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칭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남서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장강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남송 시대에 안칭부로 개칭된 이후 안후이성의 성회(省会)가 되기도 했다. 주요 산업은 석유 화학, 방직, 자동차 부품 등이며, 황메이극의 발상지이자 중요한 교통 요충지로서, 안칭 양쯔강 대교, 안칭 톈주산 공항, 난징-안칭 시내 철도 등을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된다. 안칭 출신 인물로는 5.4 운동의 주도자이자 중국 공산당 창시자인 천두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후이성의 지급시 - 허페이시
    허페이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안후이성의 성도로, 산업 도시로 성장하여 현재는 첨단 기술 산업과 교육 및 연구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 안후이성의 지급시 - 츠저우시
    츠저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남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1개 시할구와 3개 현으로 구성되며, 난징-안칭 시외 철도, 퉁링-주장 철도, 츠저우 지우화산 공항이 있어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하고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인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안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안칭 시
로마자 표기Ānqìng
기타 명칭안킹
별칭이청 (宜城)
행정 구역 유형지급시
지리
좌표좌표: 30°31′55″N 117°06′55″E
면적13,486.6 km²
도시 면적821 km²
행정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 성
현급 행정 구역11개
향급 행정 구역불명
정부 소재지이슈 구
중국 공산당 서기웨이샤오밍 (魏晓明)
시장천빙빙 (陈冰冰)
차량 번호판완H
인구
총 인구 (2020년)4,165,284명
도시 인구804,493명
경제
GDPCN¥ 2,657억 (345억 미국 달러)
1인당 GDPCN¥ 63,699 (9,874 미국 달러)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CST)
우편 번호246000
지역 번호0556
ISO 3166-2CN-AH-08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안칭시는 한나라 시대인 기원전 2세기에 도시가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 중세 남송 시대를 거치며 현재의 '안칭'이라는 이름을 얻고 도시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청나라 때에는 안후이성의 성회(省會)가 되어 약 170년간 행정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근대에 들어서는 태평천국운동의 주요 거점이자 수도였으며,[5] 이후 조약항으로 개항하고 중일 전쟁을 겪는 등 격동의 시기를 보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18][19]

2. 1. 고대 및 중세

톈주산 산정


잉장 사원 진펑탑. "만리 장강 제일의 탑"으로 칭송받았다


안칭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고고학 조사를 통해 신석기 시대 유적인 쉐자강 문화의 기준 유적(첸산 현 쉐자강 유적) 등이 발견되었다.

진나라 때는 구장군에 속했고, 한대·삼국 시대·서진 시대에는 여강군 완현(皖縣)이었다. 도시는 한나라 때인 기원전 2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진과 남조 시기에는 진희군 회녕현(懷寧縣)이 되었으며, 현재 다관 구(大観区) 산커우 향(山口郷)과 퉁링시 총양현 총양 진(樅陽鎮) 부근에 각각 완커우성(皖口城)과 뤼멍성(呂蒙城)이 세워져 장강 북안의 중요한 군사 요새 역할을 했으나, 전란 후 폐허가 되었다.

수대에는 퉁안군(同安郡), 당대·오대 십국·북송 시대에는 수주(舒州)라 불렸다. 남송 시대인 1195년(경원 원년)에 수주 안칭군(安慶軍)이 안칭부(安慶府)로 승격되었고(당시 안칭부의 행정 중심지는 현재의 첸산 시에 있었다), 이때부터 '안칭'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1217년(가정 10년), 금나라의 남침을 막기 위해 안칭부 지부(知府) 황간(黃幹)이 다룽산(大龍山) 남쪽, 장강 북안의 현재 안칭 시가지에 성을 쌓기 시작했다.[4] 1231년(소정 4년) 지부 자오 모(趙某)가 2차 축성을 계획했으나 완성되지 못했다. 1260년(경정 원년), 연강제치사(沿江制置大使) 마광쭈(馬光祖)가 최종적으로 안칭성을 완성했고, 안칭부의 행정 중심지와 회녕현이 모두 성 안으로 이전하면서 현재 안칭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원나라 때는 하남행성의 안칭로(安慶路)가 되었고, 1361년 주원장에 의해 안칭부가 다시 설치되었다. 청대1667년(강희 6년)에 안칭부와 휘주부의 이름을 따 안후이성이 설치되었다. 안후이성의 행정 중심지(포정사사)는 오랫동안 강녕부(현재의 난징)에 있었으나, 1760년(건륭 25년)에 안칭성으로 이전하면서 안칭이 성도(省會)가 되었다.

2. 2. 태평천국운동 시기

1853년 6월부터 1861년 12월까지 약 9년 동안 안칭은 태평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5] 이 시기 안칭은 태평천국운동의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태평천국 안후이성의 수도 역할을 했다.[5] 청나라 후기인 1853년(함풍 3년), 태평천국군이 장강 연안의 거점으로 삼아 안칭성을 함락시키자, 안후이성 순무 아문은 노주부(현재의 허페이)로 이전해야 했다. 태평천국의 서쪽 거점 도시가 된 안칭은 이후 청군과 태평천국군이 치열하게 쟁탈하는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1860년청나라 군대가 도시를 포위하면서 마지막 안칭 전투가 시작되었고,[5] 1861년(함풍 11년) 증국번이 조직한 상군과 기타 청나라 군대는 격렬한 농성전 끝에 마침내 안칭을 탈환했다.[5] 이 과정에서 태평천국군 병사들의 격렬한 저항은 오늘날까지도 안칭에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안칭 주변에서 끊임없이 이어진 전투는 도시를 크게 황폐화시켰고, 완전히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5]

안칭 탈환 이후 증국번은 이곳에서 태평천국 공략을 지휘했으며, 이 기간 동안 무기 제조가 이루어지면서 안칭은 군수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기도 했다.

2. 3. 근현대

1853년부터 1861년까지 태평천국운동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1853년 6월 태평천국군에 점령되어 약 9년 동안 태평천국 안후이성의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5] 그러나 1860년부터 청나라 군대의 포위 공격이 시작되었고, 1861년 12월 증국번이 이끄는 상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이 과정에서 벌어진 치열한 안칭 전투로 도시는 크게 황폐화되었으며,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5] 이후 증국번은 안칭에서 태평천국 공략을 지휘하며 무기 제조를 장려했고, 이로 인해 안칭은 잠시 군수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기도 했다.

1876년 영국과의 지푸 조약 체결 이후, 안칭은 장강 연안의 조약항으로 개항되었다. 1938년에는 중일 전쟁일본군에 점령되어 또다시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시기 안후이성 정부는 다른 지역으로 이전했으며, 전쟁 후에도 돌아오지 않아 안칭은 170여 년간 유지했던 성도(省都)의 지위를 허페이에 넘겨주게 되었다. 이로 인해 과거 '양쯔강 5호(五虎)' 중 하나로 불리던 위상도 점차 잃어갔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안칭 지역의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안칭시 행정 구역 변천 주요 과정'''[18][19]
연도주요 내용
1949년 10월완베이행서구 안칭 전구(安慶專區) 설치. 화이닝현, 왕장현, 수쑹현, 타이후현, 웨시현, 첸산현, 퉁청현, 후둥현 관할.
1951년 1월화이닝현 일부를 분리하여 현급 안칭시(安慶市) 설치.
1951년 8월현급 안칭시가 지급시 안칭시로 승격.
1952년 3월완난행서구 츠저우 전구의 퉁링현, 구이츠현, 칭양현, 즈더현, 둥류현 편입.
1952년 8월안후이성 성립으로 안후이성 안칭 전구가 됨. 지급시 안칭시는 안후이성 직할시가 됨.
1955년안칭시 내 구역 개편 (성중구, 성서구, 성동구 → 서시구, 동시구, 교구).
1956년 5월지급시 안칭시가 현급시로 강등되어 안칭 전구에 편입.
1958년 9월퉁관산시(현 퉁링시)를 편입하고 퉁링현을 통합하여 현급 퉁링시로 개칭.
1959년 3월현급 안칭시가 다시 지급시 안칭시로 승격. 칭양현, 둥류현, 즈더현, 왕장현, 화이닝현 일부 등을 통폐합.
1960년 1월현급 퉁링시가 지급시 퉁링시로 승격되어 분리.
1961년 12월통폐합되었던 칭양현, 화이닝현, 왕장현 재설치.
1965년 5월구이츠현, 퉁링현, 칭양현, 둥즈현이 신설된 츠저우 전구(池州專區)로 이관. 지급시 안칭시가 다시 현급시로 강등되어 안칭 전구에 편입.
1971년 3월안칭 전구가 안칭 지구(安慶地區)로 개칭.
1979년 11월현급 안칭시가 다시 지급시 안칭시로 승격되어 안칭 지구에서 분리.
1980년 1월츠저우 지구의 둥즈현, 구이츠현 편입.
1987년 11월후이저우 지구의 스타이현 편입.
1988년 8월안칭 지구와 지급시 안칭시가 합병하여 새로운 지급시 안칭시 출범. 기존 안칭 지구 소속 현들을 관할하게 됨.



안칭 시가지 (2010년)

3. 지리

안칭시는 안후이성 남서부, 양쯔강 하류 북안에 위치한다. 북서쪽으로는 안후이성, 후베이성, 허난성의 경계를 이루는 다비 산맥의 산지가 펼쳐져 있다. 양쯔강 연안에는 많은 호수가 분포한다.

인접 행정 구역
방향행정 구역
퉁링시
남동츠저우시
지우장시 (장시성)
황강시, 어저우시 (후베이성)
루안시
북동허페이시



전체 면적은 16300km2이며, 이 중 도시 지역은 550km2로 전체 면적의 약 3.4%를 차지한다.

3. 1. 기후

안칭은 4계절이 뚜렷한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 (쾨펜 ''Cfa'')로, 춥고 습한 겨울과 매우 덥고 습한 여름이 특징이다. 겨울에는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북서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도 하지만, 눈은 드물게 내린다. 여름에는 35°C를 넘는 무더운 날씨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월평균 기온은 1월 4.4°C에서 7월 29.1°C까지 분포하며, 연평균 기온은 약 17.3°C이다. 강수량은 메이위(장마) 시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겨울철 강수량은 비교적 적다. 월평균 일조율은 3월 33%에서 8월 49%까지 다양하며, 연간 총 일조 시간은 약 1,747시간이다.[9]

안칭시의 기후 (1991년~2020년 평년값, 극값 1951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24°C27.4°C32.1°C33.8°C36.1°C38.3°C39.8°C40.9°C38°C35.1°C30°C24.5°C40.9°C
평균 최고 기온 °C (°F)7.8°C10.7°C15.5°C21.9°C26.9°C29.5°C32.8°C32.3°C28.3°C23°C16.8°C10.3°C21.3°C
일평균 기온 °C (°F)4.4°C6.9°C11.3°C17.4°C22.6°C25.7°C29.1°C28.5°C24.4°C18.8°C12.5°C6.5°C17.3°C
평균 최저 기온 °C (°F)1.7°C4°C8°C13.7°C19°C22.8°C26.1°C25.6°C21.4°C15.6°C9.3°C3.6°C14.2°C
역대 최저 기온 °C (°F)-10.1°C-12.5°C-5°C-0.3°C7.8°C13.2°C16°C17.6°C11.7°C3°C-3.8°C-8.5°C-12.5°C
평균 강수량 mm (인치)63.680.1124.4150.8174.5268.6251.0137.462.861.166.738.21,479.2
평균 강수일수 (≥ 0.1 mm)10.810.713.712.912.413.511.811.27.58.18.87.9139.3
평균 강설일수4.42.41.100000000.41.59.8
평균 상대 습도 (%)75747473747977787673747275
월평균 일조시간97.1100.5123.6150.2162.5140.5203.4197.7162.6155.3130.9122.51,746.8
일조율30323339383348494444413939
출처: 중국 기상청[10][11] Pogodaiklimat.ru (극값)[12]


4. 행정 구역

안칭시 현급행정구역도


안칭 시는 3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5개의 현을 포함한 10개의 현급 행정 구역을 관할한다.[8]

안칭시 행정 구역 목록
구분명칭한자
시할구잉장 구迎江区zho
다관 구大观区zho
이슈 구宜秀区zho
현급시퉁청 시桐城市zho
첸산 시潜山市zho
화이닝 현怀宁县zho
타이후 현太湖县zho
쑤쑹 현宿松县zho
왕장 현望江县zho
웨시 현岳西县zho


5. 경제

안칭시의 주요 산업은 석유 화학, 방직, 자동차 부속품, 식품과 등이다.

2003년 기준 안칭시의 국내 총생산(GDP)은 323.6억위안이었으며, 1인당 GDP는 5352CNY으로 중국 동부 연안 지역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또한 공업항만 무역이 발달한 도심 지역과 농업 중심의 주변 현 지역 간 경제적 불균형도 나타나고 있다.

안칭시의 주력 산업은 1차 산업이며, 특히 농업 부문에서는 주변 산지의 차밭에서 생산되는 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공업 분야에서는 섬유 산업과 전기 제품 제조가 중심이다. 과거 부진했던 국영 기업을 대신하여 민영 기업의 성장과 외국 자본 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수출 대상 국가는 일본미국 등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방직 분야의 화마오 그룹과 석유 화학 분야의 안칭시 석유화학 공장 등이 있다.

6. 교통

안칭시는 양쯔강을 중심으로 항공, 철도, 도로, 수상 교통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안칭 톈주산 공항, 안칭 역, 안칭 서역 등이 있으며, 양쯔강을 횡단하는 안칭 양쯔강 대교는 도시의 중요한 교통 기반 시설이다.

과거에는 양쯔강 수운이 물류의 중심이었으나, 1995년 철도 개통을 시작으로 현대적인 교통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특히 2015년 난징-안칭 시내 철도 개통과 고속도로망 확충으로 난징, 상하이, 허페이, 우한 등 주요 도시와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현재 우한-항저우 고속철도 건설도 진행 중이어서 교통 편의성은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시내 교통으로는 버스가 운행되며, 일부 노선은 외국계 기업과의 합작으로 운영되고 있다.

6. 1. 항공

안칭 톈주산 공항이 안칭시의 항공 교통을 담당한다. 이 공항은 군용 공항과 함께 사용되며, 베이징을 비롯한 중국 내 주요 도시로 정기 여객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6. 2. 철도

오랫동안 철도가 없던 안칭시는 1995년 10월 허페이와 주장을 잇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철도 교통 시대가 시작되었다. 주요 역으로는 안칭 역과 안칭 서역이 있으며, 안칭 역에서는 중국철로고속(CRH)을 이용할 수 있다.

2015년 12월에는 난징-안칭 시내 철도가 개통되어 난징까지 90분, 상하이까지 3시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우한-항저우 고속철도 노선도 건설 중에 있어 향후 철도 교통망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안칭역

6. 3. 도로

안칭시에는 양쯔강을 건너는 주요 도로 시설로 안칭 양쯔강 대교가 있다.

안칭 양쯔강 대교


고속도로망으로는 허페이주장을 거쳐 우한으로 이어지는 허안 고속도로가 시를 관통하며, 상하이와 허페이를 잇는 후룽 고속도로도 시역을 지난다.

시내 버스 운영 업체 중 하나인 안칭 중베이 버스 회사는 난징 공공 시설 개발과 RATP Dev Transdev Asia(RDTA)의 합작 투자 회사이다. RDTA는 프랑스의 Transdev와 RATP Dev 간의 합작 회사이다.

6. 4. 항만

안칭시는 철도가 개통되기 전까지 양쯔강의 수운을 통해 물류를 운송했다. 오랜 역사 동안 양쯔강을 오가는 선박들이 안칭을 주요 물자 집산지로 이용해 왔다. 현재 안칭항은 양쯔강 10대 항만 중 하나로, 5000ton급 선박이 접안 가능한 부두, 석유 등 특정 화물 전용 부두, 연안 지역으로 승객을 실어 나르는 페리 부두 등을 갖추고 있다. 1997년 이후 항만 시설을 정비하여 ISO 표준 해상 컨테이너 취급이 가능해져 물류 운송이 더욱 편리해졌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외국 선박에도 항구를 개방하여 안칭항에서 직접 국내외(일본 등)로 선박이 운항하고 있다.

7. 문화

안칭 시민들은 간어, 오어, 하류 양쯔 관화가 혼합된 독특한 방언을 사용한다. 이는 안후이성의 다른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후이저우어와는 상당히 다르다.[6][7]

또한 안칭 출신 배우들은 경극 발전에 일찍부터 참여하여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경극의 언어 억양과 문화적 뉘앙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안칭은 중국의 주요 희곡 중 하나인 황메이극의 고향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7. 1. 황메이극

황메이극은 중국의 6대 희곡 중 하나이다. 이름은 후베이성 황메이현에서 유래했지만, 실제로는 안칭시 주변, 특히 수쑹현 부근에서 발전하였다. 19세기 중반에는 무용과 노래를 결합한 본격적인 희곡 형태로 자리 잡았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안칭 시민들은 간어, 오어, 하류 양쯔 관화가 혼합된 독특한 방언을 사용하는데, 이는 안후이성의 다른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후이저우어와는 상당히 다르다.[6][7] 황메이극은 바로 이 안칭 지역 방언으로 공연되는 것이 특징이다.[6][7]

안칭시는 황메이극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1992년, 1996년, 2003년에 황메이극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황메이극의 전승과 발전에 힘쓰고 있다.

8. 관광


  • 진펑탑 (振风塔): 1570년 명나라 때 건설되었으며, 양쯔 강 유역의 안칭에 위치한 잉장 사 안에 있다. 석탑으로 "만리 장강 제일의 탑"으로 칭송받는다.

  • 고아산 (孤鹅山): 쑤쑹 현의 양쯔 강 한가운데 있는 바위 언덕이다.
  • 천주산 (天柱山): 첸산 현에 있는 명산으로, 주봉인 "천주봉"은 안후이성 장강 북안의 최고봉이다. 옛날에는 "고남악"이라고도 불렸으며, 명승지로 유명하다.

  • 다룽산 (大龙山): 안칭시 북쪽에 있는 수려한 봉우리로, 산림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잉장 사 (迎江寺): 장강 중하류에 위치한 유명 사찰이다.
  • 천두슈 묘: 중국 공산당의 주요 창립자 중 한 명인 천두슈의 묘소이다.
  • 바이야자이 (白崖寨): 쑤쑹 현 북부에 있는 풍경구이다.
  • 화팅호 (花亭湖): 타이후 현의 풍경구이다.

9. 출신 인물


  • 장정옥: 청나라의 학자.
  • 천두슈(진독수): 화이닝현(현재의 다관구) 출신. 중화민국 시기 5.4 운동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중국 공산당 창립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청쉐핑: 중국의 유명 IT 기술자.
  • 자오푸추: 타이후현 출신. 중국 공산당 산하의 중국 불교 협회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던 종교계 인사이다.
  • 옌펑잉: 저명한 황메이극 배우.
  • 황전: 쭝양현 출신으로, 중국인민해방군 장군이다.

10. 자매 도시

국가도시
-- 일본이바라키시
-- 미국칼라바사스[17]


참조

[1] 서적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14th Annual Edition http://www.demograph[...] Demographia 2018-06-15
[2] 웹사이트 China: Ānhu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3] 웹사이트 《安徽统计年鉴2022》电子查阅版 http://tjj.ah.gov.cn[...] 2022-10-18
[4] 웹사이트 Index http://www.anqing.go[...] 2023-07
[5] 서적 The Taiping Heavenly Kingdom: Rebellion and the Blasphemy of Empire
[6] 서적 Introduction to Chinese Dialectology LINCOM Europa
[7] 서적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Walter de Gruyter
[8] 웹사이트 2023年用区划代国家局 https://www.stats.go[...] 2024-06-17
[9] 웹사이트 安庆气候背景分析 http://www.weather.c[...] 2024-06-18
[10]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7
[11]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7
[12] 웹사이트 Climate Anqing http://www.pogodaikl[...] 2024-12-09
[13] 웹사이트 安徽安庆长江大桥今日建成通车 https://news.sina.co[...] 2004-12-17
[14] 웹사이트 Anqing (Anhui) City Information http://m.hktdc.com/b[...] Hong Kong Trade Development Council 2016-11-14
[15] 뉴스 Nanjing – Anqing PDL opened http://www.railwayga[...] 2015-12-07
[16] 웹사이트 RDTA website https://www.rdta.asi[...] 2017-12-25
[17] 뉴스 Sister-city delegation from Anqing, China meets in Calabasas https://www.theacorn[...] 2003-10-09
[18]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19] 웹사이트 安徽省 https://www.xzqh.org[...]
[20]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6-27
[21] 웹인용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