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국위기개인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위기개인전은 중국의 바둑 기전으로, 1957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남자부, 여자부, 중년조로 나뉘어 진행되며, 스위스 시스템을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1957년 궈티성이 초대 우승을 차지했으며, 녜웨이핑, 마샤오춘, 쿵제, 탕이 등 많은 기사들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여자부에서는 쿵샹밍, 양후이, 루이나이웨이 등이 활약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여성 기사들이 우승 경쟁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기전 -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2023년 중국 취저우에서 열린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은 한국, 중국, 일본 등 여러 나라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중국의 셰커가 대한민국의 변상일을 꺾고 우승한 세계 바둑 대회이다.
  • 195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는 1957년 말레이시아 독립을 기념하여 시작되었으며, 말레이시아가 최다 우승, 대한민국이 그 뒤를 잇고, 197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대한민국이 참가하지 않는다.
  • 195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국제 핸드볼 연맹 주관으로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들이 경쟁하는 국제 대회이며, 1957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루마니아가 유일하게 모든 대회에 참가했고, 소련이 최다 우승, 대한민국도 1995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 중국의 바둑 기전 - 왕중왕바둑쟁패전
    왕중왕바둑쟁패전은 중국에서 열리는 바둑 대회로, 독특한 대국 규정 하에 셰얼하오, 커제, 리쉬안하오, 리웨이칭 등이 우승했다.
  • 중국의 바둑 기전 - 서남왕배
    서남왕배는 중국 서남 지역 바둑 기사들이 참가하는 기전으로, 2002년 시작되어 윈난, 구이저우, 충칭, 쓰촨 4개 팀과 초청 선수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2024년 기준 우승 상금은 25만 위안이고 구링이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위기개인전
대회 정보
이름전국 위기 개인전
다른 이름전국 위기 선수권 대회
중국 위기 선수권 대회
로마자 표기Quánguó Wéiqí Gèrén Zhàn
개최지중국
첫 대회1957년
마지막 대회2023년
최다 우승자녜웨이핑 (4회)
관련 단체중국 위기 협회

2. 역사

1978년 여자부 대회가 처음 시작되었으며, 쿵샹밍이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연도개최지1위2위3위4위5위6위
11978정저우시쿵샹밍천후이팡마얄란리양웨이신황먀오링
21979베이징쿵샹밍양후이진시첸허샤오런주저페이황리핑
31980러산시양후이쿵샹밍허샤오런루이나이웨이진시첸주저페이
41981원저우시양후이허샤오런루이나이웨이화쉐밍황리핑궈주안
51982베이징양후이루이나이웨이쿵샹밍니우리리펑윈궈주안
61983항저우시펑윈루이나이웨이장쉬안쿵샹밍허샤오런양후이
71984광저우시쿵샹밍루이나이웨이화쉐밍양후이진시첸장쉬안
81985난징시양후이루이나이웨이쿵샹밍펑윈장쉬안황리핑
91986뤄양시루이나이웨이쿵샹밍양후이펑윈오리팅진시첸
101987전장시루이나이웨이쿵샹밍양후이장쉬안펑윈화쉐밍
111988베이징루이나이웨이양후이장쉬안쿵샹밍진시첸화쉐밍
121989푸저우시루이나이웨이화쉐밍양후이쿵샹밍예구이장쉬안
131990롄윈강시장쉬안펑윈양후이쉬잉후샤오링리춘화
141991베이징양후이펑윈예구이량야디리춘화쉬잉
151992베이징양후이화쉐밍예구이류타오펑윈리춘화
161993베이징화쉐밍쉬잉펑윈예구이왕후이리춘화
171994창사시예진진쉬잉민나리춘화류타오예구이
181995광저우시화쉐밍두위펑쉬잉천후이팡예구이리춘화
191996충칭시리춘화화쉐밍쉬잉장쉬안예구이펑윈
201997안칭시쉬잉장쉬안화쉐밍양후이쉔징리춘화
211998청두시양후이장쉬안량야디, 정옌리잉멍자오위
221999항저우시리춘화화쉐밍양후이왕루이쉬잉량야디
232000항저우시쉬잉추이닝리춘화정옌차오청황자
242001닝보시리춘화화쉐밍예구이정옌자첸량야디
252002청두시탕잉량야디예구이위메이링화쉐밍판웨이징
262003항저우시예구이차오청왕샹윈량야디추단윈예창
272004벙부시쉬잉차오시야오왕샹윈정옌양쯔리춘화
282005지난시왕샹윈왕판루자판웨이징탕이정옌
292006톈진시쑹룽후이탕이왕샹윈차오요우인추이닝황자
302007더저우탕이왕샹윈차오요우인양쯔정옌왕니차오
312008선양시왕천싱멍자오위차이비한예구이리위안쿤인밍밍
322009청더시탕이정옌리샤오시천이밍차오요우인판웨이징
332010구이린시차오요우인판웨이징왕천싱리허예구이쑹룽후이
342011샤오산구차오요우인탕이쑹룽후이장위에란장페이페이왕천싱
352012차오저우왕천싱루자판웨이징리샤오시탕이차오요우인
362013항저우시차오요우인왕샹윈쑹룽후이위즈잉장페이페이탕이
372014솽류현위즈잉루자천이밍루민취안왕천싱탕이
382015우시시왕천싱왕위보자강루쑹룽후이루자천이밍
392016샤오산구리허왕천싱루민취안왕솽왕위보차이비한
402017주저우현가오싱리신이위즈잉차오요우인천이밍왕솽
412018더저우왕솽루민취안추커얼가오싱판양저우홍위
422019우시시리허왕천싱왕위보탕자원저우홍위천이밍


2. 1. 초기 (1957년 ~ 1979년)

1957년, 제1회 전국위기개인전이 상하이에서 개최되어 궈티성이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1] 초기 대회는 주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대도시에서 번갈아 개최되었다.[1] 1960년대에는 천주더가 두각을 나타내며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1]

연도우승자준우승자
1957궈티성첸지아모우
1958류디화이왕유첸
1959류디화이궈티성
1960황슈이지왕유첸
1962궈티성천주더
1964천주더우쑹셩
1966천주더우쑹셩
1974천주더차오즈린
1975녜웨이핑왕루난
1977녜웨이핑차오즈린
1978녜웨이핑천주더
1979녜웨이핑화이강



1966년부터 1973년까지는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대회가 중단되었다.[1] 1974년 대회가 재개되었고, 1975년부터 녜웨이핑이 4회 연속 우승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1] 1978년에는 여자부 대회가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쿵샹밍이 초대 우승자가 되었다.[1]

연도개최지1위2위
11978정저우시쿵샹밍천후이팡
21979베이징쿵샹밍양후이


2. 2. 중흥기 (1980년 ~ 1999년)

1980년대에는 녜웨이핑마샤오춘 등이 경쟁하며 중국 바둑의 중흥기를 이끌었다. 류샤오광, 첸위핑 등 새로운 강자들이 등장하여 경쟁 구도가 더욱 심화되었다. 1990년대에는 창하오, 저우허양 등 젊은 기사들이 등장하여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

연도우승자준우승자
1980류 샤오광마 샤오춘
1981녜웨이핑마 샤오춘
1982마 샤오춘샤오 쩐중
1983녜웨이핑샤오 쩐중
1984마 샤오춘녜웨이핑
1985팡 톈펑마 샤오춘
1986마 샤오춘샤오 쩐중
1987마 샤오춘량 웨이탕
1988첸 위핑류 샤오광
1989왕 장훙장 주지우
1990류 샤오광첸 위핑
1991마 샤오춘위빈
1992샤오 웨이강장 원둥
1993장 원둥위빈
1994차오 다위안위빈
1995창하오위빈
1996저우 허양위빈
1997딩웨이샤오 웨이강
1998추쥔위빈
1999저우 허양딩웨이


2. 3. 2000년대 이후

2000년대에는 쿵제, 셰허, 추쥔, 천 야오예, 왕시, 장리, 쑨 텅위, 장 웨이지에 등 새로운 강자들이 등장했다. 2010년대에는 퍄오원야오, 탄샤오, 미위팅, 저우허시, 리쉬안하오, 구쯔하오, 판인, 한 이저우, 천쯔젠 등 젊은 기사들이 우승하며 세대교체가 가속화되었다.

연도우승자준우승자
2001쿵제저우 허양
2002셰허펑 췐
2003쿵제펑 췐
2004추쥔리저
2005천 야오예셰허
2006왕시구 링이
2007장리왕 야오
2008쑨 텅위푸 총
2009장 웨이지에저우 루이양
2010퍄오원야오리캉
2011탄샤오마오 루이롱
2012미위팅롄샤오
2013저우허시양 딩신
2014리쉬안하오중원징
2015구쯔하오판 윈루오
2016판인셰얼하오
2017한 이저우판인
2018천쯔젠리웨이칭


3. 역대 우승자

연도개최지1위2위3위4위5위6위
11978정저우쿵샹밍천후이팡마얄란리양웨이신황먀오링
21979베이징쿵샹밍양후이진시첸허샤오런주저페이황리핑
31980러산양후이쿵샹밍허샤오런루이나이웨이진시첸주저페이
41981원저우양후이허샤오런루이나이웨이화쉐밍황리핑궈주안
51982베이징양후이루이나이웨이쿵샹밍니우리리펑윈궈주안
61983항저우펑윈루이나이웨이장쉬안쿵샹밍허샤오런양후이
71984광저우쿵샹밍루이나이웨이화쉐밍양후이진시첸장쉬안
81985난징양후이루이나이웨이쿵샹밍펑윈장쉬안황리핑
91986뤄양루이나이웨이쿵샹밍양후이펑윈오리팅진시첸
101987전장루이나이웨이쿵샹밍양후이장쉬안펑윈화쉐밍
111988베이징루이나이웨이양후이장쉬안쿵샹밍진시첸화쉐밍
121989푸저우루이나이웨이화쉐밍양후이쿵샹밍예구이장쉬안
131990롄윈강장쉬안펑윈양후이쉬잉후샤오링리춘화
141991베이징양후이펑윈예구이량야디리춘화쉬잉
151992베이징양후이화쉐밍예구이류타오펑윈리춘화
161993베이징화쉐밍쉬잉펑윈예구이왕후이리춘화
171994창사예진진쉬잉민나리춘화류타오예구이
181995광저우화쉐밍두위펑쉬잉천후이팡예구이리춘화
191996충칭리춘화화쉐밍쉬잉장쉬안예구이펑윈
201997안칭쉬잉장쉬안화쉐밍양후이쉔징리춘화
211998청두양후이장쉬안량야디, 정옌리잉멍자오위
221999항저우리춘화화쉐밍양후이왕루이쉬잉량야디
232000항저우쉬잉추이닝리춘화정옌차오청황자
242001닝보리춘화화쉐밍예구이정옌자첸량야디
252002청두탕잉량야디예구이위메이링화쉐밍판웨이징
262003항저우예구이차오청왕샹윈량야디추단윈예창
272004벙부쉬잉차오시야오왕샹윈정옌양쯔리춘화
282005지난왕샹윈왕판루자판웨이징탕이정옌
292006톈진쑹룽후이탕이왕샹윈차오요우인추이닝황자
302007더저우탕이왕샹윈차오요우인양쯔정옌왕니차오
312008선양왕천싱멍자오위차이비한예구이리위안쿤인밍밍
322009청더탕이정옌리샤오시천이밍차오요우인판웨이징
332010구이린차오요우인판웨이징왕천싱리허예구이쑹룽후이
342011샤오산차오요우인탕이쑹룽후이장위에란장페이페이왕천싱
352012차오저우왕천싱루자판웨이징리샤오시탕이차오요우인
362013항저우차오요우인왕샹윈쑹룽후이위즈잉장페이페이탕이
372014솽류위즈잉루자천이밍루민취안왕천싱탕이
382015우시왕천싱왕위보자강루쑹룽후이루자천이밍
392016샤오산리허왕천싱루민취안왕솽왕위보차이비한
402017주저우가오싱리신이위즈잉차오요우인천이밍왕솽
412018더저우왕솽루민취안추커얼가오싱판양저우훙위
422019우시리허왕천싱왕위보탕자원저우훙위천이밍



전국위기개인전 여자부 경기는 1978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19년 제42회 대회까지 매년 개최되었다. 2019년 이후의 기록은 '여자조'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3. 1. 남자조

회차연도개최지1위2위3위4위5위6위
11957년상하이궈티성천자모우류디화이황청천황용지류빙원
21958년광저우류디화이왕유천궈티성팡펑위안황청천황용지
31959년베이징류디화이궈티성황용지황청천팡펑위안정딩위안
41960년베이징황용지왕유천천주더궈티성류디화이자오즈화
51962년허페이궈티성천주더우쑹성둥원위안셴궈쑨진야셴
61964년항저우천주더우쑹성셴궈쑨황용지왕루난뤄젠원
71966년정저우천주더우쑹성뤄젠원왕루난황량위장푸티안
81974년청두천주더차오즈린녜웨이핑왕루난뤄젠원황더쉰
91975년베이징녜웨이핑왕루난천주더자오즈윈뤄젠원차오즈린
101976년허페이마오쩌둥 사망으로 결승전 열리지 않음
111977년하얼빈녜웨이핑차오즈린천즈강황더쉰청샤오류탄옌우
121978년정저우녜웨이핑천주더화이강천자루이장밍주왕췬
131979년베이징녜웨이핑화이강왕루난천주더쉬룽신양진화
141980년러산류샤오광마샤오춘천주더샤오전중리칭하이화이강
151981년원저우녜웨이핑마샤오춘청샤오류샤오전중화이강류샤오광
161982년베이징마샤오춘샤오전중화이강녜웨이핑류샤오광장밍주
171983년항저우녜웨이핑샤오전중차오다위안장주주황더쉰천린신
181984년광저우마샤오춘녜웨이핑류샤오광화이강첸위핑랴오구이융
191985년난징팡톈펑마샤오춘샤오전중류샤오광왕젠쿤숭쉐린
201986년뤄양마샤오춘샤오전중천린신랴오구이융왕젠훙량웨이탕
211987년전장마샤오춘량웨이탕차오다위안장주주숭쉐린왕훙쥔
221988년베이징첸위핑류샤오광천린신차오다위안장주주왕젠훙
231989년푸저우왕젠훙장주주위빈랴오구이융류샤오광량웨이탕
241990년롄윈강류샤오광첸위핑정훙위빈장원둥왕췬
251991년베이징마샤오춘위빈루안윈성탄옌오차오다위안류샤오광
261992년베이징사오웨이강장원둥저우허양마시천린신위빈
271993년베이징장원둥위빈저우허양루안윈성왕레이창하오
281994년창사차오다위안위빈첸위핑창하오공동 5위 왕젠훙, 우자오이
291995년광저우창하오위빈차오다위안장원둥우자오이왕젠홍
301996년충칭저우허양위빈왕레이양쯔하이장원둥린펑, 추쥔
311997년안칭딩웨이사오웨이강둥옌왕레이뤄시허저우쥔쉰
321998년청두추쥔위빈정훙둥옌공동 5위 후야오위, 쿵제
331999년항저우저우허양딩웨이공동 3위 왕레이, 왕야오류싱차오다위안
342000년항저우뤄시허사오웨이강셰허황이중양이왕레이
352001년닝보쿵제저우허양뤄시허딩웨이황이중펑취안
362002년청두셰허펑취안저우쥔제구리후야오위장원둥
372003년항저우쿵제펑취안류스전황이중추쥔구리
382004년벙부추쥔리저후야오위펑취안왕위후이황이중
392005년지난천야오예셰허딩웨이퍄오원야오추쥔장쉐빈
402006년톈진왕시구링이추쥔쿵제스웨왕야오
412007년더저우장리왕야오저우루이양퍄오원야오쿵제주위안하오
422008년선양쑨텅위푸충구링이퉈자시왕타오왕하오양
432009년청더장웨이제저우루이양왕레이스웨장야보랴오싱원
442010년구이린퍄오원야오리캉탕웨이싱스웨류시장웨이제
452011년항저우샤오산탄샤오마오루이룽퉁위린스웨구링이퉈자시
462012년차오저우미위팅롄샤오퉈자시리캉펑리야오마오루이룽
472013년항저우저우허시양딩신장타오펑리야오탄샤오중원징
482014년청두리쉬안하오중원징장타오왕하오양안둥쉬리밍
492015우시구쯔하오판윈뤄리쉬안하오저우허시푸충샤천쿤
502016항저우판인셰얼하오궈위정중원징딩하오주위안하오
512017더저우한이저우판인왕쩌진리밍랴오위안허장치룬
52[2]2018주저우천쯔젠리웨이칭옌자이밍왕쩌진왕숴한이저우
53[3]2019우시천셴판윈뤄차이징왕싱하오선페이란왕쩌진
54[4]2022우시쉐관화선페이란천위농왕시루롱이천이춘
55[5]2023선전시왕스이천이춘리하오퉁진위청왕춘후이양즈원
56[6]2024선전왕스이황윈쑹펑리야오황밍위자오천위퉈자시


3. 2. 여자조

회차연도1위2위3위4위5위6위
11978쿵샹밍천후이팡마아란리양웨이신황먀오링
21979쿵샹밍양후이진첸첸허샤오런주쥐페이황리핑
31980양후이쿵샹밍허샤오런루이나이웨이진첸첸주쥐페이
41981양후이허샤오런루이나이웨이화쉐밍황리핑궈줜
51982양후이루이나이웨이쿵샹밍니우리리펑윈궈줜
61983펑윈루이나이웨이장쉬안쿵샹밍허샤오런양후이
71984쿵샹밍루이나이웨이화쉐밍양후이진첸첸장쉬안
81985양후이루이나이웨이쿵샹밍펑윈장쉬안황리핑
91986루이나이웨이쿵샹밍양후이펑윈아오리팅진첸첸
101987루이나이웨이쿵샹밍양후이장쉬안펑윈화쉐밍
111988루이나이웨이양후이장쉬안쿵샹밍진첸첸화쉐밍
121989루이나이웨이화쉐밍양후이쿵샹밍예구이장쉬안
131990장쉬안펑윈양후이쉬잉후샤오링리춘화
141991양후이펑윈예구이량야디리춘화쉬잉
151992양후이화쉐밍예구이류타오펑윈리춘화
161993화쉐밍쉬잉펑윈예구이양후이리춘화
171994예진진리잉민나리춘화류타오예구이
181995화쉐밍두위펑쉬잉천후이팡예구이리춘화
191996리춘화화쉐밍쉬잉장쉬안예구이펑윈
201997쉬잉장쉬안화쉐밍양후이선징리춘화
211998양후이장쉬안량야디
정옌
리잉멍자오위
221999리춘화화쉐밍양후이왕루이쉬잉량야디
232000쉬잉추이닝리춘화정옌차오청황자
242001리춘화화쉐밍예구이정옌자첸량야디
252002탕잉량야디예구이위메이링화쉐밍판웨이징
262003예구이차오청왕샹윈량야디추단윈예창
272004쉬잉차오스야오왕샹윈정옌양쯔리춘화
282005왕샹윈왕판루자판웨이징탕이정옌
292006쏭롱후이탕이왕샹윈차오유인추이닝황자
302007탕이왕샹윈차오유인양쯔정옌왕니차오
312008왕천싱멍자오위차이비한예구이리위안쿤인밍밍
322009탕이정옌리샤오시천이밍차오유인판웨이징
332010차오유인판웨이징왕천싱리허예구이쏭롱후이
342011차오유인탕이쏭롱후이장웨란장페이페이왕천싱
352012왕천싱루자판웨이징리샤오시탕이차오유인
362013차오유인왕샹윈쏭롱후이위즈잉장페이페이탕이
372014위즈잉루자천이밍루민취안왕천싱탕이
382015왕천싱왕위보자강루쏭롱후이루자천이밍
392016리허왕천싱루민취안왕솽왕위보차이비한
402017가오싱리신이위즈잉차오유인천이밍왕솽
41[7]2018왕솽루민취안추커얼가오싱판양저우훙위
422019리허왕천싱왕위보탕자원저우훙위천이밍
432022저우훙위위즈잉가오싱루자왕위보뤄추웨
442023위즈잉뤄추웨우이밍리스쉬안리허탕자원
452024저우훙위루민취안우이밍위즈잉리스쉬안탕이


4. 대회 방식

전국위기개인전은 스위스 방식 리그전으로 진행되며, 1위부터 순위를 결정하여 6위까지 입상한다. 남자부는 2017년까지 11라운드, 2018년부터 13라운드를 치르며, 여자부는 9라운드를 치른다. 중년조는 5라운드를 치른다.[1]

참조

[1] 뉴스 新浪体育「全国围棋锦标赛争夺激烈 鲁军伊凌涛周子弈连战连捷」 https://sports.sina.[...] 新浪体育 2024-12-10
[2] 뉴스 新浪体育 个人赛男子组落幕 陈梓健夺冠於之莹排名第21 http://sports.sina.c[...] 新浪体育
[3] 뉴스 新浪体育「个人赛陈贤首夺冠军 华学明:中国围棋贵在传承」 http://sports.sina.c[...] 新浪体育
[4] 뉴스 搜狐「全国围棋个人赛圆满落幕 薛冠华周泓余力压群雄夺冠」 https://www.sohu.com[...] 搜狐 2023-09-17
[5] 뉴스 新浪体育「围棋个人赛王世一於之莹夺冠」 https://sports.sina.[...] 新浪体育 2023-11-27
[6] 뉴스 新浪体育「全国个人赛落幕 王世一周泓余罗洗河分获各组冠军」 https://sports.sina.[...] 新浪体育 2024-12-15
[7] 뉴스 新浪体育 个人赛女子组王爽夺冠个人赛女子组王爽夺冠 http://sports.sina.c[...] 新浪体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