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욱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욱력은 중국의 고대 역법으로, 전국 시대 말기부터 진 시황제의 중국 통일 이전까지 사용되었으며, 전한 왕조에서도 태초력 제정 전까지 사용되었다. 19년 7윤달의 메톤 주기를 채용한 사분력으로, 1태양년을 365.25일, 1삭망월을 29.53085일로 계산했다.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을 9월 뒤에 두는 연종치윤법을 사용했으며, 진나라 시기에는 시황제의 휘 '정'을 피하여 정월을 '단월'이라고 불렀다. 일행은 기원전 366년을 전욱력의 기준년으로 주장했으나, 실제 계산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1972년 은작산 한간의 출토로 전욱력에 대한 많은 부분이 해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 - 반량전
반량전은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며 도입한 무게 '반냥'의 현전으로, 청동 재질에 둥근 모양과 정사각형 구멍이 특징이며 한나라 시대까지 사용되었다. - 진나라 - 여씨춘추
여불위가 편찬을 주도하고 그의 식객들이 기록한 《여씨춘추》는 기, 람, 론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고 통치, 농업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며 민본주의 사상과 배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초기 중국 사상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 중국력 - 시헌력
시헌력은 아담 샬이 『숭정력서』를 기반으로 편찬하여 청나라에서 공포된 역법으로, 중화민국 건국 후 공식 역법의 지위를 잃었으나 명절 결정에 영향을 주고 조선과 일본에 전래되었으며, 태양력으로서 정확한 계산을 자랑했으나 복잡한 윤년 규칙으로 완전한 정착에는 실패했다. - 중국력 - 칠정산
칠정산 외편은 이순지와 김담 등이 회회력을 참고하여 천문 계산, 일식과 월식 예보, 행성 운동 등을 다룬 5책의 역서로, 조선 시대 농업 사회에서 기후와 날씨 예측을 통해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데 기여했다.
| 전욱력 |
|---|
2. 역사
전욱력은 19년 7윤월의 장법을 채용하여 1태양년을 일, 1삭망월을 약 29.53085일[3]로 하는 사분력이었다.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은 마지막 달인 9월 뒤(후9월)에 두는 연종치윤법(年終置閏法)을 이용하였다. 정월은 입춘이 있는 달로 규정하여 이십사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진나라 때 정월은 시황제의 휘 '정'(政)을 피하여 '단월'(端月)이라고 불렀다.[4]
2. 1. 제정 시기
정확한 제정 시기는 여러 설이 있으나, 전국 시대~시황제의 중국 통일(기원전 221년) 사이로 추정된다. 진나라의 뒤를 이은 전한에서도 태초력 제정 이전까지 102년간 사용하였다.[3]《신당서》 역지(曆志)에서는 일행의 말을 인용하여, 갑인년 정월 갑인일 인시에 해와 달이 합삭(合朔)하는 해가 기준년으로, 이를 토대로 계산한 기원전 366년부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여 오랫동안 사실로 여겨졌다. 그러나 실제로 계산한 결과, 해당 연도의 해당 시점의 합삭은 사시에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4]
1972년, 산둥성 린이 현에서 출토된 은작산한간을 통하여 전욱력에 관하여 상당 부분이 해명되었다.
2. 2. 전한 시대의 사용
전욱력은 전국 시대 ~ 시황제의 중국 통일(기원전 221년) 사이로 추정되는 시기에 제정되었다. 정확한 제정 시기는 여러 설이 있다. 진나라의 뒤를 이은 전한에서도 태초력 제정 이전까지 102년간 사용되었다.[3]19년 7윤월의 장법을 채용하여, 1태양년을 365.25일, 1삭망월을 29.53085일로 하는 사분력이었다.[1]
또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은 마지막 달인 9월의 뒤(후9월)에 두는 연종치윤법(年終置閏法)을 이용하였다. 10월은 그대로 10월이라고 불렀고, 정월은 입춘이 있는 달로 규정하여 이십사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단, 진나라 때 정월은 시황제의 휘 '''정'''(政)을 피하여 '''단월'''(端月)이라고 불렀다.[2]
1972년, 산둥성 린이 현에서 출토된 은작산한간을 통하여 전욱력에 관하여 상당 부분이 해명되었다.
2. 3. 연원 및 문제점
전국 시대 ~ 시황제의 중국 통일(기원전 221년) 사이로 추정된다. 진나라의 뒤를 이은 전한에서도 태초력 제정 이전까지 102년간 사용하였다.[3]19년 7윤월의 장법을 채용하여, 1태양년을 일, 1삭망월을 (≒)일[1]로 하는 사분력이었다.
또한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은 마지막 달인 9월의 뒤(후9월)에 두는 연종치윤법(年終置閏法)을 이용하였다. 10월은 그대로 10월이라고 불렀고, 정월은 입춘이 있는 달로 규정하여 이십사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단, 진나라 때 정월은 시황제의 휘 '''정'''(政)을 피하여 '''단월'''(端月)이라고 불렀다.
《신당서》 역지(曆志)에서는 일행의 말을 인용하여, 갑인년 정월 갑인일 인시에 해와 달이 합삭(合朔)하는 해가 기준년으로, 이를 토대로 계산한 기원전 366년부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여 오랫동안 사실로 여겨졌다. 그러나 실제로 계산한 결과, 해당 연도의 해당 시점의 합삭은 사시에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2]
1972년, 산둥성 린이 현에서 출토된 은작산한간을 통하여 전욱력에 관하여 상당 부분이 해명되었다.
2. 4. 은작산 한간과 전욱력 연구
1972년 산둥성 린이에서 출토된 은작산 한간을 통해 전욱력에 관해 상당 부분이 해명되었다.[3] 종래에는 전욱력에 불명확한 점이 많았으나, 은작산 한간의 발견으로 많은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신당서》 역지에는 일행의 말을 인용하여 "전욱력 상원 갑인세 정월 갑인 신초 합삭 입춘"이라고 언급하며, 갑인세의 정월(하정에서는 인월) 갑인의 삭일, 인시에 태양과 달이 합삭하는 해가 력원 (기준년)이며 기원전 366년이 력원이라고 설명하여 이 설이 오랫동안 믿어졌지만, 실제 같은 해 정월 갑인의 합삭은 사시에 발생한다는 계산이 되어 이 설은 성립하지 않는다.[4]3. 특징
전국 시대 ~ 시황제의 중국 통일(기원전 221년) 사이로 추정되는 시기에 제정된 전욱력은, 진나라의 뒤를 이은 전한에서도 태초력 제정 이전까지 102년간 사용되었다.
전욱력은 불명확한 점이 많았으나, 1972년 산둥성 린이 현에서 출토된 은작산 한간을 통해 많은 부분이 해명되었다.
《신당서》 역지(曆志)에서는 일행의 말을 인용하여, 갑인년 정월 갑인일 인시에 해와 달이 합삭(合朔)하는 해가 기준년이며, 이를 토대로 계산한 기원전 366년부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제 계산 결과와는 맞지 않아 오랫동안 사실로 여겨졌던 이 설은 성립하지 않는다.[4]
3. 1. 사분력
19년 7윤월의 장법을 채용하여, 1태양년을 365.25일, 1삭망월을 약 29.53085일[3]로 하는 사분력이었다.또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은 마지막 달인 9월의 뒤(후9월)에 두는 연종치윤법(年終置閏法)을 이용하였다. 10월은 그대로 10월이라고 불렀고, 정월은 입춘이 있는 달로 규정하여 이십사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단, 진나라 때 정월은 시황제의 휘 '''정'''(政)을 피하여 '''단월'''(端月)이라고 불렀다.[4]
3. 2. 메톤 주기 채택
19년 7윤월의 장법을 채용하여, 1태양년을 365.25일, 1삭망월을 약 29.53085일[3]로 하는 사분력이었다.또한 10월을 연초로 삼고, 윤달을 연말인 9월 뒤(후9월)에 두는 세말치윤법을 취하고 있었다. 10월은 10월이라고 부르고, 정월은 입춘의 달로 정하여 24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진 시황제의 휘인 정(政)을 피휘하여 정월은 단월이라고 불렀다.[4][2]
3. 3. 연종치윤법
19년 7윤월의 장법을 채용하여, 1태양년을 365.25일, 1삭망월을 약 29.53085일[3]로 하는 사분력이었다.또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은 마지막 달인 9월 뒤(후9월)에 두는 연종치윤법(年終置閏法)을 이용하였다. 10월은 그대로 10월이라고 불렀고, 정월은 입춘이 있는 달로 규정하여 이십사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단, 진나라 때 정월은 시황제의 휘 '''정'''(政)을 피하여 '''단월'''(端月)이라고 불렀다.[4]
3. 4. 정월과 단월
10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하고, 윤달은 마지막 달인 9월 뒤에 두는 연종치윤법(年終置閏法)을 이용하였다. 10월은 그대로 10월이라고 불렀고, 정월은 입춘이 있는 달로 규정하여 이십사절기의 기점으로 삼았다. 단, 진나라 때 정월은 시황제의 휘 '정'(政)을 피하여 '''단월'''(端月)이라고 불렀다.[3]참조
[1]
웹사이트
29+499/940
http://www.wolframal[...]
2016-05-05
[2]
서적
小沢賢二「『顓頊暦』の暦元」(初出:『中国研究集刊』40号(大阪大学、2005年)/所収:小沢『中国天文学史研究』(汲古書院、2010年) ISBN 978-4-7629-2872-7 第5章)
[3]
URL
http://www.wolframal[...]
[4]
간행물
"[[:ja:小沢賢二|오자와 겐지]]「『전욱력』의 역원」(「『顓頊暦』の暦元」)(발표:『중국연구집간』40호([[오사카 대학]], 2005년)/수록:오자와 겐지『중국천문학사연구』(『中国天文学史研究』) (汲古書院, 2010년) ISBN 978-4-7629-2872-7 제5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