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넵투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넵투누스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과 동일시된다. 어원은 불분명하나, 인도유럽어족의 어근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넵투누스는 물과 관련된 다양한 신들과 연결되어 숭배되었다. 넵투날리아 축제를 통해 숭배되었으며, 살라키아와 베닐리아를 파레드라이로 두었다. 넵투누스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네툰스와도 관련되며, 다양한 미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넵투누스 - 노덴스
    노덴스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어원적으로 '안개' 또는 '획득'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며, 고고학적 발견과 로마 신 마르스와의 동일시를 통해 치유, 어업, 사냥의 신으로 여겨졌고, 현대 문화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 포세이돈 - 트리아이나
    트리아이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포세이돈의 상징적인 삼지창으로, 사이클롭스가 제작했다는 전승이 있으며, 물의 속성을 상징하고 포세이돈의 권위와 힘을 나타내는 도구로서 신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에도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넵투누스
신화 정보
유형로마
이름넵투누스
그리스 동등신포세이돈
힌두 동등신바루나
다른 이름넵투누스
주요 역할
신의 역할바다의 신, 말의 신
거주지바다
상징말, 삼지창, 돌고래, 황소
가족 관계
배우자살라키아
부모사투르누스, 옵스
형제자매유피테르, 플루토, 유노, 케레스, 베스타
자녀트리톤, 프로테우스, 로데스, 벤테시키메
숭배 및 문화
축제넵투날리아, 렉티스테르니움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Neptūnus
IPA (라틴어)nɛpˈtuːnʊs
이미지 및 미디어
기원후 3세기 중반의 개선식에서 해마가 끄는 마차를 탄 넵투누스의 벨리피카티오. 수스 고고학 박물관 소장.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소장 넵투누스 조각상

2. 어원

라틴어 '넵투누스'(Neptunusla)의 어원은 불분명하며 논란의 여지가 있다.[55] 고대 문법학자 바로는 이 이름을 '눕투스'(nuptusla, "덮는 것", opertiola)에서 유래했으며, '눕티아이'(nuptiaela, "천지의 결합")를 암시한다고 주장했다.[56]

현대 학자들 중에서는 파울 크레치머가 인도유럽어 '넵투-'(*neptu-ine, "습한 물질")에서 유래했다는 설을 제기했다.[57] 레몽 블로흐 역시 이것이 '눕투-'(*nuptu-ine, "습한 자")의 형용사 형태 (-nola)일 수 있다고 이론화했다.[58]

조르주 뒤메질은 어근 '넵-'(*nep-ine)에서 비롯한 단어들은 베다 산스크리트어아베스타어를 제외한 다른 인도유럽어족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는 '넵투누스'가 인도 및 이란의 신명인 아팜 나파트 및 아팜 나파(Apąm Napāae) 그리고 고대 아일랜드의 신명 네크탄(Nechtansga)과 연결시키는 어원을 제시하였는데, 이들 신명 모두 "물의 후손"을 의미한다. 비교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인도이란, 아베스타, 아일랜드의 신적 인물 등은 넵투누스에 대한 로마의 전승과 공동의 특징들을 갖고 있다. 뒤메질은 이 명사들이 인도유럽 어근 '네포츠-'(népōts-ine, "후손, 누이의 아들")에서 비롯한 것이라 하였다.[59][60] 그의 제자인 인도유럽학자 얀 푸흐벨은 이 이름이 인도유럽 신화의 물 속의 불 신화의 일부로 "물의 아이" (nevela, 조카)를 의미했을 수 있다고 이론화했다.[61]

라티움에트루리아의 전설적인 역사에 근거한 다른 어원은 19세기 학자 루트비히 프렐러, 카를 오트프리트 뮐러, 빌헬름 디케에 의해 제안되었다. 에트루리아 신 네툰스 또는 네투누스 (NÈDVNVZet)의 이름은 네피(Nepe(t)la 또는 Nepetela) 근처의 지명의 형용사 형태일 것이다.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넵투누스의 숭배와 관련이 있었고, 메사푸스와 할레수스 (팔레리의 창시자 영웅)는 그의 아들로 여겨졌다. 메사푸스는 아이네이스에서 팔리스키(그리고 다른 이들)를 전쟁으로 이끌었다.[62] 네피와 팔레리는 고대부터 샘물의 질로 유명했다. '넵트'(Nepetla)는 "습한 넓은 계곡, 평야"를 의미하는 명사에서 유래한 인도유럽어 이전의 수리 지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원시 그리스어 '나페'(νάπηgrc, "숲이 우거진 골짜기, 협곡")와 관련이 있다.[63]

1990년대 강연에서 독일 학자 후베르트 페테르스만은 인도유럽어 어근 “네브흐-”(*nebh-ine, "습기, 젖음")에 추상적인 동사 명사를 나타내는 접미사 “-투”(-tula)와 활동 영역을 나타내는 형용사 접미사 “-노”(-nola)가 결합하여 “넵투누스”의 어원을 제시하였다. 어근 “네브흐-”(*nebh-ine)는 산스크리트어 “나바흐”(nābhahsa), 히타이트어 “네피스”(nepishit), 라틴어 “눕스”(nubsla), “네불라”(nebulala), 독일어 “네벨”(Nebelde), 슬라브어 “네보”(nebosla)를 생성한다. 이 개념은 “물을 주거나 관개하다”라는 뜻의 어근 *h2wórso-ine와 “관개자”라는 뜻의 어근 *h2worsó-ine에서 유래한 그리스 신 우라누스(Όυράνοςel)의 이름에서 표현된 개념과 유사하다.[64][65]

페테르스만은 넵투누스의 신학에 대한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66] 그는 신명이 인도유럽어 어근 “네브흐”(*nebhine)에서 유래했다는 자신의 이해를 발전시키면서, 이 신은 맑은 하늘의 신인 제우스/유피테르와 함께(그리고 대조적으로) 흐리고 비 오는 하늘의 고대 신이었을 것이라고 기술한다. 카일루스와 유사하게, 그는 비를 통한 생식 능력으로 모든 지상의 것들의 아버지였을 것이다. 넵투누스와 대지의 신성 결합(hieros gamosel)은 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스 V 14 ("파테르 넵투누스"(pater Neptunusla))에 반영되어 있다. 넵투누스의 힘은 그의 파레드라 중 하나인 살라키아에 반영되는데, 이는 흐린 하늘을 나타낸다. 그의 다른 파레드라인 베닐리아는 바람과 바다와 관련이 있다. 신명 베닐리아는 산스크리트어 “바나티(vánatisa), 바노티(vanótisa)"("그는 사랑한다"), 독일어 “본네”(Wonnede), 라틴어 베누스, “베니아”(veniala)에서 유래한 추정되는 인도유럽 어근 “벤ㅎ”(*ven(h)-ine, "사랑하거나 갈망하다")에서 유래한 추정 형용사 “베닐리스”(*venilisine)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넵투누스의 이중적인 성격은 카툴루스 31. 3: "우테르퀘 넵투누스"(uterque Neptunusla)에서 발견된다.[67]

페터스만에 따르면, 고대 인도유럽인들은 또한 삶의 창조자로서 습기를 관장하는 신을 숭배했는데, 이는 히타이트 신명 "네피샤쉬 (디 또는)이슈쿠라쉬"(nepišaš (D)IŠKURašhit) 또는 "네피샤쉬 (다 또는)타르훈나쉬"(nepišaš (D)Tarhunnašhit, "하늘의 습기의 주인") 즉, 대지와 인류의 지배자를 통해 나타난다.[68] 비록 이 기능이 날씨의 지배자인 제우스/유피테르에게 넘어갔지만, 이 오래된 기능은 문학에 남아 있다. 아이네이스 V 13-14는 Heu, quianam tanti cinxerunt aethera nimbi?/ quidve, pater Neptune, paras?la("무엇 때문에 그렇게 많은 구름이 하늘을 에워쌌는가? 무엇을 준비하고 계십니까, 넵투누스 신이시여?")라고 적혀 있다.[69] 물의 필수성과 생식과의 연결은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70]

또한 인도유럽어족이라는 관점과는 별개로, 넵투누스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물과 우물의 신 네순스(Neþunset < *nep-ine "습기")와 신격 및 명칭이 유사하다.

3. 로마 신화

넵투누스의 모자이크 (팔레르모 안토니오 살리나스 주립 고고학 박물관)


이탈리아 헤르쿨라네움의 넵투누스의 저택과 극장 속 벽의 로마 모자이크


치체스터 금석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성한 가정의 안녕을 바라며, 브리타니아의 대왕인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코기두브누스의 인가를 받아, 기능장들의 단체와 이들의 자산을 통해 넵투누스와 미네르바를 위한 이 신전을 세웠으며, 푸덴티누스의 아들인 [...]-엔스가 토지를 기부했다."


카탈루냐의 조각가 니콜라우 트라베가 제작한 '넵투누스' (1802년작)와, 안토니 솔라의 두 '네레이데스' (바르셀로나 료자 데 마르)


'넵투누스의 환희'. 각 구석에 계절과 농사 짓는 모습 및 꽃 등이 나타나 있는 로마 시대의 모자이크이다. (2세기 후반의 것으로 튀니지 체바에서 출토, 바르도 국립 박물관에서 소장)


행렬 중에 있는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를 나타내는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의 개선'. (서기 315-325년경 아프리카 속주키르타에서 제작된 대형 로마 모자이크로 현재 루브르에서 소장)


넵투누스의 신학은 그리스 신화의 신 포세이돈과 매우 유사하게 여겨지며, 포세이돈에 대한 신화와 특징들이 나중에 로마의 넵투누스에게 적용되었다. 기원전 399년에 로마에서 열린 렉티스테르니움 의식 기록을 보면, 그리스의 신들인 포세이돈, 아르테미스, 헤라클레스가 각각 로마의 넵투누스, 디아나, 헤르쿨레스로 받아들여져 숭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84]

일부 학자들은 넵투누스가 원래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믿었던 담수의 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인도유럽인들은 주로 내륙에 살았기 때문에 바다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로마인들이 나중에 넵투누스를 숭배하면서 과거 담수 신의 특징들을 가져왔을 수 있다는 것이다.[85][86] 고대 로마의 학자 세르비우스는 넵투누스를 강, 샘, 물의 신으로 명확히 언급했으며, 이는 주로 바다의 신으로 알려진 포세이돈과는 다른 모습이다. 이런 점에서 넵투누스는 강과 우물을 다스리는 아일랜드 신화의 신 네크탄과 유사할 수도 있다.

넵투누스는 다른 여러 로마 신들과도 관련이 있다. 기원전 1세기경에는 해전 승리의 신이었던 포르투누스를 대신하게 되었고,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스스로를 '넵투누스의 아들'이라고 칭하기도 했다.[87] 한때 넵투누스는 바다의 지배권을 소금물의 여신 살라키아와 함께 나누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88] 또한 넵투누스는 팔리스키족의 신화적인 시조로 여겨졌으며(팔리스키족은 스스로를 '넵투니아 프롤레스', 즉 넵투누스의 자손이라 불렀다), 마르스, 야누스, 사투르누스, 유피테르와 함께 라틴족의 신성한 조상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독일 학자 후베르트 페테르스만(Hubert Petersmann)은 넵투누스라는 이름이 인도유럽 어근 '네브흐-'(*nebh-, 축축한, 젖은)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어원을 제시했다. 그는 이 어근에 추상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투'(-tu)와 활동 범위를 나타내는 형용사 접미사 '-노'(-no)가 결합된 것으로 보았다.[140][141]

페테르스만은 이러한 어원 분석을 바탕으로 넵투누스의 초기 신학에 대한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142] 그는 넵투누스가 원래 맑은 하늘의 신인 유피테르와 대조되는, 구름 끼고 비 내리는 하늘의 고대 신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넵투누스는 비를 통해 땅을 비옥하게 하여 모든 생명체의 아버지가 되는 신이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pater Neptunus|파테르 넵투누스la(아버지 신 넵투누스)의 모습은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아이네이아스》에도 나타난다. 넵투누스의 힘은 그의 파레드라이(paredrae), 즉 구름 덮인 하늘을 의미하는 살라키아나 바람과 관련된 베닐리아를 통해 표현되었을 수 있다.[143] 페테르스만에 따르면, 고대 인도유럽인들은 비의 신을 생명의 창조자로 숭배했으며, 이는 히타이트 신화에서도 확인된다.[144] 비록 나중에 기후를 다스리는 역할이 유피테르에게 넘어갔지만, 넵투누스가 비와 날씨를 관장했던 과거의 흔적은 문학 작품 속에 남아있다. 예를 들어 《아이네이아스》에는 Heu, quianam tanti cinxerunt aethera nimbi? quidve, pater Neptune, paras?|헤우, 퀴아남 탄티 킹크세룬트 아이테라 님비?/ 퀴드베, 파테르 넵투네, 파라스?la("대체 왜 이렇게 많은 구름들이 하늘을 둘러싸고 있는가? 아버지 넵투누스여, 무엇을 준비하고 계십니까?")[145]라는 구절이 나온다. 물이 지닌 필수성과 번식과의 관련성은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146]

다른 학자들은 넵투누스가 라틴족의 일파인 팔리스키족의 시조였던 점에 주목하여, 그를 민족의 신적인 조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넵투누스와 그의 파레드라이인 살라키아가 마르스, 사투르누스, 유피테르처럼 라틴족을 만들어낸 남성적인 힘을 상징한다고 보았다.[147]

3. 1. 넵투날리아

넵투르날리아(Neptunalia)는 로마의 해신 넵투누스(Neptune)를 기리는 축제로, 한여름(보통 7월 23일)에 열렸다. 축제가 열리는 시기와 나뭇가지로 만든 오두막(umbrae|lat)을 짓는 풍습은 넵투누스가 가뭄과 폭염 시기의 수자원 신으로 여겨졌음을 시사한다.[13]

가장 오래된 로마력(Roman calendar)은 넵투누스의 축제(feriae)를 7월 23일, 숲의 축제인 루카리아(Lucaria)와 7월 25일의 푸리날리아(Furrinalia) 축제 사이에 배치했다. 이 세 축제는 모두 한여름 더위(canicula|카니쿨라lat)와 가뭄으로 담수원이 가장 부족했던 시기에 물과 관련이 있었다.[14]

세 축제는 논리적인 순서로 진행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먼저 루카리아는 무성하게 자란 덤불을 제거하고 과도한 초목을 뿌리째 뽑아 태우는 데 집중했다.[14] 그 뒤를 이어 넵투날리아는 수자원 보존과 지표수 배수에 전념했다. 이는 샘과 우물의 여신 푸리나(Furrina)를 위한 푸리날리아에서 절정에 달했다.

넵투날리아 기간 동안 사람들은 테베레강(Tiber)과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 사이 숲 속에 나뭇가지로 오두막을 짓고, 그 안에서 더위를 피해 샘물과 포도주를 마시며 보냈다.[15] 이 축제는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로마 사회의 일반적인 제약 없이 남녀가 자유롭게 어울려 먹고 마시며 즐길 수 있는 시간이었다.[16] 넵투누스에게 황소를 제물로 바쳤다는 점에서, 농업적 다산성과 관련된 의미도 축제에 더해진다.[17]

3. 2. 신전

넵투누스는 로마에 신전 단 한 곳만이 있었다. 이 신전은 캄푸스 마르티우스 남쪽에 위치한 로마의 경주 트랙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근처에 있었으며, 최소한 기원전 20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94] 기원전 40년경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가 이 신전을 복원했으며, 이는 그가 발행한 주화에도 묘사되어 있다. 신전 내부에는 스코파스 미노르가 제작한 해양 생물 조각상이 있었다.[95][96] 이후 아그리파악티움 해전에서의 승리를 기념하여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넵투누스 바실리카(Basilica Neptuni|바실리카 넵투니la)를 건설하여 헌정하였다.[97] 이 바실리카는 과거의 제단을 대체했던 옛 신전을 대신하게 되었다.[98]

3. 3. 희생제

넵투누스는 황소를 제물로 바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진 로마의 네 신 중 하나였다.[99][23] 다른 신들로는 아폴로, 마르스, 유피테르가 있으며, 불카누스 역시 붉은 황소와 붉은 송아지를 제물로 바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99][23] 만일 부주의 또는 불가피하게 부적절한 공물을 바쳤다면, 신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별도의 속죄가 필요했다.[100][24] 이러한 유형의 공물은 신과 세상 사이의 엄격한 연결 관계를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00][24]

3. 4. 파레드라이

'파레드라이'(πάρεδρος|파레드로스grc, paredros, 복수형 paredrae)는 신과 함께하는 존재를 의미하며, 해당 신의 본질적인 측면이나 힘을 나타낸다. 헬레니즘 시대의 영향을 받아, 파레드라이는 점차 별개의 신격이자 해당 신의 배우자로 여겨지게 되었다.[25] 초기 민중 신앙에서도 파레드라이를 신의 배우자로 생각했을 가능성이 있다.[26]

넵투누스의 파레드라이로는 살라키아(Salacia)와 베닐리아(Venilia)가 언급된다. 이 두 존재에 대해서는 고대와 현대의 여러 학자들이 논의해왔다.

고대 학자 바로는 살라키아를 '바다'를 뜻하는 라틴어 '살룸'(salumla)과, 베닐리아를 '바람'을 뜻하는 '벤투스'(ventusla)와 연관 지었다.[27] 페스투스는 살라키아가 바다의 움직임을 주관한다고 보았다.[28] 일설에 따르면 베닐리아는 파도를 해안으로 밀어오고, 살라키아는 파도가 다시 바다로 물러가게 하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29] 기독교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저서 《신국론》(De Civitate Deila)에서 이들의 신학적 정의가 지닌 모순점을 지적했다. 그는 살라키아가 깊은 바다를 상징한다면, 어떻게 표면 현상인 파도의 물러남을 관장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29] 또한 그는 베닐리아가 '다가오는 희망'을 의미하며, 이는 유피테르의 한 측면, 즉 '만물의 영혼'(anima mundila)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았다.[30]

세르비우스는 《아이네이스》 주석에서 살라키아와 베닐리아를 언급하며, 살라키아가 베누스와 동일시되기도 했고, 특히 고대에는 매춘의 여신으로 불렸다고 기록했다. 다른 기록에서는 살라키아와 베닐리아가 같은 존재라고도 하였다.[31]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뒤메질과 그의 학파(블로흐, 실링 등)는 넵투누스를 물의 구체적이고 제한적인 기능과 연관 지어 해석한다. 이 관점에서 살라키아는 솟아오르고 넘치는 물의 강력하고 격렬한 측면을, 베닐리아는 고요하거나 잔잔히 흐르는 물의 온화한 측면을 상징한다.[32] 즉, 살라키아는 거친 물, 베닐리아는 잔잔한 물을 나타낸다고 본다.[33]

반면, 프렐러, 파울러, 페터스만, 터카치 등 다른 학자들은 넵투누스의 신학을 농업 및 인간의 생식과 관련된 지상의 풍요라는 더 넓은 의미로 해석한다. 이들은 살라키아를 성욕의 의인화로, 베닐리아를 '매력'이나 '호의'를 뜻하는 '베니아'(veniala)와 연결하여 사랑과 생식에 대한 욕망을 나타내는 존재로 보았다. 프렐러는 베닐리아가 고대 로마의 기도문 목록인 '인디기타멘타'(indigitamentala)에 갈망과 욕망의 신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이 베누스와 유사한 이름(신명, theonym)을 설명해준다고 주장했다.[34]

다른 신화 자료들도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듯하다. 살라키아는 아킬레우스의 어머니인 테티스에 비견되며, 베닐리아는 루툴리인의 왕 다우누스와의 사이에서 투르누스유투르나를 낳은 어머니로 여겨진다.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베닐리아는 야누스의 배우자였으며, 그와의 사이에서 피쿠스가 사랑했던 님프 카넨스를 낳았다고 한다.[35] 이러한 신화들은 넵투누스의 파레드라이, 특히 베닐리아가 지닌 생식 및 모성의 기능을 강조한다. 전설적인 왕 베눌루스는 티부르(오늘날의 티볼리)와 라비니움에서 기억되는 인물이다.[36]

4. 에트루리아 신화

넵투누스의 에트루리아어 이름은 '''Nethuns|네툰스et'''이다.[122][46] 넵투누스의 이름이 에트루리아어에서 유래했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23][47] 네툰스는 에트루리아인들에게 중요한 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이름은 피아첸차의 간에서 두 번 발견되는데, 7번째 구역의 바깥쪽 테두리와 28번째 구역인 담낭이다. 특히 담낭 위치는 대플리니우스가 담낭이 넵투누스에게 신성한 곳이라고 믿었던 것과 일치한다.[124][48] '네툰스'라는 이름은 '리베르 린테우스'의 7, 9, 11번째 열에서 총 여덟 번 등장한다.[125][49]

투스카니아에서 출토된 한 청동 거울(E. S. 1. 76)에는 네툰스가 우실(태양의 신)과 테산(새벽의 여신)[50]과 대화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네툰스는 왼쪽에 앉아 오른손에는 삼지창을 들고 왼손으로는 지시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우실은 중앙에 서서 오른손에 아플루의 활을 들고 있다. 테산은 오른쪽에 위치하며 오른손을 우실의 어깨에 올리고 있으며, 우실과 테산 모두 네툰스의 말을 경청하는 모습이다. 아플루와 우실을 동일시하는 것(그리고 네툰스와의 연관성)은 거울 하단(엑서그)에 앙귀페드 악마가 두 마리의 돌고래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더욱 강조된다. 이 장면은 네툰스와 아플루(여기서는 우실과 동일시됨)가 지상 세계와 생명의 순환에 관련된 주요 신으로서 가지는 관계와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테산과 우실-아플루(지하 세계의 태양신인 수리(Śuri) 또는 소라누스 파테르와 동일시되기도 함)는 지상 세계 삶의 덧없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50][126]

일부 연구에서는 네툰스가 에트루리아 신화의 물과 우물의 신인 Neþuns|네툰스et(원시 인도유럽어 ''*nep-'' "습기"에서 유래)와 신격 및 명칭에서 유사성을 보인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5. 넵투누스 에퀘스트리스

포세이돈은 바다의 신으로 널리 알려지기 전에 말과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본래 말의 모습으로 묘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연관성은 땅을 흔드는 그의 능력, 말과 샘물의 관계, 그리고 말이 지닌 영혼의 안내자로서의 성격 등 포세이돈의 격렬하고 거친 속성을 반영한다.[113][37] 이와 달리, 넵투누스는 말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로마 신화에서는 콘수스가 말과 관련이 깊다. 그의 제단은 지하에 있었으며, 팔라티노 언덕 아래 키르쿠스 막시무스(고대 로마의 전차 경기장) 경마장 자리에 위치했다.[114][38] 매년 여름 8월 21일에 열리는 콘수알리아 축제에서는 꽃으로 장식한 말과 당나귀를 군중 앞에 행렬시킨 후 키르쿠스에서 경마 경기를 여는 것이 관례였다.[114][38] 이 축제에서는 사비니 여인(및 라틴 여인)들의 납치를 재현하기도 했는데, 이는 축제가 지닌 성적인 방종의 성격을 보여준다.[115][39] 축제 당일에는 플라멘 퀴리날리스와 베스타 사제단이 콘수스의 지하 제단에서 제사를 지냈다. 두 번의 콘수알리아 축제(여름과 겨울)가 농업과 관련된 여신 옵스의 축제인 오피콘시비아와 날짜가 가깝다는 점(겨울 콘수알리아는 12월 15일, 오피콘시비아는 12월 19일)은 두 신이 농업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뒤메질에 따르면, 말은 포세이돈과 콘수스의 신학에서 매우 다른 상징적 가치를 지닌다. 테르툴리아누스 (''De Spectaculis'' V 7)는 로마 전승에 따라 콘수스가 로물루스에게 사비니 여인 납치를 조언한 신이라고 기록했다.[116][40]

'말의 신 포세이돈'을 의미하는 '포세이돈 히피오스'(Ίππιος|히피오스grc)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콘수스는 '넵투누스 에퀘스트리스'(Neptunus equestrisla)로 재해석되었다. 이는 콘수스의 축제에 경마 경기가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제단이 지하에 있다는 점에서 '땅을 뒤흔드는 자 포세이돈'을 의미하는 '포세이돈 에노시크톤'(Ένοσίχθων|에노시크톤grc)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포세이돈'이라는 이름 자체가 '주인' 또는 '남편'을 뜻하는 πόσις|포시스grc와 '곡물' 또는 '땅'을 뜻하는 δῆ|데grc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 또한 콘수스를 넵투누스와 동일시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117][41] 제단을 모시기 위해 땅을 파야 했던 콘수스의 비밀스러운 제의 방식은 그가 오래되고 지하적인 성격을 지닌 신임을 보여준다. 뒤메질은 아우구스티누스가 투틸리나의 역할을 설명한 내용(''De Civitate Dei'' IV 8)을 바탕으로, 콘수스의 이름이 '숨기다' 또는 '저장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conderela에서 유래한 동사적 명사라고 해석했다. 이는 콘수스가 상쿠스, 야누스처럼 저장된 곡물을 지키는 신이었음을 암시한다.[118][42] 하지만 포세이돈은 지하 신전이나 제단에서 숭배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콘수스와 포세이돈을 완전히 동일시하기는 어렵다.[119][43]

마르티아누스 카펠라(Martianus Capella)는 하늘의 X 지역에 넵투누스와 콘수스를 함께 배치하는데, 이는 콘수스를 포세이돈과 동일시한 오랜 interpretatio graeca|그리스식 해석la을 따르거나, 혹은 에트루리아인들의 지하 세계 신으로서의 넵투누스에 대한 관념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 실제로 고대 로마의 점술 기록인 ''데 하루스피쿰 레스폰소''(De Haruspicum Responsola)[120][44]에는 라틴족의 땅(ager Latiniensisla) 지하에서 땅이 갈라지는 소리가 들렸을 때 넵투누스에게 속죄 제의를 드리라고 권고한 내용이 있다. 에트루리아인들 역시 경마를 즐겼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45]

6. 그리스 신화와의 비교

넵투누스의 신학은 그리스 신화의 판테온에 속한 신 포세이돈과 거의 동일시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기원전 399년에 로마에서 열린 '렉티스테르니움' 의식은 그리스 신화의 신들이 로마로 전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이때 포세이돈, 아르테미스, 헤라클레스가 각각 로마의 넵투누스, 디아나, 헤르쿨레스로 받아들여져 숭배되기 시작했다.[8]

그러나 넵투누스가 단순히 포세이돈과 동일한 존재는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원시 인도유럽인들은 주로 내륙 지역에 거주하여 바다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적었기 때문에, 로마인들이 원래 자신들이 믿던 민물의 신에 대한 신학을 넵투누스 숭배에 접목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9][10] 실제로 고대 로마의 학자 세르비우스는 넵투누스를 강, 샘, 물의 신으로 명확하게 언급하기도 했다. 이는 넵투누스가 아일랜드 신화에서 강과 우물의 지배자로 등장하는 신 네크탄과 유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들은 넵투누스가 주로 바다의 신으로 여겨지는 포세이돈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넵투누스는 그리스의 포세이돈과 동일시되는 과정 속에서도 민물과 관련된 고유한 신성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있다.

7. 인도유럽 신화와의 비교

넵투누스는 켈트 신화의 네크탄이나 힌두교 신화 및 이란 신화의 아팜 나파트와 어원적, 신화적으로 관련성이 지적된다. 이들은 모두 오래된 인도유럽어족 계통 신화의 수신(水神)에 기원을 둔 것으로 여겨진다.[135] 조르주 뒤메질은 넵투누스(Neptunus), 네크탄(Nechtan), 아팜 나파트(Apām Napāt)라는 이름이 모두 인도유럽조어의 *neptonospie (물의 신으로 추정) 또는 *h2epōm nepōtspie (물의 손자, 아들, 혹은 조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35][136] 이 신들은 어원뿐 아니라 유사한 구조의 신화를 공유한다.

이들 신화에는 공통적으로 '물 속의 신성한 불'이라는 모티프가 나타난다. 이 불은 함부로 건드려서는 안 되거나, 특정 자격을 갖춘 인물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자격 없는 자가 불을 얻으려 시도하다 실패하고, 그 과정에서 불 주위의 물이 넘쳐흘러 강이 탄생하는 이야기가 반복된다.


  • 아일랜드 신화: 네크탄( Nechtangle)은 비밀스러운 우물을 소유했으며, 오직 그와 세 명의 술 시중꾼만이 우물에 접근할 수 있었다. 만약 다른 이가 접근하면 우물 속 불꽃에 눈이 멀게 된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네크탄의 아내인 보앤드( Boandgle)가 금기를 어기고 우물에서 물을 길으려 시도했다. 그녀가 우물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세 바퀴 돌자 물이 격렬하게 넘쳐흘렀고, 이 물줄기는 바다까지 이어져 강이 되었다. 보앤드는 이 물에 휩쓸려 익사했고, 이 강은 그녀의 이름을 따 보인 강이라 불리게 되었다.
  • 페르시아 신화: 왕권의 상징인 신성한 불꽃 후아르나는 아팜 나파트 신( Apąm Napātfas)에 의해 볼카샤 호수 깊은 곳에 보관되어 있었다. 오직 아리아인(페르시아인)만이 후아르나를 얻을 자격이 있었으나, 비(非)페르시아인인 프란라스얀이 세 번이나 호수에 뛰어들어 이를 차지하려 했다. 그때마다 후아르나는 달아났고, 호수의 물이 넘쳐흘러 세 개의 강이 만들어졌다.
  • 인도 신화: 인도에는 유사한 구조의 신화는 전해지지 않지만, 아팜 나파트( Apām Napātsan)라는 이름의 신격이 존재한다. 이 신은 불꽃의 속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물속에 사는 존재로 여겨졌다.[135]
  • 그리스 신화: 포세이돈아미모네의 이야기는 음운적 관련성은 없지만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다나오스(이름 자체가 인도유럽조어 *da-, '물의 흐름'과 연관될 수 있음)의 딸 아미모네가 물을 찾다가 사튀로스에게 습격당했을 때, 포세이돈이 나타나 그녀를 구하고 삼지창으로 땅을 쳐서 샘을 솟아나게 했다. 이후 아미모네와 관계를 맺어 나우플리오스를 낳았다. 이는 '물과 관련된 남성 친척(사위)'이 '3'과 관련된 행위(삼지창)로 물을 생성하는 구조로, 다른 신화들과 유사점을 보인다.


뒤메질은 이러한 신화들을 비교하며, 로마 신화만이 유독 인력을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하려는 노력을 강조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다른 신화에서는 강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로마인들은 넵투날리아 축제에서 자연적인 강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수로나 관개 시설과 같은 물의 흐름 제어에 대해서도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한편, 넵투누스의 어원이나 신화 해석에 대해서는 뒤메질 외에도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또한 인도유럽어족이라는 관점 외에도, 넵투누스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물과 우물의 신인 네순스( Neþunsett < *nep-pie "습기")와 이름 및 신격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이처럼 현재 남아있는 단편적인 자료만으로는 넵투누스의 원형 신화를 명확히 재구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8. 미술 작품 속 묘사

러시아 비보르크의 몬레포 정원 속 넵투누스 신전


에트루리아인들이 넵투누스를 표현한 작품은 드물지만 중요한 것들이 남아있다. 가장 오래된 유물 중 하나는 기원전 4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불키에서 출토된 카닐리언 스카라브이다. 이 스카라브에는 네툰스(넵투누스의 에트루리아식 이름)가 바위를 발로 차서 샘물이 솟아나게 하는 장면이 새겨져 있다. 현재 이 유물은 프랑스 파리 국립 도서관의 BnF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 다른 에트루리아 유물에서는 넵투누스가 삼지창으로 땅을 쳐서 말이 튀어나오게 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48]

바티칸 박물관에는 넵투누스를 묘사한 중요한 청동 거울 두 점이 소장되어 있다. 하나는 기원전 4세기 후반의 것으로, 넵투누스가 다나우스의 딸 아미모네사티로스의 공격에서 구해주고 샘물을 만드는 법을 가르치는 장면을 보여준다. 다른 하나는 투스카니아에서 출토된 기원전 350년경의 청동 거울로, 넵투누스가 우실(태양신)과 테산(새벽의 여신)과 함께 이야기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 거울에서 넵투누스는 양 끝이 갈라진 삼지창을 들고 있는데, 이는 그가 번개를 다루는 능력도 가졌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149]

이 외에도 넵투누스는 여러 시대와 지역의 예술 작품에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아뇰로 브론치노의 '넵튠의 모습을 한 안드레아 도리아의 초상' (1530년대 또는 1540년대경)


라코루냐의 넵투누스 기념물

9. 현대의 넵투누스



참조

[1] 서적 Les cultes païens de l'Empire romain 1905
[2]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3] 문서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lord of our earthly world with water(s)
[4] 논문 Neptune Africain 2002
[5]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Paris 1966
[6] 문서 Compare Epona
[7] 웹사이트 Neptune, Prado Museum, Madrid http://www.spainiscu[...]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 2021-12-20
[8] 서적 The Great Mother of the Gods https://play.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2021-08-10
[9] 서적 Religion und Kultus der Römer C. H. Beck 1902
[10] 서적 Abhandlungen zur römische Religion Teubner 1909
[11] 서적 The Classical World Basic Books 2006
[12] 서적 Elsevier's Mythologische Encyclopedie Elsevier 1961
[13] 문서 2002
[14] 서적 Fêtes romaines d' été et d' automne. Suivi de Dix questions romaines 1975
[15] 서적 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 (CIL)
[16] 서적 Vestal virgins, sibyls and matronae: women in Roman relig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8
[17] 서적 2008
[18] 서적
[19] 논문 L'ora di Domizio Enobarbo e la cultura artistica in Roma nel II sec. a. C. 1968
[20] 웹사이트 Neptunalia Festival http://www.mmdtkw.or[...]
[21] 웹사이트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Basilica Neptuni"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1977
[23] 서적 Saturnalia
[24] 논문 Quaestiunculae indo-italicae: 11. Iovi tauro verre ariete immolari non licet 1961
[25]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912
[26] 서적 Noctes Atticae
[27] 서적 Lingua Latina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912
[32] 문서
[33] 서적
[34] 서적 Römische Mythologie 1858
[35] 서적 Metamorphoses
[36] 논문 Turnus and his ancestors
[37] 서적
[38]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39] 문서
[40] 논문 The Flamen Quirinalis at the Consualia and the Horseman of the Lacus Curtius
[41] 서적 Vestal Virgins, Sybils and Matrons University of Texas Press
[42] 서적 De Spectaculis
[43] 논문 Jeux athletiques et rituels de fondation
[44] 서적 De Haruspicum Responso
[45] 논문 Les dieux de Martianus Capella
[46]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Manchester Press
[47] 서적 Etruscan Mythology, Sacred History and Legend: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48] 문서 Nat. Hist.
[49] 서적 Etruscam Myth, Sacred History and Legend Univ. of Pennsylvania Press
[50] 논문 Gods in Harmony: The Etruscan Pantheon, Altari e sacelli: l'area sud di Pyrgi dop otto anni di ricerche, Sacred Architecture and the Religion of the Etruscans
[51] 서적 Römische Mythologie
[52] 문서
[53] 논문 Deorum sedes
[54] 서적 Adversus Nationes
[5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Latin and the other Italic Languages
[56] 서적 Lingua Latina
[57] 서적 Einleitung in der Geschichte der Griechischen Sprache
[58] 논문 Quelques remarques sur Poseidon, Neptunus et Nethuns
[59] 서적 Roman and Indoeuropean Mythologies
[60] 서적 Fêtes romaines d' étè et d' automne, suivi par dix questions romaines
[61] 서적 Comparative Mythology
[62] 서적 Aeneis, Römische Mythologie, Etrusker, Falisker,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6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64] 문서
[65] 논문 Untersuchungen zur Vertratung der indogermanischen Laryngeale in Griechisch
[66] 서적 Lingua et Religio: ausgewählte kleine Schriften zur antiken Religionsgeschichte auf sprachwissenschaftlicher Grundlage Vandenhoeck und Ruprecht
[67] 서적 Carmina
[68] 서적 Die Anitta-Text
[69] 논문 Neptuns ürsprugliche Rolle im römischen Pantheon. Ein etymologisch-religiongeschichtlicher Erklärungsversuch
[70] 서적 De verborum significatione
[71]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London 1899
[72] 서적 Bloch 1981
[73] 서적 2006
[74] 서적 그리스·로마 신화 사전 대수관서점
[75] 서적 신의 사전 재팬 믹스
[76] 서적 서양 신명 사전 신기원사
[77] 서적 Les cultes païens de l'Empire romain 1905
[78]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79] 문서 물에 대한 하계의 군주와의 관계에 대해서 Bloch, p. 342-346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80] 서적 Neptune Africain 2002
[81]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Paris 1966
[82] 문서 에포나와 참조
[83] 웹인용 Neptune, Prado Museum, Madrid http://www.spainiscu[...]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 2021-12-20
[84] 서적 The Great Mother of the Gods https://play.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2021-08-10
[85] 서적 Religion und Kultus der Römer https://archive.org/[...] C. H. Beck 1902
[86] 서적 Abhandlungen zur römische Religion Teubner 1909
[87] 서적 The Classical World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06
[88] 서적 Elsevier's Mythologische Encyclopedie Elsevier 1961
[89] 문서 "C'est-à-dire au plus fort de l'été, au moment de la grande sécheresse, et qu'on y construisaient des huttes de feuillage en guise d'abris contre le soleil"
[90] 서적 Fêtes romaines d' été et d' automne. Suivi de Dix questions romaines Paris 1975
[91] 서적 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
[92] 서적 Vestal virgins, sibyls and matronae: women in Roman relig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8
[93] 서적 2008
[94] 서적 Cassius Dio 17 fragment 57. 60 1992
[95] 학술지 L'ora di Domizio Enobarbo e la cultura artistica in Roma nel II sec. a. C. 1968
[96] 웹사이트 Neptunalia Festival http://www.mmdtkw.or[...]
[97] 웹사이트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Basilica Neptuni" https://penelope.uch[...]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98] 서적 1977
[99] 서적 Saturnalia
[100] 학술지 Quaestiunculae indo-italicae: 11. Iovi tauro verre ariete immolari non licet 1961
[101]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912
[102] 서적 Noctes Atticae
[103] 서적 Lingua Latina
[104] 서적
[105] 서적 De Civitate Dei
[106] 문서 Augustine above II 11
[107]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08] 문서 Dumézil accepts and re-proposes the interpretations of Wissowa and von Domaszewski
[109] 문서 Dumezil above p.31
[110] 서적 Römische Mythologie Berlin
[111] 서적 Metamorphoses
[112] 논문 Turnus and his ancestors
[113] 문서 Bloch 1981 p. 343
[114]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London
[115] 문서 W. W. Fowler, citing James G. Frazer
[116] 논문 The Flamen Quirinalis at the Consualia and the Horseman of the Lacus Curtius
[117] 서적 Vestal Virgins, Sybils and Matrons University of Texas Press
[118] 서적 De Spectaculis
[119] 논문 Jeux athletiques et rituels de fondation
[120] 서적 De Haruspicum Responso
[121] 논문 Les dieux de Martianus Capella
[122]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University of Manchester Press
[123] 서적 Etruscan Mythology, Sacred History and Legend: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124] 서적 Nat. Hist.
[125] 서적 Etruscam Myth, Sacred History and Legend Univ. of Pennsylvania Press
[126] 논문 Gods in Harmony: The Etruscan Pantheon
[127] 서적 Römische Mythologie Berlin
[128]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Paris
[129] 문서 Cf. M. Pallottino "Deorum sedes" in ''Saggi di antichitá. II. Documenti per la storia della civiltá etrusca'' Roma 1979 p. 779-790. For a summary exposition of the content of this work the reader is referred to article Juno, section Etrurian Uni note n. 201.
[130] 서적 Adversus Nationes
[131]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Latin and the other Italic Languages Leiden/Boston
[132] 서적 Lingua Latina
[133] 서적 Einleitung in der Geschichte der Griechischen Sprache Göttingen
[134] 논문 Quelques remarques sur Poseidon, Neptunus et Nethuns
[135] 서적 Roman and Indoeuropean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Chicago
[136] 서적 Fêtes romaines d' étè et d' automne, suivi par dix questions romaines Paris
[137] 서적 Comparative Mythology Baltimore
[138] 서적 Aeneis
[139]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Leiden/Boston
[140] 문서 H. Petersmann below, Göttingen 2002
[141] 논문 Untersuchungen zur Vertratung der indogermanischen Laryngeale in Griechisch Vienna
[142] 서적 Lingua et Religio: ausgewählte kleine Schriften zur antiken Religionsgeschichte auf sprachwissenschaftlicher Grundlage Vandenhoeck und Ruprecht
[143] 문서 Catullus 31. 3
[144] 서적 Die Anitta-Text Wiesbaden
[145] 논문 Neptuns ürsprugliche Rolle im römischen Pantheon. Ein etymologisch-religiongeschichtlicher Erklärungsversuch Göttingen
[146] 문서 Festus
[147] 서적 The Roman Festivals of the Period of the Republic London
[148] 서적 Bloch 1981
[14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