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류 전쟁은 1880년대 후반, 토머스 에디슨의 직류(DC) 방식과 조지 웨스팅하우스, 니콜라 테슬라의 교류(AC) 방식 간의 전력 시스템 경쟁을 일컫는다. 에디슨은 직류 시스템을, 웨스팅하우스와 테슬라는 변압기를 이용해 장거리 송전에 유리한 교류 시스템을 제안하며 대립했다. 이 과정에서 교류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과 전기의자 사형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나이아가라 폭포 발전소 건설 계약에서 교류 시스템이 채택되고, 제너럴 일렉트릭과 웨스팅하우스의 합병을 통해 교류 방식이 승리하면서 종결되었다. 이후 교류는 전 세계적으로 전력 시스템의 표준이 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20세기까지 직류 시스템이 유지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기술 - 기계시대
기계 시대는 188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자동화 기술 발달과 기계주의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쳐 대량 생산, 소비주의, 노동 문제, 민주주의 발전, 환경 문제, 국제 갈등, 모더니즘 예술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이다.
전류 전쟁 | |
---|---|
전류 전쟁 | |
![]() | |
![]() | |
개요 | |
다른 이름 | 전기 전쟁 |
시기 | 1880년대 후반 ~ 1890년대 초반 |
장소 | 미국 |
결과 | 교류 전력 시스템의 채택, 직류 전력 시스템은 틈새 응용 분야로 축소 |
교전 세력 | |
직류 (DC) | 토머스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 |
교류 (AC) | 조지 웨스팅하우스, 니콜라 테슬라, 웨스팅하우스 전기, AEG |
인물 | |
직류 (DC) 지지자 | 토머스 에디슨 아서 에드윈 케넬리 헤럴드 브라운 새뮤얼 인설 |
교류 (AC) 지지자 | 조지 웨스팅하우스 니콜라 테슬라 윌리엄 스탠리 주니어 올리버 셸렌버거 귀도 판 라트겐 찰스 프로테우스 스타인메츠 |
관련 사건 | |
주요 사건 | 1882: 에디슨의 진주가(Pearl Street) 발전소 1886: 웨스팅하우스의 Great Barrington 교류 시스템 1888: 브라운의 전기 의자 공개 시연 1893: 시카고 세계 박람회 1896: 나이아가라 폭포 발전소 |
기술 | |
직류 (DC) 기술 | 직류 발전기 전동기 배전 |
교류 (AC) 기술 | 교류 변압기 유도 전동기 전력 전송 |
2. 배경
전류 전쟁은 아크 조명 시스템과 백열등 시스템의 개발에서 비롯되었다.[1] 이 두 시스템 모두 가스등 시스템을 대체했으며, 아크 조명은 넓은 지역/가로등 조명을, 백열등은 사업장 및 주거용 실내 조명을 위해 가스등을 대체했다.
1880년대 후반, 조지 웨스팅하우스와 니콜라 테슬라는 교류 송전 시스템을 제안했지만, 토머스 에디슨은 직류 송전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며 서로 대립했다. 에디슨의 직류 송전은 당시 주요 전력 수요였던 백열전구와 전동기(당시에는 직류기만 존재)에 적합했고, 미국 전력 사업 초기의 표준 방식을 차지했다. 에디슨은 직류 송전 특허 사용료를 포기할 생각이 없었다. 반면 테슬라는 회전 자계 연구를 통해 교류의 발전·송전·사용 시스템을 고안하여 상업화를 목표로 했고, 웨스팅하우스와 계약하여 자신의 2상 교류 특허와 루시안 골라드 및 존 딕슨 깁스의 변압기 특허를 활용했다.
교류 변압기가 발전하면서 전압 변환이 용이한 교류 송전이 유리해졌다. 전선 저항에 의한 송전 전류의 감쇠(송전 손실)는 승압을 통해 억제할 수 있어 전력 효율이 향상된다. 즉, 원격 발전소에서 고전압으로 송전하고, 수요지(도시) 인근에서 배전 직전에 가정용 전압으로 강압하면 효율적이다. 교류는 발열, 허용 전력 등의 주의점이 있지만, 저렴하고 무제한으로 변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직류의 경우에도 정류기를 통해 변류·변압이 가능했지만, 직류·교류 변환 회로는 당시 기술로는 비효율적인 전동 발전기밖에 없었다. 인버터 기술 발전으로 대전력 직류 송전이 실용화된 것은 20세기 후반 이후였다.
현재는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고 다시 직류로 변환하는 다중 설비가 필요하고, 반도체 소자 용량에 의존하는 부분이 있어 교류에 비해 제한적이다. 그러나 충전 설비와는 궁합이 좋다.
2. 1. 직류(DC) 시스템
토머스 에디슨이 개발한 직류 시스템은 백열등과 초기 전동기에 적합했다. 110볼트의 낮은 전압으로 작동하여 안전하다고 여겨졌지만, 장거리 송전에는 불리하고 전압 변환이 어려웠다.[5] 발전소와 소비자 간 거리가 짧아야 했고, 굵은 구리 전선이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들었다.
1882년, 투자자 소유의 유틸리티인 에디슨 일루미네이팅 컴퍼니(Edison Illuminating Company)가 뉴욕시에 설립되었다. 에디슨은 자신의 유틸리티를 설계하면서, 높은 저항의 백열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110볼트의 직류 전원 공급 방식을 기반으로 했다. 에디슨 직류 시스템은 미국 전역의 도시에 판매되었으며, 에디슨이 모든 기술 개발을 제어하고 모든 핵심 특허를 보유하면서 표준이 되었다.
직류 시스템은 축전지와 직접 사용할 수 있어 발전기 작동 중단 시 백업 전력을 제공했다. 직류 발전기는 쉽게 병렬로 연결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작동과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에디슨은 소비량에 비례하여 청구될 수 있도록 하는 계량기를 발명했지만, 이 계량기는 직류에서만 작동했다. 직류는 또한 전기 모터와도 잘 작동했다.
에디슨 직류 시스템의 주요 단점은 발전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110볼트로 작동하여 비교적 짧은 유효 전송 범위를 가졌다는 점이다. 발전소를 인구 밀집 지역의 중앙에 배치해야 했으며, 발전소에서 약 1.61km 이내의 고객에게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 전압 강하는 컸고, 발전소와 소비지의 거리는 반경 800m로 제한하거나, 고가의 굵은 구리선을 사용하지 않으면 막대한 전력 손실이 발생했다.
1888년에 미국 동해안의 도시가 대폭설에 휩쓸렸을 때, 대규모 직류 전력망을 구축한 뉴욕 시에서 희생된 200명 중 일부는 눈의 무게 등으로 전력망이 붕괴된 것이 원인이 되어 사망했다.
2. 2. 교류(AC) 시스템

1884년 피츠버그의 발명가이자 기업가인 조지 웨스팅하우스는 윌리엄 스탠리 주니어를 고용하여 전기 조명 사업에 진출하면서 교류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다.[7] 1885년 그는 영국의 기술 저널 ''Engineering''에서 개발 중인 교류 시스템에 대한 기사를 읽었다. 당시 교류는 변압기의 개발로 직류보다 중요한 이점을 얻었는데, 전압을 훨씬 더 높은 송전 전압으로 "승압"한 다음 사업 및 주거용으로 더 낮은 사용자 전압으로 "강압"할 수 있었다. 고전압은 중앙 발전소가 최대 약 11.27km 길이의 회로에 걸쳐 넓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했다.[6] 웨스팅하우스는 에디슨 특허를 회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다른 특허를 사용하여 경쟁력이 거의 없는 또 다른 DC 조명 시스템을 단순히 구축하는 대신, 이것을 진정으로 경쟁력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법으로 보았다. 그는 짧은 송전 범위를 가진 중앙 집중식 DC 발전소로 구성된 에디슨의 DC 시스템은 웨스팅하우스가 AC 전력으로 쉽게 공급할 수 있는 에디슨의 발전소 사이에 공급되지 않는 고객들의 틈새 시장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1885년 웨스팅하우스는 프랑스 엔지니어 루시앙 골라드가 개발한 변압기에 대한 미국 특허권을 구매했다 (영국 엔지니어 존 딕슨 깁스가 자금 지원).[8] 그는 지멘스 AC 발전기뿐만 아니라 이러한 "골라드-깁스" 변압기 여러 개를 수입하여 피츠버그에서 AC 기반 조명 시스템을 실험하기 시작했다.[8] 그해 윌리엄 스탠리는 골라드-깁스 설계와 헝가리 Ganz company의 Z.B.D. 변압기 설계를 사용하여 최초의 실용적인 변압기를 개발했다.[9] 웨스팅하우스 전기 회사(Westinghouse Electric Company)는 1886년 초에 설립되었다.
1886년 3월 스탠리는 웨스팅하우스의 지원을 받아 매사추세츠 주 그레이트 배링턴에 최초의 다중 전압 AC 전력 시스템, 즉 시범 백열 조명 시스템을 설치했다.[10] 4000피트 이상에서 전력 손실이 거의 없이 메인 스트리트의 23개 사업체에 조명을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확장된 이 시스템은 각 위치에서 백열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변압기를 사용하여 거리에서 500 AC 볼트를 100 볼트로 강압했다.[11] 1886년 가을까지 웨스팅하우스, 스탠리, 올리버 B. 셜렌버거는 뉴욕 주 버팔로에 미국 최초의 상업용 AC 전력 시스템을 구축했다.
1880년대 후반, 조지 웨스팅하우스와 니콜라 테슬라는 교류 송전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을 제안했다. 토머스 에디슨은 직류 송전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며 서로 적대했는데, 자세한 내용은 니콜라 테슬라의 에디슨과의 갈등 항목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후년에 교류 변압기가 발전하면서 전압 변환이 용이한 교류 송전이 압도적으로 유리해졌다. 일반적으로 전선 저항에 의한 송전 전류의 감쇠(송전 손실)는 승압을 통해 억제할 수 있으며 전력 효율이 향상된다. 즉, 원격에 있는 발전소에서 고전압으로 송전하고, 수요지(도시) 인근에서 배전 직전에 가정용 전압으로 강압함으로써 전력 효율이 좋아진다. 교류는 발열, 허용 전력 등의 주의점이 있지만, 저렴하고 무제한으로 변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해졌다.
교류 송전의 장점은 변압기를 통해 쉽게 전압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낸다 (전압을 , 전류를 , 전력을 로 하여, ). 고전압을 송전하는 경우, 송전선을 사용함으로써 같은 전력을 보낼 때 전류를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금속 전선에는 반드시 전기 저항이 있으므로, 송전 시 일부 전력은 줄 열로 손실된다. 변압기로 높은 전압으로 변환한 후 송전함으로써 전류를 상대적으로 줄여 이 송전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송전선의 전기 저항 R로 하여, 송전 손실 , 즉 전압을 10배로 하면 전류 는 1/10, 손실은 1/100). 현재는 100만 볼트 급의 전압이 사용되고 있다.
3. 전개
1888년 대폭설(Great Blizzard of 1888) 당시 뉴욕시의 거리 위로 복잡하게 얽힌 전선들은 도시 미관을 해치고 안전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폭풍으로 끊어진 AC 전선으로 인해 감전 사고가 발생하면서, 전선 지하 매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12] 톰슨-휴스턴(Thomson-Houston)의 엘리후 톰슨(Elihu Thomson)은 AC의 안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피뢰기(lightning arrestor)와 자기 차단 스위치를 개발했다.[12]
대부분의 유럽 도시와 미국의 시카고시는 고압 전력선을 지하에 매설하도록 요구했지만, 뉴욕시는 그렇지 않았다. 1887년 말까지 맨해튼에는 최대 6,000볼트의 AC 조명 시스템 전선과 엉성한 가공 전선들이 섞여 있었다. 전선 절연체(Insulator (electricity))는 조악했고, 날씨에 노출되면서 부식되었다. 또한, 끊어진 전선으로 인한 사고 위험도 컸다. 1888년 3월의 대폭설로 많은 전선이 끊어지면서, 전선을 지하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웨스턴 유니온(Western Union)의 법원 명령으로 중단되었다.[13]
AC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에디슨의 특허 침해 문제가 심각해졌고, 구리 가격 상승으로 에디슨의 저전압 DC 시스템 비용이 증가했다. 에디슨의 동료와 엔지니어들은 AC 도입을 제안했지만, 에디슨은 AC의 위험성을 이유로 반대했다.[13] 1886년 11월 에디슨은 웨스팅하우스가 6개월 안에 고객을 죽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AC 시스템의 위험성을 경고했다.[13] 1888년 2월, 에디슨 전기 사장 에드워드 존슨은 경쟁사가 에디슨의 특허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팜플렛을 발행했다. 이 팜플렛은 DC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강조하고, AC로 인한 감전 사고를 언급했다.[13]
AC 시스템 확산과 함께 고전압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증가했다. 1881년 버팔로에서 발생한 감전 사고는 앨프리드 P. 사우스윅이 전기를 이용한 동물 안락사 방법을 고안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우스윅은 교수형을 대체할 수 있는 감전 방법(전기의자)을 제안했고, 이는 뉴욕주 정치인들의 관심을 끌었다.[14] 1886년 뉴욕 주지사가 임명한 위원회는 1888년에 전기의자를 사용한 사형 집행을 권고했다.[14] 사형 위원회는 엘리후 톰슨과 토머스 에디슨을 포함한 전기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구했다. 에디슨은 사형에 반대했지만, 웨스팅하우스를 공격하기 위해 AC 사용을 제안했다.[15] 1888년 6월 전기 사형 법안이 통과된 후, 에디슨은 뉴욕 정부 관계자에게 "범죄자를 뉴욕 전기 조명 회사에 전선 기술자로 고용하라"고 빈정거렸다.[15][16]
1888년 봄, 뉴욕에서 발생한 AC 관련 사망 사건은 언론의 맹렬한 비난을 촉발했다. 전기 기술자 해럴드 P. 브라운(Harold P. Brown)은 1888년 6월 5일 ''뉴욕 포스트(New York Post)''에 AC 시스템의 위험성을 주장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는 AC 규제를 요구하며 로비 활동을 펼쳤다. 1888년 6월 7일, 웨스팅하우스는 에디슨에게 협력을 제안했지만, 에디슨은 거절했다.[17] 브라운은 AC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요구했지만, 과학적 증거 부족과 에디슨의 지원 의혹으로 비판받았다.
1888년 7월, 브라운은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서 공개 시연을 열어 개를 대상으로 DC와 AC를 비교 실험했다. 그는 AC로 개를 죽이는 실험을 통해 AC의 위험성을 과장하고, AC 제한 규제 도입을 시도했다. 브라운의 동기와 에디슨 회사와의 공모 의혹은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에디슨 회사가 브라운의 활동을 지원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18]
1889년 가을, 브라운은 웨스팅하우스를 공격하는 격렬한 언쟁을 지속했다. 1889년 11월, 조지 웨스팅하우스는 브라운의 주장에 대해 ''전기 기술자''지에 반박했다.
1889년 10월 11일, 웨스턴 유니언(Western Union)의 전신 기술자 존 피크스(John Feeks)가 감전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대중의 불안감을 증폭시켰고, 웨스팅하우스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졌다. 에디슨은 1889년 11월 ''노스 아메리칸 리뷰(North American Review)''에서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AC를 비난하며, 고전압 전선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웨스팅하우스는 AC 시스템의 안전성을 옹호했지만, 여론은 불리하게 돌아갔다. 피크스의 죽음은 뉴욕 시의회에서 가공 전선 지하 매설 법안을 통과시키는 계기가 되었지만, 시 당국의 부실한 대응으로 전력 공급은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었다.[16]
에디슨은 교류의 위험성을 부각하기 위해 동물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고, 전기의자에 교류를 사용하는 것을 지지했다. 반면, 테슬라는 교류의 안전성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3. 1. 나이아가라 폭포 발전소
니콜라 테슬라의 교류 시스템은 나이아가라 폭포 위원회로부터 나이아가라 폭포 발전소 건설 계약을 따냈다. 위원회는 켈빈 경이 이끌었으며, J.P. 모건, 로스차일드 경, 존 제이콥 애스터 4세와 같은 기업가들의 지지를 받았다.[24]1893년 나이아가라 폭포 발전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테슬라의 기술이 폭포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데 적용되었다. 설비를 완성하는 데는 5년이 걸렸다. 1896년11월 16일, 나이아가라 폭포의 E.D. 아담스 발전소(아담스 발전소 변전소)에 설치된 수력 발전기에서 버팔로의 공업 지대로 전력 송전이 시작되었다. 이 수력 발전기는 테슬라의 특허를 사용하여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이 제작했으며, 명판에는 니콜라 테슬라의 이름이 새겨졌다.[24]
이 전력 시스템이 버팔로의 공업 전력 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있었지만, 테슬라는 발전소가 잘 작동할 것이며 나이아가라 폭포가 동부 해안의 모든 전력 수요를 충당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테슬라는 북아메리카의 상업 전원 주파수의 표준화로 60사이클을 설정했지만, 나이아가라의 첫 번째 발전소는 25사이클로 오랫동안 발전했다.[24]
3. 2. 에디슨과 웨스팅하우스의 갈등 심화
토머스 에디슨은 AC 시스템이 DC 시스템 적용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특허 침해 상황이 악화되고, 구리 가격 상승으로 DC 시스템의 비용이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동료와 엔지니어들조차 AC 도입을 건의했지만, 에디슨은 AC의 위험성과 비효율성을 이유로 반대했다. 1888년 2월, 에디슨 전기 사장 에드워드 존슨은 경쟁사가 에디슨의 특허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DC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는 팜플렛을 발행했다.[13]AC 시스템 확산과 함께 고전압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증가하면서, 1888년 봄 뉴욕에서 발생한 AC 관련 사망 사건은 언론의 맹렬한 비난을 촉발했다. 전기 기술자 해럴드 P. 브라운(Harold P. Brown)은 AC 시스템의 위험성을 주장하며, AC 규제를 요구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 조지 웨스팅하우스는 에디슨에게 협력을 제안했지만, 에디슨은 이를 거절했다. 브라운은 AC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요구하며 로비 활동을 펼쳤지만, 과학적 증거 부족과 에디슨의 지원 의혹으로 비판받았다.[12]
브라운은 AC의 위험성을 증명하기 위해 에디슨의 연구소에서 공개 시연을 열어 개를 대상으로 DC와 AC를 비교 실험했다. 그는 AC로 개를 죽이는 실험을 통해 AC의 위험성을 과장하고, AC 제한 규제 도입을 시도했다. 브라운의 동기와 에디슨 회사와의 공모 의혹은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에디슨 회사가 브라운의 활동을 지원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18]
1888년 뉴욕에서 전기의자를 이용한 사형 집행이 결정되면서, 전류 전쟁은 사형 제도 논쟁과 얽히게 되었다. 브라운은 법의학 협회에 자문하며 AC가 DC보다 치명적임을 주장하고, 에디슨 연구소에서 동물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려 했다. 웨스팅하우스는 브라운의 실험이 왜곡되었다고 비판했지만, 법의학 협회는 AC를 사용한 사형 집행을 권고했다. 브라운은 에디슨 회사와 톰슨-휴스턴의 지원을 받아 웨스팅하우스 AC 발전기를 확보하여 전기의자에 사용하려 했다.[14]
1889년, 전기의자로 사형 선고를 받은 윌리엄 켐믈러 사건에서, 웨스팅하우스는 변호사를 통해 항소를 지원하며 전기의자 사용에 반대했다. 브라운은 AC의 위험성을 주장하며 증언했지만, 에디슨과의 공모 의혹이 제기되었다. 1890년 켐믈러의 사형 집행은 실패로 끝났고, 웨스팅하우스는 "도끼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았을 것"이라고 비판했다.[15]
1889년, 브라운과 에디슨, 톰슨-휴스턴의 공모를 폭로하는 편지가 공개되면서 브라운의 신뢰도는 추락했다. 같은 해 뉴욕에서 발생한 전신 기술자 존 피크스의 감전사 사건은 대중의 불안감을 증폭시켰고, 웨스팅하우스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졌다. 에디슨은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AC를 비난하며, 고전압 전선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웨스팅하우스는 AC 시스템의 안전성을 옹호했지만, 여론은 불리하게 돌아갔다. 피크스의 죽음은 뉴욕 시의회에서 가공 전선 지하 매설 법안을 통과시키는 계기가 되었지만, 시 당국의 부실한 대응으로 전력 공급은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었다.[16]
에디슨은 떠돌이 개나 고양이와 같은 동물을 교류 전기로 처분하는 실험과 사형에 사용되는 전기의자의 전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것을 실행하며 교류가 생물에게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테슬라 측은 교류 전기를 방전하는 장소에서 테슬라 자신이 독서를 하는 쇼를 펼쳐 안전성과 무해함을 쉽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4. 결과 및 영향
토머스 에디슨이 전력 사업에서 손을 떼고,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과 톰슨-휴스턴의 합병으로 제너럴 일렉트릭(GE)이 탄생하면서 전류 전쟁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 에디슨은 자신의 회사와 특허가 경쟁사에 넘어간 것에 대해 분개했지만, 이미 대세는 교류 시스템으로 기울어진 뒤였다.[26]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은 니콜라 테슬라의 유도 전동기 특허를 인수하여 완전 통합된 교류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했다.[19][20] 찰스 프로테우스 스타인메츠가 제안한 교류용 기기는 테슬라의 2상 교류 시스템과 함께 직류 시스템을 밀어내고 전력 시스템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특히 테슬라가 설계한 나이아가라 폭포의 수력 발전소는 교류 시스템 채택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기술적, 경제적 우위를 바탕으로 교류 시스템이 승리하였다. 제너럴 일렉트릭(GE)과 웨스팅하우스의 합병으로 전류 전쟁은 종식되었다. 교류는 전 세계 전력 시스템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4. 1. 직류 시스템의 잔존
뉴욕시(New York City)의 전력 회사인 컨솔리데이티드 에디슨(Consolidated Edison)은 20세기 초 엘리베이터 등 직류를 채택한 고객들에게 계속해서 직류 전력을 공급했다. 1998년 1월, 컨솔리데이티드 에디슨은 직류 서비스 제거를 시작하여 당시 4,600명이었던 직류 고객 수는 2006년에는 60명으로 줄었다. 2007년 11월 14일, 컨 에디슨의 마지막 직류 배전이 중단되었고, 여전히 직류를 사용하는 고객에게는 현장 교류-직류 정류기(rectifier)가 제공되었다.[32]일부 도시에서는 20세기 중반까지도 직류 시스템이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헬싱키 시내 중심가는 1940년대 후반까지, 스톡홀름은 1970년대까지 직류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수은 아크 밸브(mercury-arc valve) 정류소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도 했다.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의 일부 지역에서는 1960년대에도 110볼트 직류가 사용되어 보스턴 대학교 학생들의 소형 가전제품이 파손되기도 했다.
고압 직류(HVDC) 시스템은 먼 발전소로부터의 대량 에너지 전송, 해저 케이블, 그리고 별도의 교류 시스템 상호 연결에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ff Goes the Power Current Started by Thomas Edison
https://archive.nyti[...]
2007-11-14
[2]
웹사이트
Charles Francis Brush
http://www.lafavre.u[...]
2018-12-05
[3]
웹사이트
Charles Francis Brush
http://chem.ch.huji.[...]
2009-01-04
[4]
웹사이트
Brush Arc Lamps
http://electricmuseu[...]
[5]
웹사이트
Arc Lamps – How They Work & History
http://www.edisontec[...]
[6]
논문
Notes on the Jablochkoff System of Electric Lighting
https://books.google[...]
Society of Telegraph Engineers
2009-01-07
[7]
서적
Tesla: Inventor of the Electric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Transformer
https://edisontechce[...]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Transformer
https://edisontechce[...]
[10]
문서
Great Barrington Historical Society
[11]
웹사이트
The Great Barrington Electrification, 1886
http://www.edisontec[...]
[12]
서적
Fleet Fire: Thomas Edison and the Pioneers of the Electric Revolution
Skyhorse Publishing
[13]
서적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Contemporary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puter Industries
IEEE Press
[14]
웹사이트
Southwick, Alfred Porter
http://www.anb.org/a[...]
[15]
잡지
Edison and "The Chair"
http://simson.net/r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989-03-01
[16]
논문
Thomas Alva Edison
1902-12-27
[17]
간행물
The Electrical Journal
1888-07-21
[18]
서적
Innovation as a Social Process: Elihu Thomson and the Rise of General Electr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Wizard: The Life And Times of Nikola Tesla
https://books.google[...]
Citadel
1998-05-01
[20]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01-01
[21]
서적
The World's Richest Neighborhood: How Pittsburgh's East Enders Forged American Industry
Algora Publishing
[22]
웹사이트
Electricity
http://www.coned.com[...]
Con Edison
2013-02-03
[23]
논문
William E. Sawyer and the Rise and Fall of America's First Incandescent Electric Light Company, 1878–1881
http://www.thebhc.or[...]
Business History Conference
2011-12-27
[24]
서적
Edison: A Life of Invention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5]
논문
Inventing Electrocution
http://www.invention[...]
[26]
서적
1929: America Before the Crash
https://archive.org/[...]
Macmillan
[27]
서적
Managing in the Modular Age: Architectures, Networks, and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28]
문서
The General Electric Story
[29]
서적
The Age of Edison: Electric Light and the Invention of Modern America
https://archive.org/[...]
The Penguin Press
[30]
잡지
Powering the New Yorker: A Hotel's Unique Direct Current System
IEEE
2006-01-23
[31]
잡지
History and reflections on the way things were: Edison's Direct Current Influenced "Broadway" Show Lighting
IEEE
2002-10-01
[32]
뉴스
Off Goes the Power Current Started by Thomas Edison
http://cityroom.blog[...]
2007-11-16
[33]
웹사이트
San Francisco's Secret DC Grid
https://spectrum.iee[...]
2012-11-15
[34]
뉴스
A/C But No D/C: Last Con Edison Direct Current Customer is History
http://www.coned.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