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씨춘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씨춘추》는 진나라의 재상 여불위가 편찬을 주도한 책으로,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여 초기 중국 사상과 문명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여불위는 진나라를 지적 중심지로 만들고자 식객들을 모아 이 책을 편찬했으며, 완성된 책에 한 글자라도 더하거나 뺄 수 있는 자에게 천금을 주겠다는 일화는 '일자천금'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가 되었다. 이 책은 12기, 8람, 6론으로 구성된 26권 160편으로, 유가, 도가, 명가, 법가 등 여러 학파의 사상을 포괄하며, 천문역학, 음악, 농학 등 자연과학적인 내용도 담고 있다. 현대에도 다양한 연구와 번역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량치차오는 이 책을 고대 서적 중 가장 완벽하고 읽기 쉬운 작품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세기 역사책 - 전국책
    전국책은 위 도공 시대부터 진 시황제 시대까지 전국 시대 유세가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유향이 편찬하고 증공이 복원했으며, 각국의 전략과 술수를 보여주는 일화들을 담고 있다.
  • 진나라 - 반량전
    반량전은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며 도입한 무게 '반냥'의 현전으로, 청동 재질에 둥근 모양과 정사각형 구멍이 특징이며 한나라 시대까지 사용되었다.
  • 진나라 - 전한 고제
    진나라 말기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워 초한쟁패에서 승리하고 한나라를 건국한 전한 고제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평민 출신 황제로서 민생 안정에 힘썼다.
  • 백과사전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백과사전 - 고금도서집성
    《고금도서집성》은 강희제의 명으로 편찬되어 1726년에 완성된 백과사전으로, 고대부터 청나라 초기까지의 문헌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천문, 지리, 인간, 자연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다.
여씨춘추 - [서적]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여씨춘추
원어 이름呂氏春秋 (Lǚshì Chūnqiū)
의미여씨의 춘추
정보
저자여불위
국가
언어상고 중국어
장르고전
출판진왕 정 6년 (기원전 241년)

2. 역사적 배경

여불위는 한단 출신의 성공한 상인으로 진 장양왕과 친분을 맺었다.[5] 기원전 247년에 장양왕이 죽자 여불위는 13세의 정을 위해 섭정이 되었다.[5] 여불위는 진을 중국의 지적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학자들을 초빙하여 관대하게 대우하여 식객이 3천 명에 달했다".[5] 기원전 239년에 이들 식객들은 그들이 배운 모든 것을 기록하고, 8개의 "검토", 6개의 "강론", 12개의 "연감"으로 구성된 20만 자가 넘는 작품으로 논문을 모았다.[6]

사기》에 따르면 여불위는 진의 수도인 함양의 성문에 완성된 《여씨춘추》를 전시하고, 그 위에 단 한 단어라도 더하거나 뺄 수 있는 여행하는 학자에게 천 냥의 금을 제공한다는 공고문을 내걸었다.[6] 이는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의 기원이 되었다. 당대의 학자들 중에는 이 책의 오류를 지적한 사람이 없었지만, 후대의 학자들은 몇몇 오류를 찾아냈다. 여불위의 시대 사람들도 책의 부정확성을 알았을 것이지만, 그와 같은 권력자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을 감히 하지 못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2. 1. 여불위와 진시황

3. 구성 및 내용

《여씨춘추》는 26권 160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 '''기(紀)''': 1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년 12달의 순서에 따라 국가 운영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부분은 예기의 ''월령(月令)''을 인용한 부분이 많다.
  • '''람(覧)''': 13권부터 20권까지로, 총 8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으며,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초기 텍스트의 인용문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 '''론(論)''': 21권부터 26권까지로, 주로 통치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마지막 4개 절은 농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당시 농업이 국가의 중요한 기반이었음을 보여준다.


《여씨춘추》의 구성과 내용의 완결성은 학계의 주요 관심사였다. 특히 ''세속편''은 다른 부분보다 내용 구성이 더 완전하고 주제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예를 들어, 《람》의 ''유대(諭大)'' 편은 《론》의 ''오대(務大)''와 거의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전자는 계자에게, 후자는 공자에게 귀속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는 당시 사상의 전승 과정에서 나타나는 흥미로운 현상으로 해석된다.

3. 1. 사상적 특징

존 노블록과 제프리 리겔은 《여씨춘추》를 요약하는 어려움을 인정하면서도, 이 책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18가지로 제시한다.

# 자기 수양과 공정성에 대한 긍정

# 제국에 대한 세습 통치 거부

# 세습 통치의 원인으로서의 어리석음

# 정부가 백성의 관심사를 존중해야 할 필요성

# 배움과 스승의 중심적인 중요성

# 통치의 기반으로서의 배움에 대한 지지와 존경

# 통치자의 무위

# 통치자의 주요 임무는 신하를 선택하는 것

# 통치자가 조언자의 전문 지식을 신뢰해야 할 필요성

# 통치자가 정적을 실천해야 할 필요성

# 진나라의 관행에 대한 공격

# 정당한 전쟁

# 문(文)을 숭상

# 농업 중시

# 무역과 상업의 촉진

# 절약과 보존 장려

# 세금 및 의무 경감

# 와 충성에 대한 강조

《여씨춘추》는 초기 중국 사상과 문명의 귀중한 개요이다. 12기, 8람, 6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6권 160편이다. 그 사상은 유가·도가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명가, 법가, 묵가, 농가, 음양가 등 여러 학파의 설이 폭넓게 채택되어 잡가의 대표적인 서적으로 여겨진다.

천문역학이나 음악 이론, 농학 이론 등 자연과학적인 논설이 많이 나타나, 자연과학사에서도 중요한 서적으로 여겨진다. 또한 "각주구검" 등의 우화나 설화도 수록되어 있다.

서명의 유래는 1년 12개월을 천인상관설(시령설)을 바탕으로 춘하추동으로 나눈 12기에서 '여씨춘추', 8람에서 '여람'이라고 한다.

여불위는 완성 후에 일반에 공개하여, 한 글자라도 첨삭할 수 있으면 천금을 주겠다고 공언했는데, 이것이 "일자천금"의 유래로 여겨진다.

3. 2. 과학적 내용

《여씨춘추》에는 천문역학이나 음악 이론, 농학 이론 등 자연과학적인 논설이 많이 나타나, 자연과학사에서도 중요한 서적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내용은 당시의 과학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4. 주요 입장

존 노블록과 제프리 리겔은 《여씨춘추》의 주요 입장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 자기 수양과 공정성에 대한 긍정
  • 제국에 대한 세습 통치 거부
  • 세습 통치의 원인으로서의 어리석음
  • 정부가 백성의 관심사를 존중해야 할 필요성
  • 배움과 스승의 중심적인 중요성
  • 통치의 기반으로서의 배움에 대한 지지와 존경
  • 통치자의 무위
  • 통치자의 주요 임무는 신하를 선택하는 것
  • 통치자가 조언자의 전문 지식을 신뢰해야 할 필요성
  • 통치자가 정적을 실천해야 할 필요성
  • 진나라의 관행에 대한 공격
  • 정당한 전쟁
  • 문(文)을 숭상
  • 농업 중시
  • 무역과 상업의 촉진
  • 절약과 보존 장려
  • 세금 및 의무 경감
  • 와 충성에 대한 강조


《여씨춘추》는 초기 중국 사상과 문명의 귀중한 개요이다.

5. 현대적 의의 및 수용

학자 량치차오는 "이 책은 2천 년 동안 삭제되거나 훼손된 적이 없다. 더욱이 고우의 훌륭한 주석이 달려 있다. 진실로 고대 서적 중에서 가장 완벽하고 읽기 쉬운 작품이다."라고 말했다.[8]

전근대의 주석서로는 후한의 고유/高誘중국어 주, 청대의 필원 교주(『여씨춘추신교정』)가 있다. 일본에서는 에도시대의 오규 소라이의 『독여씨춘추』[9], 토자키 탄엔의 『독여씨춘추보』[10], 호사카 세이소의 『필교여씨춘추보정』[10], 가타야마 켄잔 문하(산자학파)의 『여씨일적』『여자고』[9], 막말의 모리 테츠노스케의 주석[9] 등이 있다.

헤르만 헤세는 자신의 소설 유리알 유희에서 《여씨춘추》 대악편의 음악론을 인용하고 있다.[10]

5. 1. 한국어 번역

후지타 겐포(藤田剣峰)가 번역하고 주석을 달아, 국민문고 간행회에서 1924년에 《국역 한문 대성》으로 간행하였다. 우치노 구마이치로(内野熊一郎)와 나카무라 쇼하치(中村璋八)가 번역하고 저술하여, 메이토쿠 출판사(明徳出版社)에서 1976년에 "중국 고전 신서"로 출판하였다. 마치다 사부로(町田三郎)가 편역하여 고단샤(講談社)에서 "중국의 고전"으로 1987년에 출판하였고, 고단샤 학술 문고(講談社学術文庫)로 2005년에 재출판되었다. 구스야마 하루키(楠山春樹)를 역자 대표로 하여 메이지 서원(明治書院)에서 "신편 한문선 전 3권"으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출판하였고,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신석 한문 대계 보유편 1·2"로 재편하여 출판하였다. 정하현이 번역하여 소명출판에서 2011년 10월 25일에 출판하였다.

5. 2.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참조

[1] 서적 Timing and Rulership in Master Lü's Spring and Autumn Annal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2]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Taylor & Francis 1998
[3] 서적 1993
[4] 서적 1992
[5] 서적 2000
[6] 서적 2000
[7] 서적 2000
[8] 서적 The Cloudy Mirror
[9] 서적 江戸時代の呂氏春秋学:山子学派と森鐵之助・新出注釈二種 中国書店
[10] 서적 教養としての中国古典 ミネルヴァ書房
[11]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 잡가의 사상
[12]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 여씨춘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