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전 고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전 고대는 그리스 암흑기 이후 정치, 문화적으로 발전한 시기를 아우르며, 민주주의, 철학, 연극, 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이 시기에는 페니키아인, 에트루리아인, 로마인 등의 문명이 등장했으며, 특히 로마는 공화정을 거쳐 제국으로 발전하며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다. 고전 시대는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로마의 성장과 함께 종말을 맞이했지만, 서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 사상, 문화 유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전 고대 - 고대 후기
    고대 후기는 3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통치부터 7세기 말 우마이야 칼리파의 수립까지 로마 제국과 주변 지역에서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며, 게르만족 대이동, 서로마 제국 멸망, 동로마 제국 번영, 기독교 성장, 이슬람교 발흥 등의 사건과 함께 도시, 건축,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 고전 고대 - 자유시 (고전 시대)
    자유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자체 법률로 통치되고 외부 세력에 종속되지 않는 도시를 의미하며, 마케도니아 왕국 시대의 암피폴리스, 로마 제국 내의 자치 도시 등 그 예시를 찾아볼 수 있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고전 고대

2. 역사

그리스 암흑기 이후 정치 이론의 중요한 발전과 민주주의, 철학, 연극, 의 시작, 그리고 암흑기 동안 사라졌던 문자 언어(그리스 문자)의 부활을 보았다.[11]

도자기 분야에서, 고대 시대는 오리엔탈 양식의 발전을 보았는데, 이는 암흑기 말기의 기하학적 양식에서 벗어나 이집트, 페니키아, 시리아에서 유래된 영향의 축적을 나타낸다. 고대 시대 후반과 관련된 도자기 양식은 기원전 7세기에 코린토스에서 시작된 흑색 figure 도자기와 그 후계자인 적색 figure 도자기인데, 이는 기원전 530년경 안도키데스 화가에 의해 개발되었다.

BC 8세기에서 6세기경의 페니키아 (노란색)와 그리스 식민지 (빨간색) 지도.


페니키아인들은 원래 가나안의 항구에서 확장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에는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다.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에 건국되었고, 카르타고인들은 기원전 700년까지 시칠리아, 이탈리아, 사르데냐에 거점을 마련하여 에트루리아와 이해관계가 충돌했다. 키티온, 키프로스에서 발견된 석비는 기원전 709년 사르곤 2세가 섬의 일곱 왕을 상대로 거둔 승리를 기념하며, 이는 키프로스가 티레의 지배에서 신아시리아 제국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부분을 보여준다.[11][12][13][14]

기원전 800년경 이탈리아 북부에 있던 에트루리아 문명.


에트루리아인은 기원전 7세기 말에 이 지역에 정치적 지배권을 확립하여 귀족 및 군주 세력을 형성했다. 에트루리아인들은 기원전 6세기 말에 이 지역에서 세력을 잃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 이탈리아 부족들은 개별 통치자의 권력 행사에 대한 제약을 강화한 공화국을 수립하여 정부 형태를 혁신했다.[15]

전설에 따르면, 로마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에 트로이의 왕자 아이네이아스의 쌍둥이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의해 건국되었다.[16] 도시에 여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전설에 따르면 라틴족은 사비니족을 축제에 초대하여 미혼 여성들을 납치했고, 그 결과 라틴족과 사비니족이 통합되었다.[17]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8세기 중반에 로마 포럼에서 최초의 정착 흔적을 보여주지만, 팔라티노 언덕의 정착지는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8][19]

전설에 따르면, 로마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왕은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였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들이자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사위인 수페르부스는 에트루리아 출신이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에트루리아인들은 권력의 절정에 이르렀다. 수페르부스는 로마 사람들을 분노하게 하면서 타르페이아 절벽에서 모든 사비니 신전과 제단을 제거하고 파괴했다. 로마 시민들은 그의 아들이 귀족 로마 여성인 루크레티아를 강간한 사건을 인지하지 못한 것에 반대하며 그의 통치에 반발했다. 루크레티아의 친족인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마르쿠스 브루투스의 조상)는 원로원을 소집했고, 기원전 510년에 수페르부스와 군주제를 로마에서 추방했다. 수페르부스가 추방된 후, 기원전 509년에 원로원은 다시는 왕의 통치를 허용하지 않기로 투표하고 로마를 공화 정부로 개혁했다.

이는 한국의 고조선 이후 부족국가 시대와 유사하게, 그리스에서도 도시 국가들이 성장하며 독자적인 문화와 정치 체제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민주주의의 발전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과 비교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원전 431년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전의 델로스 동맹("아테네 제국")


고대 그리스의 고전 시대는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의 대부분에 해당하며, 특히 기원전 510년 아테네 참주정의 종말부터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까지이다. 기원전 510년, 스파르타 군대는 아테네인들이 참주 히피아스를 전복하도록 도왔다. 스파르타의 왕 클레오메네스 1세는 이사고라스가 이끄는 친스파르타 과두정을 수립했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9–449년)은 칼리아스 평화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그리스,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이오니아가 페르시아 통치로부터 해방되었다. 이 전쟁에서 승리한 아테네는 델로스 동맹을 주도하며 해상 제국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아테네의 지배력 강화는 스파르타와 펠로폰네소스 동맹 간의 갈등을 야기했고, 결국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원전 431–404년)으로 이어져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났다.

그리스는 기원전 4세기를 스파르타의 헤게모니로 시작했지만, 기원전 395년에 스파르타 통치자들이 리산드로스를 해임하면서 스파르타는 해상 지배력을 잃었다. 아테네, 아르고스, 테베와 코린토스 (후자의 두 도시는 이전 스파르타 동맹국)는 코린토스 전쟁에서 스파르타의 지배에 도전했고, 이 전쟁은 기원전 387년에 결정적인 결론을 내지 못하고 끝났다. 이후 기원전 371년에 테베의 장군 에파미논다스와 펠로피다스는 레욱트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스파르타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테베의 헤게모니를 수립했다. 테베는 기원전 346년 마케도니아의 세력이 증가할 때까지 지배력을 유지하려 했다.

필리포스 2세 (기원전 359–336년)의 통치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는 파이오니아인, 트라키아인 및 일리리아인의 영토로 확장되었다. 필리포스의 아들인 알렉산드로스 대왕 (기원전 356–323년)은 마케도니아의 힘을 중앙 그리스 도시 국가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제국, 이집트를 포함하여 인도 변두리까지 잠시 확장했다. 고전 그리스 시대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의 죽음과 그의 제국 분열로 끝나며, 이 시기에 그의 제국은 디아도코이에 의해 분할되었다.

아테네 민주주의는 고대 그리스의 정치적 발전의 정점을 보여주며, 현대 민주주의의 중요한 기원이 되었다. 한편,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간의 항쟁은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유사하게, 국가 간의 경쟁과 갈등이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마케도니아의 세력 확장과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그리스는 헬레니즘 시대를 시작했다. 그리스어는 그리스 자체를 넘어 광범위하게 ''공용어''가 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는 페르시아,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 중앙 아시아, 이집트의 문화와 상호 작용했다. 과학 분야(지리학, 천문학, 수학 등)에서,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소요학파 추종자들에 의해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헬레니즘 시대는 기원전 2세기 동안 로마 공화국이 초지역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기원전 146년 로마가 그리스를 정복하면서 끝났다.

로마 공화정과 로마 제국의 영토. 기원전 218년(진한 적색), 기원전 133년(밝은 적색), 기원전 44년(주황색), 기원후 14년(노란색), 기원후 14년 이후(녹색), 그리고 트라야누스 황제 치하 최대 영토 확장 기원후 117년(연두색).


고대 로마의 공화정 시대는 기원전 509년경 군주제가 전복되면서 시작되어 45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일련의 내전을 통해 정부 형태가 원수정과 제정 시대로 변환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 로마 공화정의 반천년 동안 로마는 라티움 지역의 강국에서 이탈리아와 그 너머를 지배하는 세력으로 성장했다. 로마인에 의한 이탈리아 통일은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걸쳐 일련의 분쟁, 즉 삼니움 전쟁, 라틴 전쟁, 피로스 전쟁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포에니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로마가 승리하면서 로마는 기원전 2세기까지 초지역 강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그리스와 소아시아를 획득했다. 이러한 막대한 국력의 증가는 경제적 불안정과 사회적 불안을 동반했으며, 그 결과 카틸리나 음모, 사회 전쟁 그리고 제1차 삼두 정치가 발생했고, 마침내 기원전 1세기 후반에는 로마 제국으로의 변환이 이루어졌다.

로마는 기원전 130년대부터 알프스 이북 갈리아, 일리리아, 그리스 및 히스파니아를 획득하면서 사실상 제국주의적 성격을 띠었으며, 기원전 1세기에 유다이아, 소아시아 및 갈리아를 추가하면서 확실해졌다. 트라야누스 황제 치세(서기 117년) 때 제국의 최대 확장 시점에 로마는 갈리아, 게르마니아브리타니아, 발칸 반도, 다키아, 소아시아, 코카서스,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한 전체 지중해를 지배했다.

트라야누스 황제 치세(서기 117년) 때 로마 제국의 최대 영토


문화적으로 로마 제국은 상당히 헬레니즘화되었지만, 미트라교, 영지주의, 그리고 가장 두드러진 기독교와 같은 혼합된 "동방" 전통도 통합했다.

고대 로마는 가족 생활에서 그리스와 비교하여 큰 차이점을 보였다. 아버지들은 자녀에게, 남편들은 아내에게 큰 권한을 가졌다. 가족(라틴어:''familia'')은 가구의 남성 가장의 권위에 종속된 사람들을 지칭했다. 여기에는 노예와 하인과 같은 관련 없는 구성원도 포함되었다. 결혼을 통해 남녀 모두 재산을 공유했다. 이혼은 기원전 1세기에 처음 허용되었으며, 남녀 모두 이혼할 수 있었다.[20]

로마 공화정의 정확한 종말은 현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당시 로마 시민들은 공화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 초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로마 황제들은, 비록 그들의 특별한 권한에 의해 보호받기는 하지만, ''res publica''가 여전히 존재하며 결국 이전의 공화정 형태로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로마 국가는 라틴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한 계속해서 스스로를 ''res publica''라고 칭했다.

로마 제국은 3세기 위기의 결과로 약화되기 시작했다.[21] 기독교는 점점 더 인기를 얻어 마침내 393년의 테오도시우스 칙령으로 로마 황제 숭배를 몰아냈다.[21] 잇따른 게르만족의 침입은 5세기 동안 서로마 제국의 약화를 마무리했고, 동로마 제국은 중세 시대 전체에 걸쳐 지속되었다.[21] 헬레니즘 철학은 플라톤주의에피쿠로스 학파의 지속적인 발전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신플라톤주의는 차례로 기독교 교부들의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21]

476년경의 서로마동로마 제국 로마 제국.


많은 작가들이 고대 시대의 상징적인 "종말"을 특정 날짜로 지정하려고 시도했으며, 가장 두드러진 날짜는 476년 마지막 서로마 황제의 폐위,[21][22] 529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아테네의 마지막 플라톤 아카데미가 폐쇄된 것,[23] 그리고 634년부터 718년까지 새로운 이슬람교 신앙에 의한 지중해 대부분의 정복이다.[24]

아랍인이 시리아와 이집트 지방을 정복한 후인 650년경의 비잔틴 제국. 동시에 초기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


원래 로마 원로원은 6세기 말까지 칙령을 발표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라틴어를 법정 언어로 사용한 마지막 동로마 황제는 602년까지 통치했던 마우리키우스 황제였다. 포카스가 지휘하는 그의 반란을 일으킨 다뉴브 군대에 의한 마우리키우스의 전복은 발칸 반도에 대한 슬라브족의 침략과 발칸 및 그리스 도시 문화의 약화를 초래했고,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제외한 모든 주요 동부 도시가 손실된 602–628년 비잔틴-사산 전쟁을 촉발했다.[24] 이 기간 동안 통치했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궁정을 운영했는데, 그리스어는 항상 동로마 지역의 행정 언어였다.[24] 동서 관계는 비잔틴 교황청의 종식과 함께 약화되었다.[24]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원래 로마 제국의 유일한 정복되지 않은 대규모 도시였으며,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이기도 했다. 그러나 많은 고전 서적, 조각품, 기술이 고전 로마 요리와 학문적 전통과 함께 중세 시대까지 그곳에서 살아남았고, 방문한 서부 십자군에 의해 "재발견"되었다.[24] 실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민들은 1453년 그들의 정복자였던 오스만인과 마찬가지로 스스로를 로마인이라고 계속 불렀다.[24]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여전히 보존되어 있던 고전적 학문과 문화는 1453년 그 정복에서 도망친 난민들에 의해 전해졌고 르네상스를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24]

2. 1. 고대 그리스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6세기)

그리스 암흑기 이후 정치 이론의 중요한 발전과 민주주의, 철학, 연극, 의 시작, 그리고 암흑기 동안 사라졌던 문자 언어(그리스 문자)의 부활을 보았다.[11]

도자기 분야에서, 고대 시대는 오리엔탈 양식의 발전을 보았는데, 이는 암흑기 말기의 기하학적 양식에서 벗어나 이집트, 페니키아, 시리아에서 유래된 영향의 축적을 나타낸다. 고대 시대 후반과 관련된 도자기 양식은 기원전 7세기에 코린토스에서 시작된 흑색 figure 도자기와 그 후계자인 적색 figure 도자기인데, 이는 기원전 530년경 안도키데스 화가에 의해 개발되었다.

페니키아인들은 원래 가나안의 항구에서 확장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에는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다.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에 건국되었고, 카르타고인들은 기원전 700년까지 시칠리아, 이탈리아, 사르데냐에 거점을 마련하여 에트루리아와 이해관계가 충돌했다. 키티온, 키프로스에서 발견된 석비는 기원전 709년 사르곤 2세가 섬의 일곱 왕을 상대로 거둔 승리를 기념하며, 이는 키프로스가 티레의 지배에서 신아시리아 제국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부분을 보여준다.[11][12][13][14]

에트루리아인은 기원전 7세기 말에 이 지역에 정치적 지배권을 확립하여 귀족 및 군주 세력을 형성했다. 에트루리아인들은 기원전 6세기 말에 이 지역에서 세력을 잃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 이탈리아 부족들은 개별 통치자의 권력 행사에 대한 제약을 강화한 공화국을 수립하여 정부 형태를 혁신했다.[15]

전설에 따르면, 로마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에 트로이의 왕자 아이네이아스의 쌍둥이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의해 건국되었다.[16] 도시에 여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전설에 따르면 라틴족은 사비니족을 축제에 초대하여 미혼 여성들을 납치했고, 그 결과 라틴족과 사비니족이 통합되었다.[17]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8세기 중반에 로마 포럼에서 최초의 정착 흔적을 보여주지만, 팔라티노 언덕의 정착지는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8][19]

전설에 따르면, 로마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왕은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였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들이자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사위인 수페르부스는 에트루리아 출신이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에트루리아인들은 권력의 절정에 이르렀다. 수페르부스는 로마 사람들을 분노하게 하면서 타르페이아 절벽에서 모든 사비니 신전과 제단을 제거하고 파괴했다. 로마 시민들은 그의 아들이 귀족 로마 여성인 루크레티아를 강간한 사건을 인지하지 못한 것에 반대하며 그의 통치에 반발했다. 루크레티아의 친족인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마르쿠스 브루투스의 조상)는 원로원을 소집했고, 기원전 510년에 수페르부스와 군주제를 로마에서 추방했다. 수페르부스가 추방된 후, 기원전 509년에 원로원은 다시는 왕의 통치를 허용하지 않기로 투표하고 로마를 공화 정부로 개혁했다.

이는 한국의 고조선 이후 부족국가 시대와 유사하게, 그리스에서도 도시 국가들이 성장하며 독자적인 문화와 정치 체제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민주주의의 발전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과 비교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2. 1. 1. 페니키아인, 카르타고인, 아시리아인



페니키아인들은 원래 가나안의 항구에서 확장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에는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다.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에 건국되었고, 카르타고인들은 기원전 700년까지 시칠리아, 이탈리아, 사르데냐에 거점을 마련하여 에트루리아와 이해관계가 충돌했다. 키티온, 키프로스에서 발견된 석비는 기원전 709년 사르곤 2세가 섬의 일곱 왕을 상대로 거둔 승리를 기념하며, 이는 키프로스가 티레의 지배에서 신아시리아 제국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부분을 보여준다.[11][12][13][14]

2. 1. 2. 철기 시대 이탈리아



에트루리아인은 기원전 7세기 말에 이 지역에 정치적 지배권을 확립하여 귀족 및 군주 세력을 형성했다. 에트루리아인들은 기원전 6세기 말에 이 지역에서 세력을 잃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 이탈리아 부족들은 개별 통치자의 권력 행사에 대한 제약을 강화한 공화국을 수립하여 정부 형태를 혁신했다.[15]

2. 1. 3. 로마 왕국

전설에 따르면, 로마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에 트로이의 왕자 아이네이아스의 쌍둥이 후손인 로물루스와 레무스에 의해 건국되었다.[16] 도시에 여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전설에 따르면 라틴족은 사비니족을 축제에 초대하여 미혼 여성들을 납치했고, 그 결과 라틴족과 사비니족이 통합되었다.[17]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8세기 중반에 로마 포럼에서 최초의 정착 흔적을 보여주지만, 팔라티노 언덕의 정착지는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8][19]

전설에 따르면, 로마의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왕은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였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들이자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사위인 수페르부스는 에트루리아 출신이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에트루리아인들은 권력의 절정에 이르렀다. 수페르부스는 로마 사람들을 분노하게 하면서 타르페이아 절벽에서 모든 사비니 신전과 제단을 제거하고 파괴했다. 로마 시민들은 그의 아들이 귀족 로마 여성인 루크레티아를 강간한 사건을 인지하지 못한 것에 반대하며 그의 통치에 반발했다. 루크레티아의 친족인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마르쿠스 브루투스의 조상)는 원로원을 소집했고, 기원전 510년에 수페르부스와 군주제를 로마에서 추방했다. 수페르부스가 추방된 후, 기원전 509년에 원로원은 다시는 왕의 통치를 허용하지 않기로 투표하고 로마를 공화 정부로 개혁했다.

2. 2. 고전기 그리스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의 고전 시대는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의 대부분에 해당하며, 특히 기원전 510년 아테네 참주정의 종말부터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까지이다. 기원전 510년, 스파르타 군대는 아테네인들이 참주 히피아스를 전복하도록 도왔다. 스파르타의 왕 클레오메네스 1세는 이사고라스가 이끄는 친스파르타 과두정을 수립했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기원전 499–449년)은 칼리아스 평화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그리스,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이오니아가 페르시아 통치로부터 해방되었다. 이 전쟁에서 승리한 아테네는 델로스 동맹을 주도하며 해상 제국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아테네의 지배력 강화는 스파르타와 펠로폰네소스 동맹 간의 갈등을 야기했고, 결국 펠로폰네소스 전쟁 (기원전 431–404년)으로 이어져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났다.

그리스는 기원전 4세기를 스파르타의 헤게모니로 시작했지만, 기원전 395년에 스파르타 통치자들이 리산드로스를 해임하면서 스파르타는 해상 지배력을 잃었다. 아테네, 아르고스, 테베와 코린토스 (후자의 두 도시는 이전 스파르타 동맹국)는 코린토스 전쟁에서 스파르타의 지배에 도전했고, 이 전쟁은 기원전 387년에 결정적인 결론을 내지 못하고 끝났다. 이후 기원전 371년에 테베의 장군 에파미논다스와 펠로피다스는 레욱트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스파르타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테베의 헤게모니를 수립했다. 테베는 기원전 346년 마케도니아의 세력이 증가할 때까지 지배력을 유지하려 했다.

필리포스 2세 (기원전 359–336년)의 통치 기간 동안 마케도니아는 파이오니아인, 트라키아인 및 일리리아인의 영토로 확장되었다. 필리포스의 아들인 알렉산드로스 대왕 (기원전 356–323년)은 마케도니아의 힘을 중앙 그리스 도시 국가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제국, 이집트를 포함하여 인도 변두리까지 잠시 확장했다. 고전 그리스 시대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의 죽음과 그의 제국 분열로 끝나며, 이 시기에 그의 제국은 디아도코이에 의해 분할되었다.

아테네 민주주의는 고대 그리스의 정치적 발전의 정점을 보여주며, 현대 민주주의의 중요한 기원이 되었다. 한편,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간의 항쟁은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유사하게, 국가 간의 경쟁과 갈등이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2. 3.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세기)

마케도니아의 세력 확장과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그리스는 헬레니즘 시대를 시작했다. 그리스어는 그리스 자체를 넘어 광범위하게 ''공용어''가 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는 페르시아,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 중앙 아시아, 이집트의 문화와 상호 작용했다. 과학 분야(지리학, 천문학, 수학 등)에서,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소요학파 추종자들에 의해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헬레니즘 시대는 기원전 2세기 동안 로마 공화국이 초지역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기원전 146년 로마가 그리스를 정복하면서 끝났다.

2. 4. 로마 공화정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의 공화정 시대는 기원전 509년경 군주제가 전복되면서 시작되어 45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일련의 내전을 통해 정부 형태가 원수정과 제정 시대로 변환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 로마 공화정의 반천년 동안 로마는 라티움 지역의 강국에서 이탈리아와 그 너머를 지배하는 세력으로 성장했다. 로마인에 의한 이탈리아 통일은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걸쳐 일련의 분쟁, 즉 삼니움 전쟁, 라틴 전쟁, 피로스 전쟁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포에니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로마가 승리하면서 로마는 기원전 2세기까지 초지역 강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그리스와 소아시아를 획득했다. 이러한 막대한 국력의 증가는 경제적 불안정과 사회적 불안을 동반했으며, 그 결과 카틸리나 음모, 사회 전쟁 그리고 제1차 삼두 정치가 발생했고, 마침내 기원전 1세기 후반에는 로마 제국으로의 변환이 이루어졌다.

2. 5. 로마 제국 (기원전 1세기 ~ 기원후 5세기)

로마는 기원전 130년대부터 알프스 이북 갈리아, 일리리아, 그리스 및 히스파니아를 획득하면서 사실상 제국주의적 성격을 띠었으며, 기원전 1세기에 유다이아, 소아시아 및 갈리아를 추가하면서 확실해졌다. 트라야누스 황제 치세(서기 117년) 때 제국의 최대 확장 시점에 로마는 갈리아, 게르마니아브리타니아, 발칸 반도, 다키아, 소아시아, 코카서스,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한 전체 지중해를 지배했다.

문화적으로 로마 제국은 상당히 헬레니즘화되었지만, 미트라교, 영지주의, 그리고 가장 두드러진 기독교와 같은 혼합된 "동방" 전통도 통합했다.

고대 로마는 가족 생활에서 그리스와 비교하여 큰 차이점을 보였다. 아버지들은 자녀에게, 남편들은 아내에게 큰 권한을 가졌다. 가족(라틴어:''familia'')은 가구의 남성 가장의 권위에 종속된 사람들을 지칭했다. 여기에는 노예와 하인과 같은 관련 없는 구성원도 포함되었다. 결혼을 통해 남녀 모두 재산을 공유했다. 이혼은 기원전 1세기에 처음 허용되었으며, 남녀 모두 이혼할 수 있었다.[20]

로마 공화정의 정확한 종말은 현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당시 로마 시민들은 공화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 초기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로마 황제들은, 비록 그들의 특별한 권한에 의해 보호받기는 하지만, ''res publica''가 여전히 존재하며 결국 이전의 공화정 형태로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로마 국가는 라틴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한 계속해서 스스로를 ''res publica''라고 칭했다.

2. 6. 후기 고대 (기원후 4세기 ~ 기원후 6세기)

로마 제국은 3세기 위기의 결과로 약화되기 시작했다.[21] 기독교는 점점 더 인기를 얻어 마침내 393년의 테오도시우스 칙령으로 로마 황제 숭배를 몰아냈다.[21] 잇따른 게르만족의 침입은 5세기 동안 서로마 제국의 약화를 마무리했고, 동로마 제국은 중세 시대 전체에 걸쳐 지속되었다.[21] 헬레니즘 철학은 플라톤주의에피쿠로스 학파의 지속적인 발전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신플라톤주의는 차례로 기독교 교부들의 신학에 영향을 미쳤다.[21]

많은 작가들이 고대 시대의 상징적인 "종말"을 특정 날짜로 지정하려고 시도했으며, 가장 두드러진 날짜는 476년 마지막 서로마 황제의 폐위,[21][22] 529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아테네의 마지막 플라톤 아카데미가 폐쇄된 것,[23] 그리고 634년부터 718년까지 새로운 이슬람교 신앙에 의한 지중해 대부분의 정복이다.[24]

원래 로마 원로원은 6세기 말까지 칙령을 발표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라틴어를 법정 언어로 사용한 마지막 동로마 황제는 602년까지 통치했던 마우리키우스 황제였다. 포카스가 지휘하는 그의 반란을 일으킨 다뉴브 군대에 의한 마우리키우스의 전복은 발칸 반도에 대한 슬라브족의 침략과 발칸 및 그리스 도시 문화의 약화를 초래했고,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제외한 모든 주요 동부 도시가 손실된 602–628년 비잔틴-사산 전쟁을 촉발했다.[24] 이 기간 동안 통치했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로 궁정을 운영했는데, 그리스어는 항상 동로마 지역의 행정 언어였다.[24] 동서 관계는 비잔틴 교황청의 종식과 함께 약화되었다.[24]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원래 로마 제국의 유일한 정복되지 않은 대규모 도시였으며,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이기도 했다. 그러나 많은 고전 서적, 조각품, 기술이 고전 로마 요리와 학문적 전통과 함께 중세 시대까지 그곳에서 살아남았고, 방문한 서부 십자군에 의해 "재발견"되었다.[24] 실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민들은 1453년 그들의 정복자였던 오스만인과 마찬가지로 스스로를 로마인이라고 계속 불렀다.[24]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여전히 보존되어 있던 고전적 학문과 문화는 1453년 그 정복에서 도망친 난민들에 의해 전해졌고 르네상스를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24]

3. 정치적 부흥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고전 고대의 정치 사상과 제도는 유럽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신성 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계승자를 자처하며 중세 유럽의 정치 질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800년 샤를마뉴가 "로마 황제"로 대관을 받으면서 신성 로마 제국이 형성되었고, 황제가 왕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진 군주라는 개념이 이 시기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이상에서 로마 제국은 항상 존재하며, 그 관할권은 문명화된 서방 세계 전체로 확장되었다.

비잔틴 황제는 전체 기독교 세계의 주권자로 여겨졌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제국의 최고위 성직자였지만 황제에게 종속되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러시아의 차르동방 정교회의 챔피언으로서 비잔틴 유산을 주장했고, 모스크바는 "제3의 로마"로 묘사되었다.

서로마 제국의 세속적 권위가 유럽에서 완전히 사라진 후에도 교황청과 가톨릭 교회는 라틴어, 문화, 문해력을 유지했다. 오늘날까지 교황은 고전 시대 황제의 칭호인 ''Pontifex Maximus''로 불린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서방의 황제라는 정치적 아이디어는 800년 샤를마뉴의 대관식으로 부활했고, 신성 로마 제국은 1806년까지 중앙 유럽을 통치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공화주의 사상이 부활하며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과 라틴 아메리카 혁명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근대 민주주의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다. 미국은 새로운 정부를 ''공화국'' (''res publica''에서 유래)이라고 묘사하고, ''상원''과 ''대통령''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프랑스 혁명과 제1 제정 프랑스에서도 공화주의와 로마의 군사적 미덕이 장려되었다.

조선 시대의 유학자들은 고대 중국의 유교 정치 사상을 이상으로 삼았으며, 이는 조선의 정치 제도와 사회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문화적 유산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가 걸으며 토론하는 모습.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1509–1511)의 세부 묘사.


'''고대 고전'''은 오랜 기간의 문화적 역사를 아우르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고대 고전"은 종종 에드거 앨런 포의 말처럼 "고대 그리스의 영광, 고대 로마의 위대함!"과 같은, 후대 사람들이 이상화한 비전을 가리킨다. 서사시, 전원시와 같은 장르와 그리스 신화의 등장인물과 주제는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건축에서는 여러 차례의 그리스 부흥이 있었는데, 워싱턴 D.C.에는 대리석으로 된 큰 건물들이 그리스 신전처럼 보이도록 만들어졌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은 헬레니즘 다신교에서 기독교로의 종교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파생되었다.[25] 히포크라테스와 갈레노스와 같은 그리스와 로마의 권위자들은 의학의 실천의 기초를 형성했다. 프랑스 극장에서 몰리에르와 라신과 같은 극작가들은 신화나 고전적인 역사적 주제에 관한 연극을 썼으며, 이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파생된 고전적 통일성의 엄격한 규칙에 적용했다. 고대 그리스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춤을 추고자 하는 열망은 이사도라 던컨이 자신의 발레 브랜드를 창조하게 만들었다.

신라의 화랑도는 고대 그리스의 교육 제도와 유사하게, 청소년들에게 문무를 겸비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했다.

5. 연표

고전 고대의 주요 사건과 인물은 고전 고대 연표를 참고하라.

참조

[1] 서적 Rethinking the Other in Antiquity https://doi.org/10.1[...]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Indian Ocean: The Ancient World Economy and the Kingdoms of Africa, Arabia and India Pen & Sword 2014-09-11
[3]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Silk Routes: The Ancient World Economy & the Empires of Parthia, Central Asia & Han China Pen & Sword 2016-11-11
[4] 문서 To Helen#Revised 1845 version 1845
[5] 간행물 Römische Kunst (Roman art) S. Fischer Verlag
[6] 간행물 Der Große Brockhaus Eberhard Brockhaus, Wiesbaden 1953
[7] 간행물 Weltgeschichte – Völker, Männer, Ideen (History of the world – peoples, men, ideas) Allert de Lange, Amsterdam 1939
[8] 웹사이트 Traces of Ancient Rome in the Modern World https://education.na[...] 2023-07-30
[9] 웹사이트 Neoclassical architecture {{!}} Definition, Characteristics, Exampl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1
[10] 웹사이트 Classical / Classical Revival / Neo-Classical: an architectural style guide https://www.architec[...] 2023-07-30
[11] 웹사이트 The Esarhaddon Prism / Library of Ashurbanipal https://www.britishm[...]
[12] 논문 La stèle de Sargon II à Chypre 1995
[13] 논문 The Stele of Sargon II of Assyria at Kition: A focus for an emerging Cypriot identity? 2010
[14] 웹사이트 The Cypriot rulers as client kings of the Assyrian empire http://www.ucl.ac.uk[...] 2012-11-05
[15] 서적 Ancient Rome and the Roman Empire Dorling Kindersley, London 2001
[16]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7] 웹사이트 Myths and Legends – Rome, the Wolf, and Mars http://ancienthistor[...] 2007-03-08
[18] 서적 Chronicle of the Roman Republic: The Rulers of Ancient Rome from Romulus to Augustus Thames & Hudson 2003
[19] 서적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adsworth 2001
[20] 서적 Gender in History Global Perspectives Wiley-Blackwell 2010-07-06
[21] 서적 Library of universal history: containing a record of the human race from the earliest historical period to the present time; embracing a general survey of the progress of mankind in national and social life, civil government, religion, literature, science and art Union Book 1906
[22] 서적 Bulgarian historical review Pub. House of th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1973
[23] 서적 A History of Gree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문서 Mohammed and Charlemagne 1937
[25] 웹사이트 Reason and Faith: The Thought of Thomas AquinasOxford http://www.dartmou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