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자연맹은 1906년 미네소타주 히빙에서 결성된 핀란드계 미국인 사회주의 단체이다. 미국으로 이주한 핀란드인들이 사회주의 언론을 통해 조직화되면서, 미국 사회당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1914년에는 온건파와 급진파의 갈등으로 분열되었고, 1920년에는 미국 사회당 탈퇴를 결정했다. 이후 미국 노동자당에 가맹하여 활동하다가, 1941년 국제노동자결사단에 합병되었다. 분열 과정에서 미국 사회당 핀란드인 연맹, 핀란드계 미국인 민주주의 동맹 등의 조직이 분리되어 나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사회당 - 미국 사회민주당
미국 사회민주당은 유진 V. 데브스를 중심으로 1897년에 결성되어 정치 조직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려 했으나, 식민지 건설 시도에 대한 반발로 분열되었다. - 미국 사회당 - 라인홀드 니버
라인홀트 니버는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정치 철학자로, 사회복음주의 비판과 기독교 현실주의 운동을 통해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자 권익 옹호와 유니언 신학교 교수 활동, 그리고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평온을 비는 기도〉 등으로 알려져 있다. - 핀란드계 미국인 - 댄 오브라이언
미국의 육상 선수 댄 오브라이언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0종 경기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3회 우승자이며, 1992년에는 10종 경기 세계 신기록을 세웠고, 은퇴 후에는 저술, 모델, 방송 해설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핀란드계 미국인 - 맷 데이먼
맷 데이먼은 《굿 윌 헌팅》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하고 배우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영화 출연과 영화 제작,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는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 겸 각본가이다.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 | |
---|---|
개요 | |
명칭 | 재미 핀인 사회주의자 연맹 |
원어 명칭 | Amerikan Suomalainen Sosialistijärjestö (핀란드어)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영어) |
약칭 | ASS (핀란드어 약칭) FSF (영어 약칭) |
이전 명칭 | Yhdysvaltain Suomalainen Sosialistijärjestö (YSS) (미국 핀란드 사회주의자 연맹) |
역사 | |
창립 | 1906년 |
해체 | 1921년 |
후신 | 미국 핀란드인 노동자 연맹 |
정치 | |
이념 | 사회주의 공산주의 |
조직 | |
관련 단체 | 미국 사회당 세계산업노동자 |
2. 역사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 운동은 1890년대부터 핀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미국의 경제 성장과 차르주의 러시아 제정의 핀란드 압제 심화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특히 1901년 러시아의 징병법 개정으로 1902년에는 23,152명의 핀란드인이 미국으로 이주하는 등 이민이 급증했다.[40][41]
1899년부터 재미핀인들 사이에서 사회주의 선전이 활발해졌고, 매사추세츠주 록퍼드의 재미핀인 단체가 미국 사회민주당에 가맹하는 등 여러 지역에서 사회주의 단체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43] 1903년에는 우르호 마키넨이 매사추세츠주 피츠버그에서 풍자적인 친사회주의 잡지 『우시 메이캘래이넨』(Uusi Meikäläinen|새로운 우리 사람들fi)을 발행했고, 안티 타르모 등과 함께 우스터에 작은 인쇄소를 구매하고 재미핀인노동자출판사(American Finnish Workers Publishing Co.)를 창업, 핀란드어 노동계급신문 『아메리칸 수오말라이넨 튀외미에스』(''Amerikan Suomalainen Työmies'')를 간행하기 시작했다. 이 신문은 이후 『튀외미에스』로 발전했으며, 초대 주필은 비흐토리 코소넨이었다.[45]
1902년에서 1903년 사이에 미국 사회당의 핀란드어 지부가 수십 개 더 만들어졌다. 1904년에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핀란드계 단체들의 회의가 열렸지만, 공식적인 조직은 결성되지 않았다.[47]
1906년 8월, 미네소타주 히빙에서 30개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자 연맹(Yhdysvaltain Suomalainen Sosialistijärjestö)이 설립되었다. 이들은 미국 사회당의 구조를 본떠 조직을 구성하고, 전국 핀란드어 번역 사무실을 설치했다. 1907년 1월 1일,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 사회당에 정식으로 가맹했다.[48][49]
히빙 대회에서는 선전 및 조직을 위해 단체를 동부, 중부, 서부의 3개 지역별 지부(alueet|알루에트영어)로 나누었다. 각 지부는 일간지를 발행했는데, 동부 지부는 개량주의적 성향의 『라이바야』, 중부 지부는 혁명적인 성격의 『튀외미에스』, 서부 지부는 『토베리』를 발행했다.[50]
1914년부터 1915년까지,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 사회당을 따르는 온건파와 세계산업노동자연맹을 따르는 급진파 사이의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1914년 건설적 사회주의 노선의 『라이바야』 계파(동부지부)가 집행위원회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혁명적 사회주의 노선의 중부지부와 갈등이 심화되었다. 결국 40여 개 지회가 제명되고, 30여 명의 상근자가 생디칼리슴과 직접행동 옹호 혐의로 쫓겨났다.[53] 1914년 11월, 제4차 대회에서 건설파가 다수를 차지하면서 4,000여 명의 연맹 내 좌파가 이탈했다.[56]
핀란드 내전(1918년)은 재미핀인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핀란드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실패하고 백색테러가 자행되면서, 미국 내 핀란드인 공동체는 혁명 지지자와 반대자 사이의 큰 장벽이 만들어졌다. 1919년 7월,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사회당에 공산주의자 인터내셔널(제3인터내셔널) 가입을 촉구했지만, 사회당 좌파에 대한 공식적인 지지는 보내지 않았다.[62]
1919년 미국사회당 비상전국대회 이후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다시 분열되기 시작했다. 1920년 1월 맹원 전체 투표 결과 사회당 탈당안은 부결되었지만,[67][68] 1920년 12월 일리노이주 워키건에서 열린 제6차 대회에서 연맹은 미국 사회당 탈당을 재결정했다.[70]
1921년 말 미국 노동자당(WPA)이 창당되면서 핀인연맹은 미국 노동자당 창당 시 가장 큰 가맹 조직 중 하나가 되었으며, 창당 이후에도 노동자당에서 가장 큰 전국 조직이었다. 1923년 노동자당 유료 당원 16,000명 중 40% 이상이 핀인연맹 맹원이었다.[73]
2. 1.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 언론의 초기사 (1899년-1903년)
핀인들의 미국 이주는 189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는데, 이는 미국의 경제 성장과 차르주의 러시아 제정의 핀란드에 대한 압제 심화라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특히 1901년 러시아가 핀인들을 러시아군에 징집할 수 있도록 징병법을 개정하면서 1902년에는 23,152명의 핀란드인이 미국으로 이주하는 등 이민이 급증했다.[40][41]1899년부터 재미핀인들 사이에서는 사회주의 선전이 활발해지면서, 매사추세츠주 록퍼드의 재미핀인 단체가 미국 사회민주당에 가맹하는 등 여러 지역에서 사회주의 단체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43] 1900년 초, 헬싱키에서 추방된 사회주의 학생 안테로 탄네르는 록퍼드에서 핀란드어 주간신문을 발행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24주 만에 폐간되었다.[44]
1903년, 우르호 마키넨은 매사추세츠주 피츠버그에서 풍자적인 친사회주의 잡지 『우시 메이캘래이넨』(Uusi Meikäläinen|새로운 우리 사람들fi)을 발행했다. 그는 안티 타르모 등과 함께 우스터에 작은 인쇄소를 구매하고 재미핀인노동자출판사(American Finnish Workers Publishing Co.)를 창업, 핀란드어 노동계급신문 『아메리칸 수오말라이넨 튀외미에스』(''Amerikan Suomalainen Työmies'')를 간행하기 시작했다. 이 신문은 이후 『튀외미에스』로 발전했으며, 초대 주필은 비흐토리 코소넨이었다.[45] 1904년 5월, 편집진은 발행처를 미시간주 핸콕으로 옮겼다.[45]
2. 2. 사회당 핀란드인 조직들의 난립과 통합 시도 (1902년-1906년)
1902년에서 1903년 사이에 미국 사회당의 핀란드어 지부가 수십 개 더 만들어졌다. 이 시기 재미핀인들의 사회주의 운동은 분산되어 있었고 미약했지만, 점차 전국조직을 만들어 자신들의 권리를 행사하기 시작했다.[46]1904년 10월 3일부터 5일까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핀란드계 단체들의 회의가 열려, 여러 핀란드 분회가 더 나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는 14명의 대표가 참석했으며, 일부 대표는 여러 지부를 대표했다. 그러나 이 회의에서는 공식적인 조직이 결성되지 않았고, 미국 전역에 퍼져 있는 약 40개의 지부는 서로 조직적으로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이 회의에서는 핀란드 노동자 그룹이 사회당과 제휴할 수 있는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사회당과 협의할 3명의 위원회를 선출했다. 사회당 대표는 전국조직을 만들어 사회당의 정강과 당헌을 채택하고, 각 지역별 단체들은 사회당의 지구당들과 제휴하도록 조언했다.[47]
2. 3.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자 연맹 설립 (1906년)
1906년 8월, 미네소타주 히빙에서 재미 핀란드인 단체들의 대회가 열렸다. 30개 단체가 참여한 이 대회에서 영구적인 조직인 합중국 핀란드인 사회주의자연맹(Yhdysvaltain Suomalainen Sosialistijärjestö)을 설립하기로 결의했다. 또한, 다양한 조직 사무와 미국 사회당 가맹 준비를 담당할 서기를 선출했다.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자연맹은 5명의 집행위원회가 조직의 정무를 맡았으며, 집행위원들은 맹원들의 전체 투표로 선출되었다. 당시 미국 사회당의 구조를 본떠 각 주의 대표자들이 대의원으로 참여하는 "총위원회"를 만들었다. 총위원회 의석은 각 주별 지회 숫자에 따라 배분되었고, 논쟁적인 주제는 맹원 전체 투표로 결정했다.[48][49]히빙 대회에서는 전국 핀란드어 번역 사무실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미네소타주, 미시간주, 위스콘신주의 지회들은 영어를 핀란드어로 번역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번역가를 고용해야 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모든 지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국 번역자 직위가 설치되었다. 그 직후, 전국 번역자를 시카고의 미국 사회당 전국 본부로 보내는 문제가 논의되었고, 1907년 1월 1일 재미 핀란드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 사회당에 정식으로 가맹했다. 초기에는 연맹에서 사무실 세간, 번역 사무실 임대료, 번역자 봉급을 마련했고, 1908년 5월부터 사회당에서 사무실을 제공했으며, 번역자와 서기의 봉급은 1910년 10월부터 사회당에서 지급했다. 초대 전국 번역자는 빅토르 바티아(Victor Watia)였다.[48][49]
히빙 대회에서는 선전 및 조직을 위해 단체를 동부, 중부, 서부의 3개 지역별 지부(alueet|알루에트영어)로 나누었다. 각 지부에는 7명의 지역 위원들이 사무를 통괄했고, 상근 조직가를 고용했으며, 주기적으로 특별 조직가들을 파견하고, 각자 일간지를 발행했다. 동부 지부에서는 라이바야(Raivaaja, 1912년 발행 부수 6,000부 이상), 중부 지부에서는 튀외미에스(Työmies, 1912년 발행 부수 12,000부 이상), 서부 지부에서는 토베리(Toveri, 1912년 발행 부수 4,000부 이상)를 발행했다. 지부별 기관지 발행으로 인해 지부 간 이념적 차이가 발생하기도 했는데, 동부 지부는 개량주의적 성향이었고, 서부와 중부, 특히 중부는 혁명적인 성격이었다.[50]
번역 사무실 예산은 맹원들에게 매달 5센트짜리 우표를 판매하고, 일부 미국 사회당 주당에서 리베이트를 받아 마련했다. 1908년 기준 리베이트를 허용한 주들은 다음과 같다.[51]
2. 4. 제1차 분열 (1914년-1915년)
1914년부터 1915년까지,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 사회당을 따르는 온건파와 세계산업노동자연맹을 따르는 급진파 사이의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이는 1912년-1913년 미국 사회당 내에서 벌어진 분쟁과 유사했다.1914년 집행위원회 선거에서 건설적 사회주의 노선의 『라이바야』 계파(동부지부)가 승리했다. 이들은 혁명적 사회주의 노선의 중부지부 조직, 출판, 자산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건설적 사회주의 노선의 지도자는 프랑크 알토넨이었고, 혁명적 사회주의 노선의 지도자는 레오 라우키, 위리외 시롤라, 아쿠 리사넨 등이었다.[53]
1914년 2월 21일-28일, 미네소타주 덜루스에서 열린 중부지부 대회는 양측의 대립을 보여주었다. 이 대회에는 지회별 대의원 49명과 중부지부 위원회, 『튀외미에스』, 노동인민대학 대표자들이 참석했다.[53]
건설파 집행위원회는 6월 14일 덜루스에서 발행되는 핀란드어 신문 『소시알리스티』(Socialisti|사회주의fi)를 지지하는 지회 및 개인을 제재한다고 발표했다. 그 결과 40여 개 지회가 제명되었고, 30여 명의 상근자가 생디칼리슴과 직접행동 옹호 혐의로 쫓겨났다. 미국사회당 전국집행위원회는 건설파를 지지했고, 제명당한 좌파 맹원들이 새로운 사회당 핀란드어 지부를 만드는 것을 금지했다.[53][54][55]
1914년 11월, 제4차 대회가 열렸다. 동부의 건설파가 다수파였고, 중서부의 급진파는 소수파였다. 소수파의 거점은 덜루스와 레오 라우키가 주필을 맡은 신문 『소시알리스티』였다. 미국사회당 전국집행위원회 특별소위원회(월터 랜스퍼식, 오스카 아메링거, 제임스 마우러)는 건설파 집행부를 지지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전국집행위원회는 핀인연맹의 지회 및 맹원 제명 결정이 최종적이라고 결의했다. 그 결과 4,000여 명의 연맹 내 좌파가 이탈했다. 이들은 스미스빌의 노동인민대학을 장악하고, 1915년부터 『인두스트리알리스티』(Industrialisti|산별주의fi)라는 신문을 발행했다. 이 신문은 1920년 구독자가 20,000명에 달했다.[56][57][58]
1915년 9월, 미국사회당 전국위원회는 미네소타주 위원회에 "동지애의 정신으로 차이를 줄여가자"고 호소하며, 분쟁 해결에 직접 나서지 않았다.[59]
2. 5. 핀란드 내전과 재급진화 (1918년-1920년)
핀란드에서 1918년에 일어난 사회주의 혁명은 내전으로 이어졌고, 결국 반혁명 세력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백색테러"라 불리는 피의 보복이 자행되었다. 핀란드 내전 중, 그리고 내전이 끝난 직후 핀란드 백위대는 여러 이유로 8,380명을 처형했다.[60] 희생자 대부분은 우시마주, 투르쿠 포리주, 해메주, 비푸리주 출신이었다.[60] 1918년 7월 5일 기준, 적핀란드 가담자 및 동조자 73,915명이 백핀란드 정부에 포로로 잡혔는데, 11월이 되기 전 11,783명이 사망했다. 포로 사망자 중 처형은 적었고, 대부분은 열악한 포로수용소 환경과 영양실조로 인해 사망했다.[61] 이러한 참사의 원인을 떠나, 실패한 혁명으로 수만 명이 죽었다는 사실은 미국 내 핀란드인 공동체에서 혁명 지지자와 반대자 사이에 큰 장벽을 만들었다. 이는 재미핀인 사회주의 운동사에 중요한 변곡점이 되었다. 핀란드의 상황은 혁명적 수단을 옹호하는 이들에게 유리했지만, 미국사회당의 모든 계파는 적핀란드 혁명정부를 지지했다.1919년 7월, 번역자-서기 헨리 악셀리 지도부의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사회당에 공산주의자 인터내셔널(제3인터내셔널) 가입을 촉구하고, “소시민적 사회주의 관점을 배격”하며 “마르크스주의 혁명적 사회주의”를 채택하도록 당 강령 개정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62] 그러나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루이스 C. 프라이나의 「좌익선언」을 수용하거나 사회당 좌파에 공식적인 지지를 보내지는 않았다. 미국사회당 전국집행위원회는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의 반항에 제재를 가하지 않았다.
1919년 8월 30일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사회당 비상전국대회에는 124명의 대의원이 참석했고, 그 중 6명이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 소속이었다. 헨리 악셀리, 위리외 할로넨 등 좌파와 위리외 캐켈래, 빅토르 안날라, 빌호 헤드만, 라우리 모일라넨 등 우파 모두 참석했다.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 맹원 중 미국사회당 전국집행위원으로 선출된 사람은 없었다. 마티 텐후넨이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비상전국대회는 이민자 당원들에게 대체로 적대적이었으며, 입당 희망자는 3개월 안에 미합중국 시민권을 신청하도록 서약한다고 결정했다. 이러한 태도는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을 소외시켰고, 연맹은 미국사회당 당권파인 시카고 계파를 점차 적대시했다.[63] 그럼에도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은 미국사회당을 차악으로 인정했다. 1919년 9월 『튀외미에스』에서 헨리 악셀리는 미국공산당은 정치적 행동에 반대하며 미국의 현실에서 수행하기 불가능한 강령을 추구한다고 비판했다. 공산노동당은 모험주의자, 글쟁이, 가두연설가들의 아말감으로 공산당보다 나을 게 없다고 했다. 그리고 미국사회당이, 비록 중도우파에게 점령당했을지라도, 선호할 만한 선택지라고 주장했다. 악셀리는 “당원들 사이에 의식수준을 높여감으로써 우리는 이 당을 오늘날의 혁명적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요건을 모두 갖출 수 있는 정당으로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64]
1919년 10월 25일, 시카고 노스할스테드가의 임페리얼 홀에서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 제5차 대회가 열렸다. 참석자는 42명 정도였다. 조직의 분열이 임박했다. 『뉴욕 콜』 지에서는 “많은 지회들이 소위 제3인터내셔널에 가맹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연맹이 공산당에 가맹할 것을 요구하는 지회들도 소수지만 이미 존재”하며, 그런 요구들이 이루어질 것 같지는 않지만 그것을 원하는 지회들이 이탈해서 공산당에 가맹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65]
2. 6. 제2차 분열 (1920년-1921년)
1919년 미국 사회당 전당대회 이후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이하 연맹)은 분열되었다. 동부지부와 기관지 『라이바야』는 미국 사회당을 지지했지만, 중부지부와 기관지 『튀외미에스』는 미국 사회당을 비판하면서도 탈당을 주장하지는 않았다. 서부지부와 기관지 『토베리』는 중간 입장이었다.[66]1920년 1월, 연맹은 3개 지부 체제를 중단시키고 맹원 전체 투표를 통해 『라이바야』 주필을 면직시키는 등 좌파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이는 연맹이 미국 사회당에서 탈당할 것인지, 아니면 독립 조직이 될 것인지를 두고 갈등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준다.[66]
제5차 대회에서 "중재위원회"가 구성되었지만, 동부지부는 사회당 잔류를, 중서부지부는 탈당 후 독립을 주장하며 20대 21로 의견이 갈렸다. 결국 1920년 1월 맹원 전체 투표 결과, 3,775표 대 2,259표로 사회당 탈당안은 부결되었다. 동부에서는 82%가 사회당 잔류에 투표했지만, 중부와 서부에서는 투표율이 낮았다.[67][68]
1920년 3월, 연맹 집행위원회는 미국 사회당에 제3인터내셔널 가맹 문제를 질의했지만, 11월에 부정적인 답변을 받았다.[69]
1920년 12월, 일리노이주 워키건에서 열린 제6차 대회에서 연맹은 16대 5로 미국 사회당 탈당을 재결정했다. 주된 이유는 제3인터내셔널 가맹 실패였다. 심지어 『라이바야』와 뉴욕주 대의원들도 탈당에 투표했다. 연맹 내 좌파 지도자 엘리스 술카넨은 사회당 탈당 후 미국 공산당에도 가입하지 않는 노선을 원했고, 『튀외미에스』가 이를 지지했다.[70]
역사학자 아우보 코스티아이넨은 제6차 대회를 핀란드계 미국인 공산주의 운동의 비공식적 시작으로 평가했다. 많은 핀란드계 미국인 급진파들이 이미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있었고, 합법적인 공산주의 정당 창당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설명했다.[71]
2. 7. 미국 노동자당 가맹 (1921년)
1921년 말 미국 노동자당(WPA)이 창당되면서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핀인연맹은 미국 노동자당 창당 시 가장 큰 가맹 조직 중 하나였으며, 창당 이후에도 노동자당에서 가장 큰 전국 조직이었다. 1923년 노동자당 유료 당원 16,000명 중 40% 이상이 핀인연맹 맹원이었다.[73]핀인 노동자연맹은 8개 지부로 나뉘었다.
번호 | 지부 |
---|---|
1 | 뉴잉글랜드 |
2 | 뉴욕 및 해안지대 |
3 | 오하이오 및 서펜실베이니아, 서뉴욕, 디트로이트 |
4 | 시카고 및 워키건 등 일리노이 주 지자체들 |
5 | 상부 미시간 |
6 | 미네소타 및 북위스콘신과 남북다코타 |
7 | 오리건 및 워싱턴 |
8 | 캘리포니아 |
1920년 워키건 대회의 결과로, 재미핀인 사회주의자연맹에서 여러 조직이 분열되어 나갔다.
로키산맥주들과 기타 지역들에는 정규 지부들 가운데 하나 아래서 기능하는 하위지부(sub-districts)들이 있었다.
각 지부의 분회(clubs)는 매년 회의를 열어 전년도 작업을 검토하고, 핀란드어 언론과 출판물 배포 및 지원을 기획했다. 규모가 큰 지부에는 전임 서기들과 신문 요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사실상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신문 구독을 요청하고 책을 팔았다.
3. 분열되어 나간 조직
1921년, 동부 지역의 30개 분회(맹원 2,000명)는 미국 사회당에 잔류하기 위해 핀인연맹에서 탈퇴하여 미국사회당 핀인연맹(Yhdysvaltain Sosialistipuolueen Suomalainen Järjestöfi)을 결성했다. 이들은 메사추세츠주 피치버그의 라이바야 출판사에서 연례 총회를 열었으나, 경쟁 집단 간의 갈등으로 주먹다짐이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사회당 지지파가 조직을 장악하고 『라이바야』를 기관지로 삼으면서, 좌파 핀인연맹과 결별했다. 이후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14개 주에 66개 지회, 3,300명의 맹원을 둔 조직으로 성장했으며, 1920년대 후반까지도 사회당 내에서 가장 큰 이민자 연맹으로 남아 있었다.[74][75][76]
1936년에는 사회당 내 우파가 탈당하여 사회민주연맹을 창당하면서, 사회당계 핀란드인연맹에서도 사민련파가 이탈하여 "핀란드계 미국인 민주주의동맹"을 설립했다. 이 동맹은 『라이바야』를 기관지로 삼았으며, 이 신문은 1987년 1월 8일까지 발행되었다.[77][78]
3. 1. 미국 사회당 핀란드인 연맹 (1921년)
1920년 워키건 대회의 여파로, 동부 지역의 30개 분회(맹원 2,000 명)는 미국 사회당에 잔류하기 위해 핀인연맹에서 탈퇴했다. 이들은 1921년 미국사회당 핀인연맹(Yhdysvaltain Sosialistipuolueen Suomalainen Järjestöfi)으로 조직을 재건하고, 그해 1월 사회당 전국사무국의 제안에 따라 위원회를 선출했다.
1921년 2월 말엽 메사추세츠주 피치버그의 라이바야 출판사에서 연례 총회가 열렸다. 거의 모든 주주들이 총회에 위임대리인을 보냈고, 일부에서는 서로 경쟁하는 파벌들이 각자 대리인을 보내기도 했다. 경쟁 집단 간의 긴장이 너무 심해지다 결국 주먹다짐으로 번졌고, 질서유지를 위해 경찰이 출동해야 했다. 위원회에서 사회당 지지파가 과반을 차지했고, 3,000 주를 대변하는 대표자들을 쫓아내 사회당파가 조직을 장악했다. 이로써 『라이바야』는 사회당계 핀인연맹의 기관지가 되기로 결정되었으며 다수파(좌파) 핀인연맹과 절교했다. 이에 따라 좌파 핀인연맹은 잃어버린 기관지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신문 『에텐패인』(Eteenpäinfi)을 설립했다. 『에텐패인』은 1921년 5월 25일 뉴욕시에서 첫 호를 발행하였고, 약 1년 뒤 재정 문제로 메사추세츠주 우스터로 이전했다.[74]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1921년 8월 13일부터 15일까지 메사추세츠주 피치버그에서 제1회 전국대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맹원들의 일반투표로 선출된 대의원 12명이 참석했다. 이 대회 당시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14개 주에 66개 지회를 가지고 있었다. 맹원 수는 3,300명으로 추산되었다.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조직을 3개 지부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뉴잉글랜드, 하나는 뉴욕과 뉴저지와 델라웨어와 코네티컷과 펜실베이니아 일부, 마지막 하나는 펜실베이니아 일부와 오하이오, 중서부 주들이었다. 9개 지회에서는 청년인민사회주의협회(Young People's Socialist Societies)라는 이름의, 사회당 중앙당에서 공인한 청년단체를 운영했다. 이 단체의 회원은 피치버그 대회 당시 217명이었다. 또한 17개 지회에서는 사회주의 주일학교를 운영하여 946명의 어린이를 교육했다.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정치적”인 것과 반대되는 맥락에서) 사회적 부문조직들에 있어서 강점을 나타냈다.
일간지 『라이바야』 외에도 격월 학술지 『뉘퀴아이카』(Nykyaikafi)를 발행했다. 또한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피치버그 대회 당시 3종의 소책자를 만들어 배포했다.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피치버그 대회 이전까지 시카고의 지회들에서 선출된 집행위원회가 지도했다. 그러나 구성 지회 대부분이 뉴잉글랜드 등 동부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연맹 본부를 시카고에서 피치버그로 옮기기로 했다. 집행위원회는 매년 12월 맹원들의 일반투표로 선출되었고, 1년동안 재임하였다. 집행위원회는 연맹 서기를 직접 임명하였고, 대회는 격년 개최하기로 되었다.
피치버그 대회는 사회당에 대한 기존의 오래된 모델을 재확인한 것이었다.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시카고의 사회당 중앙당에서 당비 납부용 우표를 직접 구매해 와서 지회들에 개당 40 센트로 팔았다. 지회들은 그것을 맹원들에게 개당 50 센트로 팔아 차액 10센트로 운영비를 꾸렸다.[75]
사회당계 핀인연맹은 1920년대 이후에도 사회당 가맹을 강고하게 유지했다. 1927년 기준 맹비를 납부하는 유료맹원 수가 2,030명으로 집계되었고, 1928년에는 1,842명으로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핀인연맹은 이 당시 사회당의 5개 이민자 연맹 가운데 가장 큰 규모였으며, 1927년에는 사회당 당원의 18% 이상, 1928년에는 16% 이상이 사회당계였다.[76]
1921년 당시 사회당계 핀인연맹의 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
주 | 지회 수 |
---|---|
메사추세츠 | 20 |
버몬트 | 4 |
뉴햄프셔 | 7 |
코네티컷 | 4 |
뉴욕 | 5 |
로드아일랜드 | 1 |
뉴저지 | 4 |
오하이오 | 7 |
기타 | (자료에 명시되지 않음) |
총계 | 66 |
사회당계 핀인연맹의 사회적 부문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문조직 | 지회 수 |
---|---|
취주악단 | 10 |
노래 모임 | 9 |
연극 모임 | 18 |
체육 모임 | 13 |
3. 2. 핀란드계 미국인 민주주의 동맹 (1936년)
1936년, 사회당 내 우파가 탈당하여 사회민주연맹을 창당하자, 사회당계 핀란드인연맹에서도 사민련파가 이탈하여 "핀란드계 미국인 민주주의동맹"을 설립했다.[77] 이 동맹의 기관지인 『라이바야』는 1987년 1월 8일까지 발행되었다.[78]참조
[1]
간행물
Seventieth Anniversary Souvenir Journal: 1903-1973
Työmies Society
1973
[2]
서적
Finnish Radicals in Astoria, Oregon, 1904-1940: A Study in Immigrant Socialism
Arno Press
1979
[3]
논문
Finnish Americans
Garland
1990
[4]
뉴스
A Finnish Branch
Social Democratic Herald
1899-09-09
[5]
문서
Finnish Americans
[6]
문서
Seventieth Anniversary Souvenir Journal
Työmies Society
[7]
간행물
Report of the Finnish Translator-Secretary to the Socialist Convention, 1912
Socialist Party of the United States
1912
[8]
간행물
Report of Representation at Finnish-American Socialists' Convention
Socialist Party of America
1904-11
[9]
문서
Report of the Finnish Translator-Secretary to the Socialist Convention, 1912
[10]
간행물
Report of Finnish Translator
The Socialist Party
1908
[11]
문서
Report of the Finnish Translator-Secretary to the Socialist Convention, 1912
[12]
문서
Report of Finnish Translator
[13]
뉴스
News from National Socialist Headquarters
The Socialist
1911-06-03
[14]
문서
The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15]
간행물
An Appeal to the Investigating Committee of the NEC
Sosialisti
1915-01-13
[16]
간행물
Executive Committee Rule
International Socialist Review
1915-02
[17]
문서
Finnish Americans
[18]
문서
An Appeal to the Investigating Committee of the NEC
[19]
간행물
Decision of the National Executive Committee on the Finnish Controversy
Sosialisti
1915-01-13
[20]
뉴스
NEC Minutes, Meeting of Sept. 11-15, 1915
The American Socialist
1915-09-25
[21]
서적
Poliittiset väkivaltaisuudet Suomessa 1918 II. "Valkoinen terrori."
1967
[22]
서적
Finland and the Russian Revolution, 1917-1922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58
[23]
뉴스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Endorses Left Wing Program
The Ohio Socialist
1919-07-16
[24]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25]
뉴스
Mihin puolueeseen nyt
Työmies
1919-09-17
[26]
뉴스
Finn Socialists at Odds; Will Gather Monday
New York Call
1919-10-25
[27]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28]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29]
뉴스
Annual Report of the FSF for 1919
Työmies
1920-01-21
[30]
문서
Report of the UCP to the Unity Convention
Comintern Archive
[31]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32]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33]
문서
Comintern Archive
RGASPI
[34]
간행물
The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Rand School Press
1916
[35]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36]
보고서
General Intelligence Report for Week Ending Oct. 8, 1921
NARA
[37]
편지
Letter of National Executive Secretary Willam H. Henry to the NEC of the SPA
1928-11-24
[38]
서적
The Finns in America: A Bibliographic Guide to Their History
Suomi College
1947
[39]
뉴스
Raivaaja (The Pioneer): Organ of the Finnish American League for Democracy
https://www.digitalc[...]
1987-01-08
[40]
간행물
Seventieth Anniversary Souvenir Journal: 1903-1973
Työmies Society
1973
[41]
서적
Finnish Radicals in Astoria, Oregon, 1904-1940: A Study in Immigrant Socialism
Arno Press
1979
[42]
서적
Finnish Americans
Garland
1990
[43]
뉴스
A Finnish Branch
1899-09-09
[44]
기타
Finnish Americans
[45]
간행물
Seventieth Anniversary Souvenir Journal
Työmies Society
[46]
보고서
Report of the Finnish Translator-Secretary to the Socialist Convention, 1912
Socialist Party of the United States
1912
[47]
보고서
Report of Representation at Finnish-American Socialists' Convention
Socialist Party of America
1904-11
[48]
보고서
Report of the Finnish Translator-Secretary to the Socialist Convention, 1912
[49]
보고서
Report of Finnish Translator
The Socialist Party
1908
[50]
보고서
Report of the Finnish Translator-Secretary to the Socialist Convention, 1912
[51]
보고서
Report of Finnish Translator
[52]
뉴스
News from National Socialist Headquarters
1911-06-03
[53]
기타
The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54]
기사
An Appeal to the Investigating Committee of the NEC
1915-01-13
[55]
기사
Executive Committee Rule
Charles H. Kerr & Co.
1915-02
[56]
서적
Finnish Americans
[57]
기사
An Appeal to the Investigating Committee of the NEC
1915-01-13
[58]
기사
Decision of the National Executive Committee on the Finnish Controversy
1915-01-13
[59]
회의록
NEC Minutes, Meeting of Sept. 11-15, 1915
1915-09-25
[60]
서적
Poliittiset väkivaltaisuudet Suomessa 1918 II. "Valkoinen terrori."
1967
[61]
서적
Finland and the Russian Revolution, 1917-1922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58
[62]
뉴스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Endorses Left Wing Program
1919-07-16
[63]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64]
기사
Mihin puolueeseen nyt ("To Which Party Now?")
1919-09-17
[65]
뉴스
Finn Socialists at Odds; Will Gather Monday
1919-10-25
[66]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67]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68]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69]
보고서
Report of the UCP to the Unity Convention
Comintern Archive
[70]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71]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72]
간행물
"The Finnish Socialist Federation" in ''The American Labor Year-Book, 1916.''
Rand School Press
1916
[73]
문서
Comintern Archive
RGASPI
[74]
서적
The Forging of Finnish-American Communism, 1917-1924
[75]
보고서
General Intelligence Report for Week Ending Oct. 8, 1921
NARA
[76]
편지
Letter of National Executive Secretary Willam H. Henry to the NEC of the SPA
1928-11-24
[77]
서적
The Finns in America: A Bibliographic Guide to Their History
Suomi College
1947
[78]
뉴스
Raivaaja (The Pioneer): Organ of the Finnish American League for Democracy
https://www.digitalc[...]
1987-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