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잭오랜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잭오랜턴은 할로윈에 사용되는 호박이나 순무 등의 속을 파내고 얼굴 모양을 새겨 넣은 등불을 의미한다. 어원은 영국 민속의 도깨비불을 가리키는 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17세기 영국에서는 등불을 든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잭오랜턴을 만드는 풍습은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악령을 쫓거나 영혼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다.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과 관련되기도 했으며, 19세기 아일랜드 민담에 등장하는 '스팅이 잭' 이야기와 연관되어 널리 알려졌다. 잭오랜턴은 세계 기록으로 인정받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행사로도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할로윈 - 이태원 참사
    2022년 10월 29일 서울 이태원에서 핼러윈 축제 중 좁은 골목길에 인파가 몰려 발생한 압사 사고인 이태원 참사는 159명의 사망자와 196명의 부상자를 냈으며, 미흡한 현장 대응과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개선 요구를 불러일으켰다.
  • 할로윈 - 뉴욕의 빌리지 핼러윈 퍼레이드
    뉴욕의 빌리지 핼러윈 퍼레이드는 1973년 소규모 인형 퍼레이드로 시작되어 수십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성장했으며, 9/11 테러와 허리케인 샌디에도 불구하고 뉴욕시의 회복력을 상징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었다.
  • 악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믿어지는 물건 - 소금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미료, 식품 보존, 산업,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염 채굴, 천일염 생산, 해수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 악으로부터 보호한다고 믿어지는 물건 - 마늘
    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 조미료 및 식재료로 사용되며, 알리신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여 항암, 항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유령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 유령 - 원령
    원령은 강력한 원한을 품고 죽어 산 자에게 해를 끼친다고 여겨지는 존재로, 일본에서 8세기부터 나타났으며, 민속학, 불교, 신토 등과 결합하여 발전했고, J-Horror 장르에서 중요한 소재로 활용된다.
잭오랜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조각된 호박 또는 뿌리 채소 등불
다른 이름잭-오-랜턴
윌-오-더-위스프
코프스 캔들
기원아일랜드
관련 축제할로윈
역사
기원 설화아일랜드의 민간 설화에서 유래
술 취한 농부 잭이 악마를 속여 영혼을 가져가지 못하게 함
잭은 천국에 가지 못하고, 악마는 영혼을 가져가지 못해 등불을 들고 떠돌아다님
초기 형태원래 순무, 사탕무 또는 감자를 사용
속을 파내고 얼굴 모양을 새김
내부에는 촛불을 넣어서 만들었음
미국으로의 전파19세기 아일랜드 이민자들을 통해 미국으로 전파
미국에서는 호박이 흔해 호박을 사용
점차 할로윈 장식의 상징이 됨
현대의 잭오랜턴전 세계적으로 할로윈 장식의 필수 요소
호박을 이용한 다양한 디자인과 조각 기술 발달
축제, 콘테스트 등에 활용
특징
형태주로 호박을 사용하나 다른 뿌리 채소도 사용 가능
윗부분을 잘라내고 속을 파냄
얼굴이나 다른 모양을 조각하여 만듦
내부 조명과거에는 촛불을 사용
현대에는 전구를 사용하기도 함
상징할로윈과 관련된 상징
죽음과 어둠을 상징
악령을 쫓는 의미도 내포
문화적 의미
할로윈 축제할로윈 축제의 대표적인 장식물
집 앞에 장식하여 축제 분위기 조성
아이들이 사탕을 받으러 다니는 트릭 오어 트릿 풍습에 사용
예술적 표현조각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예술 작품 제작
호박 조각 대회 개최
지역 축제 등에서 다양한 잭오랜턴 전시
여담
이름 유래아일랜드 민화에서 술 취한 농부 잭의 이야기에서 유래

2. 어원

"잭오랜턴"이라는 용어는 원래 도깨비불로 알려진 영국 민속 현상인 "이그니스 파투우스"(ignis fatuus, "어리석은 불"이라는 뜻)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 특히 잉글랜드 동부에서 사용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사용 기록은 1660년대이다.[4]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은 1658년에 이그니스 파투우스를 가리키는 용어로, 1663년부터 1704년까지는 등불을 든 사람이나 야간 경비원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 것을 기록하고 있다.

17세기 영국에서 잭오랜턴은 등불을 든 남자나 야경꾼을 가리키는 말로 여겨졌다. 당시 영국인들은 이름을 모르는 남자를 잭과 같은 애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등불을 든 낯선 남자를 "등불을 든 잭(Jack with the lantern)"이나 "잭 오브 더 랜턴(Jack of the lantern)" 등으로 불렀다.[42]

3. 역사

아일랜드 공화국에 있는 농촌생활박물관에 전시된 전통적인 아일랜드 잭오랜턴의 석고 주형. 과거에는 순무나 슈가비트가 자주 사용되었다.


야채 조각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흔한 관습이었다. 할로윈에 호박등을 만드는 풍습은 아일랜드영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6][7][8]

19세기에는 영국, 아일랜드 등지에서 할로윈에 등불 역할을 하도록 속을 파낸 무 또는 뿌리채소를 사용했으며, 종종 기괴한 얼굴을 조각했다.[9] 호박등을 만든 사람들은 그것이 영혼이나 초자연적 존재를 나타낸다고 말했으며,[9] 악령을 쫓는 데 사용되었다.[10] 또한 호박등이 만성절(11월 1일)/만령절(11월 2일) 전날인 할로윈에 연옥에 있는 기독교인의 영혼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13]

1836년 1월 16일, 더블린 페니 저널은 "잭오랜턴(Jack-o'-the-Lantern)" 전설에 대한 긴 이야기를 발표했지만, 야채 조각 등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14] 1837년, 리머릭 크로니클은 지역 술집에서 조각된 조롱박 경연대회를 열고 "최고의 잭 맥랜턴(Jack McLantern) 왕관"에게 상을 수여한 것을 언급한다. "맥랜턴(McLantern)"이라는 용어는 1841년 같은 신문에도 나온다. 18세기 말 영국 워스터셔에서는 "호버디의 등불(Hoberdy's Lantern)"을 조각하는 데 무가 사용되었다는 증거도 있다.[15]

3. 1. 기원

19세기 영국, 아일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고지대 일부 지역에서는 할로윈에 속을 파낸 순무나 뿌리채소를 사용하여 등불을 만들고, 기괴한 얼굴을 조각했다.[9] 고이델어 사용 지역에서는 할로윈이 사윈(Samhain) 축제이기도 했으며, 초자연적 존재(요정)가 세상을 돌아다니는 시기로 여겨졌다.[9] 웨일스에서는 이러한 밤을 Ysbrydnosau(영혼의 밤)라고 불렀으며, 10월 31일 밤에 열리는 것을 칼란 가에프(Calan Gaeaf)라고 했다.

호박등을 만든 사람들은 그것이 영혼이나 초자연적 존재를 나타낸다고 믿거나,[9] 악령을 쫓는 데 사용했다.[10] 예를 들어, 때로는 할로윈 참가자들이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데 사용되었고,[10][12][11] 때로는 해로운 영혼이 집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틀에 놓았다.[12] 또한 호박등이 원래 할로윈이 만성절(11월 1일)/만령절(11월 2일) 전날이기 때문에 연옥에 있는 기독교인의 영혼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13]

1836년 1월 16일, 더블린 페니 저널은 "잭-오'-랜턴(Jack-o'-the-Lantern)" 전설에 대한 긴 이야기를 발표했지만, 야채로 조각한 등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14] 1837년, 리머릭 크로니클은 지역 술집에서 조각된 조롱박 경연대회를 열고 "최고의 잭 맥랜턴(Jack McLantern) 왕관"에게 상을 수여한 것을 언급한다. "맥랜턴(McLantern)"이라는 용어는 같은 신문의 1841년판에도 나온다. 18세기 말 영국 워스터셔에서는 "호버디의 등불(Hoberdy's Lantern)"이라고 불리는 것을 조각하는 데 무가 사용되었다는 증거도 있다.[15]

생전에 타락한 삶을 살다 죽은 자의 영혼이 사후세계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당하고, 악마로부터 받은 석탄을 불씨로 하여, 시들어 굴러다니던 순무(루타바가)를 파내어 그 안에 넣은 랜턴을 들고 방황하는 모습(→윌오위스프)으로 여겨진다. 또한, 교활한 난봉꾼이 악마를 속여 죽어도 지옥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계약을 맺었지만, 사후에 생전 행실의 악함으로 천국에 가는 것을 거부당하고, 악마와의 계약으로 지옥에 갈 수도 없어 순무(루타바가)에 빙의하여 안식처를 찾아 이 세상을 계속 방황하는 모습이라고도 한다. 여행자를 미혹하지 않고 길을 안내하기도 한다고 한다.

원래는 주황색 호박이 아니라 흰 순무를 사용하는데, 그것은 원래 고인의 흰 두개골을 본뜬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그것은 원래 고인의 흰 두개골을 사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도 중남미에는 고인의 두개골 속에 촛불을 밝혀 두개골이 빛나게 함으로써 두개골에 고인의 영혼이 깃들어(=영=생명), 고인이 되살아난 것으로 여기고 가족이 함께 두개골을 둘러싸고 축하하는 풍습이 있다. 그것과 같은 의미의 풍습이 잭오랜턴의 기원이라고 추측된다. 조상의 영혼을 제사함으로써 조상의 영혼이 자손을 악령으로부터 지켜줄 것을 기대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3. 2. 북미

미국 영어에서 조각한 호박에 '잭오랜턴'이라는 용어를 적용한 최초의 사례는 1837년에 나타난다.[16]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조각한 호박이 할로윈의 상징이 되기 전에 추수 감사절과 관련이 있었다.[17] 1895년, 추수감사절(미국)에 관한 한 기사에서는 추수감사절 게임에서 아이들에게 상으로 켜진 잭오랜턴을 주는 것을 추천했다.[17][18] 1807년 매사추세츠에서 태어난 시인 존 그린리프 휘티어는 할로윈이 아닌 추수감사절을 언급하는 시 "호박"(1850)을 썼다.[19]

할로윈과 조각 호박 랜턴의 연관성은 1866년 11월 1일자 ''데일리 뉴스''(킹스턴, 온타리오)에 기록되어 있다.[20]

이후, 순무 등롱은 이민 온 아일랜드인들에 의해 미국에서 많이 생산되던 호박 등롱으로 변화했지만, 스코틀랜드에서는 현재도 순무(루타바가)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밖에 매년 10월 31일 할로윈 날 만드는 호박 촛불을 "잭-오-랜턴"이라고 부르며, 좋은 영혼을 불러들이고, 악령들을 멀리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4. 민속

"잭오랜턴"이라는 용어는 원래 도깨비불로 알려진 영국 민속 현상인 "이그니스 파투우스(ignis fatuus, "어리석은 불"이라는 뜻)"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 특히 잉글랜드 동부에서 사용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사용 기록은 1660년대이다.[4] 19세기에는 영국, 아일랜드, 웨일스와 스코틀랜드 고지대 일부 지역에서 할로윈에 등불 역할을 하도록 속을 파낸 무 또는 뿌리채소를 사용했으며, 종종 기괴한 얼굴을 조각했다.[9]

호박등을 만든 사람들은 그것이 영혼이나 초자연적 존재를 나타낸다고 말했으며,[9] 악령을 쫓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10] 예를 들어, 때로는 할로윈 참가자들이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데 사용되었고,[10][11] 때로는 해로운 영혼이 집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에 놓기도 했다.[12] 또한 호박등이 원래 할로윈이 만성절(11월 1일)/만령절(11월 2일) 전날이기 때문에 연옥에 있는 기독교 영혼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13]

잭오랜턴의 유래는 서유럽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전해지는 윌-오-더-위스프 이야기와 유사하다.[25] [26] [27]

원래는 주황색 호박이 아니라 흰 순무를 사용했는데, 이는 고인의 흰 두개골을 본뜬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원래는 고인의 흰 두개골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도 중남미에는 고인의 두개골 속에 촛불을 밝혀 가족이 함께 두개골을 둘러싸고 축하하는 풍습이 있는데, 잭오랜턴도 비슷한 의미의 풍습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조상의 영혼을 제사함으로써 악령으로부터 자손을 지켜줄 것을 기대했던 것이다.

4. 1. 스팅이 잭(Stingy Jack) 이야기

18세기 중반 아일랜드 민담에는 게으르지만 영리한 대장장이인 스팅이 잭(Stingy Jack)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그는 십자가를 이용하여 사탄을 가두었다.[29]

스팅이 잭이 사탄을 속여 사과나무에 오르게 한 후, 나무 둘레에 십자가를 놓거나 나무껍질에 십자가를 새겨 사탄이 내려오지 못하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9]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잭이 마을 사람들에게서 도난한 물건 때문에 쫓기던 중 사탄을 만났는데, 사탄은 잭이 죽을 시간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잭은 사탄에게 자신을 쫓는 교회에 다니는 마을 사람들을 괴롭힐 기회를 제안하며 죽음을 미루었다. 잭은 사탄에게 도난당한 물건값을 지불할 동전으로 변신하라고 말했고(사탄은 어떤 모습이든 취할 수 있었다), 나중에 동전(사탄)이 사라지면, 기독교인 마을 사람들은 누가 훔쳤는지 다투게 될 것이었다. 악마는 이 계획에 동의하여 은화로 변신하여 잭의 지갑으로 뛰어들었지만, 잭이 마을에서 주워온 십자가 옆에 있게 되었다. 잭은 지갑을 꽉 닫았고, 십자가는 악마의 힘을 빼앗아 그를 가두었다.

두 이야기 모두에서 잭은 사탄이 자신의 영혼을 가져가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에야 그를 놓아주었다. 수년 후, 잭은 결국 죽었지만, 그의 삶은 너무나 죄악이 많아 천국에 갈 수 없었다. 그러나 사탄은 그의 영혼을 가져가지 않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지옥에도 갈 수 없었다.[30] 잭은 갈 곳이 없었고, 불빛이 없어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자, 사탄은 조롱하며 그에게 타는 석탄을 던져 길을 밝히게 했다. 잭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었던 순무를 파서 그 안에 석탄을 넣고, 쉴 곳을 찾아 끝없이 세상을 떠돌아다녔다.[30] 그는 "등불을 든 잭"(Jack of the Lantern) 또는 잭오랜턴(jack o'lantern)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스팅이 잭은 생전에 타락한 삶을 살다 죽은 자의 이 사후세계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당하고, 악마로부터 받은 석탄을 불씨로 하여, 시들어 굴러다니던 순무(루타바가)를 파내어 그 안에 넣은 랜턴을 들고 방황하는 모습으로 여겨진다(→윌-오-더-위스프).

또한, 교활한 난봉꾼이 악마를 속여 죽어도 지옥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계약을 맺었지만, 사후에 생전 행실의 악함으로 천국에 가는 것을 거부당하고, 악마와의 계약으로 지옥에 갈 수도 없어 순무(루타바가)에 빙의하여 안식처를 찾아 이 세상을 계속 방황하는 모습이라고도 한다.

5. 제작

잭오랜턴을 만드는 과정


호박이나 순무의 일부분을 잘라내어 구멍을 만들고, 눈, 코, 입 등을 새겨 넣어 얼굴을 만든다. 쾌활하거나 무섭거나 우스꽝스러운 표정을 만들 수 있다.[33] 잭오랜턴은 일반적으로 '코네티컷 필드 호박'으로 만드는데, 이는 "최초의 상업용 잭오랜턴 호박"으로 묘사된다.[34][35]

미국으로 이 이야기가 전해진 후, 이민 온 아일랜드인들은 순무 등롱 대신 미국에서 많이 생산되던 호박으로 등롱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에서는 여전히 순무(루타바가)를 사용한다. 10월 31일 할로윈에 만드는 호박 촛불은 "잭오랜턴"이라고 불리며, 좋은 영혼을 불러들이고 악령을 쫓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6. 세계 기록

뉴햄프셔주 키인이 한 장소에 조각하고 불을 밝힌 호박등(잭오랜턴) 수로 세계 기록을 오랫동안 보유하고 있었다. 라이프 이즈 굿 컴퍼니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앓는 어린이와 그 가족을 위한 캠프인 캠프 선샤인과 협력하여 기록을 깨려고 했다.[36] 2006년 10월 21일, 보스턴 커먼에서 30,128개의 호박등에 동시에 불을 밝히면서 기록이 세워졌다.[37] 일리노이주 하이우드는 2011년 10월 31일 비공식 집계 30,919개로 기록 경신을 시도했으나 기네스 규정을 따르지 않아 기록으로 인정받지 못했다.[38]

2013년 10월 19일, 키인이 보스턴의 기록을 깨고 전시된 호박등(잭오랜턴) 수(30,581개)로 세계 기록을 되찾았다. 이 도시는 최초 시도 이후 여덟 번이나 기록을 경신했다.[39]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Jack-O'-Lantern https://www.merriam-[...] 2018-10-25
[2] 뉴스 History of the Jack O' Lantern https://www.history.[...] 2018-10-25
[3] 서적 Dictionary of Idiomatic Phrases... https://books.google[...] T. Nelson & Company 1891
[4] 웹사이트 Jack o'lantern (n.) https://www.etymonli[...] 2013-05-09
[5] 웹사이트 Jack-o'-lantern, n. meanings, etymology and more https://www.oed.com/[...] 2023-08-14
[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Food and Drink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2-17
[7] 뉴스 Pumpkins Passions http://news.bbc.co.u[...] 2006-10-19
[8] 뉴스 Turnip battles with pumpkin for Hallowe'en http://news.bbc.co.u[...] 2007-09-23
[9] 서적 The Stations of the Sun: A History of the Ritual Year in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서적 Oral folk-tales of Wessex David & Charles 1973
[11] 서적 Rooted in America: Foodlore of Popular Fruits and Vegetabl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1999
[12] 웹사이트 Bettina Arnold – Halloween Lecture: Halloween Customs in the Celtic World https://web.archive.[...] Center for Celtic Studies 2001-10-31
[13] 서적 Halloween: From Pagan Ritual to Party Nigh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4] 간행물 History of Jack-o'-the-Lantern https://books.google[...]
[15] 간행물 The Friar's Lantern and Friar Rush https://www.jstor.or[...] 1900
[16] 뉴스 Jack-o'-lantern
[17] 뉴스 The Day We Celebrate: Thanksgiving Treated Gastronomically and Socially https://query.nytime[...] 1895-11-24
[18] 뉴스 Odd Ornaments for Table https://query.nytime[...] 1900-10-21
[19] 웹사이트 The Pumpkin https://web.archive.[...] 1885
[20] 뉴스 Carved pumpkin 1866-11-01
[21] 서적 Funny Nursery Rhymes https://books.google[...] Ward, Lock, and Company 1879
[22] 간행물 Halloween Sports and Customs 1885-10-27
[23] 서적 Trick or Treat: A History of Halloween Reaktion Books
[24] 서적 Death Makes a Holiday: A Cultural History of Halloween Bloomsbury
[25] 서적 All Around the Year: Holidays and Celebrations in American Lif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5
[26] 서적 The British, Roman, and Saxon antiquities and folklore of Worcestershire https://archive.org/[...] J.R. Smith
[27] 간행물 The Ignis Fatuus, Its Character and Legendary Origin 1904-01-01
[28] 웹사이트 Brewer, e. Cobham. Dictionary of Phrase & Fable. Jack o' the Bowl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Jack-O-Lantern https://web.archive.[...] 2007-05-09
[30] 뉴스 History of the Jack O' Lantern https://www.history.[...] 2018-10-20
[31] 서적 A Dictionary of English Folklo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2] 웹사이트 The Tale o' Jack-o'-Lantern http://fiveminutehis[...] 2018-12-11
[33] 서적 You Can Carve Fantastic Jack-O-Lanterns https://books.google[...] Storey Communications
[34] 서적 The Perfect Pumpkin: Growing/Cooking/Carving https://books.google[...] Storey Publishing, LLC 2012-01-02
[35] 서적 The Compleat Squash: A Passionate Grower's Guide to Pumpkins, Squash, and Gourds https://books.google[...] Artisan Books 2004-01
[36] 웹사이트 Home | Camp Sunshine https://www.campsuns[...]
[37] 뉴스 A Love in Common for Pumpkins http://www.boston.co[...] 2006-10-22
[38] 뉴스 Highwood sets pumpkin-carving record http://highlandpark.[...] Highland Park News 2012-10-30
[39] 웹사이트 Most Lit Jack-o'-lanterns Displayed https://www.guinness[...] 2024-09-24
[40] 기타 # IPA 발음 정보이므로 type을 기타로 설정
[41] 기타 # IPA 발음 정보이므로 type을 기타로 설정
[4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Jack-O'-Lantern' https://www.merriam-[...] 2024-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