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민철은 대한민국 프로 야구 선수로, 1991년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여 2009년 은퇴할 때까지 활약했다. 1991년 신인으로 데뷔하여 승률왕을 차지하고, 1999년에는 팀의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2000년에는 일본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2002년 한화 이글스로 복귀하여 2007년에는 150승을 달성했다. 은퇴 후에는 한화 이글스 투수 코치, MBC 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 코치, 한화 이글스 단장을 역임했다. 통산 161승으로 KBO 리그 역대 2위에 해당하며, 2009년 그의 등번호 23번은 한화 이글스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150승 클럽 - 이강철 (야구인)
대한민국의 야구인 이강철은 해태 타이거즈 전성기를 이끈 언더핸드 투수이자 현재 KT 위즈의 감독으로, 선수 시절 뛰어난 제구력과 노련한 경기 운영을 보여주었고 은퇴 후에는 코치와 감독으로 활동하며 KT 위즈를 강팀으로 도약시키는 데 기여했다. - 한국 프로 야구 1500탈삼진 클럽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한국 프로 야구 1500탈삼진 클럽 - 이강철 (야구인)
대한민국의 야구인 이강철은 해태 타이거즈 전성기를 이끈 언더핸드 투수이자 현재 KT 위즈의 감독으로, 선수 시절 뛰어난 제구력과 노련한 경기 운영을 보여주었고 은퇴 후에는 코치와 감독으로 활동하며 KT 위즈를 강팀으로 도약시키는 데 기여했다. - KBO 리그 영구 결번 - 최동원
경상남도 남해군 출신 프로 야구 투수 최동원은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4승을 거두며 롯데 자이언츠의 첫 우승을 이끌었고, '무쇠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선동열과 함께 한국 프로 야구 초창기를 대표하는 투수였으나 선수협 파동 이후 은퇴, 지도자 및 해설가로 활동하다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 KBO 리그 영구 결번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정민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정민철 |
한자 표기 | 鄭珉哲 |
로마자 표기 | Jeong Min-cheol |
출생일 | 1972년 3월 28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
신장 | 188cm |
체중 | 88kg |
포지션 | 투수 |
투구/타석 | 우투/좌타 |
선수 경력 | |
KBO 리그 | 빙그레 이글스 (1992년 ~ 1999년) 한화 이글스 (2002년 ~ 2009년) |
일본 프로 야구 |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0년 ~ 2001년) |
코치 경력 | |
KBO 리그 | 한화 이글스 플레잉코치 (2009년) |
KBO 리그 | 한화 이글스 투수코치 (2010년 ~ 2014년) |
국가대표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코치 (2017년 ~ 2019년) |
해설위원 경력 | |
방송사 | MBC 스포츠플러스 야구 해설위원 (2015년 ~ 2019년, 2023년 ~ 현재) |
프런트 경력 | |
KBO 리그 | 한화 이글스 단장 (2020년 ~ 2022년) |
KBO 리그 기록 | |
데뷔 | 1992년 4월 5일, 빙그레 이글스 |
최종 | 2009년 9월 12일, 한화 이글스 |
통산 성적 | 161승 128패, 평균자책점 3.51, 1661 탈삼진 |
타이틀 | 승률왕 (1993년) 방어율왕 (1994년) 탈삼진왕 (1994년, 1997년) |
기타 | 노히트 노런 (1997년) 3x 올스타 (1995년, 1999년, 2007년) 한국시리즈 우승 (1999년) |
일본 프로 야구 기록 | |
데뷔 | 2000년 5월 1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
최종 | 2001년 6월 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
통산 성적 | 3승 2패, 평균자책점 4.70, 44 탈삼진 |
등번호 | |
선수 | 23 |
영구 결번 여부 | 영구 결번 |
2. 선수 시절
1991년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1] 고졸 신인이었지만, 첫 해부터 선발과 구원을 오가며 14승 4패 7세이브, 평균자책점 2.48을 기록하며 승률왕 타이틀을 획득했다.[1] 방위병으로 군 복무 중에도 꾸준히 선발 로테이션을 지켰다.[1]
일본 이적 전까지 8년 동안 큰 부상 없이 매년 두 자릿수 승수를 올렸고, 1999년에는 18승을 거두며 팀의 첫 우승을 이끌었다.[1]
2000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시즌 동안 활동했지만, 현지 적응 실패와 리그 격차로 인해 3승 2패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1] 주된 부진 이유는 구위 저하와 팔꿈치 통증이었다.[1] 2001년 시즌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퇴단했다.[1]
2002년 한화 이글스로 복귀했지만, 이전과 같은 구위를 보여주지 못하고 난조를 겪었다. 2004년에는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팔꿈치 통증으로 인해 수술을 받았다.[12] 이후 재기를 다짐하며 2005년에 재기 가능성을 보였고, 2006년부터 기교파 투수로 전향하여 팀의 선발로 활약했다. 2007년 완벽하게 재기했으나, 2008년 노쇠화로 다시 부진했다. 2009년 플레잉 코치로 활동하다가 은퇴를 선언했으며, 9월 12일 은퇴식과 영구 결번식을 치렀다.
한화 이글스 복귀 이후 시즌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이브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
2002년 | 26 | 0 | 0 | 7 | 13 | 0 | .350 | 599 | 138.0 | 144 | 19 | 39 | 116 | 83 | 82 | 5.35 |
2003년 | 26 | 0 | 0 | 11 | 10 | 0 | .524 | 598 | 139.2 | 132 | 18 | 51 | 73 | 65 | 62 | 4.00 |
2004년 | 13 | 0 | 0 | 0 | 6 | 0 | .000 | 260 | 54.0 | 76 | 11 | 18 | 22 | 50 | 46 | 7.67 |
2005년 | 25 | 0 | 0 | 9 | 3 | 0 | .750 | 495 | 115.2 | 124 | 14 | 26 | 56 | 70 | 62 | 4.82 |
2006년 | 25 | 0 | 0 | 7 | 13 | 0 | .350 | 563 | 130.2 | 142 | 18 | 42 | 62 | 68 | 57 | 3.93 |
2007년 | 26 | 1 | 1 | 12 | 5 | 0 | .706 | 638 | 155.1 | 155 | 11 | 32 | 66 | 58 | 50 | 2.90 |
2008년 | 25 | 0 | 0 | 6 | 10 | 0 | .375 | 554 | 127.1 | 144 | 13 | 40 | 56 | 78 | 74 | 5.23 |
2009년 | 8 | 0 | 0 | 0 | 6 | 0 | .000 | 158 | 31.0 | 54 | 7 | 18 | 21 | 36 | 34 | 9.87 |
2. 1. 한국 프로야구 시절
1991년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고졸 신인이었지만, 첫 해부터 선발과 구원을 오가며 14승 4패 7세이브, 평균자책점 2.48을 기록하며 승률왕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맹활약했다. 방위병으로 군 복무 중에도 꾸준히 선발 로테이션을 지켰다.일본 이적 전까지 8년 동안 큰 부상 없이 매년 두 자릿수 승수를 올렸다. 1999년에는 18승을 거두며 팀의 첫 우승을 이끌었다.
2. 1. 1. 빙그레 이글스 & 한화 이글스 시절
1991년 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했다.[1]고졸 신인임에도 1년차부터 선발과 구원을 오가며 14승 4패 7세이브, 평균자책점 2.48을 기록하며 승률왕 타이틀을 획득했다.[1] 2년차 징크스 없이 중간에 방위병으로 군 복무를 하는 와중에도 선발 로테이션을 지켰다.[1]
입단 후 일본 이적 전까지 8년 동안 큰 부상 없이 매년 두 자릿수 승리를 거두었다.[1] 그 기간 동안 7시즌에서 13승 이상, 평균자책점 3.21 이하의 뛰어난 안정성을 자랑하며 "언제나 믿을 수 있는 투수"로서 한국 최고 투수 반열에 올랐다.[1]
1999년에는 개인 통산 최다인 18승을 거두며 팀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1]
2. 2. 일본 프로야구 시절
2000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시즌 동안 활동했다. 국내 리그에서는 최고 수준의 에이스였지만, 일본 리그에서는 현지 적응에 실패하고 리그 격차로 인해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시즌 동안 3승 2패를 기록했으며, 부진했던 주된 이유는 구위 저하와 팔꿈치 통증이었다.[1] 2001년 시즌 후 퇴단했다.[1]2. 2. 1.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2000년 개인 통산 100승을 기념하며 임대 이적 형식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했다.[1] 국내에서는 리그 최고 수준의 에이스였지만, 일본 리그에서는 현지 적응 실패와 리그 격차로 인해 뚜렷한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1]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를 상대로 한 입단 후 첫 등판에서 7⅓이닝 1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고,[1] 요코하마를 상대로 9이닝 완봉승을 거두는 등[1] 초반에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당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는 빌 갈릭슨 이후 외국인 투수 첫 등판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1] 이후 기대만큼의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외국인 선수 쿼터에 막혀 1군 출장은 제한되었고,[1] 급격한 구위 저하, 팔꿈치 통증 등의 이유로[1] 2시즌 동안 3승 2패의 성적을 거두고 2001년 시즌 후에 한국으로 복귀했다.[1] 그는 후일 인터뷰에서 "시스템이 참 이상했다."라고 회고했다.[1]
2. 3. 한국 프로야구 복귀
한화 이글스로 복귀한 2002년 시즌부터 다시 활동했지만, 이전과 같은 구위를 보여주지 못하고 난조를 겪었다. 2004년에는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팔꿈치 통증으로 인해 수술을 받았다.[12] 이후 재기를 다짐하며 2005년에 재기 가능성을 보였고, 2006년부터 기교파 투수로 전향하여 팀의 선발로 활약했다. 2007년 완벽하게 재기했으나, 2008년 노쇠화로 다시 부진했다. 2009년 플레잉 코치로 활동하다가 은퇴를 선언했으며, 9월 12일 은퇴식과 영구 결번식을 치렀다.2. 3. 1. 한화 이글스 복귀
2002년 친정팀 한화 이글스로 복귀했지만,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컨디션 난조의 영향으로 이전과 같은 구위를 보여주지 못하고 부진했다.[12] 2004년에는 한국 프로 야구 데뷔 이후 처음으로 시즌 0승을 기록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이후 팔꿈치 수술 후 재기를 다짐하며, 2005년에는 재기 가능성을 보였다. 2006년부터는 기교파 투수로 변신하여 팀의 선발 투수로 활약했다. 2007년에는 12승 5패, 평균자책점 2.90을 기록하며 완벽하게 부활하여 한국 통산 150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2008년에는 다시 노쇠화로 인해 부진하며 6승에 그쳤고, 팀은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09년에는 기력 쇠퇴로 인해 개막 후 1승도 거두지 못하고 6연패를 기록했고, 팀 또한 최하위에 머물렀다. 이에 팀 재건을 위해 시즌 중반인 7월에 플레잉 코치로 취임했다. 이후 1군 등판 기회는 없었고, 9월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등번호 23번은 한화 이글스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한화 이글스 복귀 이후 시즌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이브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
2002년 | 26 | 0 | 0 | 7 | 13 | 0 | .350 | 599 | 138.0 | 144 | 19 | 39 | 116 | 83 | 82 | 5.35 |
2003년 | 26 | 0 | 0 | 11 | 10 | 0 | .524 | 598 | 139.2 | 132 | 18 | 51 | 73 | 65 | 62 | 4.00 |
2004년 | 13 | 0 | 0 | 0 | 6 | 0 | .000 | 260 | 54.0 | 76 | 11 | 18 | 22 | 50 | 46 | 7.67 |
2005년 | 25 | 0 | 0 | 9 | 3 | 0 | .750 | 495 | 115.2 | 124 | 14 | 26 | 56 | 70 | 62 | 4.82 |
2006년 | 25 | 0 | 0 | 7 | 13 | 0 | .350 | 563 | 130.2 | 142 | 18 | 42 | 62 | 68 | 57 | 3.93 |
2007년 | 26 | 1 | 1 | 12 | 5 | 0 | .706 | 638 | 155.1 | 155 | 11 | 32 | 66 | 58 | 50 | 2.90 |
2008년 | 25 | 0 | 0 | 6 | 10 | 0 | .375 | 554 | 127.1 | 144 | 13 | 40 | 56 | 78 | 74 | 5.23 |
2009년 | 8 | 0 | 0 | 0 | 6 | 0 | .000 | 158 | 31.0 | 54 | 7 | 18 | 21 | 36 | 34 | 9.87 |
2010년부터 한화 이글스 투수 코치를 맡았다.[1] 2014년 말 한화에서 퇴단하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 MBC 스포츠플러스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3] 2015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 코치를 맡았다.[1]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4] 2019년 10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한화 이글스 단장으로 활동했다.[5] 2023년부터 MBC 스포츠플러스 야구 해설위원으로 복귀하였다.[1]
전성기 때는 150km|h}}를 넘나드는 포심 패스트볼을 기본으로 각이 큰 슬로우 커브, 싱커 등을 던지는 파워 피처였다.[1]
3. 야구선수 은퇴 후
4. 플레이 스타일
5. 주요 기록
기록 날짜 소속 구장 상대팀 경기 결과 경기수 달성 당시 나이 기타 노히트 노런 1997년 5월 23일 한화 대전 OB 무사사구 노히트노런, 역대 9번째 최소경기 1000탈삼진 1998년 8월 26일 한화 부산 롯데 만 26세 4개월 28일 역대 4번째 최연소 100승 1999년 6월 30일 한화 해태 만 27세 3개월 2일 역대 11번째, 97선발승 100선발승 1999년 7월 23일 한화 대전 삼성 4-3 역대 5번째 1300탈삼진 2002년 한화 삼성 역대 4번째 1400탈삼진 2004년 한화 역대 4번째 1500탈삼진 2006년 한화 역대 4번째 최연소, 최소경기 2000이닝 투구 2006년 6월 6일 한화 대전 SK 319 만 34세 2개월 9일 역대 4번째 최연소, 최소경기 150승 2007년 6월 24일 한화 대구 삼성 347 만 35세 2개월 27일 역대 3번째 최연소 2200이닝 투구 2007년 한화 역대 3번째 1600탈삼진 2008년 한화 역대 4번째
6. 경력
- 1995년 제2회 한일 슈퍼게임 대표로 3차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7이닝 2실점 6탈삼진으로 선발승을 기록했다.[1]
- 아시아퍼시픽게임 대표[2]
- 1995년 올스타전 대표[3]
- 1996년 200이닝 - 200탈삼진 달성[4]
- 1999년 제3회 한일 슈퍼게임 대표로 3차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3이닝 1실점 5탈삼진을 기록했다.[5]
- 1999년 올스타전 대표[6]
- 8년 연속 두 자릿수 승[7]
-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한화 이글스의 첫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 (선발 2승)[8]
- 1992년 ~ 1999년 통산 평균자책점 2.80, 109승 62패, 1503이닝, 1189탈삼진, 60완투, 19완봉[9]
- 2007년 올스타전 서군 대표[10]
- 역대 2번째 20완봉 달성[11]
- 2009년 9월 12일 대전 히어로즈전에서 은퇴식을 거행하고 등번호 23번이 영구결번되었다.[12]
7. 출신 학교
8. 통산 기록
도
속
이
률
자
책
장
발
투
봉
이
브
드
닝
안
타
홈
런
넷
4
삼
진
맞
크
투
점
책
자
수
H
I
P