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기공사공제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전기공사공제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전기공사업자의 자금 융자, 보증, 공제 사업 등을 수행한다. 1982년 전기공사공제조합법 제정 및 공포 이후, 1983년 창립총회를 통해 김영신 이사장을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하고 영업을 시작했다. 이후 지점 확대를 통해 전국적인 서비스망을 구축했으며, 근로자재해공제, 영업배상공제 등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또한, ISO 인증 획득 및 상조회사 설립 등 경영 혁신을 추진하며, 현재 전국에 지점 및 출장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강원랜드
    강원랜드는 폐광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유일의 내국인 출입 가능 카지노 및 복합 리조트이며, 카지노, 호텔, 콘도미니엄, 골프장, 스키장 등을 운영하지만 도박 중독, 범죄 증가, 비리 등 사회적 문제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 특수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상공회의소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경제 단체로, 국가기술자격검정, 인력개발, 정보화 지원, 국제 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 72개 지역 상공회의소와 주한외국상공회의소를 통해 지역 경제 및 국제 교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고, 회장은 서울상공회의소 회장이 겸임하며 현 회장은 최태원이다.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헌법재판연구원
    헌법재판연구원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 관련 연구 및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헌법 및 헌법재판 제도 연구, 국내외 이론 및 판례 연구, 헌법 교육 등을 수행하며 연구교수부와 기획행정과로 구성된다.
전기공사공제조합
기본 정보
전기공사공제조합 로고
전기공사공제조합 로고
설립일1989년 1월 21일
설립 근거전기공사업법 제30조
주무부처산업통상자원부
법적 성격비영리 특수법인
조합원 수11,000여 조합원 (2023년 기준)
자산 규모4조 8천억원 (2024년 5월 기준)
주요 사업공제사업
보증사업
융자사업
투자사업
공제 상품 개발 및 운영
본사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로 171, 6층 (마곡동, 엠플러스)
대표자백남길
연혁
1989년전기공사공제조합 창립
1992년보증 사업 개시
1994년융자 사업 개시
2003년건설공사 하도급 보증 사업 개시
2006년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2008년창립 20주년
2013년서울보증보험과 업무 협약 체결
2014년창립 25주년
2019년창립 30주년
2020년디지털 전환 추진
2023년ESG 경영 도입
조직
총회조합의 최고 의결 기관
이사회조합의 업무 집행 기관
감사조합의 회계 감사 기관
사무국조합의 업무 집행 부서
사업 종류
공제 사업전기공사 하자보수 공제
영업배상책임 공제
재산종합 공제
보증 사업계약 보증
하자 보증
선급금 보증
하도급 보증
유류할인 구매 보증
융자 사업조합원 긴급 경영 자금 융자
기술 개발 자금 융자
투자 사업부동산 투자
주식 투자
채권 투자
기타
공식 웹사이트전기공사공제조합 공식 웹사이트

2. 설립 근거

전기공사공제조합법 제1조[1]

3. 연혁

1982년 11월, 전기공사공제조합법(법률 제3570호)이 제정 및 공포되었다. 1983년 5월에는 전기공사공제조합법시행령(대통령령 제11130호)이 제정 및 공포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전기공사공제조합정관 제정이 인가되었다. 1983년 8월 창립총회에서 초대 이사장으로 김영신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10월에는 영업부와 북부지점을 설립하여 등기를 완료하였다.

1984년 9월 대구와 전남지점을, 1985년 9월에는 부산과 충남지점을 개설하였다. 1986년 7월에는 제2대 이사장으로 김영신 이사장이 재선출되었고, 1988년 10월에는 경기지점을 개설하였다. 1989년 2월에는 제3대 이사장으로 김철수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1990년 5월에는 전북, 경남지점이 개설되었다.

1991년 7월 춘천, 청주, 인천지점을 개설하고, 8월에는 제주, 서울남부지점을 개설했다. 1992년 2월에는 제4대 김철수 이사장이 재선출되었다. 1993년 7월에는 강릉, 목포, 포항, 울산출장소를 개설했고, 1994년 7월에는 예산, 순천, 안동출장소를 개설했다. 1995년 2월에는 제5대 최현수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7월 조합회관을 준공했다. 1997년 8월에는 울산출장소가 울산지점으로 승격되었고, 1998년 2월에는 제6대 최종윤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2001년 2월, 제7대 남병주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2003년 7월에는 진주출장소를 개설하였고, 10월에는 서울서부지점을 개설하고 신CI를 선포하였다. 2004년 2월, 제8대 이사장에 남병주 이사장이 재선출되었다.

2005년 7월, 재단법인 전기공사공제조합장학회를 설립하였다. 2006년 5월에는 의정부지점을 개설하였고, 2007년 7월에는 서울동부지점을 개설하였다. 같은 해 2월, 제9대 강이원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2008년 6월, 근로자재해공제사업을 실시하였고, 2009년 6월에는 영업배상공제사업을 실시하였다. 2010년 2월, 제10대 오두석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4월에는 단체상해공제사업을 실시하였다.

2011년 4월,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상조회사 엘비라이(주)를 설립하였다. 2013년 2월에는 제11대 오두석 이사장이 연임되었고, 2014년 12월에는 공사손해공제사업을 실시하였다. 2015년 7월에는 홍성지점을 개설하였다.

2016년 2월, 제12대 김성관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국제신용평가 A-등급을 획득하고, 11월에는 ISO9001:2015 인증을 획득하였다. 또한, 서울지점을 개설하여 서울동부, 중부, 서부, 남부지점을 통합하였으며, 글로벌스탠더드 혁신경영대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10월에는 ISO10002:2014 인증을 획득하고, 글로벌스탠더드 혁신경영대상을 2년 연속 수상하였다. 2018년 10월에는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표창을 수상하였다.

2019년 2월, 제13대 김성관 이사장이 연임되었으며, 12월에는 나주출장소를 개설하고 목포, 순천, 진주출장소를 폐쇄하였다. 2022년 2월에는 제14대 백남길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3. 1. 설립 초기 (1982년 ~ 1990년)

1982년 11월, 전기공사공제조합법(법률 제3570호)이 제정 및 공포되었다. 1983년 5월에는 전기공사공제조합법시행령(대통령령 제11130호)이 제정 및 공포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전기공사공제조합정관 제정이 인가되었다. 1983년 8월 창립총회에서 초대 이사장으로 김영신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10월에는 영업부와 북부지점을 설립하여 등기를 완료하였다.

1984년 9월 대구와 전남지점을, 1985년 9월에는 부산과 충남지점을 개설하였다. 1986년 7월에는 제2대 이사장으로 김영신 이사장이 재선출되었고, 1988년 10월에는 경기지점을 개설하였다. 1989년 2월에는 제3대 이사장으로 김철수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1990년 5월에는 전북, 경남지점이 개설되었다.

3. 2. 지점 확장 및 성장기 (1991년 ~ 2000년)

1991년 7월 춘천, 청주, 인천지점을 개설하고, 8월에는 제주, 서울남부지점을 개설했다. 1992년 2월에는 제4대 김철수 이사장이 재선출되었다. 1993년 7월에는 강릉, 목포, 포항, 울산출장소를 개설했고, 1994년 7월에는 예산, 순천, 안동출장소를 개설했다. 1995년 2월에는 제5대 최현수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7월 조합회관을 준공했다. 1997년 8월에는 울산출장소가 울산지점으로 승격되었고, 1998년 2월에는 제6대 최종윤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3. 3. 서비스 다각화 및 혁신 (2001년 ~ 2010년)

2001년 2월, 제7대 남병주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2003년 7월에는 진주출장소를 개설하였고, 10월에는 서울서부지점을 개설하고 신CI를 선포하였다. 2004년 2월, 제8대 이사장에 남병주 이사장이 재선출되었다.

2005년 7월, 재단법인 전기공사공제조합장학회를 설립하였다. 2006년 5월에는 의정부지점을 개설하였고, 2007년 7월에는 서울동부지점을 개설하였다. 같은 해 2월, 제9대 강이원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2008년 6월, 근로자재해공제사업을 실시하였고, 2009년 6월에는 영업배상공제사업을 실시하였다. 2010년 2월, 제10대 오두석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4월에는 단체상해공제사업을 실시하였다.

3. 4. 사회공헌 확대 및 경영 혁신 (2011년 ~ 현재)

2011년 4월,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상조회사 엘비라이(주)를 설립하였다. 2013년 2월에는 제11대 오두석 이사장이 연임되었고, 2014년 12월에는 공사손해공제사업을 실시하였다. 2015년 7월에는 홍성지점을 개설하였다.

2016년 2월, 제12대 김성관 이사장이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국제신용평가 A-등급을 획득하고, 11월에는 ISO9001:2015 인증을 획득하였다. 또한, 서울지점을 개설하여 서울동부, 중부, 서부, 남부지점을 통합하였으며, 글로벌스탠더드 혁신경영대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10월에는 ISO10002:2014 인증을 획득하고, 글로벌스탠더드 혁신경영대상을 2년 연속 수상하였다. 2018년 10월에는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표창을 수상하였다.

2019년 2월, 제13대 김성관 이사장이 연임되었으며, 12월에는 나주출장소를 개설하고 목포, 순천, 진주출장소를 폐쇄하였다. 2022년 2월에는 제14대 백남길 이사장이 취임하였다.

4. 조직

4. 1. 총회

4. 2. 이사회

전기공사공제조합의 이사회는 이사장, 부이사장, 상근감사(준법관리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사실을 두고 있다.

5. 지점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전국에 17개 지점 및 4개 출장소를 운영하고 있다.


  • * 서울/경기/인천 지역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지점을 두고 조합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지점, 인천지점, 수원지점, 의정부지점이 해당 지역에 위치해 있다.

  • * 강원 지역


춘천시에 춘천지점과 강릉시에 강릉출장소가 있다.

  • * 충청 지역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충청 지역에 대전지점, 청주지점, 홍성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 * 영남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지점), 대구광역시 (대구지점), 울산광역시 (울산지점), 창원시 (창원지점)이 영남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포항시 (포항출장소)와 안동시 (안동출장소) 또한 영남 지역에 위치한다.

  • * 호남 지역


광주광역시 (광주지점), 나주시 (나주지점), 전주시 (전주지점)가 있다.

  • * 제주 지역


제주특별자치도에 전기공사공제조합의 지점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5. 1. 서울/경기/인천 지역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지점을 두고 조합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지점, 인천지점, 수원지점, 의정부지점이 해당 지역에 위치해 있다.

5. 2. 강원 지역

춘천지점과 강릉출장소가 있다.

5. 3. 충청 지역

전기공사공제조합은 충청 지역에 대전지점, 청주지점, 홍성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5. 4. 영남 지역

부산지점, 대구지점, 울산지점, 창원지점이 영남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포항출장소와 안동출장소 또한 영남 지역에 위치한다.

5. 5. 호남 지역

광주지점, 나주지점, 전주지점이 있다.

5. 6. 제주 지역

제주특별자치도에 전기공사공제조합의 지점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