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화부인은 소성왕의 딸이자 흥덕왕의 비로, 흥덕왕 원년(826년)에 사망했다. 흥덕왕은 장화부인의 죽음 이후 재혼하지 않고, 장화부인과 합장되었다. 《삼국사기》에는 헌덕왕의 태자비 정교가 등장하는데, 권근 등은 정교와 장화부인이 동일인물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삼국사기》의 기록과 모순된다는 반론도 있으며, 헌덕왕의 태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흥덕왕의 비는 박씨로 기록되기도 하는데, 권근 등은 장화부인이 김씨였으나 신라의 동성혼 풍습 때문에 박씨로 칭해졌다고 주장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모두 장화부인을 소성왕의 딸이라고 언급하였으며,[1] 흥덕왕이 즉위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흥덕왕 원년(826년) 겨울 12월에 사망하였다.[2]
2. 생애
장화부인이 사망하였을 때 흥덕왕은 후비를 들이라는 신하들의 권고를 두고 "새도 제 짝을 잃으면 슬퍼할 줄 아는데 사람이 되어 자기 짝을 잃고 어찌 무정하게 다시 재혼하겠느냐"라며 이를 거절했고, 시녀도 가까이 하지 않아 옆에 시중드는 이는 환관밖에 없었다고 한다.
흥덕왕은 사망한 후에 장화부인과 합장되었다.
3. 계보
3. 1. 장화부인과 정교 동일인물설
《삼국사기》에는 헌덕왕 14년(822년) 정월에 왕의 동복동생인 수종(秀宗, 흥덕왕)을 부군(副君)으로 삼아 월지궁(月池宮)에 들였고, 각간(角干) 충공(忠恭)의 딸 정교(貞嬌)를 맞아들여 태자비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에서 언급한 헌덕왕의 태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정교가 장화부인과 동일인물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조선 시대 권근은 《동국사략》(東國史略)에서 정교가 혼인했다는 '헌덕왕의 태자'를 흥덕왕으로 비정하고 장화부인과 정교가 동일인물이라고 서술하였으며, 《동국통감》도 같은 입장이었다. 안정복도 《동사강목》에서 권근의 설을 따라 헌덕왕의 태자를 흥덕왕으로 비정하고 태자비 정교를 장화부인과 동일인물로 서술하였다.[3]
수승, 즉 흥덕왕이 헌덕왕 14년(822년)에 부군(副君)[4] 또는 저이(儲貳)[5]가 되었다는 기록에서 '부군'이나 '저이'가 왕위 계승자인 '태자'를 표현하는 동의어라고 한다면, 헌덕왕이 '태자'로 삼은 것은 친동생인 수승, 즉 흥덕왕이 된다. 하지만 김충공의 딸이라고 언급된 정교를 흥덕왕의 왕비 장화부인과 동일인물이라고 한다면, 《삼국사기》에서 장화부인을 소성왕의 딸이라고 한 언급과는 모순이 발생한다.
《삼국사기》에 언급된 '부군'을 발해에서 국왕(가독부)의 장남을 가리켜 부르던 '부왕'(副王)이라는 말이나, 당에서 헌덕왕 2년(810년)에 신라에 보낸 《여신라왕김중희서》(與新羅王金重熙書)에 언급된 '부왕'(副王)을 김언승으로 간주하는 견지에서 부군은 '태자' 그 자체라기보다는 태자를 보좌하는 역할이고 태자와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보아 김수승은 부군일 뿐 태자가 아니며 정교와 혼인한 '헌덕왕의 태자'는 기록에서 빠진 제3의 인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6]도 있다.
또한 《흥덕왕릉비편》 판독에 따르면[7] 흥덕왕은 신라 혜공왕(惠恭王) 13년(777년)생으로 《삼국사기》에서 부군(저이)가 되었다고 하는 헌덕왕 14년(822년)에는 46세였다.
근현대 이후 한국 학계에서는 삼국사기 해당 기사에 언급한 '헌덕왕의 태자'에 대해 기존의 학설대로 김수승(흥덕왕)이라고 비정하는 설[8] 외에도 헌덕왕이 재취한 것이라는 설,[9] 헌덕왕의 다른 태자설,[10] 또는 김균정(金均貞)으로 비정하는 설[13] 등이 제기되고 있다.
3. 2. 흥덕왕의 비 박씨
《구당서(舊唐書)》에는 흥덕왕 6년(831년)인 당 문종(唐文宗) 대화(大和) 5년에 당에서 김언승(헌덕왕)에 대한 조문과 함께 김경휘(흥덕왕)를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위 사지절대도독계림주제군사 겸 지절충녕해군사 신라왕(開府儀同三司 檢校太尉 使持節大都督雞林州諸軍事 兼持節充寧海軍使新羅王)으로 책봉할 때 경휘의 어머니 박씨(朴氏)를 태비(太妃), 아내 박씨를 왕비(王妃)로 책봉하였다고 하고 있다.[14] 이에 대해서 조선 초기의 학자 권근은 흥덕왕은 왕비가 죽은 뒤에 다시 왕비를 맞지 않았다는 기록을 근거로 신라에서 동성(同姓)과 혼인한 것을 숨겨서 왕비의 성을 박씨로 알린 것이고 실제로는 김씨이며 장화부인이 맞다고 하였으며[15] 안정복도 이에 동의하여 흥덕왕에게는 장화부인 외에 다른 정비(正妃)가 없었다고 하였다.[16]
4. 업적
4. 1. 외교
4. 2. 내치
5. 기타
5. 1. 흥덕왕릉
참조
[1]
서적
삼국사기 권제10, 신라본기제10, 헌덕왕 14년(822년) 겨울 12월;《삼국유사》권제1, 왕력
[2]
서적
삼국사기 권제10, 신라본기제10, 헌덕왕 14년(822년) 겨울 12월
[3]
서적
안정복 《동사강목》제5상 병오년【헌덕왕 18년 흥덕왕(興德王) 원년(당 경종 보력 2, 826)】
[4]
서적
삼국사기 권제10, 신라본기제10, 헌덕왕 14년(822년)
[5]
서적
《삼국사기》권45, 열전5 녹진전.
[6]
논문
신라 헌덕왕대의 정치과정과 정교부인의 혼인 문제
2016-08
[7]
논문
興德王陵碑斷石
1961
[8]
서적
李基白(1974)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金昌謙(1993) 「新羅時代 太子制度의 性格」『韓國上古史學報』 13;손흥호(2016), 「9세기 전반 신라의 정치동향과 충공의 역할」『韓國古代史硏究』 83)
[9]
논문
神武王의 登極과 金昕
아세아문화사
1992
[10]
서적
曺凡煥(2010) 「新羅 下代 憲德王의 副君 설치와 그 정치적 의미」『震檀學報』 110;김병곤(2013) 「신라 헌덕왕대의 副君 秀宗의 정체성과 太子」『東國史學』55;선석열(2016)「신라 헌덕왕대의 정치과정과 정교부인의 혼인 문제」『新羅文化』 48
[11]
서적
《삼국유사》권4, 제5 의해 심지계조
[12]
논문
신라 헌덕왕대의 정치과정과 정교부인의 혼인 문제
2016-08
[13]
논문
헌덕왕대 太子妃 貞嬌와 태자
2018
[14]
서적
《구당서》 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신라전
[15]
웹사이트
《양촌선생문집》 제34권 동국사략론(東國史略論) -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16]
웹사이트
《동사강목》 부록 상권 고이(考異) -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