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성왕은 신라의 제39대 왕으로,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의 아들이다. 799년 원성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재위 2년 만인 800년에 사망했다. 즉위 후 청주 거로현을 국학 학생을 위한 녹읍으로 정하고, 아버지를 대왕으로, 어머니를 성목태후로 추존했다.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당 덕종으로부터 책봉을 받았으나, 소성왕의 사망으로 인해 이행되지 못했다. 소성왕의 능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00년 사망 - 심기제
심기제는 당나라의 문인이자 사관으로, 몽환적인 설정과 인생의 무상함을 다룬 전기 소설 《침중기》와 《임씨전》을 저술하고 역사서 《건중실록》을 집필했으며, 양염의 천거로 관직에 등용되어 예부원외랑에 이르렀다. - 신라의 병부령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신라의 병부령 - 이사부
이사부는 신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우산국 정벌, 병부령 역임, 국사 편찬 건의, 가야 정벌 참여 등 신라의 영토 확장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신라의 시중 - 죽지
신라의 장군이자 관료인 죽지는 김유신 휘하에서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진덕여왕 때 집사부의 중시를 지냈으며, 문무왕 때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각간의 관등을 받았고 효소왕 때 낭도 득오가 그를 기리는 노래를 지었다. - 신라의 시중 - 김헌창
김헌창은 신라 하대에 아버지 김주원의 왕위 계승 실패에 불만을 품고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장안국을 세웠으나 진압군에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로, 그의 난은 신라 하대 정치적 혼란의 대표적 사건이다.
소성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김준옹 |
한자 표기 | 金俊邕 |
로마자 표기 | Gim Junong |
왕위 | |
왕국 | 신라 |
재위 기간 | 798년 - 800년 |
전임 | 원성왕 |
후임 | 애장왕 |
생애 | |
출생 | 미상 |
사망 | 800년 |
사망 장소 | 신라 |
가문 | 김씨 |
부친 | 혜충태자 |
모친 | 성목태후 |
가족 관계 | |
왕후 | 계화부인 김씨 |
자녀 | 2남 1녀 (애장왕, 체명, 장화부인) |
기타 정보 | |
시호 | 소성대왕 (昭聖大王) |
묘호 | 없음 |
2. 생애
2. 1. 탄생과 태자 책봉
원성왕의 장남인 태자 김인겸(혜충태자)의 아들이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으나, 둘째 동생인 흥덕왕이 777년생이고, 아들인 애장왕이 788년생임을 미루어 볼 때, 770년대 전후로 태어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김준옹은 789년 당(唐)에 사신으로 파견되면서 대아찬(大阿飡) 관등을 받았고, 이듬해 파진찬(波珍飡)으로 관등이 오르고 재상이 되었다.
아버지 혜충태자가 791년 1월 죽자, 할아버지 원성왕은 그를 대궐로 데려와 길렀는데, 태자로는 원성왕 자신의 둘째 아들(즉 김준옹의 작은아버지)인 의영(義英)을 책봉하였고, 김준옹 자신은 즉위와는 거리를 둔 채 관료로서 승진하여 같은 해 10월 시중(侍中)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듬해(792년) 병을 이유로 시중을 사직하였고, 그 해에 병부령(兵部令)이 되었다.
한편 혜충태자가 사망한 뒤에 태자로 책봉되었던 의영이 794년에 죽자 795년 1월, 할아버지 원성왕에 의해 태자로 책봉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서도 원성왕기, 소성왕기에서 소성왕의 즉위 전 약력에 대해 다른 내용을 전하고 있어 계통이 다른 사료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4]。
원성왕기의 기록에 따르면, 791년 10월에 대아찬의 지위에서 시중이 되었고, 792년 8월에 병 때문에 시중에서 물러났으며, 795년 1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고 한다.
소성왕기(즉위기)의 기록에 따르면, 791년에 아버지 김인겸이 사망하여 궁중에서 양육되었다. 789년에는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대아찬의 지위를 받았다. 790년에는 파진찬 (4등관)이 되었고, 재상 (상대등인가?)이 되었다. 791년에 시중이 되었고, 792년에는 병부의 령(장관)이 되었다. 795년에 태자가 되었고, 799년 2월 8일(12월 29일 (음력))에 원성왕이 사망하자 새해를 맞아 왕위를 계승했다고 한다.
2. 2. 즉위와 통치
799년 1월, 할아버지 원성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4] 즉위년(799년), 청주의 거로현을 국학 학생들을 위한 녹읍으로 정하였다.[5] 5월에 아버지를 대왕으로 추존하고, 8월에는 어머니 김씨를 성목태후(聖穆太后)로 추존하였다.800년 봄 정월, 계화부인을 왕비로 책봉하였다. 6월에는 왕자 청명을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재위 2년 만인 800년 6월에 사망하였다.[6] 시호는 소성(昭聖)이며 왕릉은 미상이다. 당나라 덕종으로부터 <개부의동삼사·검교태위·신라왕>으로 책봉될 예정이었으나, 책명사가 신라에 들어오기 전에 소성왕이 사망했기 때문에 철수하였다.[6]
《삼국사기》에는 소성왕이 사망하던 해 여름 4월에 폭풍이 불었다고 한다. 폭풍의 규모는 나무가 부러지고 기와가 날아갈 정도였으며, 대궐 서란전(瑞蘭殿)에 쳐두었던 주렴이 날아가고 임해문(臨海門)과 인화문(仁化門) 두 문이 무너지기도 하였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소성왕의 즉위 및 사망 시점에 대해 1년의 차이를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소성왕이 799년 1월에 즉위하여 800년 6월에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 반면, 《삼국유사》 왕력에는 799년에 즉위하여 그해에 죽었다고 하고 있다. 800년의 일들이 소성왕의 행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에서 《삼국유사》의 오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7]
『삼국사기』 신라본기 원성왕기와 소성왕기에서 소성왕의 즉위 전 약력에 대해 다른 내용을 전하고 있어 계통이 다른 사료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4]。
799년 3월에 관료 양성 기관인 국학의 학생들을 위한 녹읍으로, 청주 노거현(경상남도거제시 장승포읍)을 지정했다. 이는 신라 하대(선덕왕 이후)의 특징인 율령 제도와 귀족 연합 체제의 제도를 융합한 것으로 여겨진다[5]。
2. 3. 사망
800년 6월, 재위 2년 만에 소성왕은 사망하였다. 소성(昭聖)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왕릉은 미상이다.[6] 《삼국사기》에는 소성왕이 사망하던 해 여름 4월에 나무가 부러지고 기와가 날아갈 정도의 큰 폭풍이 불었으며, 대궐 서란전(瑞蘭殿)에 쳐두었던 주렴이 날아가고 임해문(臨海門)과 인화문(仁化門) 두 문이 무너지기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나라 덕종으로부터 <개부의동삼사·검교태위·신라왕>으로 책봉될 예정이었으나, 책명사가 신라에 들어오기 전에 소성왕이 사망했기 때문에, 책명사는 철수했다.[6]《삼국사기》에는 소성왕이 원성왕이 사망한 이듬해인 799년 1월 즉위하여 재위 2년째인 800년 6월에 사망하였다고 하였는데, 《삼국유사》 왕력에는 소성왕이 기묘년(799년)에 즉위하여 그해에 죽었다고 하고 있어 1년의 차이가 난다. 이에 대해서는 본서에 800년의 일들이 소성왕의 행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점에서 《삼국유사》의 오류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외교 관계
789년 왕손 시절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적이 있었다.[8] 신라에서 원성왕이 사망하고 소성왕이 즉위하였다는 소식이 당에 전해졌을 때, 덕종은 사봉낭중(司封郞中) 위단을 보내 원성왕의 사망을 조문하게 하였다.[8] 뒤를 이은 소성왕에게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위 신라왕(開府儀同三司檢校大尉新羅王)의 작호를 주었으나, 위단이 신라에 오기도 전에 소성왕은 즉위 2년만에 사망했고, 운주(鄆州)에서 이 소식을 들은 위단은 신라로 가지 않고 그대로 수도 장안으로 돌아갔다.[8]
소성왕 원년(799년) 가을 7월에 길이가 아홉 자나 되는 인삼을 얻어 당에 사신을 보내 바쳤지만, 덕종은 그 비정상적인 크기에 놀라서 인삼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받지 않았다.
소성왕에 대한 당 덕종의 책봉 문서는 신라에 전해지지 않고 그대로 당의 중서성에 보관되어 있다가, 808년에 당 덕종의 부고에 대한 조문 및 애장왕의 책봉에 대한 사례를 위해 당에 파견되었던 신라의 사신 김력기의 요청으로 당의 홍려시를 통해 중서성에서 김력기에게 전달, 신라에 전해지게 되었다.[9]
3. 1. 당나라와의 관계
789년 왕손 시절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적이 있었다.[8] 신라에서 원성왕이 사망하고 소성왕이 즉위하였다는 소식이 당에 전해졌을 때, 덕종은 사봉낭중(司封郞中) 위단을 보내 원성왕의 사망을 조문하게 하였다.[8] 뒤를 이은 소성왕에게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위 신라왕(開府儀同三司檢校大尉新羅王)의 작호를 주었으나, 위단이 신라에 오기도 전에 소성왕은 즉위 2년만에 사망했고, 운주(鄆州)에서 이 소식을 들은 위단은 신라로 가지 않고 그대로 수도 장안으로 돌아갔다.[8]소성왕 원년(799년) 가을 7월에 길이가 아홉 자나 되는 인삼을 얻어 당에 사신을 보내 바쳤지만, 덕종은 그 비정상적인 크기에 놀라서 인삼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받지 않았다.
소성왕에 대한 당 덕종의 책봉 문서는 신라에 전해지지 않고 그대로 당의 중서성에 보관되어 있다가, 808년에 당 덕종의 부고에 대한 조문 및 애장왕의 책봉에 대한 사례를 위해 당에 파견되었던 신라의 사신 김력기의 요청으로 당의 홍려시를 통해 중서성에서 김력기에게 전달, 신라에 전해지게 되었다.[9]
한편 일본에서는 소성왕 원년에 해당하는 엔랴쿠 18년(799년) 4월에 정6위상 오토모노 미네마로(大伴峰麻呂)를 견신라사로 임명하였으나[10] 신라로 건너가기도 전에 견신라사 파견 계획이 중지되었다.[11]
3. 2. 일본과의 관계
4. 가족 관계
- 할아버지 : 원성왕
- 할머니 : 숙정부인 김씨
- 아버지 : 혜충태자 - 추존 혜충대왕
- 어머니 : 성목태후 김씨 (추존)
- 왕비 : 계화부인 김씨 - 아찬 김숙명의 딸[13]
- * 장남 : 애장왕 - 제40대 신라 국왕
- * 차남 : 체명
- * 장녀 : 장화부인 - 흥덕왕의 왕비, 추존 정목왕후
《구당서》 및 《신당서》에는 김력기가 당 헌종 원화 3년(808년)에 사신으로 와서 소성왕의 책봉 문서를 수령하기를 요청하면서 "몇 해 전에 고주 준옹으로 왕을 삼고, 그 어머니 신씨로 태비를 삼고, 그 아내 숙씨로 비를 삼아" 운운하는 부분이 있는데, 해당 문서의 수령자인 소성왕을 기준으로 소성왕의 어머니나 아내는 모두 김씨이고 소성왕과는 항렬상 촌수가 가까운 친족이다.[12] 해당 기록에서 소성왕의 어머니로 언급된 신씨는 실제로는 김신술의 딸이고 소성왕의 어머니가 아니라 할머니인 숙정부인이며, 아내로 언급된 숙씨는 실제 소성왕의 왕비였던 계화부인이다.[13] 이병도는 역주 《삼국사기》에서 아버지 이름의 첫 글자를 성으로 알아서 일어난 착오이며, 유교의 영향에 따라 신라의 근친혼 사실을 숨기고자 각각 그 아버지의 이름 글자 하나씩을 따서 그것이 성인 것처럼 당에 알린 것으로 설명하였다.[13]
5. 소성왕릉
소성왕의 장지(葬地)는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경주대학교 이근직 교수는 신라 무덤 묘제의 변천 과정에 비추어 경주 내남면에 소재한 경덕왕릉이 실제 소성왕의 능이고, 실제 경덕왕릉은 김유신장군묘로 알려진 무덤이며, 태종무열왕릉 맞은편에 위치하여 김인문묘로 비정되어 있는 '각간묘'야말로 진정한 김유신의 무덤이라고 비정하였다.
6. 기타
조선 말기인 1863년에 서유영(徐有英)이 지은 장편 한문소설 《육미당기》(六美堂記)의 주인공 김소선(金簫仙)은 소성왕의 태자로 설정되어 있다.
참조
[1]
뉴스
https://www.idaegu.c[...]
2024-02-23
[2]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2018-06-24
[3]
문서
『[[三国遺事]]』王暦では、王妃は夙明公の娘の桂花王后とする。叔明と夙明とは同音({{lang|ko|숙명}})。
[4]
문서
井上訳注1980 p.352 注20
[5]
문서
井上訳注1980 p.352 注21
[6]
문서
『旧唐書』211・新羅伝「[[貞元 (唐)|貞元]]十六年(800年)、授俊邕開府儀同三司、檢校太尉、新羅王。令司封郎中、兼御史中丞韋丹持節冊命。丹至鄆州、聞俊邕卒、其子重興立、詔丹還。」
[7]
서적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8]
문서
"《구당서》권13 본기13 덕종 하(下) 정원 16년(800) 4월 기축조 및 [https://db.history.go.kr/ancient/level.do 같은 책 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신라전]; [https://db.history.go.kr/id/jo_015r_0020_0030_0150 《신당서》권220 열전145 동이열전 신라전];[https://db.history.go.kr/id/ko_039_0430_0090 《당회요》(唐會要) 권95 신라전];《자치통감》(資治通鑑) 권235 당기51 정원 16년(800) 4월조;《책부원귀》(冊府元龜)권제965, 외신부(外臣部) 봉책(封冊)3 정원(貞元) 16년(800) 4월조"
[9]
문서
"[https://db.history.go.kr/id/jo_014r_0010_0030_0180 《구당서》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신라전];[https://db.history.go.kr/id/jo_015r_0020_0030_0150 《신당서》권220 열전145 동이열전 신라전];[https://db.history.go.kr/id/ko_044_0690_0300 《책부원귀》권972, 외신부(外臣部)17 조공(朝貢)5 원화(元和) 3년(808년)조]"
[10]
문서
"[https://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jm_003_0020_0090 《日本後紀》 延暦 18年 4月 16日条]"
[11]
문서
"[https://db.history.go.kr/common/compareViewer.do?levelId=jm_003_0020_0110&type=ancient 《日本後紀》 延暦 18年 5月 29日条]"
[12]
문서
"《구당서》 권199상 열전149상 동이열전 신라전, 《신당서》 권220 열전145 동이열전 신라전;《삼국사기》 권제10, 신라본기제10 애장왕 9년(808년)"
[13]
서적
역주 삼국사기(상)
을유문화사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