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볼로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볼로냐는 1529년 플랑드르의 두에에서 태어난 매너리즘 조각가이다. 그는 미켈란젤로의 영향을 받아 세련된 표면과 우아함을 강조하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메디치 가문의 궁정 조각가로 활동했고, 주요 작품으로는 '머큐리', '사비니 여인의 강탈', '헤라클레스와 켄타우로스', '피사를 정복한 피렌체', '삼손과 블레셋 사람' 등이 있다. 잠볼로냐는 아드리안 데 프리, 피에트로 프랑카빌라, 피에르 푸제, 피에트로 타카 등의 제자들을 통해 조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이탈리아의 조각가 - 바초 반디넬리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에서 활동한 이탈리아 조각가이자 화가인 바초 반디넬리는 금세공인의 아들로 태어나 조반니 프란체스코 루스티치의 제자로 활동했으며, 미켈란젤로에 대한 질투심을 가졌고, 시뇨리아 광장의 "헤라클레스와 카쿠스"를 비롯한 여러 조각 작품을 남겼다. - 1529년 출생 - 야마가타 마사카게
야마가타 마사카게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신겐의 측근이자 다케다 사천왕 중 한 명으로, 붉은 갑옷을 입은 정예 부대 아카조나에를 이끌고 용맹을 떨쳤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 1529년 출생 - 류조지 다카노부
류조지 다카노부는 센고쿠 시대 히젠국의 슈고 다이묘로, 몰락했던 류조지 가문을 재흥시키고 히젠 대부분을 정복했으나,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시마즈 씨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 1608년 사망 - 가나모리 나가치카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으로, 히다 정벌에 공을 세워 다카야마 성주가 되었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활약했으며, 다도에도 능하여 센노 리큐와 교류하는 등 문화적 재능도 보였다. - 1608년 사망 - 권응수
권응수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 탈환에 공을 세운 무신이자 의병장으로, 경상도병마절도사 겸 방어사를 지냈으며 선무공신 2등에 책봉되고 좌찬성에 추증, 경덕사에 배향되었다.
잠볼로냐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장 드 불로뉴 |
출생 | 1529년, 두에 |
사망 | 1608년 8월 13일, 피렌체 |
국적 | 플랑드르 |
활동 분야 | |
직업 | 조각가 |
사조 | 매너리즘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미켈란젤로 |
영향을 받은 인물 | 피에트로 타카 아드리안 드 프리스 한스 라이히레 레오네 레오니 후안 데 볼로냐 프랑수아 지라르동 휴베르트 게린 |
2. 생애
잠볼로냐는 섬세한 움직임의 포착과 정교하고 세련된 표면 마감 처리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한 발로 서서 제피로스에게 지지받는 머큐리 상(네 가지 버전 제작)[10], 피렌체 시뇨리아 광장의 로자 데이 란치에 설치된 대리석 조각 ''사비니 여인의 납치''(1574-82)[3]와 ''헤라클레스와 켄타우로스의 싸움''(1599)[14][4][12] 등이 있다. 특히 '사비니 여인의 납치'는 세 인물이 얽힌 복잡한 구성을 단일 대리석으로 조각한 것으로 유명하다.
잠볼로냐는 1529년 플랑드르 백작령 두에(당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에 속했으며, 현재는 프랑스)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 안트베르펜에서 건축가이자 조각가인 자크 뒤 브뢰크에게 조각을 배웠으며,[2][9] 1550년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로마에서 고전 고대의 조각 작품들을 세밀하게 연구했다. 그는 미켈란젤로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지만, 감정 표현보다는 세련된 표면의 마무리, 우아함, 아름다움을 더 강조하는 자신만의 매너리즘 양식을 발전시켰다. 교황 비오 4세는 잠볼로냐에게 첫 번째 주요 의뢰를 맡겼는데, 이는 볼로냐의 볼로냐 넵툰 분수에 세워질 거대한 청동 넵투누스상과 부속 인물들을 제작하는 것이었다(분수 기초 설계는 토마소 라우레티가 1566년에 완성).
잠볼로냐는 1553년 피렌체에 정착한 후 가장 왕성한 활동기를 보냈다. 처음에는 베키에티 궁전에 머물렀다. 1563년, 화가이자 건축가인 조르조 바사리의 추천으로 코시모 1세 데 메디치 공작이 설립한 권위 있는 아카데미아 델레 아르티 델 디세뇨(Accademia delle Arti del Disegno)의 회원(''Accademico'')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메디치 가문의 가장 중요한 궁정 조각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79세의 나이로 1608년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메디치 가문은 오스트리아나 스페인의 합스부르크 가문이 그를 영입할 것을 우려하여 잠볼로냐가 피렌체를 떠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는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내 자신이 직접 설계한 예배당에 안장되었다.
3. 작품
그가 제작한 여러 비너스 상은 여성 인물 표현의 규범을 세웠으며, 이후 이탈리아와 북유럽 조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참조 모델이 되었다. 또한 메디치 가문의 정치적 선전을 위한 우화적인 작품들도 제작했는데, ''피사를 정복한 피렌체''와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를 위해 만든 ''삼손과 블레셋 사람의 싸움''(1562)이 대표적이다.[11]
1564년 미켈란젤로 사후 다니엘레 다 볼테라가 제작한 흉상 중 하나를 잠볼로냐가 이어받아 1570년경 상반신 부분을 완성했으며[17], 피렌체의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기마상은 그의 제자 피에트로 타카가 완성했다.[18]
이 외에도 잠볼로냐는 피렌체의 보볼리 정원과 프라톨리노 별장의 정원 장식, 피사 대성당의 청동 문, 피렌체 넵튠 분수의 청동 해마[8], 빌라 디 카스텔로의 동물 조각 습작(현재 바르젤로 소장)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을 축소 재현한 소형 청동상들은 당대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잠볼로냐는 제자들을 통해 후대 조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아드리안 데 프리스, 피에트로 프랑카빌라, 피에르 퓌제 등이 그의 양식을 북유럽에 전파했고, 이탈리아에서는 피에트로 타카가 작업실을 계승했으며, 로마의 잔 로렌초 베르니니와 알레산드로 알가르디 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3. 1. 머큐리 (Mercurio)
잠볼로냐는 움직임을 포착하는 감각과 탁월한 표면 마감 기술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유명한 작품으로는 머큐리(Mercuriusla, Mercurioit) 상이 있으며, 총 네 가지 버전이 제작되었다.[10] 이 작품은 제피로스에 의해 지탱되어 한 다리로 서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신상은 한 손을 하늘로 쳐들고 있는데,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 흔히 볼 수 있는 몸짓을 차용한 것으로[10], 잠볼로냐의 매너리즘적 특징을 보여준다.
3. 2. 사비니 여인의 납치 (Ratto delle Sabine)
잠볼로냐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피렌체의 시뇨리아 광장에 있는 로자 데이 란치에 전시된 대리석 조각상인 ''사비니 여인의 납치''(1574–82)이다.[3] 세 인물이 얽혀있는 이 인상적인 조각품은 단일 대리석으로 조각되었다. 잠볼로냐는 특정 주제 없이 이 작품을 조각했으며, '사비니 여인의 납치'라는 이름은 작품이 로자 데이 란치에 설치된 후에 붙여졌다.[3] 이 작품은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를 위해 제작되었다.
작품의 제목은 로마 신화의 한 사건을 참조한 것으로, 잠볼로냐 본인이 아닌 동시대 사람들이 붙인 이름이다.[3] 일부 문헌에서는 이 작품을 '사비니 여인의 강간'으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이는 라틴어 raptaela 또는 이탈리아어 rapinait를 잘못 번역한 것으로, 실제 의미는 '납치' 또는 '유괴'이다.
잠볼로냐의 또 다른 대리석 조각상인 ''헤라클레스와 켄타우로스의 싸움'' 역시 1599년 로자 데이 란치에 설치되었다.[4][12]
3. 3. 헤라클레스와 켄타우로스 (Ercole e il Centauro)
잠볼로냐의 또 다른 대리석 역작인 ''헤라클레스와 켄타우로스''는 1599년 피렌체의 시뇨리아 광장에 있는 로자 데이 란치에 설치되었다.[4][12][14] 이 작품은 구체적으로 헤라클레스가 켄타우로스 네소스와 싸우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3. 4. 피사를 정복한 피렌체 (Firenze vittoriosa su Pisa)
잠볼로냐는 메디치 가문의 정치적 선전을 강력하게 홍보하는 우화를 만들었다. 대표적인 예가 ''피사를 정복한 피렌체'' 상이다.[5][6] 또한, 덜 명확하지만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의 의뢰로 제작된 ''삼손과 블레셋 사람의 싸움''(1562년) 역시 비슷한 정치적 의도를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11]
3. 5. 삼손과 블레셋 사람 (Sansone e un Filisteo)
잠볼로냐는 메디치 가문의 정치적 선전을 위한 우화 작품도 만들었는데, ''피사를 정복한 피렌체''와 함께 1562년에 제작된 ''삼손과 블레셋 사람''[11]이 대표적이다. 이 작품은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를 위해 메디치 가문의 분수 장식용으로 만들어졌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이 조각상은 삼손이 블레셋 사람을 제압하는 극적인 순간을 포착했으며,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폭력적인 주제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었다. 이 작품은 잠볼로냐가 만든 대형 대리석 조각 중 유일하게 피렌체를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메디치 가문의 분수를 위해 제작되었으나, 이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쳤다. 처음에는 레르마 공작에게 주어졌고, 그 다음으로는 스페인 결혼 협상 당시 찰스 1세(당시 웨일스 공)에게 선물로 보내졌다. 이후 조지 3세가 노퍽의 호빙엄 홀에 거주하던 토마스 워슬리 경에게 하사했다. 최종적으로 1953년에 아트 펀드를 통해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에서 구입하여 현재까지 소장하고 있다.[5][6]
3. 6. 코시모 1세 기마상 (Monumento equestre di Cosimo I)
피렌체에 있는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기마상은 그의 제자인 피에트로 타카가 완성하였다.[18]
3. 7. 넵튠 분수 (Fontana del Nettuno)
교황 비오 4세의 명으로 잠볼로냐는 그의 첫 대작인 넵투누스의 거대한 청동상을 제작했다. 이 상은 볼로냐의 마조레 광장에 있는 넵튠 분수(Fontana del Nettunoit)에 설치되었으며, 분수 전체는 토마소 라우레티가 1566년에 설계했다.
또한 잠볼로냐는 피렌체에 있는 바르톨로메오 암마나티의 피렌체 넵튠 분수를 위해 청동 해마와 다른 조각상들을 만들기도 했다.[8]
3. 8. 아펜니노 거상 (Colosso dell'Appennino)
4. 영향
잠볼로냐는 섬세한 액션과 움직임, 세련되고 차별화된 표면 마감으로 유명해졌으며, 그의 명성은 사후에도 수그러들지 않았다. 특히 그의 여러 비너스 묘사는 여성 인물의 비율의 규범을 확립하고 후대 이탈리아와 북유럽 조각가들에게 여신 표현의 중요한 참조 모델을 제시했다. 그의 많은 조각품을 축소한 소형 청동상들은 당대부터 꾸준히 감정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잠볼로냐는 여러 제자를 통해 후대 조각가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제자들과 그 활동은 다음과 같다.
제자 | 주요 활동 및 영향 |
---|---|
아드리안 데 프리스 | 1601년 잠볼로냐의 아틀리에를 떠나 파리로 이주 |
피에트로 프랑카빌라 | 1601년 잠볼로냐의 아틀리에를 떠나 파리로 이주 |
피에르 퓌제 | 북유럽 전역에 잠볼로냐의 영향을 전파 |
피에트로 타카 | 피렌체에서 잠볼로냐의 공방을 계승[18] |
또한 로마에서는 잔 로렌초 베르니니와 알레산드로 알가르디 같은 바로크 시대의 거장들이 잠볼로냐의 영향을 받았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rtists
Facts on File
[2]
서적
Jacques du Broeucq, sculpteur et architecte de la renaissance
Brussels
[3]
서적
Giambologna
Phaidon
[4]
서적
Giambologna: The Complete Sculpture
Moyer Bell
[5]
웹사이트
Samson Slaying a Philistine
https://routing.artf[...]
2022-08-09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ountain
http://www.goldingyo[...]
2007-03-16
[7]
웹사이트
Casa Buonarroti
https://www.piccolig[...]
2019-08-21
[8]
서적
Walks in Florence and Its Environs
https://archive.org/[...]
Smith
[9]
서적
Jacques du Broeucq, sculpteur et architecte de la renaissance
Brussels
[10]
문서
아테나이의 학당
[11]
웹사이트
Samson Slaying a Philistine
http://www.artfund.o[...]
2007-03-16
[12]
웹사이트
http://www.rijksmuse[...]
[13]
서적
Giambologna
Phaidon
[14]
서적
Giambologna: The Complete Sculpture
Moyer Bell
[15]
웹사이트
Samson Slaying a Philistine
https://routing.artf[...]
2022-08-09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ountain
http://www.goldingyo[...]
2007-03-16
[17]
웹사이트
Casa Buonarroti
https://www.piccolig[...]
2019-08-21
[18]
서적
Walks in Florence and Its Environs
https://archive.org/[...]
Smi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