029는 북한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실제 상황 발생 시 다양한 변수가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급변사태 발생 시 혼란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상황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주변국과의 긴밀한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중국과의 관계 설정이 중요하며,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북한 주민의 인권 보호와 인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북한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OPLAN 5029 risks ceding South Korean sovereignty to the U.S.
http://english.hani.[...]
[2]
웹사이트
U.S. Weighs Options in Possible N. Korea Conflict
https://www.npr.org/[...]
[3]
웹사이트
OPLAN 5029
http://www.globalsec[...]
[4]
뉴스
OPLAN 5029 risks ceding South Korean sovereignty to the U.S.
http://www.hani.co.k[...]
Hankyoreh
2010-07-27
[5]
뉴스
Defense News
http://www.defensene[...]
[6]
웹사이트
Yahoo
http://blog.yahoo.co[...]
[7]
문서
English Translation of Hani Defense 21: China to Interven in North Korea in emergency. WEBARCHIVE: https://web.archive.org/web/20150928060113/http://www.rjkoehler.com/2011/05/26/china-to-intervene-in-n-korea-in-emergency-hani-defense-21/
[8]
문서
Korean Original of Hani Defense 21
http://defence21.han[...]
[9]
뉴스
OPLAN 5029 risks ceding South Korean sovereignty to the U.S.
http://english.hani.[...]
english.hani.co.kr
2011-08-02
[10]
웹사이트
U.S. Weighs Options In Possible N. Korea Conflict
http://www.npr.org/t[...]
www.npr.org
2011-08-02
[11]
웹사이트
OPLAN 5029 - Collapse of North Korea
http://www.globalsec[...]
www.globalsecurity.org
2011-08-02
[12]
웹사이트
U.S. "OPLAN 5029-05" Assailed
http://www.globalsec[...]
www.globalsecurity.org
2011-08-02
[13]
웹사이트
U.S. To Remove N. Korean WMDs in Contingency
http://www.defensene[...]
www.defensenews.com
201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